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675B1 -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675B1
KR100767675B1 KR1020050062687A KR20050062687A KR100767675B1 KR 100767675 B1 KR100767675 B1 KR 100767675B1 KR 1020050062687 A KR1020050062687 A KR 1020050062687A KR 20050062687 A KR20050062687 A KR 20050062687A KR 100767675 B1 KR100767675 B1 KR 10076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ota
information
channel
virtu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847A (ko
Inventor
염형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6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수신기(digital receiver)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software upgrade)에 관한 것으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SIP의 VCT(Virtual Channel Table) 테이블로부터 OTA 가상 채널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상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과정; 및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시스템에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더욱 빠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수신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VCT, descriptor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사상이 적용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너 20 : 복조기
30 : 역다중화기 40 : 오디오 디코더
50 : 비디오 디코더 60 : 시스템 메니저
70 : 데이터 베이스 80 : 디코더
90 : 채널 메니저 100 : 채널맵
110 : NVRAM 120 : 어플리케이션 메니저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시 복수 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수신기는 내부에 포함된 플래쉬(Flash) 메모리에 디지털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여 그 소프트웨어에 의해 디지털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수신기는 방송 송수신 규격이 아직 완벽하게 결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앞으로 새로운 기능이 더 추가되거나, 기존 양산 시스템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 또는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의 제공 목적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계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현대의 디지털 수신기는 종래의 TV에 비해 점점 더 많은 기능이 구현되고 있고, 소비자의 요구도 많아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어렵고, 제품 출시 후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 종래에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A/S 센터를 방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번거러움을 해결하기 위해 TV 방송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Over The Air, 이하 'OTA'라고 한다)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OTA에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구현 방법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검색하여 업그레이드를 준비하는 단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 이를 플레시 롬(Flash ROM)에 쓰는 단계, 그리고 시스템을 재시작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시스템에 적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 상기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전용 채널이 포함된 물리적(physical) 채널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하나의 가상 채널을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전용 채널로 하여 다운로드 하는 방식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만약 다운로드 도중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가 있다면 다시 받아야 하는 등 많은 기술적인 약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시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SIP의 VCT(Virtual Channel Table) 테이블로부터 OTA 가상 채널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상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과정; 및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시스템에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OTA 가상 채널 정보는 OTA 가상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각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소프트웨어의 전체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는 각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따라 합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TA 가상 채널 정보는 major_channel_number, minor_channel_number, carrier_frequency, program_number 및 source_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드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OTA 가상 채널에 관한 정보는 VCT 내 디스크립터(descriptor) 형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수신기의 일 예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SIP의 VCT(Virtual Channel Table) 테이블로부터 OTA 가상 채널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디코더;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합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메니저; 및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기록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메니저는 상기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로부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따라 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라 본 발명에서 출원인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 용어도 임의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부에서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에 대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단계의 좀 더 명확한 설명이 필요한 곳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은, 먼저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가상 채널이 무엇인지 구한다(S10).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디지털 스트림은 아날로그와 달리 여러 개의 가상 채널을 두어 각각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물리적 채널 안에서도 디지털 스트림의 PID(packet identifier)로 구분되는 여러 개의 가상 채널을 갖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KBS 방송국의 물리적 채널 번호가 9번인 경우 9-1, 9-2,… 등의 가상 채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수신기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업그레이드 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를 여러 개로 나누어 각 가상 채널에 실어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가상 채널이 몇 번인지 본 발명의 첫 번째 단계에서 구하게 된다.
상기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가상 채널을 구하는 좀 더 자세한 방법 및 해당 채널을 통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과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VCT는 북미향 디지털 수신기의 가상 채널 테이블 비트 스트림 신택스 중 필요한 부분만을 나타낸 것으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가 포함하는 복수 개의 테이블 중 하나이다.
참고로, 상기 PSIP은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거나 채널 설정 등을 할 수 있도록 ATSC(ada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규정한 프로토콜이다.
상기 VCT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식별자(transport stream ID), 메이저/마이너 채널 번호(major/minor channel number), 숏 채널 이름(short channel name),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 등의 정보가 담겨있고, 추가 정보는 상기 VCT의 디스크립터에 포함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VCT는 '0xC8'의 테이블 식별자 필드인 "table_id"를 가지며, 상기 가상 채널 테이블에 대한 상기 PID의 값은 "0x1FFB"이다.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VCT에는 버전 번호 필드, 섹션 번호 필드, 섹션 채널 번호 필드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루프 "for"의 반복문 내에 있는 숏 채널 이름 필드인 상기 "short_name"은 가상 채널의 이름을 나타내고, 메이저 채널 번호 필드인 "major_channel_number"는 상기 반복문 안에서 정의되는 가상 채널들 중 메이저 채널 번호를 나타낸다.
각 가상 채널 번호는 메이저와 마이너 채널 번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어저 및 마이너 채널 번호는 해당 가상 채널에 대해 사용자 참조 번호로 작용한다.
한편, 프로그램 번호 필드인 "program_number"는 MPEG-2 PAT(program association table)와 PMT(program map table)가 정의되어 있는 가상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AT와 PMT 안에 있는 프로그램 번호와 일치한다.
상기 PAT는 각 프로그램 번호마다 그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들을 기술하는바, 상기 PMT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의 PID를 지시한다. 상기 PMT는 프로그램 식별 번호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비트열을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에 관한 리스트와 그 부속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소스 인식자 필드인 "source_id"는 해당 가상 채널에 연결된 프로그램 소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소스란 영상,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음향과 같은 하나의 특정 소스를 말한다. 상기 "source_id"의 값은 상기 VCT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내에서 유일한 값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service_type" 필드는 해당 가상 채널에 전송되는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바, 특히 상기 "service_type" 필드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시그날링(signalling) 정보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service_type" 필드의 값이 0x01인 경우 해당 가상 채널은 아날로그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0x02인 경우 ATSC 디지털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0x03인 경우는 ATSC 오디오 방송을 의미하는바 ATSC 디지털 수신기의 표준을 따르는 영상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및 데이터 컴포넌트(component)임을 의미하며, 0x04인 경우는 ATSC 데이터 방송 서비스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service_type" 필드의 값이 0x05인 경우에는 해당 가상 채널이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서비스 즉, OTA 채널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신기는 VCT에 포함된 각 가상 채널의 정보 중 상기 "service_type" 필드가 0x05인 경우, 해당 채널이 OTA 채널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전송이 가능한 가상 채널을 알아낸 이후에는, 상기 알아낸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게 된다(S20).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전송이 가능한 OTA 가상 채널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채널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게 된다.
즉, VCT를 통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OTA 가상 채널의 개수와 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OTA 가상 채널을 섹션 필터를 걸어 데이터의 빠른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OTA 채널에 관한 정보는 PSIP 내 복수 개의 테이블 중 VCT에 포함하는 것을, 또한 상기 VCT 내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추가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9-5번과 9-6번 가상 채널이 OTA 가상 채널인 경우, VCT 내 OTA 채널에 관한 정보에는 OTA 데이터가 몇 개의 가상 채널을 통해서 들어오는지와, 각 이미지의 크기 및 ID 등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해당 VCT의 "descriptor" 필드는 디스크립터를 구분하는 태그(tag) 정보가 포함된 "descriptor_tag" 필드와, 해당 descriptor의 크기를 나타내는 "descriptor_length" 필드와, OTA 가상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_of_OTA_channels" 필드와, 각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즉, 각 OTA 가상 채널의 ID(0부터, 독립적으로)를 나타낸 "ota_ID" 필드와, OTA 데이터의 전체 크기를 나타낸 "Ota_data_size" 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는 해당 VCT의 "descriptor"를 파싱(parsing)함으로써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는 OTA 가상 채널 및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OTA 가상 채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OTA 가상 채널 전체 또는 미리 설정해 놓은 개수만큼의 가상 채널을 통해 상기 OTA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해야 할 전체 OTA 데이터가 10메가(Mega)이고, 다운로드 가능한 OTA 가상 채널 개수가 2개이면 5메가씩 나누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삭제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가상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 받는 것보다 N개의 가상 채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속도는 N배 빨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은 이후에는,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하나의 OTA 데이터로 합친다(S30). 상기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OTA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정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합하고 이를 내부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고(S40), 상기 기록 후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시스템에 적용한다(S50,S60).
이때, 물론 상기 시스템의 재부팅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음에 이루어질 수 있다(S70).
한편,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사상이 적용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는,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채널의 신호를 튜닝하여 출력하는 튜너(tuner)(10)와, 상기 튜너(10)를 통해 선택된 채널을 복조하는 복조기(demodulator)(20)와, 상기 복조된 신호 내 오디오, 비디오 및 PSIP 테이블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demux)(30)와, 상기 역다중화된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40)와, 상기 역다중화된 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50)와,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 DSM-CC(digital storage media-command and control) 테이블을 디코딩하는 디코더(80)와, 상기 디코딩된 결과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70)와, 채널 관리를 위한 채널 메니저(channel manager)(90)와, 채널 정보가 기록된 채널 맵(channel map)(10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메니저(application manager)(120)와, 상기 채널 맵 정보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110)과, 전원이 켜졌을 때 부팅 과정과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의 메모리에 기록하는 과정 등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메니저(system manager)(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동작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메니저(120)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채널 선택 키에 따라 채널 메니저(90)는 채널 맵(100)에 저장된 채널 정 보 중 일치하는 채널의 주파수를 찾아낸다.
상기 채널 메니저(90)는 상기 찾아낸 채널 주파수에 따라 튜너(10)를 세팅하여 선택된 채널이 튜닝되도록 한다. 상기 튜너(10)를 통해 튜닝된 신호는 복조기(20)를 통해 복조되어 역다중화부(30)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튜너(10)를 통해 선택 채널에 대한 튜닝이 이루어지면 튜닝이 이루어졌다는 신호를 채널 메니저(90)로 전송하고, 상기 채널 메니저(90)는 상기 튜닝된 채널 정보를 디코더(80)로 전송하여 VCT를 찾기 위한 베이스 PID(base PID; 0x1FFB)를 역다중화부(30)에 세팅(setting)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0)는 상기 복조기(20)를 통해 복조된 신호에서 상기 베이스 PID 값을 이용하여 VCT를 찾아 역다중화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0)를 통해 역다중화된 VCT는 PSIP 디코더(80)에서 섹션(section) 단위로 디코딩되어 데이터 베이스(70)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70)에 저장된 채널 정보는 채널 메니저(90)로 전송된다.
따라서, 채널 메니저(90)는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선택 채널의 A/V PID 및 데이터 패킷의 PID를 상기 역다중화부(30)로 전송하고, 상기 역다중화부(30)에서는 상기 PID 값에 따라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40,50)로 전송하여 디코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OTA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상기 튜너(10)를 통해 OTA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가상 채널이 튜닝되면 해당 채널이 복조기(20) 및 역다중화부(30)를 통해 복조 및 역다중화된다.
이때, 디코더(80)에서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정보가 포함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서비스 타입(S/W download service type)이 '0x05'인 패킷을 찾아, 해당 데이터의 가상 채널의 기본 스트림 타입이 '0x95' 혹은 '0x0B'인 DSM-CC 데이터 캐로셀(data carousel)을 파싱하게 된다.
상기 파싱 과정에서, "service_type"이 Ox05인 패킷의 "descriptor" 정보를 확인하게 되고,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포함된 "descriptor" 정보를 통해 OTA 데이터의 전체 크기 및 다운로드 가능한 OTA 가상 채널의 개수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된 정보를 통해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을 이용하여 OTA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받게 되며(PSI, PSIP, DSM-CC 디코더(80)에 해당 패킷의 PID 값을 걸어줌으로써), 상기 수신된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베이스(70)에 임시 저장된다.
이러한 과정이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과정이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시스템 메니저(60)를 통해 상기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합쳐져 플래시 롬(Flash ROM) 또는 NVRAM(110) 등의 메모리에 옮겨 기록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에 옮겨 기록된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의 재부팅시 로딩되어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더욱 빠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SIP의 VCT(Virtual Channel Table) 테이블로부터 OTA 가상 채널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상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과정; 및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시스템에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TA 가상 채널 정보는 OTA 가상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각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소프트웨어의 전체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는 각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따라 합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TA 가상 채널 정보는 major_channel_number, minor_channel_number, carrier_frequency, program_number 및 source_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드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TA 가상 채널 정보는 상기 VCT 테이블 내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6.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SIP의 VCT(Virtual Channel Table) 테이블로부터 OTA 가상 채널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디코더;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합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메니저; 및
    상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기록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OTA 가상 채널 정보는 OTA 가상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각 OTA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소프트웨어의 전체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메니저는 상기 복수 개의 OTA 가상 채널로부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따라 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KR1020050062687A 2005-07-12 2005-07-12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10076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87A KR100767675B1 (ko) 2005-07-12 2005-07-12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87A KR100767675B1 (ko) 2005-07-12 2005-07-12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47A KR20070008847A (ko) 2007-01-18
KR100767675B1 true KR100767675B1 (ko) 2007-10-18

Family

ID=3801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687A KR100767675B1 (ko) 2005-07-12 2005-07-12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3537A1 (en) * 2017-11-27 2019-05-30 Tp Vision Holding B.V. Over-the-air software distribution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690A (ko) * 2003-03-24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위성 방송에서의 ota를 이용한 자동 탐색테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자동 탐색 테이블갱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690A (ko) * 2003-03-24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위성 방송에서의 ota를 이용한 자동 탐색테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자동 탐색 테이블갱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47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856B1 (ko) Dvb-h 시스템에서 esg 업데이트 정보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US200702042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data generating unit, data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CN101667208A (zh) 数字电视接收机及其节目搜索、节目切换方法
US7647608B2 (en) Digital broadcast signal,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WO20080695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executing function of application appropriate to broadcast-receiving device
KR100767675B1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US84846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regional rating table
KR100841317B1 (ko) 텔레비젼의 시스템 구동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4522376A5 (ko)
KR101029813B1 (ko)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JP5717547B2 (ja) 放送サービスの受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698276B1 (ko)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100698186B1 (ko)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10070027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서의 비디오 수신속도개선 장치 및 그 방법
KR101285380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55848B1 (ko)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20110022016A (ko)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JP5663407B2 (ja) 放送サービスの送信装置
KR100782647B1 (ko) 방송수신장치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101527031B1 (ko)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JP2008236778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2014241526A (ja) 放送受信機及び電波受信試験プログラム
JP2000183837A (ja) 信号処理装置
KR10156760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예약녹화 방법
KR2007008328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