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814B1 - 클린룸 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린룸 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814B1
KR100766814B1 KR1020017000928A KR20017000928A KR100766814B1 KR 100766814 B1 KR100766814 B1 KR 100766814B1 KR 1020017000928 A KR1020017000928 A KR 1020017000928A KR 20017000928 A KR20017000928 A KR 20017000928A KR 100766814 B1 KR100766814 B1 KR 10076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block
baton
wall
stu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020A (ko
Inventor
케이테스데니스오.
크로포드로저케이.
Original Assignee
크린팩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팩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크린팩 인터내셔날
Publication of KR2001007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8Partitions for clean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클린룸 벽 시스템의 구조 및 리모델링은 유니버설 스터드 설계로 용이해진다. 다양한 벽 구성은 동일 스터드(20)와 함께 조립될 수 있고, 수직으로 방향잡힌 스터드를 결합하기 위해, 그리고 축선상 정렬된 스터드(20)을 함께 연결하기 위해 유용한 커넥터 블록(100)도 제공될 수 있다. 코너 스터드(320)는 벽 패널(410)의 최상부 트랙(402)을 종래의 천정 격자에 연결하기 위한 편형 트랙도 제공되어 벽(410)에 대하여 격자의 편향을 가능하게 하고 벽 패널(410) 바로 위에 천정부에 용이하게 접근한다.
Figure 112001001453840-pct00001
스터드, 배튼 시스템, 플랜지, 커넥터 블록 조립체, 돌출부,파스너 수단

Description

클린룸 벽 시스템{CLEANROOM WALL SYSTEM}
본 발명은 특히 클린룸에 아주 적합한 벽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구성과 조립에 관한 것이다.
클린룸은 거기서 행해지는 정밀한 작업을 방해하는 오염물질이 없는 룸을 유지하게끔 구성되고 유지되는 산업용 공간이다. 예를 들어, 클린룸은 소정의 전자 및 컴퓨터 구성요소를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클린룸 벽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벽 패널이 체결되는 스터드(stud)를 포함한다. 수직 스터드 및 상호연결된 수평 스터드의 골조는 벽 시스템 전체에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벽 패널은 여러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은 명목상의 벽 두께와 동일하고 그리고 패널이 체결되는 스터드의 폭을 초과하거나 폭과 동등한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재(이하 두꺼운 패널이라 칭함)일 수 있다. 변경적으로, 한 쌍의 얇고, 이격된 패널(명목상의 벽 두께에 맞추도록 이격되어 있고 "이중 벽"이라 칭함)이 스터드에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의 얇은 벽 패널이 스터드의 한 쪽에 체결되고, 스터드의 반대 쪽은 노출된다. 이런 "단일 측벽" 배열에 있어서, 상기의 배열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명목상의 벽 두께를 제공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최근 들어 클린룸의 사용이 아주 증가했다. 그리고, 현존하는 클린룸은 클린룸 내부 또는 근처의 생산 시스템에서 일어난 변화를 수용하도록 재배열 또는 리모델링을 종종 요구한다. 구성의 결과로서 벽 시스템의 구성과 조립에 관련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클린룸 벽 시스템 구성요소를 통해 이러한 구성 및 리모델링 요구는 아주 잘 충족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구성으로 인해, 다양한 벽 패널 배열에 대하여 스터드의 사용을 허용하는 스터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클린룸 벽 시스템을 제공한다.
스터드는 용이하게 그리고 확고하게 스터드와 정렬되고 벽 패널을 스터드에 체결하도록 기능하는 배튼(batten)을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커넥터 블록이 또한 제공된다. 커넥터 블록은 수평으로 방향잡힌 스터드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형상이고 2개의 스터드 사이의 견고한 체결을 보장하는 형식으로 수직 스터드와의 연결을 위한 형상이다. 그리고 한 쌍의 커넥터 블록은 예컨대 2부분의 수직으로 방향잡힌 스터드와 같은, 2개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스터드를 함께 맞대어 연결하기 위해서 채용된다. 커넥터 블록의 맞대어 연결하는 양상은 천정과 플로어 사이에서의 벽의 단지 일부의 벽만이 변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벽 시스템의 단순한 구성과 리모델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니버설 벽 스터드에서의 사용을 위해 단순히 설계된 코너 스터드가 또한 제공된다.
그리고, 벽 패널의 최상부 트랙을 종래의 천정 격자에 연결하여 벽 패널에 대한 격자의 편향을 허용하고 벽 패널 위의 천정 부분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편향 트랙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벽 시스템의 스터드 구성요소의 끝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벽 시스템의 배튼 구성요소의 끝면도,
도 3은 수평 스터드 및 수직 스터드의 연결부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조립된 구성요소의 단면도,
도 4는 2개의 수평 스터드 및 수직 스터드의 연결부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조립된 구성요소의 단면도,
도 5는 2개의 수평 스터드 및 수직 스터드의 연결부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조립된 구성요소의 분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 블록이 어떻게 스터드의 단부에 연결되고 제 1 스터드에 수직으로 방향잡힌 또 다른 스터드와의 연결을 위해 어떻게 준비되는지를 보여주는 일련의 도면,
도 9 및 도 10은 스터드를 함께 연결하고 물품을 배튼에 고정하는데 유용한 채널 너트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하나의 스터드가 어떻게 제 1 스터드에 수직으로 방향잡힌 또 다른 스터드와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일련의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함께 맞대어 연결되는 한 쌍의 스터드의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대해서 90도 회전되고 동일한 연결하는 기술을 도시하는 또 다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블록의 한 쪽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커넥터 블록의 반대 쪽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벽 시스템의 스터드 구성요소의 끝면도,
도 19는 도 18의 변경 스터드 실시예와 함께 이용하기 위해 구성된 커넥터 블록의 한 쪽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벽 시스템의 코너 스터드 구성요소의 끝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벽 시스템의 코너 스터드 구성요소의 또 다른 끝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벽 시스템의 최상부 및 바닥 트랙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벽 시스템의 2개의 주 편향 트랙 구성요소의 끝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벽 시스템의 조립되고 연결된 편향 트랙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끝면도, 그리고
도 25는 편향 트랙 구성요소와 연결하는데 유용한 배튼의 끝면도.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스터드(2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주 확대된 끝면도인 도 1에 도시된다. 스터드(20)는 압출가공된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스터드는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도면에서 치수(30)로 나타나는 스터드의 폭이 넓은 쪽과 상대적으로 좁은 쪽(32)을 형성하는 크기의 외벽(22, 24, 26, 28)을 포함한다.
슬롯(34)은 스터드의 길이를 따라 뻗어서 스터드의 4개의 외벽 각각을 중단시킨다. 각각의 슬롯(34) 바로 안쪽의, 외벽과 연속적인 내벽(36,38)은 챔버(40)를 형성하는 형상이다. 대향하는 넓은 쪽의 벽(22,26)에 있는 슬롯(34)과 연속적인 챔버(40)는 스터드의 중심 쪽으로 테이퍼져 있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벽(36,38)은 대향하는 표면(42)이 나사식 파스너를 수용하도록 주름져 있는 2개의 평행한 부분을 형성한다. 내벽(36,38)은 스터드의 중심에서 일반적으로 스터드의 넓은 쪽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웨브(37)에 의해 연결된다.
내벽(36)중 하나는 외벽(28)을 향해서 챔버(40) 안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확장부(44)를 가지고 있다. 이 확장부는 방금 설명된 표면(42)과 같은 주름진 안쪽으로 대향하는 표면(43)을 가지고 있다. 나머지 좁은 쪽 벽(24)과 결합된 챔버는 주름진 표면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각각의 슬롯(34)을 형성하는 외벽 바로 안에서, 스터드 벽은 어깨부(46)를 형성하는 형상이다. 각각의 챔버에 대해서, 한 쌍의 이격되고 평행한 어깨부가 존재한다. 어깨부 쌍은 슬롯(34)의 폭보다 약간 더 큰 거리로 이격되고,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채널 너트가 지지되는 표면을 제공한다.
스터드(20)의 각각의 코너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벽은 커넥터 블록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박판 나사를 수용하는 거의 폐쇄된 구멍을 형성하는 형상이다.
외벽에 있는 각각의 슬롯(34)은 벽보다 약간 얇은 한 쌍의 안쪽으로 돌출한 리브(50)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외벽은 각각의 슬롯을 정렬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서, 이에 의하여 인접한 챔버가 사용되지 않을 때 커버(82)를 수용한다(도 4 참조). 커버(82)는 커버(82)의 외부 표면이 스터드 벽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슬롯에 착좌한다.
한 쌍의 리지(52)는 주름진 표면(42,43)을 포함하는 3개의 챔버(40) 각각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기다란 리지(52)는 슬롯(34)의 양 쪽에서 스터드의 길이에 평행하게(즉, 도 1의 평면에 수직으로) 뻗어 있다. 리지(52)는 벽 패널을 스터드에 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터드(20)의 외벽 상에 지지되는 배튼(60)(도 2 참조)에 형성된 대응하는 형상인 홈(66)과 짝을 이룬다. 홈을 지지하는 스터드와 리지를 지지하는 배튼으로 이런 짝을 이루는 것이 발생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기 하는 바와 같이 리지(52)는 커넥터 블록(100)(도 3 참조)에 형성된 홈과 또한 짝을 이룬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배튼(60)은 일반적으로 U-형상의 베이스(62)를 가지는 얇은 벽의, 압출가공된 알루미늄 부재이다. 베이스의 아래면(64)은 스터드의 외벽(22,26,28)의 외부 표면에 얹혀 있고 상기의 홈(66)을 포함한다. 홈(66)은 스터드 상의 리지(52)와 짝을 이루며 이에 의하여 배튼이 스터드에 부착될 때 스터드에 배튼의 올바른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배튼(60)의 베이스(62)가 스터드(20)의 외벽 상에 얹혀 있으므로, 스터드와 배튼 조합의 전체적인 폭은 그 구성요소 둘의 폭의 합을 나타낸다.
배튼(60)은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68)를 또한 포함한다. 그 결과, 배튼의 플랜지의 아래면(72)과 배튼이 부착되는 스터드 외벽 사이에는 갭(70)(도 3 참조)이 형성된다. 명백한 바와 같이, 벽 패널 또는 판 유리가 이 갭에 끼워질 수 있다.
구멍(78)이 배튼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배튼의 베이스를 통해서 형성된다. 구멍(78)은 나사(80)의 샤프트를 수용한다(도 3 참조). 나사(80)는 배튼을 스터드에 체결하기 위해 주름진 표면(42,43) 사이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배튼의 중심에서, 플랜지(68) 사이에, 스터드 슬롯(34)의 리브(50)와 짝을 이루는 한 쌍의 안쪽으로 돌출한 리브(76)를 가지는 슬롯(74)이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의 커버(82) 중 하나가 배튼 슬롯(74)으로 끼워지고 이것을 커버한다(도 3 참조).
베이스(62)의 평행한 벽은 한 쌍의 어깨부(77)를 형성한다. 어깨부(77)는 슬롯(74)의 폭보다 조금 더 넓게 이격되고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채널 너트가 지지되는 표면을 제공한다.
몇가지 측면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스터드 구성요소는 명확한 예시를 위해 다소 단순화되어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스터드 구성의 상세한 부분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 1 및 도 18을 참조해야 한다.
도 3은 적어도 3개의 다른 벽 구성중 하나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유니버설 스터드(20)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2개의 배튼이 스터드(20)의 넓은 쪽(30)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벽(22,26) 상의 스터드에 장착되도록 조립된다. 그 결과, 조합된 배튼과 스터드에 체결된 벽의 전체적인 두께(도 3의 최상부와 바닥 사이에서 측정될 때)는 스터드의 좁은 쪽(32)의 폭과 2개의 갭(70)의 폭의 합이다. 그 합은 도 3에서 치수"W"로 나타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합은 2인치(5.08cm)의 명목상의 벽 두께이다.
도 3의 좌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두꺼운 벽 패널(84)은 배튼의 플랜지(68)에 끼워져서 그 사이에 유지된다. 이 패널은 스터드(20)와 접한다. 도 3의 우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 패널(84)은 수평으로 연결된 스터드(120) 상에 얹혀 있을 수 있다. 수평의 스터드(120)는 상기의 스터드(20)와 동일한 단면을 가진다.
도 3의 우측은 하나의 배열을 도시하는데 이에 의하여 한 쌍의 얇고 이격된 벽 패널(86)(상기의 "이중 측벽" 배열)이 배튼 플랜지(68)와 스터드의 외벽(22,26) 사이에 존재하는 각각의 갭(70)에 유지된다. 커넥터 블록(100)과 수평 스터드(120)는, 도 3에 도시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튼의 플랜지(68)의 가장 바깥쪽 에지들 사이(즉, 도 3에서 수평으로 측정하여)의 거리는 도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약 3인치라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더 짧은 플랜지의 배튼이 채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 사이에 벽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적절한 확장부를 갖는다면, 플랜지 에지 대 에지 거리가 2인치라도 충분하다.
도 3과 비교했을 때, 도 4는 직사각형의 스터드(20)가 90도 회전되어 또 다른 벽 패널 배열을 -동일한 스터드 설계를 사용하여- 수용하는 것을 도시되는데, 이러한 것은 스터드의 보편적인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도 4는 스터드의 좁은 쪽(32)을 형성하는 스터드의 벽(28)에 장착되는 배튼(60)을 도시한다. (채널 너트(83)가 스터드와 배튼에 어떻게 끼워지는 지를 도시하기 위해, 배튼을 스터드에 체결하는 파스너(8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스터드(20,120)의 단지 한 쪽만이, 예컨대 두께가 0.25인치의 얇은 타입의 벽패널(86)로 덮여 있다. 그 결과, 벽 구성이 상기의 단일 벽 배열을 요구하더라도 명목상의 벽 두께(여기서는 2인치)는 유지된다.
적어도 3개의 다른 벽 배열을 조립하는데 유니버설 스터드(20,120)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구성 및 취급이 아주 간단하게 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커넥터 블록(100)의 구성과 사용을 도시하는데 유용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커넥터 블록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고, 이 커넥터 블록은 수평으로 방향잡힌 스터드(120)의 단부 상에 장착하기 위한 형상이고, 2개의 스터드 사이의 견고한 체결을 보장하는 식으로 수직 스터드와의 연결을 위한 형상이다.
커넥터 블록(100)은 스터드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을 가진 몸체(102; 도5, 16, 17)를 포함한다. 따라서, 커넥터 블록 몸체의 외부 표면은 스터드(120)의 외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한 쌍의 돌출부(104)는 블록 몸체의 한쪽 측으로부터 뻗어있다. 돌출부(104)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스터드의 챔버(40)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의 외부는 관련된 챔버의 슬롯(34)의 대향 에지들 사이에 끼워맞춤한다. 몸체(102)의 외부 표면 뿐만 아니라 돌출부(104)의 외부 표면은 스터드의 외부 표면과 동일 높이이다.
입방체 절결부(108)는 돌출부(104) 측에 대향하는 블록 몸체(102) 측의 각각의 코너에 만들어져 있다. 코너는 박판 나사(112)가 지나가는 구멍(109)을 가지고 있고, 나사의 헤드(110)는 절결부(108)에 들어간다(도 5). 이 나사는 상기한 바와 같이(도 1) 스터드에 만들어진 구멍(48)내로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나사(112)는 블록(100)을 스터드의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한다. 스터드 슬롯(34)에 끼워 맞춤하는 돌출부(104)가 연결을 더 강화시킨다. 스터드 단부에 대한 연결은 스터드의 단면적 보다 단면적이 더 크지 않은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기다란 오목부(106)는 돌출부와 반대쪽의 커넥터 몸체 측에 형성되어 있다(도 5). 이 블록 표면은 크기 및 방향설정에 있어 배튼(60)의 하부(64)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66)과 일치하는 한 쌍의 평행한 홈(166)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스터드가 조인트를 만들기 위해 함께 설치될 때, 커넥터 블록 홈(166)은 스터드(20)상에 리지(52)와 짝을 이루어서 스터트의 정확한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커넥터 블록(100)은 캡 나사(103)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이격된 구멍(129)을 포함한다(도 6). 블록이 박판 나사(112)에 의해 스터드에 체결되었을 때, 나사(130)의 샤프트는 블록 오목부(106)로부터 뻗어 있고, 나사의 헤드는 스터드에서 챔버(40)내에 끼워맞춤한다.
채널 너트(83; 평면도, 도 9 및 측면도, 도 10)는 각각의 나사(130; 도5)의 노출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것으로서, 수평 스터드(102) 및 커넥터 블록의 조립체는 수직 스터드(20)에 결합되도록 준비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시스템의 커넥터 블록(100)이 어떻게 스터드의 단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캡 나사(130)를 위치시키고 나사의 샤프트 상에 채널 너트(83)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또 하나의 스터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채널 너트(83)는 슬롯(34)을 통과하게 하는데 충분한 만큼 회전되어 스터드(20)의 챔버(40)내로 삽입된다. (도 5의 우측 절반에 있는 너트(83)는 이러한 회전 이전상태로 도시된다.) 일단 삽입하면, 너트는 이것이 어깨부(46)에 대항하여 지지될 때 까지 회전하여 나사(130)는 완전히 연결되도록 단단히 고정된다(도 4 및 13 참조). 도 11 내지 도 13은 제 1 스터드에 수직으로 방향설정된 또 다른 스터드(20)와 하나의 스터드(120)을 연결하는 방금 설명한 방법을 도시하는, 일련의 3개의 도면이다.
배튼(60)과 스터드(20)는 스터드를 연결하기 위해(방금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물품을 배튼에 연결하기 위해 단일 크기의 채널 너트(83)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물품을 배튼에 연결하는 것에 관하여, 도 4는 예컨대 선반을 벽 패널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나사식 파스너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배튼내로 끼워맞춤되는 채널 너트(83)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블록(100)에서 오목부(106)는 나사(130)상에 나사결합된 채널 너트(83)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이에 관하여, 너트는 오목부(106)내로 후퇴될 수 있어서 블록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후퇴된 위치는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퇴 가능한 특성은 조립시 클리어런스 필요요건을 감소시키고(연결되지 않은 빔 및 커넥터 블록 조립체가 연결된 빔 및 커넥터 블록 조립체 보다 길지 않기 때문임) 따라서 예컨대, 수평 스터드를 수직 스터드에 결합하기 전에 두 개의 고정된 수직 스터드들 사이의 위치로 수평 스터드의 이동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넥터 블록은 수직으로 방향잡힌 스터드의 두 부품 같은 두 개의 정렬된 스터드와 함께 연결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커넥터 블록의 연결 양상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천정 및 플로어 사이의 벽 부분만이 변화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벽 시스템을 간단하게 리모델링 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은 상기한 방식으로 체결되는 커넥터 블록(100)을 가지는 두 개의 스터드(20)의 단부들을 함께 맞닿음함으로써 성취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들 중 하나는 정상적인 깨끗한 구멍(129)를 나사 가공함으로써 변경된다. 일단 스터드가 정렬되면, 하나의 블록을 통과하는 나사(130)는 나머지 블록상에 상응하게 나사가공된 구멍내로 나사결합되어 연결부를 고정한다. 나사(130)는 스터드에서 인접하는 슬롯(34)을 통하여 끼워지는 알렌 렌치(육각 렌치)로 꽉 죄여지도록 육각형 구멍이 형성된 헤드를 가진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구성요소를 바꾸거나 보완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는 적절한 커넥터 블록과 함께, 수평 스터드의 좁은 측에 대한 수직 스터드의 좁은 쪽의 연결을 도시한다. 실질적으로 유사한 커넥터 블록은 수평 스터드의 넓은 쪽에 대한 수직 스터드의 넓은 쪽의 연결을 필요로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블록은 오목부(106)가 블록의 짧은 쪽에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약간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04)는 스터드에서 적절한 챔버내로 끼워맞춤하도록 다시 정렬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경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벽 시스템의 스터드 구성요소의 끝면도이다. 많은 점에 있어(예컨대, 스터드의 측면 너비), 그 스터드(220)는 도 1의 스터드(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18에 적용되는 3자리 참조 번호의 마지막 2자리는 도 1에 관하여 설명된 유사한 구성요소의 참조 번호에 상응한다.
도 18의 실시예는 도 1에 비하여 코너(227)에 더 많은 양의 금속을 포함한다. 구멍(248)은 스터드의 외부 코너 벽으로부터 대략 구멍 하나의 직경 정도 이격되어 있다. 이것은 내벽(236, 238)의 두꺼운 수직 및 수평 부분(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및 수직 부분)과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스터드의 변형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킨다.
도 19는 도 18의 스터드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커넥터 블록(300)의 한면을 나타낸다. 박판 나사를 위한 구멍(309)을 둘러싸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이 블록은 실질적으로 상기한 블록(100)과 일치한다. 이들 구멍(30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220)의 코너로부터 더 떨어져 있는 구멍(348)과 중심이 맞춰져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309)은 블록의 표면(310)내에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때문에 상기한 입방체 절결부(108)에 대한 필요성이 없어진다. 박판 나사(112)의 헤드는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구멍(309)의 원추형 부분에 놓이게 된다.
도 20과 21은 본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코너 스터드(320)의 끝면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20을 참조하면, 코너 스터드(320)는 코너 스터드를 통하여 뻗은 평면 웨브(322)를 포함하고 있다. 웨브는 스터드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압출에 의한 것과 같이)로 형성되며 코너 스터드(320)에 의해 결합되는 수직 벽(324, 326)에 대하여 45°각도를 이루고 있다.
코너 스터드(320)는 또한 내부 앵글부재(328)와 외부 앵글부재(330)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앵글부재는 이 부재와 웨브(322)의 연결부에 정점을 가진 전체적으로 90° 앵글부재이다. 그러므로 내부 앵글부재는 두개의 수직 부분으로 분할되고, 한 부분(332)은 연결된 한쪽 벽(326)으로 뻗어있고 다른 부분(334)은 연결된 다른 벽(324)쪽으로 뻗어 있다.
외부 앵글부재(330)는 부재와 웨브(322)의 연결부에 정점을 가진 전체적으로 90° 앵글부재이다. 그러므로 외부 앵글부재는 두개의 수직 부분으로 분할되고, 한 부분(336)은 연결된 한쪽 벽(326)으로 뻗어있고 다른 부분(338)은 연결된 다른 벽(324)쪽으로 뻗어 있다.
웨브로부터 떨어진 내부 앵글부분(332)와 외부 앵글부분(336)의 단부는 커넥터 블록(300)(도 19)이 고정되게 되며 중앙의 슬롯을 가진 측벽(340)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측벽에는 커넥터 블록의 홈(366)과 짝을 이루는 한쌍의 리지(342)가 구비되어 있다. 슬롯의 대향하는 쪽의 측벽(340) 내부에 외부 앵글부분(336)과 내부 앵글부분(332)의 각각의 단부에는 어깨부(346)가 구비된다. 다른 스터드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어깨부(346)는 나사(130)를 통해서 코너 스터드(320)에 커넥터 블록(300)의 고정을 허용하는 채널 너트(83)를 위한 지지면을 제공한다.
내부 및 외부 앵글부재의 다른 부분(334, 338)의 단부는 다른 벽(324)과 결합된 커넥터 블록(300)의 부착이 가능하게 방금 설명한 것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앵글부재(330)에 관하여, 각각의 부분(336, 338)은 두개의 평행한 부분을 포함하는 오목한 부분(348)을 포함하고 있는데, 마주보는 표면은 나사식 파스너(350)를 수용하도록 주름져 있다. 파스너(350)는 상기한 배튼(60)의 이격된 구멍를 통하여 뻗어 배튼을 외부 앵글부재(330)의 수직 부분(336,338)에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튼의 슬롯은 커버(82)로 폐쇄될 수 있다.
배튼(60)의 플랜지(68)의 연결된 둥글게 된 에지는 웨브(322)의 돌출부(352)에 의해 지지된다. 돌출부는 외부 앵글부재(330)의 정점으로부터 뻗어 90°화살촉 형상으로 끝나며, 배튼 플랜지(68)의 에지에 기대어 고정된다.
또한 웨브(322)은 내부 앵글부재(328)의 정점으로부터 안쪽으로 뻗으며 외부 앵글부재(330)에 장착되는 배튼의 플랜지(68)의 에지와 평행한 벽(326)쪽으로 뻗은 한 부분(354)을 가지고 있는 경사진 플랜지 부재를 형성한다. 플랜지(68)와 웨브 플랜지 부분(354) 사이의 간격은 상기한 2 inch(5.08 ㎝)의 벽 두께와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코너 스터드(320)에 의해 연결된 벽(324,326)은 상기한 것(도 20에 도시된 "이중 측벽")과 같은 세개의 벽 형상중 어떤 것이 될 수 있다.
도 21은 위에서 언급된 "단일 측벽"에 적용되는 연결된 벽(360,362)을 나타내는 코너 스터드(320)의 도면이다. 도 20의 도면은 단면형태로 커넥터 블록(300)에 인접해 연결된 벽(324,326)을 나타내므로 도 21의 도면은 또한 도 20의 도면과 다르다. 하지만 도 21은 단면형태로 라이너(364)를 가로질러 커넥터 블록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연결된 벽(360,362)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다음에 설명된다.
라이너(364)는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의 단면을 가진 기다란, 플라스틱 부재이다. 라이너(364)는 코너 스터드(320)의 측벽(340)을 덮기에 유용하다(또는 스터드(20,200)의 측벽을 덮기에). 이 점에 있어서, 라이너의 한쪽 면은 개방되며 두개의 구부러진 탭(367)으로 형성된다. 탭(367)의 최외부 단부는 측벽(340)의 슬롯(368)를 통하여 맞춘다. 라이너가 측벽(340)에 대하여 밀려질 때, 탭은 서로를 향해 변형되며 다음에 일단 상대적으로 좁은 탭의 연결부가 복귀하고 라이너가 슬롯(368)에 도달한다. 결과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367)의 탄력은 라이너(364)를 벽(340)에 대하여 고정한다.
도 21에 도시된 라이너(364)는 웨브(322)의 플랜지 부분(354)과 벽 패널(369) 사이에 고정되게 성형된다. 도 21의 370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너는 수평의 스터드와 함께 연결부 사이에 수직으로 향한 코너 스터드(320)상에 놓여진다. 이런 배열에서, 라이너는 코너 스터드(320)에 대한 패널(369)의 안쪽의 변형에 대항한다. 또한 라이너가 어떠한 다른 벽 구조에도 맞춰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수직의 이중벽(40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벽의 최상부는 기다란 최상부 트랙(402)으로 덮혀진다. 최상부 트랙은 두개의 수평 벽의 아래쪽 하나에 중앙 슬롯(404)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의 견고한 부재이다. 그 슬롯(404)의 내부에 어깨부(406)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406)는 나사(130)를 통해서 최상부 트랙(402)에 커넥터 블록(300)(수직으로 향한 스터드(20)의 단부상에 지지된다)의 고정을 허용하는 채널 너트(83)를 위한 지지면을 제공한다.
최상부 트랙의 측벽은 벽 두께에 해당하는 정도로 떨어진 돌출부(408)를 포함하고 있다. 벽(400)의 최상부는 돌출부 사이에 맞춰진다. 최상부 트랙(402)의 상부 수평벽(410)은 떨어져 있는 (나사가공 되지 않은)관통구멍(412)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천정 격자 또는 다른 구조물과 연결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대부분의 구성요소의 일반적인 특성을 유지함에 있어서, 벽(400)의 바닥을 덮기 위한 바닥 트랙(414)은 최상부 트랙과 구조가 동일하지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뒤집어야 한다. 바닥 트랙(414)에서 벽(400)의 섹션은 여기에 사용된 커넥터 블록 사이의 바닥 트랙(414)의 슬롯(404)를 덮고 벽 패널(418)의 안쪽으로의 변형에 대항하는 다른 라이너(416) 실시예를 설명하는 위치(즉, 커넥터 블록(300)에 떨어진)에서 선택된다.
몇몇 경우에 벽에 대하여 천정 격자의 상대적인 이동(약간의 변형)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벽의 최상부 트랙(402)을 천정 격자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문에, 본 발명 장치에는 편향 트랙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도 23 내지 24에서 설명된다.
편향 트랙 조립체(500)는 천정 격자에 벽의 최상부 트랙(40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천정 격자는 비록 약간의 수직 변형(도 23과 24에서의 수직)을 받지만, 견고하며 실질적으로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움직이지 않는 한쌍의 아래로 뻗은 프롱(prong; 502)를 포함한다. 이 프롱(502)들 사이의 위에는 때에 따라 접근이 요구되는 조명(504)과 같은 천정 격자 장착물이 부착될 수 있다.
편향 트랙 조립체는 두개의 레그(510)가 뻗어 있는 몸체를 가진 전체적으로 U-자형 부재인 클립(506)을 포함한다. 레그(510)의 단부는 천정 프롱(502)의 형상에 상응하는 후크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506)은 간단하게 프롱(502)에 부착된다. 연결은 스냅끼워맞춤식이고, 이에 따라 프롱의 한쪽에 가까운(도 23) 레그(510)의 한쪽 후크식 단부는 프롱(502)들 사이에서 이동되며, 다른 레그(510)의 후크식 단부는 다른 프롱(502)의 둥근 밑면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눌려진 다음에 양쪽 레그의 후크식 단부가 천정 프롱 사이에 맞춰질 때까지 레그(510)를 서로 약간 압박한다. 따라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클립(506)이 부착된다.
일단 클립이 제 위치(즉 프롱(502)에 후크된 위치)에 있으면, 전체적으로 U-자형 베이스 부재(520)가 클립에 부착된다. 베이스 부재(520)는 파스너(522)에 의해 클립에 부착된다. 이점에 있어서, 클립의 바닥(508)은 파스너(522)의 샤프트가 위치되는 오목부(509)를 포함한다. 오목부가 존재하므로 파스너(522)는 클립의 바닥(508)의 상부 표면(511)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베이스(520)는 한쌍의 어깨부(526)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바닥면(524)을 포함하고 있다. 어깨부(526)는 기다란 나사(528)를 통하여 베이스(520)에 최상부 트랙(402)의 고정을 허용하는 채널 너트(83)를 위한 지지면을 제공한다(도 24). (나사(528)는 클립 나사(522)와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베이스(520)의 레그(530)는 클립 레그(510)와 나란히 맞춰지며 레그(530)의 단부(532)가 천정 프롱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길이로 되어 있어 레그(530)와 클립 레그(510)의 후크식 단부 사이에 이 프롱을 구속한다. 따라서, 클립(506)에 베이스(520)를 부착하면 서로 맞물린 프롱과 후크도 함께 고정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최상부 트랙(402)의 구멍(412)은 나사가공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천정 격자가 아래쪽으로 변형될 때(이 변형은 연결된 클립과 베이스를 통하여 나사에 전달된다), 도 24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나사의 헤드단부는 다른 고정된 최상부 트랙(402)과 벽에 대하여 움직임이 자유롭다.
베이스(520)는 최상부 트랙(402)과 베이스(520) 사이의 가변적인 갭을 폐쇄하는 배튼(54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점에 있어서, 베이스의 대향하는 쪽에는 중앙의 골이진 슬롯(544)과 연속적인 오목한 채널(542)(도 23)이 함께 형성된다. 배튼(540)(도 25)은 채널에 맞춰지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546)를 통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플랜지(548)의 하나는 최상부 트랙(402)의 측벽과 미끄럼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약간 안쪽으로 휘어있다. 최상부 트랙(402)과 접촉(그러므로, 때에 따라 대항하여 미끄러지는)하는 플랜지(548)의 부분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코팅된 테이프와 같은 저 마찰 재료(550)로 피복될 수 있다. 레그(530)의 단부(532)와 같은, 배튼의 다른 플랜지는 천정 프롱에 대항하여 지지되므로 레그(530)와 클립 레그(510)의 후크식 단부 사이에 이들 프롱의 구속을 향상시킨다.
설명된 바와 같이 편향 트랙 조립체(500)의 길이(도 24의 평면에 수직으로 측정된)는 짧게(예를 들면, 2 inch) 선택되고 천정 격자에 최상부 트랙(402)을 연결하기 위해 몇개의 이격된 조립체가 채용된 것이 주목할 만 하다. 크기와 간격은 천정 부착물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그 때문에 일단 한쪽 또는 양쪽 배튼(540)이 제거되면 두개의 조립체(500) 사이, 최상부 트랙(402)과 천정 프롱(502) 사이에 충분한 클리어런스가 있다. 예를 들면, 조명 부착물(504)은 천정 격자 또는 최상부 트랙 어느 하나로부터 편향 트랙 조립체를 분리할 필요없이 교체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변경과 개량은 자명한 것이란 점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설명된 것 및 등가물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클린룸 벽용 스터드 및 배튼 시스템으로서:
    대향하는 좁은 쪽과 대향하는 넓은 쪽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단면을 가지고 있는 스터드; 그리고
    좁은 쪽중의 한쪽 및 넓은 쪽의 양쪽에 부착 가능한 배튼;을 포함하고,
    상기 배튼은 돌출된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는 배튼이 부착되는 스터드로부터 갭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단일 갭과 스터드의 넓은 쪽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폭이, 두 개의 갭과 스터드의 좁은 쪽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폭과 일치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및 배튼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랜지와 스터드 측 사이에 갭내로 끼워 맞춤하는 벽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터드에 대해 배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터드와 배튼상에 형성된 짝을 이루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클린룸 벽용 스터드 및 배튼 시스템으로서:
    대향하는 좁은 쪽과 대향하는 넓은 쪽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단면을 가지고 있는 스터드; 그리고
    좁은 쪽중의 한쪽 및 넓은 쪽의 양쪽에 부착 가능한 배튼;을 포함하고,
    상기 배튼은 돌출된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는 배튼이 부착되는 스터드로부터 갭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스터드에 대해 배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터드와 배튼상에 형성된 짝을 이루는 수단을 포함하고,
    짝을 이루는 수단은 스터드에 형성된 짝을 이루는 한 쌍의 리지와 배튼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기다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및 배튼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터드는 나사식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3 쌍의 주름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스터드의 대향하는 좁은 쪽 및 넓은 쪽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배튼은, 배튼이 부착되는 스터드 측에 접촉하고 그 스터드의 슬롯을 커버하는 베이스 부분을 가지고 있고, 또한 배튼은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된 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슬롯은 오목한 에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슬롯 내로 끼워맞춤되는 커버 부재를 슬롯이 형성된 표면과 동일 높이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스터드 단면은 챔버를 포함하고, 하나의 스터드를 다른 하나에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하도록, 스터드의 한 단부에 체결된 커넥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커넥터 블록은 블록이 연결되어 있는 스터드 단부에서 챔버내로 끼워 맞춤하는 일체로된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연결된 스터브를 포함하는 클린룸 벽 시스템용 커넥터 블록 조립체로서:
    스터드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을 가진 몸체를 가지고 있는 블록;
    블록이 연결되어 있는 스터드의 단부내로 끼워 맞춤하도록 몸체의 제 1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부; 그리고
    블록을 스터드의 단부에 체결하는 파스너 수단을 포함하고,
    몸체가 두 개의 연결된 스터드들 사이에 끼워 맞춤하고,
    또한 몸체는,
    제 1 측에 대향하는 커넥터 몸체의 제 2 측에 형성된 기다란 오목부;
    나사의 샤프트가 블록 오목부내로 뻗어 있도록 나사를 수용하는 구멍; 그리고 각각의 나사의 샤프트에 나사결합된 채널 너트;를 포함하고,
    몸체에 있는 오목부는 나사 상에 나사결합된 채널 너트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어서 너트는 오목부 내로 후퇴될 수 있고 블록 몸체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블록 조립체.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몸체는 블록을 스터드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커넥터 블록상에 형성된 짝을 이루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3. 연결된 스터브를 포함하는 클린룸 벽 시스템용 커넥터 블록 조립체로서:
    스터드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을 가진 몸체를 가지고 있는 제 1 블록;
    제 1 블록이 연결되어 있는 스터드의 단부내로 끼워 맞춤하도록 몸체의 제 1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부; 그리고
    제 1 블록을 스터드의 단부에 체결하는 파스너 수단을 포함하고,
    제 1 블록에 맞닿음하도록 체결되는, 제 1 블록과 같은 제 2 블록을 더 포함하여, 제 1 블록의 돌출부는 제 2 블록의 돌출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두 개의 스터드의 단부가 맞닿아 있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4. 챔버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는 스터드의 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 블록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스터드의 단면 크기와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갖도록 각각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스터드의 단부에 블록을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블록에 파스너 구멍을 제공하는 단계;
    스터드와 블록이 부착될 때 스터드와 블록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하여, 챔버내에 끼워맞춤되는 블록의 일측상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대향하는 블록 측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삭제
  16. 챔버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는 스터드의 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 블록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스터드의 단면 크기와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갖도록 각각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스터드의 단부에 블록을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블록에 파스너 구멍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스터드와 블록이 부착될 때 스터드와 블록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하여, 챔버내에 끼워맞춤되는 블록의 일측상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두개의 블록을 함께 체결하게 하도록 배열된 나사가공된 구멍을 갖춘 적어도 몇개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체결된 블록들중 하나에서의 돌출부가 나머지 체결된 블록의 돌출부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클린룸 시스템용 코너 스터드로서:
    외부 부재를 두 개의 수직 벽으로 분할하는 중앙 정점을 갖는 외부 앵글부재;
    내부 부재를 두 개의 수직 벽으로 분할하는 중앙 정점을 갖고 외부 앵글부재로부터 이격된 내부 앵글부재; 그리고
    외부 앵글부재의 정점과 내부 앵글부재의 정점을 결합하고 이 사이로 뻗어있는 웨브 부재;를 포함하고,
    웨브부재는, 외부 앵글부재에 체결된 배튼 부재의 에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외부 앵글부재의 정점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부를 포함하고 또한 각이진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내부 앵글부재의 정점으로부터 돌출하는 내부를 포함하고, 플랜지와 체결된 배튼 부재 사이의 공간은 이들 사이에 벽 패널을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스터드.
  18. 천정 격자의 프롱에서 떨어져 이격되어 하향으로 뻗어 부착되는 클린룸 시스템용 편향 트랙 조립체로서:
    벽 패널의 최상부에 연결가능한 최상부 트랙;
    이격된 프롱과 스냅 끼워 맞춤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클립 부재;
    클립 부재에 부착 가능한 베이스 부재;
    최상부 트랙에 대하여 베이스 및 클립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최상부 트랙 및 베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트랙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클립부재는 단일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대향 측상에 연결되고, 베이스와 최상부 트랙 사이의 연결부를 에워싸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한 쌍의 배튼을 더 포함하고, 플랜지는 최상부 트랙에 대향하여 미끄럼 가능하도록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017000928A 1998-07-20 1999-07-19 클린룸 벽 시스템 KR100766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34998P 1998-07-20 1998-07-20
US60/093,349 1998-07-20
US09/285,640 US6209275B1 (en) 1998-07-20 1999-04-02 Cleanroom wall system
US09/285,640 1999-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020A KR20010072020A (ko) 2001-07-31
KR100766814B1 true KR100766814B1 (ko) 2007-10-17

Family

ID=2678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928A KR100766814B1 (ko) 1998-07-20 1999-07-19 클린룸 벽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209275B1 (ko)
EP (1) EP1099031A4 (ko)
KR (1) KR100766814B1 (ko)
CN (1) CN1102688C (ko)
CA (1) CA2337936A1 (ko)
IL (1) IL140955A (ko)
MY (1) MY117510A (ko)
WO (1) WO20000042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4778T3 (es) * 2001-06-12 2005-12-16 Hilltech Holdings S.A. Perfil de union extruido.
US6615556B2 (en) * 2001-07-31 2003-09-09 Dennis O. Cates Frameless door assembly for cleanroom
DE10151755A1 (de) * 2001-10-19 2003-07-17 Geze Gmbh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Glastrennwand
US6761004B2 (en) * 2002-05-02 2004-07-13 Affordable Building Systems Reconfigurable room partitioning system
US7478504B2 (en) * 2002-08-07 2009-01-20 Plascore, Inc. Wall system, mounting plate and insert
US6802171B2 (en) 2002-10-18 2004-10-12 Mckinnon Duane Framing member with fastener attachments having square threads
US6935607B2 (en) * 2002-10-23 2005-08-30 Western Forms, Inc. Forming panel with extruded elongated threaded slot for receiving threaded attachment members
US7707790B2 (en) * 2003-06-12 2010-05-04 Steelcase Inc. Office system
AU2003100740A4 (en) * 2003-09-04 2003-11-20 Ian Thomas Howe A Structural Mounting Spigot
US20060248826A1 (en) * 2005-05-05 2006-11-09 Owens N D Soffit assembly for moveable wall system and removal tool therefor
KR100647110B1 (ko) * 2005-09-15 2006-11-23 광건티앤씨(주) 조립식 칸막이
MX2008008889A (es) * 2006-01-17 2008-09-12 Lrm Ind Llc Panel moldeado, sistema de panel moldeado y sistema de conexion.
US7937903B2 (en) * 2007-03-07 2011-05-10 Portafab Panelized ceiling system
IL183898A (en) * 2007-06-13 2014-07-31 Dan Pal Modular panel units for construction purposes
US20090242729A1 (en) * 2008-03-27 2009-10-01 Ward Philip T Formwork tie & apparatus for retaining tie
US8011849B2 (en) * 2008-04-24 2011-09-06 Douglas Williams Corner connector
US8776376B2 (en) 2008-04-24 2014-07-15 Douglas Williams Method of forming paneled corners
US7861474B2 (en) * 2008-10-21 2011-01-04 Haworth, Inc. Ceiling attachment for full-height panel
US8491193B2 (en) * 2008-10-29 2013-07-23 Bishop-Wisecarver Corporation Press fitting interface for holding a track to an extrusion without the use of fasten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8608383B2 (en) * 2008-10-29 2013-12-17 Bishop-Wisecarver Corporation System for holding a linear motion guide track to a support base and method therefor
US8434946B2 (en) 2008-10-29 2013-05-07 Bishop-Wisecarver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a track to a base
DE202009009548U1 (de) * 2009-07-10 2009-09-10 Dorma Gmbh + Co. Kg Deckenschienensystem zur Führung von Wandelementen
EP2464913B1 (en) 2009-08-16 2018-02-14 G-CON Manufacturing Inc. Modular, self-contained, mobile clean room
US9795957B2 (en) 2009-08-16 2017-10-24 G-Con Manufacturing, Inc. Modular, self-contained, mobile clean room
KR101159201B1 (ko) * 2010-09-06 2012-06-25 이형기 가변성 칸막이벽의 지지장치
CN101985857B (zh) * 2010-11-02 2012-10-17 中国电子系统工程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高大空间洁净室的安装方法及结构
US9045905B2 (en) * 2013-03-15 2015-06-02 Bellwether Design Technologies, Llc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713869B1 (en) * 2013-03-15 2014-05-06 Gordon Sales, Inc. Suspended containment wall system
US9115520B2 (en) * 2013-05-17 2015-08-25 Dynamic Hive, Inc. Partition system and track support
EP3058147B1 (en) 2013-10-14 2022-12-14 G-CON Manufacturing Inc. Connector unit for connecting modular mobile room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connecting
US9359772B2 (en) 2014-04-23 2016-06-07 Pg Building Envelope Inc. Wall panel assembly
US10533758B2 (en) 2014-07-11 2020-01-14 G-Con Manufacturing Inc. Modular parts that supply utilities to cleanroom, isolation or containment cubicles, pods, or modules
DE202014104524U1 (de) * 2014-09-22 2016-01-05 Hartmut Flaig Profilstab sowie Profilverbindung
US10068408B2 (en) * 2015-04-13 2018-09-04 Automated Merchandising Systems Inc. Vending machine adjustable depth retainer
CN106760526A (zh) * 2015-11-20 2017-05-31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洁净墙板与地面的连接方法
US10047521B2 (en) * 2016-02-08 2018-08-14 Arthur S. Hernandez, SR. Suspended wall track system
CN107130797A (zh) * 2017-06-29 2017-09-05 张志通 一种建筑模板的夹紧装置
US10590649B1 (en) * 2019-03-15 2020-03-17 Tate Access Floors, Inc. Elongated ceiling grid member and ceiling grid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elongated ceiling grid member
CN114269997A (zh) 2019-08-15 2022-04-01 G-Con制造有限公司 用于模块化的、独立控制的且可移动的清洁室的能够移除面板屋顶
US11047142B1 (en) 2020-07-31 2021-06-29 Bond Formwork Systems, LLC Main beam structure and profile for formwork grid systems
US10982452B1 (en) * 2020-07-31 2021-04-20 Bond Formwork Systems, LLC Secondary joist profile for grid systems
US11268289B2 (en) 2020-07-31 2022-03-08 Bond Formwork Systems, LLC Drophead nut for formwork grid systems
US11492795B2 (en) 2020-08-31 2022-11-08 G-Con Manufacturing, Inc. Ballroom-style cleanroom assembled from modular buildings
CN113789977A (zh) * 2021-10-21 2021-12-14 昆山协多利洁净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洁净室隔墙系统及洁净室性能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254A (en) * 1991-01-18 1993-07-20 Plascore, Inc. Wall system
US5414967A (en) * 1993-10-19 1995-05-16 Unistrut International Corp. Clean room wall system
US5634300A (en) * 1994-03-10 1997-06-03 Plascore Inc. Wall system employing grooved posts, connector blocks and T-bolt receiving batten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444A (en) 1958-06-03 1962-10-09 Walberg Nathan Colon Tubular mullion snapon assembly
US3490800A (en) * 1967-06-01 1970-01-20 Ray F Wissler Beam and lock strip
US3513606A (en) 1968-02-21 1970-05-26 Vernon H Jones Structural framework and connector joint therefor
US3566561A (en) 1968-10-08 1971-03-02 Francis P Tozer Channelled structural elements
US3559357A (en) * 1969-07-09 1971-02-02 David A Lowe Modular building system
US3837128A (en) * 1972-10-24 1974-09-24 Fleury T Partitioning system
US4270332A (en) 1975-08-08 1981-06-02 Montrouil Enterprises, Inc. Window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434596A (en) * 1978-10-06 1984-03-06 Hauserman, Inc. Partition head assembly for partition wall panels
US4535578A (en) * 1983-06-09 1985-08-20 American Standard Inc. Seal-actuating mechanism for a wall panel
US4625483A (en) 1985-06-03 1986-12-02 Aspects, Inc. Connector system for furniture panels
US4891920A (en) * 1988-05-04 1990-01-09 N.A.I. Acoustical Interiors, Inc. Acoustical wall panel
US5140792A (en) 1989-04-03 1992-08-25 Daw Technologies, Inc. Modular wall system
US4984400A (en) 1989-11-13 1991-01-15 Bockmiller Douglas F Clean room channel wall system
FR2657375B1 (fr) * 1990-01-23 1995-11-10 Batimpro Charrier Sa Cloison modulaire destinee a construire les locaux.
US5233803A (en) * 1992-03-05 1993-08-10 Bockmiller Douglas F Framing apparatus for clean room wall system
US5307600A (en) 1992-06-04 1994-05-03 Unistrut International Corp. Slim wall system
US5755066A (en) * 1993-12-02 1998-05-26 Becker; Duane William Slip track assembly
US5471805A (en) * 1993-12-02 1995-12-05 Becker; Duane W. Slip track assembly
US6155014A (en) 1999-03-17 2000-12-05 Unistrut Insternational Corporation Clean room wal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254A (en) * 1991-01-18 1993-07-20 Plascore, Inc. Wall system
US5414967A (en) * 1993-10-19 1995-05-16 Unistrut International Corp. Clean room wall system
US5634300A (en) * 1994-03-10 1997-06-03 Plascore Inc. Wall system employing grooved posts, connector blocks and T-bolt receiving batt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9031A2 (en) 2001-05-16
US6209275B1 (en) 2001-04-03
CA2337936A1 (en) 2000-01-27
MY117510A (en) 2004-07-31
CN1102688C (zh) 2003-03-05
WO2000004245A2 (en) 2000-01-27
US6634149B2 (en) 2003-10-21
CN1314967A (zh) 2001-09-26
EP1099031A4 (en) 2005-01-19
WO2000004245A3 (en) 2000-04-20
KR20010072020A (ko) 2001-07-31
IL140955A0 (en) 2002-02-10
US20010007186A1 (en) 2001-07-12
IL140955A (en) 200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814B1 (ko) 클린룸 벽 시스템
US6796676B2 (en) Lighting fixture end cap
US9689541B2 (en) Hanger bar for recessed luminaires with integral nail
US8038113B2 (en) Telescoping mounting system for a recessed luminaire
US7271336B2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n electrical box
US6033098A (en) Bar hanger clip
US5806972A (en) Light trap and louver mounting to fluorescent troffer lighting fixture
US20130105641A1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Support System
EP2103753B1 (en) Up-tight surface covering and attachment system
US9004421B2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support system
US6438921B1 (en) Combination hanging clip and T-bar connector
US5483777A (en) Utility box mounting plate and Z-stud
CA3054437C (en) Open plenum utility channel
US5557902A (en) Micro cornice universal attachment clip
EP0132348A2 (en) Panel installation clip
EP1885965B1 (en) Wall assembly
JP2546093Y2 (ja) 二重床の床パネル支持装置
KR950006791Y1 (ko) 천청판 시공용부재
CA2582945C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n electrical box
JPH0941524A (ja) 間仕切り
CA2202816C (en) Lighting fixture
JPH0245371Y2 (ko)
US20040231258A1 (en) Multi-positional foot for stud of cleanroom wall system
JPH0687708U (ja) 接続具及び支持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