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796B1 -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796B1
KR100767796B1 KR1020060114452A KR20060114452A KR100767796B1 KR 100767796 B1 KR100767796 B1 KR 100767796B1 KR 1020060114452 A KR1020060114452 A KR 1020060114452A KR 20060114452 A KR20060114452 A KR 20060114452A KR 100767796 B1 KR100767796 B1 KR 10076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pace portion
space
absorbing function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덕
Original Assignee
김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덕 filed Critical 김규덕
Priority to KR102006011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과 갑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솔 중 최하층을 이루며 지면에 닿게 되는 아웃솔은,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제1공간부와;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제2공간부;가 교대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접촉부분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변형되면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흡수하도록 하여 발의 부상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신발 충격 체중 부상 착용

Description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shoe with shock absorbing function}
도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평면도
도2 : 아웃솔에 미드솔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3 : 아웃솔에 미드솔이 결합된 상태의 또 다른 단면도
도4 : 신발의 단면도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에 상하로 홈을 형성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걷거나 뛸 경우 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 발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다. 상기 충격은 발 자체의 부상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무릎의 관절에 손상을 주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뇌에도 충격이 전해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신발의 뒷굽에 탄성을 가진 용수철이나 고무 등을 넣어 충격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신발의 소재를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는 발포재 등의 특 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신발의 내부에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발의 충격을 상기 공기주머니가 변형되면서 흡수하도록 한 신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구조가 복잡하거나 소재의 가격이 비싸 신발의 가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한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을 제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솔과 갑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솔 중 최하층을 이루며 지면에 닿게 되는 아웃솔은,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제1공간부와;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제2공간부;가 교대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접촉부분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변형되면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발은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미드솔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삼각뿔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내부 공간이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공간부의 반대측면에는 돌기가 부설되어 신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발은 미드솔과 인솔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지면에 닿을 때 제1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내부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평면도이며 도2는 아웃솔에 미드솔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3은 아웃솔에 미드솔이 결합된 상태의 또 다른 단면도다. 그리고 도4는 신발전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은 아웃솔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웃솔(10)에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공간부(12)와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공간부(14)가 교대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는 정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이는 상기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를 교대로 배치하여 하나의 제1공간부(12)를 제2공간부(14)가 둘러싸게 되며 반대로 하나의 제2공간부(14)를 다수개의 제1공간부(12)가 둘러 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 공간은 끝이 절단된 삼각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는 상측면에 평평한 부분을 형성하여 후에 미드솔(20) 등과 결합시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를 뾰족하게 형성하는 경우 미드솔(20)과 접촉되는 부분에 접촉면이 좁아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미드솔(20)을 전측은 얇게 형성하고 후측은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아웃솔(10)의 상측을 덮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후측을 두껍게 하는 것은 발의 뒷꿈치를 발의 전측보다 높게 하여 발이 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미드솔(2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통공(도시안됨)을 다수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솔에도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공간부와 통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도4와 같이 상기 미드솔의 상측에 미드솔을 갑피(50)와 결합하는 텍션(3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텍션(30)에도 통공을 형성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미드솔(20)과 인솔(40)에 통공을 형성하게 되면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 아웃솔의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제1공간부의 내부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공간부 내에 있던 공기가 미드솔(20)과 텍션(30) 및 인솔(40)의 통공을 통해 신발 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신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신발내부에서 하측의 제1공간부 내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신발내부에서 공기가 흘러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은 신발의 전측에만 형성하여 신발의 전측의 공기가 발목부분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여 신발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하 도록 하여 보다 쾌적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드솔과 텍션 및 인솔에 통공을 형성하여 제1공간부내의 공기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미드솔이 상기 제1공간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제1공간부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공간부(12)의 반대측면(아웃솔의 하측면)에는 돌기(16)가 부설되어 보행시 신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의 형태를 삼각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삼각형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사각형이나 육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공간의 형태를 삼각뿔 형태대신 삼각기둥, 사각기둥이나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신발은 먼저 아웃솔(10)을 제작하기 위해 고무 생지를 금형에 넣어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금형은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공간 내부에 연속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아웃솔(10)은 상측에 미드솔(20)을 결합한 후 가죽이나 인조피혁으로 이루어진 갑피(50)를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신발의 형태를 이루도록한다. 이후 신발의 내부에 인솔(40)을 삽입하고 신발끈을 꿰어 신발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상기 착용자의 발이 지면에 닿아 체중이 신발에 가해지면 지면에 닿아있는 부분의 상기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가 변형되어 찌그러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착용자가 지면에서 발을 떼면 상기 변형되었던 제1공간부(12)와 제2공간부(14)가 원상태로 회복하여 다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형과 복원이 반복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의 변형에 따라 제1공간부내의 공기가 신발내부를 순환하게 되어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공간부 내에 향기를 가지는 물질을 부설하게 되면 발냄새를 방지할 수도 있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웃솔에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연속으로 형성하여 보행시 체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금형에서 한번에 성형하여 아웃솔을 제작하게 되므로 제조가 간편하고 비용 증가가 없어 경제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솔과 갑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솔 중 최하층을 이루며 지면에 닿게 되는 아웃솔은,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제1공간부와;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제2공간부;가 교대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접촉부분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변형되면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미드솔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내부 공간이 삼각뿔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내부 공간이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 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제1공간부의 반대측면에는 돌기가 부설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미드솔과 인솔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지면에 닿을 때 제1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내부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KR1020060114452A 2006-11-20 2006-11-20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KR10076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52A KR100767796B1 (ko) 2006-11-20 2006-11-20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52A KR100767796B1 (ko) 2006-11-20 2006-11-20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796B1 true KR100767796B1 (ko) 2007-10-17

Family

ID=3881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452A KR100767796B1 (ko) 2006-11-20 2006-11-20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7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3410A (ko) * 1993-04-03 1994-11-17 임성조 완충성과 통풍성이 양호한 개량신발
KR19980076776A (ko) * 1997-04-08 1998-11-16 임성조 2중의 공간부를 갖는 신발용 쿠션튜브
KR200219712Y1 (ko) 2000-10-17 2001-04-02 조현준 신발깔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3410A (ko) * 1993-04-03 1994-11-17 임성조 완충성과 통풍성이 양호한 개량신발
KR19980076776A (ko) * 1997-04-08 1998-11-16 임성조 2중의 공간부를 갖는 신발용 쿠션튜브
KR200219712Y1 (ko) 2000-10-17 2001-04-02 조현준 신발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9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perforated midsole
CN103384481B (zh) 具有并入板和室的鞋底结构的鞋类物品
US20160037858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With Arcuate Underside Cavity
US20120005920A1 (en) Shoe sole structure and assembly
US20140144045A1 (en) Transparent shoe sole associated with internal gel with common shock absorbers ovals to cushion the impact when walking
CN201278864Y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WO2004098334A3 (en) Footwear construction
JP2008523882A (ja) 煽り運動健康靴に装着されるミッドソール及びその製法
KR101514680B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US10383391B2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and shoe to which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applied
KR100518307B1 (ko) 신발
US20140109444A1 (en) Shoe outsole
KR20070061600A (ko) 터널부가 형성된 롤링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100767796B1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130130270A (ko) 쿠션부재가 구성된 신발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7364B1 (ko) 위치 고정 가능한 완충 깔창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20100051210A (ko) 에어백 하부소프트 감지체가 형성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CN113260272A (zh)
KR200343131Y1 (ko) 발바닥지압용 신발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102001997B1 (ko)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