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249B1 -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249B1
KR100768249B1 KR1020060114017A KR20060114017A KR100768249B1 KR 100768249 B1 KR100768249 B1 KR 100768249B1 KR 1020060114017 A KR1020060114017 A KR 1020060114017A KR 20060114017 A KR20060114017 A KR 20060114017A KR 100768249 B1 KR100768249 B1 KR 10076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ail
transfer
guide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환
Original Assignee
(유)한국엑츄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국엑츄언트 filed Critical (유)한국엑츄언트
Priority to KR102006011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따른 기구적 작용력에 의해 자동으로 클램핑이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이동방향에 따른 기구적 작용력에 의해 자동으로 클램핑이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는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장치의 클램핑 동작을 위한 추가적인 동력공급 및 작동조작이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 양측에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가 설치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고하중 구조물을 이송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하부에 이송방향으로 설치된 레일 상에 상기 이송장치를 배치하되, 제2클램프를 구조물 측에, 제1클램프를 그 반대 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유압실린더를 신장동작시키되, 제1클램프는 레일에 클램핑하고 제2클램프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2클램프가 전진하면서 구조물을 밀어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유압실린더를 수축동작시키되, 제2클램프는 레일에 클램핑하고 제1클램프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1클램프가 전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구조물을 단속적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상기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의 제1클램프는 상기 레일이 통과되는 안내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안내구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홈 내부에 각각 레일의 양측면과 근 접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는 구조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레일 측을 향해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에는 상기 안내면과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에 따른 제1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클로가 레일에 클램핑되거나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클램프, 클로, 유압실린더, 척

Description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METHOD FOR TRANSFERRING HIGH LOA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의 수행을 위한 이송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A-A'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상기 이송장치에서 제1클램프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상기 이송장치에서 제2클램프의 척을 도시한 도 3의 B방향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조물 20 : 대차
30 : 레일 40 : 어댑터
100 : 이송장치 110 : 제1클램프
112 : 안내구 113 : 클로
114 : 안내공 115 : 가이드블록
120 : 위치조절기구 121 : 가이드레버
123 : 회전레버 124 : 회전축
125 : 작동레버 130 : 스톱퍼
147 : 스프링 148 : 탄성조절볼트
150 : 제2클램프 160 : 척
161 : 척실린더 162 : 지지대
163 : 지지축 165 : 죠
180 : 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방향 전후방으로 배치된 양측 클램프가 교대로 클램핑되면서 유압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구조물을 단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사용하되, 상기 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따른 기구적 작용력에 의해 자동으로 클램핑이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 및 능률을 향상시킨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 항만시설을 비롯한 토목구조물이나 대형 건물과 같은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때, 또는 선박이나 기계장치 등의 장치구조물을 제작할 때, 구조물 전체 또는 그 일부를 이루는 구조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조물 하부에 대차나 슬라이딩패드 등을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구조물을 밀어 이송력을 가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하중 구조물 이송장치는 통상 작동유 공급에 따라 신축되는 유압실린더 양측에 클램프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양측 클램프가 이송방향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도록 레일과 같은 이송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장치를 이용한 고하중 구조물의 이송방법은, 통상 전방의 클램프가 구조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먼저 후방의 클램프를 고정하여 구조물에 이송력을 가하기 위한 지지점으로 기능하도록 한 다음, 상기 유압실린더를 신장동작시키면 전방의 클램프가 전진되면서 구조물을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소정 거리만큼 구조물이 이동된 다음에는 전방의 클램프를 고정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수축동작시켜 후방의 클램프가 전진되도록 하며, 이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구조물을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만큼씩 단속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하중 구조물 이송에 있어서, 구조물의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의 고정 시 매우 큰 하중이 걸리게 되고, 클램핑이 불완전하게 되면 대형 사고 발생과 직결되므로 클램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클램프를 고정핀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구조물을 소정 거리씩 이동될 때마다 수작업을 통해 체결구를 일일이 체결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매우 번거롭고, 작업 능률도 떨어지며, 체결구의 체결 또는 해체작업 중에 구조물이 밀려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가 유압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대용량의 유압장치 및 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송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비용이 높게 되고, 그 유지관리도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방향에 따른 기구적 작용력에 의해 자동으로 클램핑이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는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장치의 클램핑 동작을 위한 추가적인 동력공급 및 작동조작이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 양측에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가 설치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고하중 구조물을 이송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하부에 이송방향으로 설치된 레일 상에 상기 이송장치를 배치하되, 제2클램프를 구조물 측에, 제1클램프를 그 반대 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유압실린더를 신장동작시키되, 제1클램프는 레일에 클램핑하고 제2클램프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2클램프가 전진하면서 구조물을 밀어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유압실린더를 수축동작시키되, 제2클램프는 레일에 클램핑하고 제1클램프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1클램프가 전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구조물을 단속적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상기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의 제1클램프는 상기 레일이 통과되는 안내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안내구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홈 내부에 각각 레일의 양측면과 근접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는 구조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레일 측을 향해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에는 상기 안내면과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에 따른 제1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클로가 레일에 클램핑되거나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에서, 상기 이송장치를 레일에 배치한 후, 제2클램프와 구조물 사이에 이송력 전달을 위한 어댑터를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구조물을 수평면 상에서 이송할 경우,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레일이 통과되는 안내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죠와, 양측 죠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척실린더의 신축을 통해 양측 죠가 레일의 양측면에 클램핑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을 경사면 상에서 이송할 경우, 상기 제2클램프는 제1클램프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2클램프가 구조물을 밀어 올린 위치에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이송방법에서, 상기 이송장치를 레일 상에 배치하거나 이송작업이 완료된 후 이동 및 해체시킬 때, 상기 제1클램프의 클로를 레일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의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클램프는 몸체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안내공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블록이 상기 클로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을 안내공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를 병렬 설치된 복수의 레일에 각각 설치하여 구조물의 복수의 지점을 밀어 이송시키는 경우, 각 레일에 설치된 이송장치의 제1클램프가 동시에 클램핑 및 해제 동작 하도록 각 클로의 작동범위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클램프는 몸체의 일측에 스톱퍼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톱퍼에 상기 가이드블록을 지지하는 멈치돌부가 형성되어 이 스톱퍼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블록의 작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은 교량과 같은 토목구조물, 콘크리트케이스와 같은 건축구조물, 선박이나 기계장치와 같은 장치구조물 등 무겁고 큰 고하중 구조물을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공정순서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1에 상기 이송장치(100)의 설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5에 상기 이송장치(100)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송될 구조물이 교량의 상판과 같은 넓은 면적의 구조물(10)인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구조물(10)의 하부에 다수의 대차(20)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구조물(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양측에 레일(30)이 설치된다.
도시된 이송장치(100)는 구조물(10)을 좌우 양측에서 밀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 레일(30)에 각각 설치되며, 제1클램프(110)와 제2클램프(150)가 한 쌍의 유압실린더(180)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클램프(150)와 구조물(10) 사이에 어댑터(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클램프(110)는 하부에 상기 레일(30)이 통과되는 안내구(112)가 형성된 몸체(111)와, 상기 안내구(112)의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클로(claw)(113)와, 상기 클로(113)를 이동시켜 레일(30)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구(120)와, 이 위치조절기구(120)에 의한 클로(113)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130)와, 상기 클로(113)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47) 및 탄성조절볼트(148)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1)의 안내구(112) 양측에는 상기 클로(113)가 이동 가능하게 수 용되는 장착홈(112a)이 형성되며, 이 장착홈(112a) 내부에 구조물(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레일(30) 측을 향해 경사진 안내면(112c)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113)에 상기 안내면(112c)과 접촉되는 경사면(113a)이 형성되어 몸체(111)의 이동방향에 따라 클로(113)가 자동적으로 레일(30) 측면에 가압밀착되거나 가압력이 해제되어 별도의 동력원 없이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로(113)에는 레일(30) 표면에 대한 클램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쐐기형으로 요철된 요철면(113b)이 형성된다. 이 요철면(113b)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요철면(113b)을 이루는 각 쐐기형 돌부가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 대칭 형태 뿐 아니라,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위치조절기구(120)는, 기구적 관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클로(113)의 클램핑 동작과 별개로, 상기 클로(113)를 이동시켜 레일(30)과 근접한 작동위치(구조물(10)의 이송을 위한 클램핑 동작이 가능한 위치)에 있게 하거나 레일(30)과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해제위치(이송장치(100)의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레일(30)과의 간섭이 없는 위치)에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클로(113)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몸체(111)의 바닥부에 형성된 안내공(114)을 관통하여 안내공(11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블록(115)과, 이 가이드블록(115)에 결합된 가이드레버(121)와, 이 가이드레버(121)의 외측에 결합된 회전레버(123)와, 이 회전레버(123)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111)에 직립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24)과, 이 회전축(124)의 상부에 결합된 작동레버(125)와, 양측 작동레버(125)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그 신축에 따라 상기 회전축(124)을 양방향 회전시켜 상기 회전레버(123), 가이드레버(121) 및 가이드블록(115)을 통해 연결된 클로(113)를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버(121), 회전레버(123), 회전축(124) 및 작동실린더(126)는 상기 가이드블록(115)을 안내공(114)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으로서 예시된 것으로, 도시된 구조 뿐 아니라, 상기 가이드블록(115)을 통해 클로(113)와 연결되어 클로(113)를 안내면(112c)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다양한 기구적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123)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레버(121)가 소정 범위 내에서 양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123)는 가이드레버(121)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레버(121)에 돌출된 결합구(12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123)에 상기 결합구(12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 형태의 결합공(123a)이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상기 스톱퍼(130)는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홈(1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11)의 안내홈(115) 일측에 안내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116)에 삽입되는 안내돌부(132)가 스톱퍼(130)에 구비된다. 또한, 이 스톱퍼(130)에는 상기 가이드블록(115)을 접촉 지지하는 멈치돌부(131)가 구비되며, 이 멈치돌부(131)에는 경사면(131a)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115)을 따르는 스톱퍼(1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115)의 이동 범위를 다르게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130)의 고정 및 위치 조절을 위한 수단으로서 조절볼트(117)가 몸체(111)를 관통하여 스톱퍼(130)에 나사결합된다. 이 조절볼트(117)는 몸체(111)에 대해서는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만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스톱퍼(130)를 안내홈(115)을 따라 양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47)은 몸체(111)와 클로(113)에 연통 형성된 설치공(101) 내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148)는 몸체(111)의 설치공(101) 입구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클로(113)가 레일(30) 측면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148)의 회전에 따라 그 탄성 지지력이 변화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클램프(150)는 하부에 상기 레일(30)이 통과되는 안내구(152)가 형성된 몸체(151)와 이 몸체(151)의 양측 유압실린더(180)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설치된 척(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척(160)은 몸체(151)에 고정된 지지대(162)와, 이 지지대(16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163)과, 이 지지축(163)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시이소오 구조로 결합된 죠(jaw)(165)와, 양측 죠(165)의 상부 사이에 연결 설치된 척실린더(161)로 이루어진다. 상기 죠(165)의 하부에 레일(30)에 클램핑되는 물림돌부(165a)가 형성되고, 상기 물림돌부(165a)의 레일(30)과 접촉되는 면에는 클램핑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쐐기형으로 요철된 요철면(165b)이 형성된다. 이 요철면(165b) 역시 도시된 형태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180)는 일측에만 실린더로드가 구비된 일방향 신축 실린더일 수도 있고 양측에 실린더로드가 구비된 양방향 신축 실린더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80),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50) 중 적어도 일측에 유압실린더(180)의 신장한계 또는 수축한계 감지를 통해 유압실린더(1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양측 유압실린더(180)의 실린더본체 부분에 신장한계 및 수축한계 감지를 위한 레버타입 리미트스위치(181, 182)가 각각 설치되고 이송방향으로 병렬로 구비된 양측 바아(103, 104)에 각 리미트스위치(181, 182)의 작동을 위한 감지구(105, 106)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고하중 구조물을 이송하는 과정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송방법은 구조물(10)의 하부에 이송방향으로 설치된 레일(30) 상에 상기 이송장치(100)를 배치하되, 그 전에 상기 제1클램프(110)의 클로(113)를 레일(30)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의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해제단계(S109)와, 제2클램프(150)를 구조물(10) 측을 향하도록, 제1클램프(110)를 그 반대 측을 향하도록 레일(30)에 이송장치(100)를 배치하는 단계(S110)와, 배치된 제2클램프(150)와 구조물(10) 사이에 이송력 전달을 위한 어댑터(40)를 설치하는 단계(S111)와, 각 레일(30)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장치(100)의 제1클램프(11)가 동시에 클램핑 및 해제 동작하도록 각 클로(113)의 작동범위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단계(S112)와, 상기 유압실린더(180)를 신장동작시키되, 제1클램프(110)는 레일(30)에 클램핑하고 제2클램프(150)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2클램 프(150)가 전진하면서 구조물(10)을 밀어 이동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유압실린더(180)를 수축동작시키되, 제2클램프(150)는 레일(30)에 클램핑하고 제1클램프(110)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1클램프(110)가 전진되도록 하는 단계(S130)와, 상기 각 단계(S110, S120, S13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구조물(10)을 단속적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상기 제1클램프(110)의 클로(113)를 레일(30)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의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클램프해제단계(S131)와, 클램핑이 해제된 이송장치(100)를 레일(30)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단계(S1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각 과정이 이루어지는 작동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클램프(110)와 제2클램프(150)를 각각의 안내구(112, 152)에 레일(30)이 통과되도록 하여 레일(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제2클램프(150)와 구조물(10) 사이에 어댑터(40)를 설치하여 높이가 다른 양측 간에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설치된 초기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제1클램프(110)의 클로(113)는 상기 스프링(147)에 의해 레일(30)에 약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클램프(150)의 죠(165)는 레일(30)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설치가 완료된 후, 작동유를 공급하여 유압실린더(180)를 신장시키면 상기 제2클램프(150)가 전진되면서 구조물(10)을 이동시킨다. 이때, 유압실린더(180)의 신장력이 제1클램프(110)와 제2클램프(150) 양측으로 가해지는데, 제1클램프(110)는 상기 클로(113)가 안내면(112c)을 통해 힘을 받아 레일(30)에 강하게 가압밀착 되므로 레일(30) 상에 클램핑되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제2클램프(150)는 척(160)의 양측 죠(165)가 레일(30)과 이격되어 구속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구조물을 밀어 이송시키게 된다
소정 거리만큼 구조물(10)이 이동되면, 유압실린더(180)의 신장에 따른 리미트스위치(181, 182)의 작동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유압실린더(180)가 수축동작하여 제1클램프(110)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척실린더(161)가 신장되어 양측 죠(165)가 레일(30)에 가압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2클램프(150)의 클램핑이 이루어져 제2클램프(150)는 해당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1클램프(110)는 클로(113)가 안내면(112c)을 타고 레일(3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대운동하게 되므로 유압실린더(180)의 수축력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구조물(10)을 단속적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으며, 구조물(10)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클램프(110)의 위치조절기구(120)를 작동시켜 클로(113)를 레일(30)과 이격된 위치에 있게 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거나 크레인 등으로 들어 운반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실린더(126)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축(124)이 회전되고, 이 회전축(124)의 회전력이 회전레버(123), 가이드레버(121)를 통해 가이드블록(115)에 전달되어 클로(113)가 안내공(114)의 형성 방향을 따라 레일(30)과의 간섭이 없는 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1클램프(110)를 이동시키거나 들어올려도 클로(113)에 의한 클램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80)에 의해 가해지는 이송력의 방향에 따라 클로(113)가 안내면(112c)에 대해 상대운동하면서 레일(30)에 대한 이송장치(100)의 클램핑이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므로, 클램핑 및 해제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어 구조물 이송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물(10)의 이송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위치조절기구(120)에 의해 클로(113)를 레일(30)과의 간섭이 없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제1클램프(110)의 클램핑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척(160)을 작동시켜 제2클램프(150)의 클램핑을 해제함으로써, 용이하게 레일(30)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재사용을 위해 들어올려 운반할 수도 있다.
한편, 경사면 상에서 구조물(10)을 밀어 상향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2클램프(150)를 제1클램프(1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먼저 전진된 제2클램프(150)가 제1클램프(110)의 전진을 위한 고정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밀어올린 구조물(10)의 고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력을 제공하게 되며, 양측 클램프(110, 15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양측 클램프(110, 150)가 교번적으로 자동 클램핑되므로, 전술한 척과 같은 유압제어 없이도 구조물(1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장치에 구비된 유압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두 클램프가 단속적으로 이동되면서 구조물을 이송시키도록 하되, 클램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클로의 클램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클램핑 작동 및 해제를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어 고하중 구조물의 이송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로의 위치를 레일과 근접된 사용위치와 레일과 간섭이 없는 해제위치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레일에 설치된 각 클램프의 클램핑 동작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고하중 구조물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구조물의 이송이 완료된 후 이송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 및 운반할 수 있다.

Claims (6)

  1. 유압실린더(180) 양측에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50)가 설치된 이송장치(100)를 이용하여 고하중 구조물(10)을 이송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10)의 하부에 이송방향으로 설치된 레일(30) 상에 상기 이송장치(100)를 배치하되, 제2클램프(150)를 구조물(10) 측에, 제1클램프(110)를 그 반대 측에 배치하는 단계(S110);
    상기 유압실린더(180)를 신장동작시키되, 제1클램프(110)는 레일(30)에 클램핑하고 제2클램프(150)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2클램프(150)가 전진하면서 구조물(10)을 밀어 이동시키는 단계(S120);
    상기 유압실린더(180)를 수축동작시키되, 제2클램프(150)는 레일(30)에 클램핑하고 제1클램프(110)는 클램핑을 해제하여 제1클램프(110)가 전진되도록 하는 단계(S130); 및
    상기 각 단계(S110, S120, S13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구조물(10)을 단속적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시킨 후, 상기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50)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레일(30)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100)의 제1클램프(110)는 상기 레일(30)이 통과되는 안내구(112)가 형성된 몸체(111) 및 상기 안내구(112)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홈(112a) 내부에 각각 레일(30)의 양측면과 근접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 로(113)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112a)의 내부에는 구조물(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레일(30) 측을 향해 경사진 안내면(112c)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113)에는 상기 안내면(112c)과 접촉되는 경사면(113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실린더(180)의 신축에 따른 제1클램프(110)의 이동방향에 따라 클로(113)가 레일(30)에 클램핑되거나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00)를 레일(30)에 배치하는 단계(S110)와 구조물(10)을 밀어 이동시키는 단계(S120)사이에 제2클램프(150)와 구조물(10) 사이에 이송력 전달을 위한 어댑터(40)를 설치하는 단계(S111)를 더 포함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150)는 상기 레일(30)이 통과되는 안내구(152)가 형성된 몸체(151)와, 상기 몸체(151)에 고정된 지지대(162)와, 상기 지지대(16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163)과, 상기 지지축(163)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죠(165)와, 양측 죠(165)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척실린더(161)를 포함하여, 수평면에서 구조물(10)을 이송시킬 때 상기 척실린더(161)의 신축을 통해 양측 죠(165)가 레일(30)의 양측면에 클램핑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구 조물 이송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150)는 제1클램프(1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경사면에서 구조물(10)을 이송시킬 때 제2클램프(150)가 구조물(10)을 밀어 올린 위치에서 구조물(1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00)를 레일(30) 상에 배치하거나 이송작업이 완료된 후 이동 및 운반할 때, 상기 제1클램프(110)의 클로(113)를 레일(30)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의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9, S131)를 더 포함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클램프(110)는 몸체(111)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안내공(114)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블록(115)이 상기 클로(113)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블록(115)을 안내공(114)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00)를 병렬 설치된 복수의 레일(30)에 각각 설치하여 구조물(10)의 복수의 지점을 밀어 이송시키되, 각 레일(30)에 설치된 이송장치(100)의 제1클램프(11)가 동시에 클램핑 및 해제 동작 하도록 각 클로(113)의 작동범위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단계(S112)를 더 포함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클램프(11)는 몸체(111)의 일측에 스톱퍼(1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톱퍼(130)에 상기 가이드블록(115)을 지지하는 멈치돌부(131)가 형성되어 이 스톱퍼(13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블록(115)의 작동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KR1020060114017A 2006-11-17 2006-11-17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KR10076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017A KR100768249B1 (ko) 2006-11-17 2006-11-17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017A KR100768249B1 (ko) 2006-11-17 2006-11-17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249B1 true KR100768249B1 (ko) 2007-10-17

Family

ID=3881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017A KR100768249B1 (ko) 2006-11-17 2006-11-17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2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46B1 (ko) 2007-08-08 2009-08-24 (유)한국엑츄언트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KR101387696B1 (ko) 2012-06-22 2014-04-24 (주)수산서비스 브레이커 부품의 자동 이송 및 도장장치
CN109488643A (zh) * 2019-01-08 2019-03-19 沈阳北碳密封有限公司 内机壳拆装平台装置上的液压缸移动固定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481A (en) 1981-10-14 1986-02-25 Chambers Henry B Releasable clamping assembly for use with hydraulic jacking apparatus
JPH1076309A (ja) 1996-05-31 1998-03-24 Natl Mach Co:The 線材送り装置
JP2000053400A (ja) 1998-08-12 2000-02-22 Kawatetsu Kizai Kogyo Kk 大型重量物横引き工法におけるクラ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481A (en) 1981-10-14 1986-02-25 Chambers Henry B Releasable clamping assembly for use with hydraulic jacking apparatus
JPH1076309A (ja) 1996-05-31 1998-03-24 Natl Mach Co:The 線材送り装置
JP2000053400A (ja) 1998-08-12 2000-02-22 Kawatetsu Kizai Kogyo Kk 大型重量物横引き工法におけるクランプ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46B1 (ko) 2007-08-08 2009-08-24 (유)한국엑츄언트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KR101387696B1 (ko) 2012-06-22 2014-04-24 (주)수산서비스 브레이커 부품의 자동 이송 및 도장장치
CN109488643A (zh) * 2019-01-08 2019-03-19 沈阳北碳密封有限公司 内机壳拆装平台装置上的液压缸移动固定装置及使用方法
CN109488643B (zh) * 2019-01-08 2023-09-19 沈阳北碳密封有限公司 内机壳拆装平台装置上的液压缸移动固定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52889B (zh) 钢筋定位装置及采用钢筋定位装置制备钢筋网片的方法
US7156436B2 (en) Clamping device having an actuating carriage which moves a movable jaw toward a stationary jaw
KR100768249B1 (ko)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KR102613541B1 (ko) 연결 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23734B1 (ko) 고하중 구조물 이송장치
EP1844199A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a work tool
KR100785732B1 (ko) 고하중 구조물 이송장치
CN113513633A (zh) 一种排污系统建立排污管道施工方法
KR101496927B1 (ko) 중량물 반전 장치
US4105240A (en) Lifting device for large panels
KR100913746B1 (ko)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US2729152A (en) Apparatus for placing corrugated joints in concrete
AU2005201021B2 (en) Clamping Device for Lifting Slab, Panel or Sheet Material
KR102050079B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체결장치
CN221047171U (zh) 一种钢筋弯折装置
CN203062569U (zh) 滑动自动夹紧装置
CN204626974U (zh) 一种建筑模板紧固机构
CN220615899U (zh) 一种转运定位车
CN215631665U (zh) 用于大型模板的合模器
CN102935627A (zh) 滑动自动夹紧装置
RU2756044C2 (ru)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зажимов для рельсов с помощью запорного элемента
CN218503178U (zh) 一种钢结构柱梁用校直装置
CN212656564U (zh) 一种建筑早拆模具构造
CN211465526U (zh) 一种管件切割用支座
DE60223987D1 (de) Stanz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