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986B1 -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986B1
KR100767986B1 KR1020060024897A KR20060024897A KR100767986B1 KR 100767986 B1 KR100767986 B1 KR 100767986B1 KR 1020060024897 A KR1020060024897 A KR 1020060024897A KR 20060024897 A KR20060024897 A KR 20060024897A KR 100767986 B1 KR100767986 B1 KR 10076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essage inform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388A (ko
Inventor
켄 사카무라
노보루 고시즈카
마사유키 테라다
켄사쿠 모리
카주히코 이시이
사다유키 혼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10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Abstract

단말장치(10)는,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메시지정보를 수리(受理)하는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와, 상기 메시지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스레드(thread) ID를 생성하는 ID 생성부(14)와, 상기 메시지정보와 상기 스레드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IC 카드(24)에 송신하는 송신부(16)와, IC 카드(24)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메시지 정보 수리부(12)는, IC 카드(24)로부터의 수신메시지에, 송신메시지에 삽입한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정보에 대한 반환치로서 단말프로그램(26)으로 반환하고,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말프로그램, 메시지정보, 수신메시지, IC 카드, 메시지 정보 수리부

Description

단말장치{Terminal unit}
도 1은 단말장치의 기능적 구성도.
도 2는 단말프로그램으로부터 IC 카드에 메시지가 송신될 때의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은 IC 카드로부터 단말프로그램에 메시지가 회신될 때의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수리수단 14: 생성수단
16: 송신수단 20: 라이브러리
24: IC 카드 26: 단말프로그램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상대(예를 들면 IC 카드)와의 사이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을 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배경
예를 들면, 문헌(테라다(寺田) 외, 「분산 IC 카드 환경을 위한 아키텍처의 제안」, 정보처리학회 심포지움 시리즈 Vol. 2004, No.11, pp. 289-294, 2004년 10월 20일 발행)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단말프로그램과 IC 카드의 사이에서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프로그램과 IC 카드를 서로 연휴(連携)하여 동작시키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는, 단말프로그램이, 단말장치 내에 설치된 통신 라이브러리에 대하여 메시지(src, dst, mtype, param)를 줌으로써, IC 카드(또는 다른 단말프로그램)에 대하여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src, dst, mtype, param은 각각, 송신원 ID, 송신처 ID, 메시지의 종별, 메시지의 내용이다.
발명의 요약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에 제시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단말프로그램으로부터 통신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IC 카드로 메시지를 송신한 후, IC 카드로부터 통신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단말프로그램에 대하여 메시지가 도달한 경우라도, 수신메시지가 어떤 송신메시지에 대한 회신인지를 구별하는 수단이 없다. 그 때문에, 통신 라이브러리로부터 단 말프로그램에 대하여, 예를 들면 「처리의 정상 종료」의 메시지가 도달하였다고 해도, 단말프로그램은 어떤 처리가 정상 종료한 것인지를 아는 수단이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말프로그램 등의 메시지 송신원이 송신메시지와 수신메시지의 대응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단말장치는 메시지정보를 수리하는 수리수단과, 상기 수리수단에 의해서 수리된 메시지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수리수단에 의해서 수리된 메시지정보와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통신상대로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통신상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리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서 식별되는 메시지정보에 대한 반환치로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으로 반환하고,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메시지정보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송신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상대로 송신함과 동시에, 수신메시지에 상기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정보에 대한 반환치로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으로 반환함으로써, 상기 메시지정보와 이것에 대한 회신(반환치)을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수리수단은,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또는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서 메시지가 송신되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반환치로서 반환하지 않고서,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또는 송신수단에 의해서 메시지가 송신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수신메시지를 반환치로서 반환하지 않고서 처리를 종료함으로써, 통신 에러 등에 의해서 수신메시지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처리가 종료할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은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수리수단은, 상기 메시지정보와 함께 타임아웃의 검출에 사용하는 시간을 수리하고,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또는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서 메시지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반환치로서 반환하지 않고서,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또는 송신수단에 의해서 메시지가 송신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수신메시지를 반환치로서 반환하지 않고서 처리를 종료함으로써, 통신에러 등에 의해서 수신메시지를 얻지 못한 경우에 처리를 종료할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은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타임아웃의 검출에 사용하는 시간을 수리함으로써, 상기 시간을 메시지정보마다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수리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식별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서로 중복하지 않은 식별정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는, 물리적으로는, CPU, 메모리, 외부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 단말장치이며, 예를 들면, 이동기(휴대전화기), PDA, 퍼스널 컴퓨터 등이다. 단말장치의 메모리에는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서 실행됨으로써, 여러 가지 기능이 실현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시지정보 수리부(12; 수리수단)와 ID 생성부(14; 생성수단)와 송신부(16; 송신수단)와 수신부(18; 수신수단)를 포함하는 통신 라이브러리(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단말장치(10)는 IC 카드 삽입부(22; 예를 들면 IC 카드 삽입용의 슬롯)를 구비하고, IC 카드 삽입부(22)에는 IC 카드(24)가 삽입되어 있다. IC 카드(24)와 단말장치(1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단말장치(10)의 송신부(16) 및 수신부(18)와 IC 카드(24)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 라이브러리(20)는 전체로서, 메시지의 송수신을 하기 위한 수속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라이브러리(20)는 단말장치(10)에 있어서 동작하는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메시지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초하는 메시지의 송수신처리를 하고, 송신원의 단말프로그램(26)에 대하여 그 반환치를 반환한다. 이하, 통신 라이브러리(20)의 구성 요소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시지 정보 수리부(12)는,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메시지정보를 수신(수리)한다. 여기에서, 메시지정보에는, 송신원이 되는 단말프로그램(26)의 ID(이하, 송신원 ID라고 한다)와, 메시지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상대(예를 들면 IC 카드(24))의 ID(이하, 송신처 ID라고 한다)와,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ID 생성부(14)는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에 의해서 수리된 메시지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하, 스레드 ID라고 한다)를 생성한다. ID 생성부(14)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에 의해서 수리된 서로 다른 메시지정보에 대하여 서로 중복하지 않은 스레드 ID를 생성한다(이하, 이렇게 생성된 스레드 ID를 대역적으로 일의성을 갖는 스레드 ID라고 한다). 예를 들면, 송신원 ID와 ID 생성부(14)가 관리하는 연번을 나란히 배열한 문자열을 스레드 ID로 함으로써, 대역적으로 일의성을 갖는 스레드 ID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송신부(16)는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에 의해서 수리된 메시지정보와 ID 생 성부(14)에 의해서 생성된 스레드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통신상대로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부(16)는 송신원 ID, 송신처 ID, 스레드 ID 및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송신처 ID에 의해서 특정되는 송신처에 대하여 송신한다. 송신부(15)는, 송신처 ID에 의해서 특정되는 송신처에 대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면, 상기 메시지의 송수신처리를 하는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여기에서 말하는 「스레드」는 상술한 「스레드 ID」와는 관계없이,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트랜잭션 단위로서의 스레드를 가리킨다)를 중지상태로 한다.
수신부(18)는, 통신상대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부(18)는, 또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의 송수신처리를 하는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를 재개시킨다(즉 중지상태로부터 기동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처리를 하는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복수 중지하고 있는 경우는, 이들을 순차 재개하여도 좋고, 일제히 재개하여도 좋다.
메시지 정보 수리부(12)는 또한,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참조하여,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에, ID 생성부(14)에 의해서 생성된 스레드 ID(즉, 송신부(16)로부터 송신된 메시지에 삽입된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ID 생성부(14)에 의해서 생성된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정보 수리부(12)는,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스레드 ID에 의해서 식별되는 메시지정보에 대한 반환치로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으로 반환하고,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 리를 종료한다. 한편, 수신된 메시지에, ID 생성부(14)에 의해서 생성된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시지 정보 수리부(12)는, 재개된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를 다시 중지상태로 되돌린다. 여기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처리를 하는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복수 중지하고 있는 경우는, 이들의 처리를 순차 행하여도 좋고, 일제히 행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IC 카드(24)에 메시지가 송신되고, IC 카드(24)로부터 단말프로그램(26)에 메시지가 회신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단말프로그램(26)의 ID를 a1, IC 카드(24)의 ID를 i1,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IC 카드(24)에 송신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m1로 한다.
도 2는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IC 카드(24)에 메시지가 송신될 때의 단말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메시지의 송수신에 있어서, 우선,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통신 라이브러리(20)에 대하여, 메시지정보가 송신된다(S1). 여기에서, 메시지정보에는, 송신원 ID(=a1), 송신처 ID(=i1) 및 메시지의 내용(=m1)이 포함되어 있다.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송신된 메시지정보는, 통신 라이브러리(20)의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에 의해서 수리된다(S2).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에 의해서 메시지정보가 수리되면, ID 생성부(14)에 의해서 스레드 ID가 생성된다(S3). 스레드 ID(=t1)는, 예를 들면, 송신원 ID(=a1)와 ID 생성부(14)가 관리하는 연번(=n)을 나란히 배열한 문자열(=a1|n)로서 생성 된다.
계속해서, 송신부(16)에 의해,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에 의해서 수리된 메시지정보와 ID 생성부(14)에 의해서 생성된 스레드 ID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생성된다(S4).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원 ID(=a1), 송신처 ID(=il), 스레드 ID(=t1) 및 메시지의 내용(=m1)을 포함하는 메시지(=<a1, i1, t1, m1>)가 생성된다. 생성된 메시지는 송신처 ID에 의해서 특정되는 송신처인 IC 카드(24)에 대하여 송신된다(S5).
송신부(16)로부터 IC 카드(24)에 대하여 메시지가 송신되면, 상기 메시지의 송수신처리를 하는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는 중지상태로 된다(S6).
도 3은 IC 카드(24)로부터 단말프로그램(26)에 메시지가 회신될 때의 단말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IC 카드(24)는, 단말프로그램(26)으로부터 통신 라이브러리(20)를 통하여 송신된 메시지에 따른 처리(예를 들면 전자가치의 가감산처리)를 실행하면, 단말프로그램(26)으로의 회신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 라이브러리(20)에 송신한다(S11). 보다 구체적으로는, IC 카드(24)에 의해서, 송신원 ID(=i1), 송신처 ID(=a1), 스레드 ID(=t1) 및 메시지의 내용(=m2)을 포함하는 메시지(=<i1, a1, tl, m 2>)가 생성되고, 통신 라이브러리(20)에 송신된다. 여기에서는, IC 카드(24)가 수신한 메시지와는 반대로, 송신원 ID가 IC 카드(24)의 ID(=i1)로 되고, 송신처 ID가 단말프로그램(26)의 ID(=a1)가 된다. 또한,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스레드 ID에 대해서는, IC 카드(24)가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스레드 ID(=t1)가 그대로 사용된다. IC 카드(24)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는, 통신 라이브러리(20)의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다.
수신부(18)에 의해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의 송수신처리를 하는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재개된다(S12).
그 후, 메시지 정보 수리부(12)에 의해,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가 참조되고,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에, ID 생성부(14)에 의해서 생성된 스레드 ID(즉, 송신부(16)로부터 송신된 송신메시지에 삽입된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S13). 여기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스레드 ID에 의해서 식별되는 메시지정보에 대한 반환치로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인 단말프로그램(26)에 반환되고(S14),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수신된 메시지에, ID 생성부(14)에 의해서 생성된 스레드 ID, 즉 통신 라이브러리(20)로부터 송신한 송신메시지에 삽입한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재개된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는 다시 중지상태로 되돌려진다(S15).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10)는 메시지정보와 스레드 ID를 포함하는 송신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상대(예를 들면 IC 카드(24))로 송신함과 동시에, 수신메시지에 상기 스레드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정보에 대한 반환치로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예를 들면 단말프로그램(26))으로 반환한다. 따라서, 상기 메시지정보와 이것에 대한 회신(반환치)을 관련지을 수 있다. 그 결과, 메시지 송신원(예를 들면 단말프로그램)이 송신메시지와 수신메시지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동기 호출에 의한 통신방식(단말프로그램으로부터 메시지송신을 하기 위한 수속을 호출한 후, 호출로부터 되돌아가지 않고서 회신메시지가 오기를 기다려, 회신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회신메시지를 반환치로서 호출로부터 되돌아간다는 통신방식)을 채용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10)에 있어서는, 이 통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10)에 있어서는, 송신원으로부터 송신원 ID를 수리하고, 상기 수리한 송신원 ID를 사용하여 스레드 ID의 작성이나 송신메시지의 작성을 하고 있었지만, 이것은 이하와 같이 하여도 좋다. 즉, 송신원 ID와 참조정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베이스를 단말장치(10)의 메모리에 미리 격납하여 두고, 송신원으로부터 송신원 ID가 아닌 참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정보를 키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송신원 ID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송신원 ID를 사용하여 스레드 ID의 작성이나 송신메시지의 작성을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통신 라이브러리(20)로부터 IC 카드(24)에 송신되는 송신메시지나 IC 카드(24)로부터 송신되어 통신 라이브러리(20)에 의해서 수신되는 수신메시지가 도중에서 잃어버려진 경우 등, 어떠한 이유로, 얼마간 기다리더라도 통신 라이브러리(20)가 송신메시지에 대한 회신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생각된다. 그래서, 이러한 상황하에서, 처리를 영구하게 종료할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은 부적합함을 회피하기 위해서, 일정한 타임아웃처리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시지 정보 수리부(12)가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 메시지 정보 수리부(12)는 송신원으로 에러치 등을 반환하고(즉 수신부(18)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반환치로서 반환하지 않고서),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를 종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메시지 정보 수리부(12)가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에러치를 반환하여 처리를 종료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송신부(16)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에러치를 반환하여 처리를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메시지 정보 수리부(12)가 메시지정보와 함께 타임아웃의 검출에 사용하는 시간을 수리하고,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또는 송신부(16)에 의해서 메시지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에러치를 반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타임아웃의 검출에 사용하는 시간을, 메시지정보마다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단말프로그램 등의 메시지 송신원이 송신메시지와 수신메시지의 대응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단말장치에 있어서,
    메시지정보를 수리하는 수리수단과,
    상기 수리수단에 의해서 수리된 메시지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수리수단에 의해서 수리된 메시지정보와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통신상대로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통신상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리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서 식별되는 메시지정보에 대한 반환치로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으로 반환하고,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수단은,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또는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서 메시지가 송신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반환치로서 반환하지 않고서,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 하는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수단은, 상기 메시지정보와 함께 타임아웃의 검출에 사용하는 시간을 수리하고,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리하고 나서, 또는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서 메시지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반환치로서 반환하지 않고서, 상기 메시지정보에 기인하는 처리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수리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원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060024897A 2005-03-18 2006-03-17 단말장치 KR100767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80266A JP3920892B2 (ja) 2005-03-18 2005-03-18 端末装置
JPJP-P-2005-00080266 2005-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88A KR20060101388A (ko) 2006-09-22
KR100767986B1 true KR100767986B1 (ko) 2007-10-18

Family

ID=3659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897A KR100767986B1 (ko) 2005-03-18 2006-03-17 단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5029B2 (ko)
EP (1) EP1710759B1 (ko)
JP (1) JP3920892B2 (ko)
KR (1) KR100767986B1 (ko)
CN (1) CN100405762C (ko)
DE (1) DE60200600096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3592B1 (en) * 2013-07-15 2015-01-27 Eset, Spol. S.R.O. Methods of detection of software exploitation
CN105337941B (zh) 2014-08-04 2019-01-1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设备标识提供方法及装置
CN105574041B (zh) 2014-10-16 2020-07-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数据重组方法和装置
CN105630345B (zh) 2014-11-06 2019-02-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控制显示方向的方法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377A (ko) * 1998-12-07 2000-07-05 이계철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접근 가능한 연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632A (en) * 1992-12-02 1995-08-08 Scientific-Atlanta, Inc. Reprogrammable subscriber terminal
JP4196310B2 (ja) * 1998-10-26 2008-12-1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のメッセージ制御方法
US6704772B1 (en) * 1999-09-20 2004-03-09 Microsoft Corporation Thread based email
SE518840C2 (sv) 2000-04-19 2002-11-26 Microsoft Corp Förfarande för tillhandahållande av åtkomst till data
JP3767405B2 (ja) 2001-04-09 2006-04-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制御方法、記録媒体対応装置
US8213322B2 (en) 2001-09-24 2012-07-03 Topside Research, Llc Dynamically distributed weighted fair queuing
JP2003323367A (ja) 2002-04-26 2003-11-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遠隔端末装置、通信管理プログラム、端末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377A (ko) * 1998-12-07 2000-07-05 이계철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접근 가능한 연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88A (ko) 2006-09-22
DE602006000968T2 (de) 2009-02-05
US7975029B2 (en) 2011-07-05
EP1710759A1 (en) 2006-10-11
JP3920892B2 (ja) 2007-05-30
DE602006000968D1 (de) 2008-06-05
EP1710759B1 (en) 2008-04-23
JP2006260451A (ja) 2006-09-28
CN100405762C (zh) 2008-07-23
CN1835442A (zh) 2006-09-20
US20060210078A1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19199B (zh) 一种网络自动测试及故障定位方法及装置
KR100767986B1 (ko) 단말장치
CN111865583B (zh) 隧道协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287093A (zh) 移动终端、数据接口测试方法及存储介质
Shu et al. Detecting communication protocol security flaws by formal fuzz testing and machine learning
CN108846085B (zh) 一种id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CN103593239B (zh) Linux系统中应用进程命令处理的方法及装置
CN109788065B (zh) 一种基于北斗系统的离线消息传输方法及离线消息传输装置
CN115357513B (zh) 程序模糊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791514B (zh) 一种应用启动监测方法及装置
CN116306479A (zh) 基于uvm的以太网phy通用验证平台及验证方法
CN114968822A (zh) 接口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585844B (zh) 基于验证码的测试方法、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Chung et al. Testing of concurrent programs after specification changes
CN112737872B (zh) 一种arinc664p7端系统跨网测试系统和方法
CN11006185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通信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525935B (zh) 多安全芯片的并发数据运算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648298A (zh) 消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6720818B (zh) 基于区块链的仓储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
CN111787007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41556A (zh) 控制电路的中断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060044771A (ko)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에서 메모리 영역을 동기화하는방법, 및 수신 장치
JP4540570B2 (ja) データ処理モジュール、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送信候補メッセージのサーチ方法
CN114980103A (zh) 基于区块链的主机行为监测方法和装置
CN114500323A (zh) 通信状态的检测方法、主站、从站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