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110B1 - 조립식 칸막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110B1
KR100647110B1 KR1020050086110A KR20050086110A KR100647110B1 KR 100647110 B1 KR100647110 B1 KR 100647110B1 KR 1020050086110 A KR1020050086110 A KR 1020050086110A KR 20050086110 A KR20050086110 A KR 20050086110A KR 100647110 B1 KR100647110 B1 KR 10064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acrylic plate
vertical frame
vertical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렬
Original Assignee
광건티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건티앤씨(주) filed Critical 광건티앤씨(주)
Priority to KR102005008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1L-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2Cross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이들 각 모서리 수직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복수개의 모서리 수직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부재와 이들 각 중간 수직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모서리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평틀부재와 이들 각 중간 수평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중간수평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수직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수평틀부재를 가지는 상단 수평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수직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수평틀부재를 가지는 하단 수평틀을 포함하는 격자틀과; 상기 각 틀부재와 아크릴판 고정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아크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체하고자 하는 아크릴판 주위의 아크릴판 고정부재들을 분해하여 아크릴판을 교체하고 다시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아크릴판의 교체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도체 팹에 치명적인 파티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Prefabricated Parti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칸막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모서리 수직틀과 중간 수평틀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중간 수직틀과 중간 수평틀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중간 수직틀과 하단 수평틀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서리 수직틀 110 : 모서리 수직틀부재
120 : 아크릴판 고정부재
200 : 중간 수직틀 210 : 중간 수직틀부재
220 : 아크릴판 고정부재
300 : 중간 수평틀 310 : 중간 수평틀부재
320 : 아크릴판 고정부재
400 : 상단 수평틀 410 : 상단 수평틀부재
500 : 하단 수평틀 510 : 하단 수평틀부재
본 발명은 프레임과 아크릴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소한의 프레임을 분해한 상태에서 아크릴판을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공장의 크린룸(clean room) 팹(Fab)에는 각 구역 별로 생산장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립식 칸막이는 알루미늄 새시(aluminum sash)로 된 복수개의 수직틀부재와 수평틀부재를 격자(格子) 모양으로 조립하고, 각 칸마다 아크릴판(acryl panel)을 끼워 넣은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칸막이는 반도체 팹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아크릴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한 쪽 끝에서 해당 아크릴판이 위치하는 곳까지의 모든 수직틀부재와 수평틀부재를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유지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수직틀부재와 수평틀부재를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팹에 있어 치명적인 파티클의 발생 위험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교체하고자 하는 아크릴판 주위의 수직틀부재와 수평틀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만을 분해하는 것에 의해 해당 아크릴판을 분해할 수 있어 아크릴판의 교체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됨과 아울러 반도체 팹에 있어 치명적인 파티클의 발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이들 각 모서리 수직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복수개의 모서리 수직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부재와 이들 각 중간 수직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모서리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평틀부재와 이들 각 중간 수평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중간수평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수직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수평틀부재를 가지는 상단 수평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수직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수평틀부재를 가지는 하단 수평틀을 포함하는 격자틀과; 상기 각 틀부재와 아크릴판 고정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아크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칸막이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칸막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모서리 수직틀과 중간 수평틀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중간 수직틀과 중간 수평틀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중간 수직틀과 하단 수평틀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칸막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모서리 수직틀(100)과,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과 복수개의 중간 수평틀(300)과 상단 수평틀(400) 및 하단 수평틀(500)에 의하여 격자(格子)형으로 조립되는 격자틀(F)과; 상기 격자틀(F)의 각 격자 칸마다 조립되는 아크릴판(P)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 수직틀(100)은 인접하는 외측면에 각각 아크릴판(P)의 일측 가장자리 안쪽 면이 지지되는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이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의 인접하는 외측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아크릴판(P)의 일측 가장자리 바깥쪽 면이 지지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 수직틀(200)은 일측면 양측에 아크릴판(P)의 양측 가장자리 내측면이 지지되는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이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아크릴판(P)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면이 지지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 수평틀(300)은 상기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부재(21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아크릴판(P)의 아크릴판 가장자리 내측면을 지지하 는 중간 수평틀부재(310)와, 이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아크릴판(P)의 아크릴판 가장자리 외측면이 지지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 수평틀(400)은 상기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상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아크릴판(P)의 상단 가장자리가 삽입 지지되는 아크릴판 상단지지홈(411)을 가지는 상단 수평틀부재(410)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수평틀(400)은 상단 수평틀부재(410)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외관을 살리기 위하여 상기 상단 수평틀부재(410)를 복개하는 상단 마감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 마감부재(420)는 스크루(430)에 의하여 천장면(C)에 고정된다.
상기 하단 수평틀(500)은 상기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하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아크릴판(P)의 하단 가장자리가 삽입 지지되는 아크릴판 하단지지홈(511)을 가지는 하단 수평틀부재(5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칸막이는 모서리 수직틀(100)과 중간 수직틀(200)과 중간 수평틀(300)과 상단 수평틀(400) 및 하단 수평틀(500)로 구성되는 격자틀(F)에 아크릴판(P)을 조립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아크릴판(P)을 교체할 경우 해당 아크릴판(P)의 상하좌우측에 위치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를 분해하는 것만으로 해당 아크릴판(P)을 분해할 수 있으며, 다시 아크릴판(P)을 교체한 후 분해했던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아크릴판(P)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 아크릴판 고정부재(220, 320)는 각각 동일한 금형에 의하여 동일한 형태로 성형되며, 조립시 그 조립 방향을 달리하는 것이다.
상기 상단 수평틀부재(410)와 하단 수평틀부재(510)는 각각 동일한 금형에 의하여 동일한 형태로 성형되며, 조립시 그 조립 방향을 달리하는 것이다.
이하, 각 부재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는 인접면인 2개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아크릴판(P)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일측단 지지편(111)과, 아크릴판(P)의 일측 가장자리 내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내측지지면(112)과, 상기 아크릴판 일측단지지편(111)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고정부재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에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120)는 상기 아크릴판 내측지지면(112)에 대향하여 아크릴판(P)의 가장자리 외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외측지지편(121)과, 상기 아크릴판 외측지지편(12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삽입편(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 수직틀부재(210)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좌우측에 형성되어 아크릴판(P)의 좌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아크릴판 좌우측단부 지지편(211)과, 전면 좌우측에 형성되어 아크릴판(P)의 좌우 가장자리 내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내측지지면(212)과, 상기 아크릴판 양측단지지편(211)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고정부재 삽입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220)는 상기 아크릴판 내측지지면(212)에 대향하여 아크릴판(P)의 좌우 가장자리 외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외측지지편(221)과, 상기 아크릴판 외측지지편(22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홈(213)에 삽입되는 삽입편(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 수평틀부재(310)는 상하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크릴판(P)의 상하단부를 지지하는 아크릴판 상하단지지편(311)과, 전면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크릴판(P)의 가장자리 내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과, 그 아크릴판 상하단지지편(311)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고정부재 삽입홈(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틀부재(310)에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는 상기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에 대향하여 아크릴판(P)의 아크릴판 가장자리 외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과, 상기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삽입편(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 수직틀(100)의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아크릴판 고정부재(120)와 중간 수직틀(200)의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아크릴판 고정부재(220)는 크린룸의 바닥면(F)에서 천장면(C)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수평틀(300)의 중간 수평틀부재(310)와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는 상기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아크릴판 고정부재(220)들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 수직틀(100)과 중간 수직틀(200)과 중간 수평틀(300)의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는 각각 스크루(124, 224, 324)에 의해 각각 모서리 수 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고정된다.
이때 스크루(124, 224, 324)는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에는 미리 스크루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조립과정에서 스크루(124, 224, 324)가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를 관통한 다음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뚫고 들어가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루(124, 224, 324)는 조립식 칸막이의 외관을 해치게 되므로 이를 가리기 위하여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에는 합성수지로 된 가림띠(125, 225, 325)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에는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이 각각 형성되고, 가림띠(125, 225, 325)에는 상기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25a, 225a, 325a)와 이 결합부(125a, 225a, 325a)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표면이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의 표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되는 가림부(125b, 225b, 325b)로 구성된다.
또한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 삽입 결합된 가림띠(125, 225, 325)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의 양측 내면에는 걸럼턱(123a, 223a, 323a)이 형성되고, 가림띠(125, 225, 325)의 결합부(125a, 225a, 325a)에는 상기 걸림턱(123a, 223a, 323a)에 걸리는 걸림돌조(125c, 225c, 325c)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23a, 223a, 323a)과 걸림돌조(125c, 225c, 325c)는 가림띠 (125, 225, 325)를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 삽입하였을 때는 가림띠(125, 225, 325)가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서 임의로 분리되지는 않지만 작업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이들 부재 사이에 평철을 덧대고 스크루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나,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각각 연결용 홈(114, 214, 314)을 형성하고, 이들 연결용 홈(114, 214, 314)에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를 끼워 스크루(63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용 홈(114, 214, 314)들은 각각 1열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조립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2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는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연결용 홈(114, 214)에 끼워지는 수직연결부(6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연결용 홈(314)에 끼워지는 수평연결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의 수직연결부(610)와 수평연결부(620)는 각각 스크루(630)에 의하여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의 수직연결부(610)와 수평연결부(620)에는 스크루(630)가 관통되는 스크루 관통공(611)을 미리 형성하고,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에는 스크루 관통공을 미리 형성하지 않고 조립과정 에서 스크루 관통공(611)에 관통된 스크루(630)가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뚫고 들어가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연결용 홈(31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걸림턱(314a)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의 수평연결부(62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림턱(314a)에 걸리는 걸림돌조(620a)를 형성하여 연결구(600)를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연결용 홈(314)에 그 한 쪽 끝으로부터 삽입하였을 때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상기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만으로 결합할 수도 있으나,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고정부재 삽입홈(113, 213)의 양측 또는 일측에 전장에 걸쳐서 걸림홈(115, 215)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115, 215)에 걸리는 걸림부(712)를 포함하는 절곡부(7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고정부재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수평부(720)를 가지는 수평틀 전후 연결구(700)를 스크루(730, 740)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710)와 수평부(720)에는 각각 스크루(730, 740)가 관통되는 스크루 관통공(711, 7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단 수평틀부재(410, 510)도 단순히 이들 부재 사이에 평철을 덧대고 스크루로 체결할 수도 있으나, 상기 상단 수평틀부재(410)의 상면과 하단 수평틀부 재(510)의 저면에 삽입홈(412, 512)을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연결용 홈(114, 214)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직부(810)와, 상기 상, 하단 수평틀부재(410, 510)의 삽입홈(412, 512)에 삽입되는 삽입부(821)를 포함하는 수평부(820)를 가지는 수직틀 고정구(800)를 스크루(830)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틀 고정구(800)의 수평부(820)는 스크루(840)에 의하여 팹의 바닥면(F)에 스크루(840)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수직부(810)와 수평부(820)에는 상기 스크루(830, 840)가 각각 관통되는 스크루 관통공(811, 822)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칸막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① 한 쪽 면에만 설치할 경우에는 2개의 모서리 수직틀(100)과, 이 2개의 모서리 수직틀(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과, 모서리 수직틀(100)과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평틀(300)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100)과 중간 수직틀(200)의 상,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1개씩의 상단 수평틀(400) 및 하단 수평틀(500)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상단 마감부재(420)를 천장면(C)에 스크루(430)로 고정하고, 마감부재(420) 하부로부터 상단 수평틀부재(410)를 삽입한다.
이때 상단 수평틀부재(410)는 그 아크릴판 상단지지홈(411)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설치한다.
2개의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중간 수직틀부재(210)를 그 상단은 수평틀부재(410)의 하면에 접하고 하단은 바닥면(F)에 접하도록 세운다.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의 일측 연결용 홈(114)과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양측 연결용 홈(214)에 각각 수직틀 고정구(800)의 수직부(810)를 삽입하고, 스크루 관통공(811)에 스크루(840)를 관통시켜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체결하고, 2개의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부재(210)를 원하는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수직틀 고정구(800)의 수평부(820)에 스크루(840)를 관통시켜 바닥면(F)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다음,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사이에 중간 수평틀부재(310)와 상, 하단 수평틀부재(410, 510)를 결합한다.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연결용 홈(314) 양단에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의 수평부(6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평틀부재(210) 사이와 중간 수평틀부재(210)들 사이에 위치시키고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의 수직부(610)를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연결용 홈(114, 214)에 삽입하고 스크루(630)를 이용하여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를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를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연결용 홈 (314)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의 수평부(620)에 형성된 걸림돌조(620a)가 연결용 홈(314)에 형성된 걸림턱(314a)에 걸려 있으므로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연결용 홈(314)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되어 그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도시예에서는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상하면에 공히 결합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하면에만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상기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 외에 수평틀 전후 연결구(700)를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대한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조립 강도가 높아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틀 전후 연결구(700)를 이용하여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중간 수평틀부재(31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걸림홈(115, 215)에 수평틀 전후 연결구(700)의 걸림부(712)를 끼워 걸리게 함과 아울러 수평부(720)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고정부재 삽입홈(313)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크루(730, 740)를 이용하여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체결한다.
다음,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모서리 부재(210)의 하단에는 하단 수평틀부재(510)를 결합한다. 하단 수평틀부재(510)는 그 아크릴판 하단지지홈(5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단 수평틀부재(510)는 그 삽입홈(512)에 상기 수직틀 고정부재(800) 의 삽입부(821)가 삽입되어 하단 수평틀부재(510)가 수직틀 고정부재(800)를 통해 바닥면(F)에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단 수평틀부재(410)의 아크릴판 상단지지홈(411)에 아크릴판(P)의 상단을 삽입 지지하면, 아크릴판(P)의 하단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에 접촉하게 되는 바, 이때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를 결합하면 아크릴판(P)의 하단은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과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중간 수평틀부재(310) 사이에 조립되는 아크릴판(P)들은 그 상, 하단이 상,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에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 하측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각각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중간 수평틀부재(310)와 아크릴판 고정부재(320) 사이에 결합된다.
이때 먼저 하측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를 결합하여 하측의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과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 사이에 아크릴판(P)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한 다음 상측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를 결합하여 상측의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과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 사이에 아크릴판(P)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작업상 편리하다.
또한 하단 수평틀부재(510)의 아크릴판 하단지지홈(511)에 아크릴판(P)을 삽입하면 아크릴판(P)의 상단은 그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에 접하게 되는 바, 이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아크릴판 고정 부재(320)를 결합하면 아크릴판(P)의 상단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아크릴판 내측면지지면(312)과 아크릴판 고정부재(320)의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 사이에 삽입 지지된다.
다음,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를 결합하면, 아크릴판(P)의 양측 가장자리는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아크릴판 내측지지면(112, 212)과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의 아크릴판 외측지지편(121, 221) 사이에 삽입 지지된다.
상기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들은 그 삽입편(122, 222, 322)을 모서리 수직틀부재(110),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고정부재 삽입홈(113, 213, 313)에 삽입하고,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의 아크릴판 외측지지편(121, 221, 321)의 중간부와 모서리 수직틀부재(110),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스크루(124, 224, 324)를 관통시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모서리 수직틀부재(110),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고정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를 모서리 수직틀부재(110),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체결 고정한 스크루(124, 224, 324)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의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 가림띠(125, 225, 325)의 결합부(125a, 225a, 325a)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스크루(124, 224, 324)는 가림부(125b, 225b, 325b)에 의해 가려져서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로 형성된 상기 가림띠(125, 225, 325)의 결합부(125a, 225a, 325a)에 형성된 걸림돌조(125c, 225c, 325c)가 상기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 형성된 걸림턱(123a, 223a, 323a)에 걸리게 되므로 가림띠(125, 225, 325)가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됨과 아울러 작업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② 2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3개의 모서리 수직틀(100)과, 이들 모서리 수직틀(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과, 모서리 수직틀(100)과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평틀(300)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100)과 중간 수직틀(200)의 상,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2개의 상단 수평틀(400) 및 하단 수평틀(500)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1면에만 설치되는 경우에서 어느 한 쪽의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아크릴판 내측지지면(112)에 아크릴판(P)을 지지하고, 고정부재 삽입홈(113)에 아크릴판 고정부재(120)를 삽입하여 아크릴판(P)을 고정하며, 이 아크릴판 고정부재(120)에 가림띠(125)를 결합하는 것이며, 각 2면에 결합되는 중간 수직틀부재(210), 중간 수평틀부재(310) 및 상, 하단 수평틀부재(410, 510)의 조립방법 및 여타 조립방법은 상술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③ 3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4개의 모서리 수직틀(100)과 이들 모서리 수직틀(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과, 모서리 수직틀(100)과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복수개 의 중간 수평틀(300)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100)과 중간 수직틀(200)의 상,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3개의 상단 수평틀(400) 및 하단 수평틀(500)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1면에만 설치되는 경우에서 양 쪽의 모서리 수직틀부재(111)의 타측면에 형성된 아크릴판 내측지지편(111)과 아크릴판 내측지지면(112)에 각각 아크릴판(P)의 일측단부를 지지하고, 고정부재 삽입홈(113)에 아크릴판 고정부재(120)를 삽입하여 아크릴판(P)을 고정하며, 이 아크릴판 고정부재(120)에 가림띠(125)를 결합하는 것이며, 각 3면에 결합되는 중간 수직틀부재(2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 및 상, 하단 수평틀부재(410, 510)들의 조립방법 및 여타 조립방법은 상술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④ 4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4개의 모서리 수직틀(100)과 이들 모서리 수직틀(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과, 모서리 수직틀(100)과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2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평틀(300)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100)과 중간 수직틀(200)의 상,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4개의 상단 수평틀(400) 및 하단 수평틀(500)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3면에 설치하는 경우에서 면을 구성하지 않은 쪽에 위치한 양측 모서리 수직틀부재(100)에 중간 수직틀부재(110), 중간 수평틀부재(210) 및 상, 하단 수평틀부재(410, 510)를 결합하고 이에 아크릴판(P)을 조립하여 4면에 벽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각 면의 조립방법은 상술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조립식 칸막이가 조립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아크릴판(P)을 교 체하는 경우에는 해당 아크릴판(P)의 상하좌우 측에 위치하는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아크릴판 고정부재(320)에 결합되어 있는 가림띠(325)를 분리하고,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를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고정하고 있는 스크루(324)를 해체하여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를 분리해내면, 해당 아크릴판(P)의 상하좌우 단부가 자유롭게 되므로 해당 아크릴판(P)을 분리해낼 수 있다.
아크릴판(P)을 분리해낸 후 새로운 아크릴판(P)을 조립하고, 분리된 아크릴판 고정부재(320)와 가림띠(325)를 다시 조립하는 것만으로 아크릴판(P)의 교체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분해 및 조립되는 부재의 개수가 최소화되므로 반도체 팹에 있어 치명적인 파티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서리 수직틀과 중간 수직틀 및 중간 수평틀이 각각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수직틀부재 및 중간 수평틀부재와 이들 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로 되어 조립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교체하고자 하는 아크릴판 주위의 수직틀부재와 수평틀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재만을 분해하는 것에 의해 해당 아크릴판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아크릴판의 교체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됨과 아울러 반도체 팹에 있어 치명적인 파티클의 발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복수개의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이들 각 모서리 수직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복수개의 모서리 수직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부재와 이들 각 중간 수직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복수개의 중간 수직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모서리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평틀부재와 이들 각 중간 수평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를 가지는 중간수평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수직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수평틀부재를 가지는 상단 수평틀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와 중간 수직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수평틀부재를 가지는 하단 수평틀을 포함하는 격자틀과;
    상기 각 틀부재와 아크릴판 고정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아크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칸막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는 인접면인 2개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아크릴판(P)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일측단 지지편(111)과, 아크릴판(P)의 일측 가장자리 내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내측지지면(112)과, 상기 아크릴판 일측단지지편(111)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고정부재 삽입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에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120)는 상기 아크릴판 내측지지면(112)에 대향하여 아크릴판(P)의 가장자리 외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외측지지편(121)과, 상기 아크릴판 외측지지편(12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삽입편(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간 수직틀부재(210)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좌우측에 형성되어 아크릴판(P)의 좌우측단부를 지지하는 아크릴판 좌우측단부 지지편(211)과, 전면 좌우측에 형성되어 아크릴판(P)의 좌우 가장자리 내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내측지지면(212)과, 상기 아크릴판 양측단지지편(211)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고정부재 삽입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220)는 상기 아크릴판 내측지지면(212)에 대향하여 아크릴판(P)의 좌우 가장자리 외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외측지지편(221)과, 상기 아크릴판 외측지지편(22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홈(213)에 삽입되는 삽입편(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간 수평틀부재(310)는 상하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크릴판(P)의 상하단부를 지지하는 아크릴판 상하단지지편(311)과, 전면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크릴판(P)의 가장자리 내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과, 그 아크릴판 상하단지지편(311)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고정부재 삽입홈(3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틀부재(310)에 결합되는 아크릴판 고정부재(320)는 상기 아크릴판 내측지지면(312)에 대향하여 아크릴판(P)의 아크릴판 가장자리 외측면을 지지하는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과, 상기 아크릴판 외측지지편(32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삽입편(3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를 각각 상기 모서리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124, 224, 3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에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을 형성하고, 이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 합성수지로 된 가림띠(125, 225, 325)를 삽입하여 상기 스크루(124, 224, 324)가 가려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띠(125, 225, 325)에는 상기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25a, 225a, 325a)와 이 결합부(125a, 225a, 325a)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표면이 아크릴판 고정부재(120, 220, 320)의 표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되는 가림부(125b, 225b, 325b)로 구성되며,
    상기 가림띠 삽입홈(123, 223, 323)의 양측 내면에는 걸럼턱(123a, 223a, 323a)이 형성되고, 가림띠(125, 225, 325)의 결합부(125a, 225a, 325a)에는 상기 걸림턱(123a, 223a, 323a)에 걸리는 걸림돌조(125c, 225c, 325c)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각각 적어도 1열씩 형성되는 연결용 홈(114, 214, 314)과, 상기 연결용 홈(114, 214)에 삽입되는 수직연결부(610)와 상기 연결용 홈(314)에 삽입되는 수평연결부(620)를 가지는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 및, 상기 수직연결부(610)와 수평연결부(620)를 각각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체결 고정하는 스크루(6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연결용 홈(31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걸림턱(314a)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틀 상하 연결구(600)의 수평연결부(62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림턱(314a)에 걸리는 걸림돌조(620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고정부재 삽입홈(113, 213)의 양측 또는 일측에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는 걸림홈(115, 215)과, 상기 걸림홈(115, 215)에 걸리는 걸림부(712)를 포함하는 절곡부(710)와 중간 수평틀부재(310)의 고정부재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수평부(720)를 가지는 수평틀 전후 연결구(700) 및, 상기 절곡부(710)와 수평부(720)를 각각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 및 중간 수평틀부재(310)에 체결 고정하는 스크루(730, 7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수평틀부재(410)의 상면과 하단 수평틀부재(5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412, 512)과, 상기 모서리 수직틀부재(110)와 중간 수직틀부재(210)의 연결용 홈(114, 214)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직부(810)와, 상기 상, 하단 수평틀부재(410, 510)의 삽입홈(412, 512)에 삽입되는 삽입부(821)를 포함하는 수평부(820)를 가지는 수직틀 고정구(800) 및, 상기 수직부(810)를 모서리 수직틀부재(110) 및 중간 수직틀부재(210)에 체결하는 스크루(8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틀 고정구(800)의 수평부(820)는 스크루(840)에 의하여 팹의 바닥면(F)에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KR1020050086110A 2005-09-15 2005-09-15 조립식 칸막이 KR10064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110A KR100647110B1 (ko) 2005-09-15 2005-09-15 조립식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110A KR100647110B1 (ko) 2005-09-15 2005-09-15 조립식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110B1 true KR100647110B1 (ko) 2006-11-23

Family

ID=3771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110A KR100647110B1 (ko) 2005-09-15 2005-09-15 조립식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1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329A (ja) * 1995-09-26 1997-04-04 Benitsukusu Kk クリーンルームの間仕切構造
JPH10245919A (ja) 1997-03-05 1998-09-14 Taisei Corp クリーンルーム内の間仕切り機構
KR20010072020A (ko) * 1998-07-20 2001-07-31 추후 클린룸 벽 시스템
KR100460014B1 (ko) 2002-01-18 2004-12-08 광건티앤씨(주) 칸막이판넬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329A (ja) * 1995-09-26 1997-04-04 Benitsukusu Kk クリーンルームの間仕切構造
JPH10245919A (ja) 1997-03-05 1998-09-14 Taisei Corp クリーンルーム内の間仕切り機構
KR20010072020A (ko) * 1998-07-20 2001-07-31 추후 클린룸 벽 시스템
KR100460014B1 (ko) 2002-01-18 2004-12-08 광건티앤씨(주) 칸막이판넬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1659A1 (en) Profile element and facade system with profile element
KR100647110B1 (ko) 조립식 칸막이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0989469B1 (ko) 도어용 문 및 도어용 문 조립방법
RU2343252C2 (ru) Комплекс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стеклоблочных стен
KR101863507B1 (ko) 칸막이의 중간프레임 간격조절 고정장치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JP7477345B2 (ja) 壁つなぎ用治具及び該治具を備えた外壁パネル部材
JP671928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4981582B2 (ja) 間仕切パネル
CN211451342U (zh) 一种空调壳体和空调器
CN112609866A (zh) 一种装配式预制建筑墙体及其安装方法
KR101073806B1 (ko) 세팅블록 일체형 코너 브라켓의 구조
CN107238157B (zh) 天井机空气净化装置及天井机
CN111636638A (zh) 一种可拆卸墙板系统及其安装方法、拆卸方法
KR20160003308U (ko) 미닫이문용 프레임
KR101258539B1 (ko) 칸막이 시스템용 윈도우 구조
CN212456419U (zh) Led格栅屏组件
KR200439457Y1 (ko) 조립식 파티션
JPH0430304Y2 (ko)
TWI822557B (zh) 可更換外部橫框之門窗
RU2327016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кассет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RU60953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кассет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CN216007442U (zh) 一种便于组装的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