KR100768256B1 -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256B1
KR100768256B1 KR1020060023319A KR20060023319A KR100768256B1 KR 100768256 B1 KR100768256 B1 KR 100768256B1 KR 1020060023319 A KR1020060023319 A KR 1020060023319A KR 20060023319 A KR20060023319 A KR 20060023319A KR 100768256 B1 KR100768256 B1 KR 10076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lat cable
plating
rolls
flexible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479A (ko
Inventor
박학순
Original Assignee
(주)한국프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876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682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프로테크 filed Critical (주)한국프로테크
Priority to KR102006002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2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electro-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플랫케이블에 별도의 단자를 연결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 없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랫케이블의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노출부에 모두 균일하게 도금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4)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노출부(40)를 도금을 할 수 있도록 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 구획된 복수의 도금조(6)의 사이에 구비된 각 기대(8)에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근접 설치된 복수의 전극롤(10,12)과, 전원선(15)이 연결되고 상기 전극롤(10, 12)에 결합되어 각 전극롤(10, 12)의 둘레면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전극(16)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롤(10, 12)은 둘레면의 원주길이가 상기 플랫케이블(2)의 노출부(4)의 간격보다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랫케이블(2)은 한 조를 이루는 양측 전극롤(10,12)의 둘레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S자 형태의 경로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플랫케이블(2)의 양면이 각각 양측 전극롤(10, 12)의 둘레면 원주길이의 절반 이상과 밀착되고, 항상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가 각 전극롤(10, 12)에 접촉되어 상기 전극롤(10,12)이 각 도금조(6)를 통과하는 플랫케이블(2)의 중간부 각 구역에 동일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이 제공된다.
전극, 플랫케이블, 도금, 전극롤, 메쉬망

Description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Flexible flat cable plating electrode}
도 1은 일반적인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4. 노출부
6. 도금조 10,12. 전극롤
18. 메쉬망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며, 플랫케이블에 별도의 단자를 연결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 없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랫케이블의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노출부에 모두 균일하게 도금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여러개의 배선이 상호 절연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그 양단을 전자제품의 보드나 기타 부품 등에 연결하여, 배선을 간단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은 배선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4)가 일면 또는 양면에 일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되어, 이 노출부(4)의 중간부를 잘라냄으로써, 노출된 배선을 보드 또는 부품 등에 구비된 단자에 삽입고정하여, 각 보드나 부품 등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은 제조과정중에 상기 노출부(4)의 배선을 도금처리하며,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의 노출부(4)를 도금처리 하기 위해서는 긴 스트립형태인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 양단의 노출부(4)에 별도의 단자를 연결한 후, 이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은 길이가 매우 길어 롤에 권취된 상태로 이송되고, 그 양단에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플랫케이블(2) 전체를 풀어낸 후 그 양단에 단자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로 플랫케이블(2)이 꼬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플랫케이블(2)은 여러단계의 도금조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도금을 완료하며, 각 도금공정에는 동일한 전류가 인가되어야 균일한 도금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같이, 매우 긴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의 양단에만 단자를 연결할 경우, 도금조를 통과하는 플랫케이블(2)의 중간부에서 방전이 발생되어, 각 도금조를 통과하는 플랫키이블의 중간부에 각기 다르게 전류가 인가된다. 따라서, 도금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플랫케이블에 별도의 단자를 연결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 없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랫케이블의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노출부에 모두 균일하게 도금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4)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노출부(40)를 도금을 할 수 있도록 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 구획된 복수의 도금조(6)의 사이에 구비된 각 기대(8)에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근접 설치된 복수의 전극롤(10,12)과, 전원선(15)이 연결되고 상기 전극롤(10, 12)에 결합되어 각 전극롤(10, 12)의 둘레면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전극(16)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롤(10, 12)은 둘레면의 원주길이가 상기 플랫케이블(2)의 노출부(4)의 간격보다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랫케이블(2)은 한 조를 이루는 양측 전극롤(10,12)의 둘레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S자 형태의 경로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플랫케이블(2)의 양면이 각각 양측 전극롤(10, 12)의 둘레면 원주길이의 절반 이상과 밀착되고, 항상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가 각 전극롤(10, 12)에 접촉되어 상기 전극롤(10,12)이 각 도금조(6)를 통과하는 플랫케이블(2)의 중간부 각 구역에 동일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는 통전성 재질의 메쉬망(18)이 구비되어, 전극롤(10,12) 둘레면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이 제공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은 긴 띠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구비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4)가 양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번갈아 가며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은 일렬로 이격배치된 여러개의 도금조(6)를 통과하여 상기 노출부(4)가 도금된다.
상기 도금용 전극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금조(6)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대(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전극롤(10,12)과, 이 전극롤(10,12)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14)로 구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이 상기 전극롤(10,12)과 안내롤(14)의 둘레면을 경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극롤(10,12)은 도전체인 금속재의 통형상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구비된 도시안된 회전축이 상기 기대(8)에 고정된 베어링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그 상면중심부에는 전원선(15)이 연결되는 전극(16)이 구비되어, 이 전극(16)을 통해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전극(16)은 상기 전극롤(10,12)의 상측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선(15)은 이 전극(16)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전극롤(10,12)과 함께 전극(16)이 회전되어도 항상 전극(16)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이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경유하므로써, 플랫케이블(2) 측면의 노출부(4)가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 통전되도록 밀착되어,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전극롤(10,12)은 그 둘레면의 원주길이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의 일면에 형성되는 노출부(4)의 간격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플랫케이블(2)은 상기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 U자 형을 그리도록 밀착되어 연장되어, 상기 플랫케이블(2)의 면이 전극롤(10,12)의 둘레면 원주길이의 절반 이상과 밀착된다. 따라서, 플랫케이블(2)이 전극롤(10,12)과 밀착되는 길이가 각 노출부(4)간의 거리보다 길어, 상기 플랫케이블(2)이 전극롤(10,12)을 경유하여 전진하는 동안에, 노출부(4)중 적어도 하나는 항상 상기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이 플랫케이블(2)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롤(10,12)의 둘레면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S자를 그리도록 경유하므로써, 양면의 노출부(4)가 모두 상기 전극롤(10,12)에 접촉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는 통전성 재질의 메쉬망(18)이 구비된다. 이 메쉬망(18)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와이어를 꼬아 제작된 것으로, 메쉬망(18) 자체가 쿠션작용을 하여 전극롤(10,12) 둘레면에 탄성을 부여하여, 플랫케이블(2)의 노출부(4)가 메쉬망(18)에 밀착되는 정도가 향상되므로써, 전극롤(10,12)과 플랫케이블(2)간의 전기 통전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안내롤(14)은 비전도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극롤(10,12)에 근접되도록 기대(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플랫케이블(2)은 이 안내롤(14)의 둘레부를 경유하여 안내되어, 전극롤(10,12)을 지그재그로 경유하는 플랫케이블(2)의 각부분이 상호 마찰되지 않고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기대(8)에 전극롤(10,12)과 안내롤(14)을 장착하여 구성된 단자유닛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도금조(6) 사이의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도금조(6)를 통과하는 플랫케이블(2)에 각각 전원을 인가하므로써, 플랫케이블(2)의 각부분에 항상 동일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플랙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단자는 상기 플랫케이블(2)이 전극롤(10,12)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그 양측면에 형성된 노출부(4)가 전극롤(10,12)의 표면에 밀착되어 항상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플랙시블 플랫케이블(2)을 풀어낸 후 양단에 별도의 전극을 결합한 후, 이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플랫케이블(2)을 풀어내지 않고, 상기 전극롤(10,12)을 경유시키는 것만으로 원활한 전원공급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플랫케이블(2)이 꼬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롤(10,12)의 둘레부에 탄성이 있는 통전성 재질의 매쉬망이 구비되어, 플랫케이블(2)의 노출부(4)와 전극롤(10,12)의 밀착도가 높아지므로, 전극롤(10,12)과 매쉬망 사이의 전기 통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롤(10,12)은 각 도금조(6)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도금조(6)를 통과하는 플랫케이블(2)의 중간부 복수개소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하므로, 플랫케이블(2)의 중간부 각 구역에 항상 동일한 전원이 인가되며, 따라서, 플랫케이블(2)의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노출부(4)를 모두 동일하게 도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 플랫케이블(2)이 지그재그로 밀착되도록 하여, 플랫케이블(2) 양면의 노출부(4)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플랫케이블(2)에 별도의 단자를 연결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 없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랫케이블(2)의 양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노출부(4)에 모두 균일하게 도금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배선이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4)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2)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노출부(40)를 도금을 할 수 있도록 된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
    구획된 복수의 도금조(6)의 사이에 구비된 각 기대(8)에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근접 설치된 복수의 전극롤(10,12)과, 전원선(15)이 연결되고 상기 전극롤(10, 12)에 결합되어 각 전극롤(10, 12)의 둘레면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전극(16)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롤(10, 12)은 둘레면의 원주길이가 상기 플랫케이블(2)의 노출부(4)의 간격보다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랫케이블(2)은 한 조를 이루는 양측 전극롤(10,12)의 둘레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S자 형태의 경로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플랫케이블(2)의 양면이 각각 양측 전극롤(10, 12)의 둘레면 원주길이의 절반 이상과 밀착되고, 항상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가 각 전극롤(10, 12)에 접촉되어 상기 전극롤(10,12)이 각 도금조(6)를 통과하는 플랫케이블(2)의 중간부 각 구역에 동일한 전원을 인가하도록 된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롤(10,12)의 둘레면에는 통전성 재질의 메쉬망(18)이 구비되어, 전극롤(10,12) 둘레면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3. 삭제
KR1020060023319A 2006-03-14 2006-03-14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KR10076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19A KR100768256B1 (ko) 2006-03-14 2006-03-14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19A KR100768256B1 (ko) 2006-03-14 2006-03-14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479A KR20070093479A (ko) 2007-09-19
KR100768256B1 true KR100768256B1 (ko) 2007-10-18

Family

ID=3868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319A KR100768256B1 (ko) 2006-03-14 2006-03-14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291B1 (ko) * 2010-08-18 2011-02-28 은성산업(주)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연속도금용 전극장치
KR102191590B1 (ko) 2019-10-04 2021-01-15 유화경 도금용 전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6479A (ko) * 1981-05-06 1983-09-24 후나바시 마사오 와이어등의 연속전기도금 방법 및 장치
KR19980078226A (ko) * 1997-04-25 1998-11-16 윤종용 안정적 전류 공급을 위한 도금장치의 콘택트 디스크
JP2003147584A (ja) * 2001-11-02 2003-05-21 Hitachi Cable Ltd 平角めっき線の製造方法
JP2004082253A (ja) * 2002-08-26 2004-03-18 Kanai Hiroaki ソーワイヤ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6479A (ko) * 1981-05-06 1983-09-24 후나바시 마사오 와이어등의 연속전기도금 방법 및 장치
KR19980078226A (ko) * 1997-04-25 1998-11-16 윤종용 안정적 전류 공급을 위한 도금장치의 콘택트 디스크
JP2003147584A (ja) * 2001-11-02 2003-05-21 Hitachi Cable Ltd 平角めっき線の製造方法
JP2004082253A (ja) * 2002-08-26 2004-03-18 Kanai Hiroaki ソーワイヤ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291B1 (ko) * 2010-08-18 2011-02-28 은성산업(주)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연속도금용 전극장치
KR102191590B1 (ko) 2019-10-04 2021-01-15 유화경 도금용 전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479A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1507904E (pt) Fio condutor de electricidade
US6887113B1 (en) Contact element for use in electroplating
US20120261268A1 (en) Power feeding method, continuous electrolytic plating apparatus for we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film with plated coating film
KR100768256B1 (ko)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도금용 전극
JP6108903B2 (ja) 部分メッキ平角導体の製造装置、及び部分メッキ平角導体の製造方法
JP7070012B2 (ja) 電解めっき装置、および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
JP6325787B2 (ja) 化学処理装置
JP2009024242A (ja) 金属パイプのめっき装置および金属パイプのめっき方法
RU22447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гальванического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гальванического покрытия
KR100472301B1 (ko) 직조발열체
KR200418965Y1 (ko) 면상발열체
US1208238A (en) Apparatus for neutralizing static charges.
KR100778381B1 (ko) 플렉시블 평면 케이블 및 이 플렉시블 평면 케이블의접촉부 도금방법
JP2009256772A (ja) 電解金属箔製造装置における電極基体
KR100701263B1 (ko) 발열선
KR101024005B1 (ko) 전기 접점용 전도성 와이어 브러시
JP7165006B2 (ja) めっき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めっき方法
JP477512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電気メッキ方法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1323395A (ja) 絶縁体付き薄板条材の連続メッキ用導通ローラ
JP7107215B2 (ja) 電解めっき装置および銅張積層板の製造方法
JPH09157897A (ja) 電気メッキ方法
US4493758A (en) Anode structure for a plating cell
JP3043318B2 (ja) 連続メッキ装置の給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2189811A (ja) 導線
RU21841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ода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707

Effective date: 2015113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46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220

Effective date: 201707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622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825

Effective date: 2018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