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418B1 -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 Google Patents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418B1
KR100766418B1 KR1020060057837A KR20060057837A KR100766418B1 KR 100766418 B1 KR100766418 B1 KR 100766418B1 KR 1020060057837 A KR1020060057837 A KR 1020060057837A KR 20060057837 A KR20060057837 A KR 20060057837A KR 100766418 B1 KR100766418 B1 KR 10076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antimicrobial
rpm
powd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용
박진원
하명준
권순택
Original Assignee
엔티베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베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티베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10B2503/062Fitted bed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섬유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크기의 은(Ag) 분말과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1:1 ~ 1:50 정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분말을 섬유 또는 부직포용 원칩(Chip)을 건식분쇄한 칩 또는 분말에 투입하고,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고속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칩을 1축 또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및 상기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은 나노 입자화된 순수한 은 분말을 섬유 등과 결합시켜 통상적인 방사시 압력상승, 끊김 등의 불량을 해결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항균섬유사의 제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옷, 내의, 양말, 침대커버, 커튼 청소용품 등에 사용가능한 섬유원단 및 필터, 기저귀, 마스크, 생리대, 청소용품 등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Antimicrobial Chip for Spinnig Synthetic fiber, Producing Thereof, and Antimicrobial String and Fabric Produced from the Said Antimicrobial Chip}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에 있어서, 1번째 단계에서 은분말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나노은 분말과 TiO2 분말을 혼합한 후의 나노은 분말 사이에 TiO2 분말이 삽입되어 팽창됨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원사(A) 및 항균 가연사(B)를 나타내는 항균실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실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 현미경) 상이고(이때, (A)는 5,000, (B)는 2,000, (C)는 5,000 및 (D)는 500배 확대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와 원단의 면사와의 합사(A), 화학사와의 합사(B) 및 부직포를 나타낸 항균 섬유 원단의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와 면사와의 합사(A) 및 화학사와의 합사(B)를 나타낸 염색된 항균 섬유 원단의 사진이고,
도 7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 섬유 원단의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 섬유 원단의 염색후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이다.
삭제
본 발명은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섬유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크기의 은(Ag) 분말과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분말을 섬유 또는 부직포용 원칩(Chip)을 건식분쇄한 칩 또는 분말에 투입하고,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고속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칩을 1축 또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및 상기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을 제공한다.
현재, 산업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극도의 미세한 부품 및 그를 이용한 기기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재료의 필요성에 의해, 종래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재료에 비해 탁월한 성질을 가지는 수십~수백 나노미터 이하의 나노 단위 분말의 합성 및 응용에 관한 연구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은(silver)과 같은 금속 물질은 항균성을 가지고 있어서 냉장고, 세탁기, 페인트, 벽지, 신발 등 실생활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나노 단위의 분말 상태로 사용된다.
은을 나노 입자화 시키면 항균, 살균, 탈취기능이 우수해지는데 실제 이를 적용하여 섬유를 생산하면 우리의 일상생활에 여러모로 적용될 수 있다. 나노화된 은을 만드는 방식에는 화학적인 생산 방식과 물리적인 생산방식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되는데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은을 생산하는 경우 나노은의 순도가 그리높지 않고 독성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섬유칩의 제조시에도 졸(sol) 상태로 적용시킴으로 인해 고농도의 칩(Chip) 제조가 어렵고 색상변이로 인해 시각적인 상품성이 떨어진다. 또한, 물리적으로 만든 나노은의 경우 고순도의 분말(파우더) 형태로 얻어져 안전성 문제에는 이상이 없다. 그러나, 이것 역시 분말이 약하게 뭉쳐져 있어서 항균 섬유 칩을 제조해도 입자가 조대화 되어 방사시 압력상승, 끊김 등의 불량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앞서서 나노 단위의 금속 분말을 알코올류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소정량의 액상 조성물에 혼합하여 교반한 뒤, 적절한 추출수단을 통하여 균일한 크기의 금속 분말을 분류해 낼 수 있는 금속 분말 분급 시스템 및 분급 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 상기 금속 분말 분급 시스템 및 분급 방법은 항균 효과가 탁월한 나노 단위로 균일한 크기의 금속 분말을 저렴하고 용이하게 분급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하나 이상의 싸이클론과 하나 이상의 여과 장치와,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나노 단위의 분말 건식 분급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분급 방법을 개발하고, 이러한 싸이클론 및 여과 장치와 스크러버를 구비한 나노 단위의 분말 건식 분급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나노 단위의 분말을 크기별로 용이하게 분급 가능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분급 시스템 및 분급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 입자화된 순수한 금속 분말을 섬유 등과 관련시키고자 노력하던 중 순수 나노 크기의 은 분말을 사용한 항균 섬유 칩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섬유 원단 및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나노 입자화된 순수한 은 분말을 섬유와 결합시킨 합섬섬유 방사용 항균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합섬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합섬섬유 방사용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되는 항균사 및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600 ㎚의 입자 크기의 나노 은(Ag) 분말과 100~800 ㎚ 입자 크기의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1:1 ~ 1:50 정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분말을 섬유 또는 부직포용 원칩(Chip)을 건식분쇄한 칩 또는 분말에 투입하고,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고속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칩을 1축 또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ⅰ) 1~600 ㎚의 입자 크기의 나노 은(Ag) 분말과 100~800 ㎚ 입자 크기의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1:1 ~ 1:50 정도로 혼합하는 단계; ⅱ) i)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분말을 섬유 또는 부직포용 원칩(Chip)을 건식분쇄한 칩 또는 분말에 투입하고,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고속혼합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칩을 1축 또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은 분말은 1~600 ㎚의 입자 크기이고, 상기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의 입자 크기는 100~8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ⅰ) 단계 및 ⅱ) 단계의 금속산화물은 TiO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칩은 PET, 나일론(NYLON) 또는 PP이고, 상기 칩 또는 분말은 2 ㎜ × 2 ㎜ 이하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나일론 또는 PP를 원칩으로 사용하는 경우 ⅱ) 단계의 분산 및 기능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분산제를 주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칩의 나노은 농도는 500~20,000 ppm이고, 섬유 방사시의 원칩에 대하여 3~20% M/B(master butch chip) 칩을 혼합사용하는 보다 바람직하며, 이러한 칩 사용으로 최종실의 Ag 농도가 15~4,000 ppm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의 추가되는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은 섬유방사시 사용되는 원칩에 대하여 1~9%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ⅱ) 단계의 고속혼합은 400~800 rpm에서 10~3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ⅱ) 단계의 분산 및 기능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원칩으로 나일론(NYLON) 또는 PP를 사용하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분산제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의 압출 조건은 feeding zone, melting zone 및 dies zone가, PET의 경우 각각 240℃(± 40℃) 및 40 rpm(± 10 rpm), 250℃(± 40℃) 및 300 rpm(± 50 rpm), 260℃(± 40℃)이고, 나일론의 경우 230℃(± 40℃) 및 40 rpm(± 10 rpm), 240℃(± 40℃), 250℃(± 40℃)이고, PP의 경우 150℃(± 40℃) 및 40 rpm(± 10 rpm), 160℃(± 40℃) 및 300 rpm(± 50 rpm), 170℃(±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압출은 압출기 Dies부의 최종 스크린 필터가 300 내지 1000 Mesh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은 크게 혼합 단계, 압출 단계 및 필터링 단계라는 3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은 도 2와 같다.
먼저, 혼합 단계에서는 뭉쳐져 있는 은분말 사이를 이격시켜 은분말의 뭉침으로 인한 입자 조대화를 방지하고 건식분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나노은 분말과 TiO2 분말을 수작업 또는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나노은 분말 사이에 TiO2 분말이 삽입되어 팽창되도록 한다(도 1 참조). 상기 팽창된 미세한 나노은 분말이 상대적으로 큰 칩(Chip)에 의하여 고루 분산되고 나노 입자의 조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칩(예를 들어, PET, 나일론(NYLON), PP 등)을 건식분쇄한 칩이나 분말을 사용하여 고속 혼합한다. 이때, 흰 색상발현 및 나노 입자의 분산성과 입자의 조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TiO2를 혼합하여 고속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분산 및 기능을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분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2번째, 압출 단계는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섬유 및 부직포용 칩을 2축 압출기에 넣는다. 1축 압출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분산의 효율성을 위해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기의 조건은 통상적인 PET, 나일론, PP M/B 칩 작업조건으로 하며 무방하다(표 1 참조).
3번째, 필터링 단계는 압출기 Dies부의 최종 스크린 필터를 300 내지 1000 Mesh 범위의 것을 사용하여 조대화된 나노 입자를 걸러내어 섬유 방사시 끊김, 노즐막힘 등의 기타 문제를 방지한다. 이때, M/B 칩 Ag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제조방법은 은 나노 분말을 이용한 것이지만, 기타 백금(Pt), 금(GOLD), 구리(Cu), 알루미늄(Al) 등의 나노 분말을 합성 수지에 분산시킬 때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의 방법으로 Ag, Pt, 금(GOLD), Cu, Al. Zn, Sn 등의 나노분말을 분쇄된 입자나 파우더 형태(2 ㎜ × 2 ㎜ 이하) 플라스틱에 분사시켜 M/B chip과 같은 기능성 chip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칩으로부터 생성된 항균사 및 섬유 원단은 방사시 압력상승, 끊김 등의 불량없이 용이하게 항균섬유사 및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균칩을 이용하여 항균원사 및 항균 가연사를 제조한다(도 3 참조). 상기 항균원사 및 항균 가연사와 같은 항균실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 현미경) 상은 뛰어난 원사 및 가연사의 특징을 나타낸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항균칩을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섬유사의 면사와의 합사, 화학사와의 합사 및 부직포를 제조한다(도 5 참조). 아울러, 상기 항균 섬유사의 면사와의 합사 및 화학사와의 합사를 함으로써 원단 제조후 염색한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을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섬유 원단 및 염색후의 항균 시험 결과도 뛰어난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도 7 및 도 8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칩을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섬유사 및 원단은 옷, 내의, 양말, 침대커버, 커튼 청소용품 등에 사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식으로 생산된 부직포는 필터, 기저귀, 마스크, 생리대, 청소용품 등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
< 1-1 > 혼합 단계
1) 가볍게 뭉쳐져 있는 은분말 사이를 이격시켜 은분말(1~600 ㎚의 입자 크기)의 뭉침으로 인한 입자 조대화를 방지하고 건식분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나노은 분말과 TiO2(100~800 ㎚의 입자 크기) 분말을 수작업 또는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1:1 ~ 1:50 정도로 혼합하였다. 그 결과, 나노은 분말 사이에 TiO2 분말이 삽입되어 이격되었다(도 1).
2) 미세한 나노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칩(Chip)에 의하여 표면에 고루 분산되고, 나노 입자의 조대화를 방지하기 위해 원칩(PET, 나일론(NYLON), PP 등)을 건식분쇄한 칩이나 분말(2 ㎜ × 2 ㎜ 이하의 크기)을 사용하여 400~800 rpm 정도로 10~30분 동안 고속 혼합하였다.
3) 상기 1) 공정에서 제조된 이격된 나노은 분말을 2) 공정에 투입한 후 흰 색상발현 및 나노 입자의 분산성과 입자의 조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TiO2를 섬유 방사용 원칩에 대하여 1~9% 정도 넣고 400~800 rpm 정도로 10~30분 동안 고속혼합 교반하였다. 이때, 분산 및 기능을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분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 1-2 > 압출 단계
상기 <1-1> 단계에서 혼합된 섬유 및 부직포용 칩을 2축 압출기에 넣었다(1축 압출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분산의 효율성을 위해 2축이 바람직하다). 압출기의 조건은 통상적인 PET, 나일론, PP M/B 칩 작업조건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각 섬유원단별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섬유 원단 Feeding zone Melting zone Dies zone
PET 240℃(± 40℃) 250℃(± 40℃) 260℃(± 40℃)
40 rpm(± 10 rpm) 300 rpm(± 50 rpm)
나일론 230℃(± 40℃) 240℃(± 40℃) 250℃(± 40℃)
40 rpm(± 10 rpm)
PP 150℃(± 40℃) 160℃(± 40℃) 170℃(± 40℃)
40 rpm(± 10 rpm) 300 rpm(± 50 rpm)
< 1-3 > 필터링 단계
1) 압출기 Dies부의 최종 스크린 필터는 300 내지 1000 Mesh 범위의 것을 사용하여 조대화된 나노 입자를 걸러내어 섬유 방사시 끊김, 노즐막힘 등의 기타 문제를 방지하였다.
2) M/B 칩 Ag 농도는 500~20,000 ppm 정도이고, 섬유 방사시 원 칩에 3~20% 정도 M/B 칩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실 Ag 농도는 15~4,000 ppm이었다.
상기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제조방법은 은(Ag), 백금(Pt), 금(GOLD), 구리(Cu), 알루미늄(Al) 등의 나노 분말을 합성 수지에 분산시킬 때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도 2에서 순서도로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 본 발명의 항균칩으로부터 생성된 항균 섬유
< 2-1 > 항균원사 및 항균 가연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을 이용하여 항균원사 및 항균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항균칩과 원칩을 혼합(mixing)하고 건조하여 방사함으로써 항균원사(도 3의 (A))가 제조되고, 이를 가연함으로써 항균가연사(도 3의 (B))를 제조하였다.
상기 항균원사 및 항균 가연사와 같은 항균실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 현미경) 상은 실표면 및 속에 나노입자가 분포하고 특징을 나타낸다. 도 4의 A, B, C, D 각각의 흰점으로 보이는 부분이 나노입자를 나타낸다.
< 2-2 > 항균 섬유사의 면사와의 합사, 화학사와의 합사 및 부직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을 이용하여 항균 섬유사의 면사와의 합사, 화학사와의 합사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항균섬유사와 면사를 함께 직조함으로써 항균원단을 제조하고, 항균 섬유사와 화학사를 함께 직조함으로써 또 다른 항균원단을 제조하였으며, 항균칩(P.P)과 원칩(P.P)를 혼합하고 압출방사함으로써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도 5).
또한, 상기 항균 섬유사의 면사와의 합사 및 화학사와의 합사를 염색하였다. 그 결과, 색상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이 염색성이 뛰어났다.(도 6)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을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섬유 원단의 항균 시험 결과는 항균섬유사와 화학사를 1 : 1로 혼합하여 제조된 섬유 원단을 염색하지 않은 경우에 항균율은 99.6%로 측정되었다(도 7). 또한, 상기 항균섬사와 화학사의 1 : 1로 혼합하여 제조된 섬유 원단을 염색을 실행한 후의 항균율은 99.2%로 측정되었다(도 8).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합섬섬유 방사용 항균칩은 나노 입자화된 순수한 은 분말을 섬유용 칩에 고루 분산시켜 통상적인 방사시 압력상승, 끊김 등의 불량을 해결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항균사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 섬유 원단은 옷, 내의, 양말, 침대커버, 커튼 청소용품 등에 사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식으로 생산된 부직포는 필터, 기저귀, 마스크, 생리대, 청소용품 등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ⅰ) 1~600 ㎚의 입자 크기의 나노 은(Ag) 분말과 100~800 ㎚ 입자 크기의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1:1 ~ 1:50 정도로 혼합하는 단계;
    ⅱ) i)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분말을 섬유 또는 부직포용 원칩(Chip)을 건식분쇄한 칩 또는 분말에 투입하고,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을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고속혼합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칩을 1축 또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 단계 및 ⅱ) 단계의 금속산화물은 T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칩은 PET, 나일론(NYLON) 또는 PP이고, 상기 칩 또는 분말은 2 ㎜ × 2 ㎜ 이하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또는 PP를 원칩으로 사용하는 경우 ⅱ) 단계의 분산 및 기능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분산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칩의 나노은 농도는 500~20,000 ppm이고, 섬유 방사시의 원칩에 대하여 3~20% M/B(master butch chip) 칩을 혼합사용함으로써 최종실의 Ag 농도가 15~4,0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의 추가되는 금속산화물 또는 비금속 분말은 섬유방사시 사용되는 원칩에 대하여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의 고속혼합은 400~800 rpm에서 10~3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의 압출 조건은 feeding zone, melting zone 및 dies zone이, PET의 경우 각각 240℃(± 40℃) 및 40 rpm(± 10 rpm), 250℃(± 40℃) 및 300 rpm(± 50 rpm), 260℃(± 40℃)이고, 나일론의 경우 230℃(± 40℃) 및 40 rpm(± 10 rpm), 240℃(± 40℃), 250℃(± 40℃)이고, PP의 경우 150℃(± 40℃) 및 40 rpm(± 10 rpm), 160℃(± 40℃) 및 300 rpm(± 50 rpm), 170℃(±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의 압출은 압출기 Dies부의 최종 스크린 필터가 300 내지 1000 Mesh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분말 대신에 백금(Pt), 금(Au) 중 어느 하나의 나 노분말을, 입자나 파우더 형태의 플라스틱에 분산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칩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13. 제 12항의 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KR1020060057837A 2006-06-27 2006-06-27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KR10076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837A KR100766418B1 (ko) 2006-06-27 2006-06-27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837A KR100766418B1 (ko) 2006-06-27 2006-06-27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418B1 true KR100766418B1 (ko) 2007-10-11

Family

ID=3942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837A KR100766418B1 (ko) 2006-06-27 2006-06-27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41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91B1 (ko) * 2007-10-23 2009-09-02 주식회사 에이엠오 백금족 금속 입자가 분산된 탄소 또는 흑연화 나노섬유 및그의 제조방법
KR100987728B1 (ko) 2008-07-14 2010-10-13 성안합섬주식회사 은 나노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제조된항균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7513B1 (ko) 2008-07-14 2012-06-20 성안합섬주식회사 은 나노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을 이용하여 제조된다기능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88507A3 (en) * 2010-12-23 2012-10-26 Foss Stephen W Fibers with improving anti-microbial performance
KR101264986B1 (ko) 2011-03-18 2013-05-27 성안합섬주식회사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이의제조방법
KR101264990B1 (ko) 2011-03-18 2013-05-27 성안합섬주식회사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아웃웨어 및 이의제조방법
US9878480B1 (en) 2014-06-24 2018-01-30 PurThread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king polymer feedstock usable for generation of fiber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US9908987B2 (en) 2013-08-12 2018-03-06 PurThread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polymer fibers, fabric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9953741B2 (en) 2013-01-22 2018-04-24 Bs Support Co., Ltd. Plastic molded product comprising copper-based compound micr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10080363B2 (en) 2010-10-18 2018-09-25 PurThread Technologies, Inc. Method for generating a halogen-stable anti-microbial synthetic fiber
KR102303269B1 (ko) 2020-04-10 2021-09-17 (주)서원테크 항균 및 자외선 차단 기능성 pet/pb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513753B1 (ko) 2022-05-30 2023-03-27 유한회사 대동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실리카-금속 나노입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9214A (ja) * 1989-02-28 1990-09-12 Kanebo Ltd 抗菌性合成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33668A (ko) * 2004-10-15 2006-04-19 나노폴리(주) 항균, 살균 및 냄새제거 기능을 갖는 금속의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농도 플라스틱 마스터뱃치 칩의 제조 및 그 성형품 제조방법
KR100576498B1 (ko) 2004-12-21 2006-05-10 주식회사 효성 샤넬사용 항균 복합사
KR20060118975A (ko) * 2005-05-18 2006-11-24 최재호 합성수지 재생물과 그 재생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9214A (ja) * 1989-02-28 1990-09-12 Kanebo Ltd 抗菌性合成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33668A (ko) * 2004-10-15 2006-04-19 나노폴리(주) 항균, 살균 및 냄새제거 기능을 갖는 금속의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농도 플라스틱 마스터뱃치 칩의 제조 및 그 성형품 제조방법
KR100576498B1 (ko) 2004-12-21 2006-05-10 주식회사 효성 샤넬사용 항균 복합사
KR20060118975A (ko) * 2005-05-18 2006-11-24 최재호 합성수지 재생물과 그 재생처리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91B1 (ko) * 2007-10-23 2009-09-02 주식회사 에이엠오 백금족 금속 입자가 분산된 탄소 또는 흑연화 나노섬유 및그의 제조방법
KR100987728B1 (ko) 2008-07-14 2010-10-13 성안합섬주식회사 은 나노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제조된항균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7513B1 (ko) 2008-07-14 2012-06-20 성안합섬주식회사 은 나노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을 이용하여 제조된다기능사 및 이의 제조방법
US10080363B2 (en) 2010-10-18 2018-09-25 PurThread Technologies, Inc. Method for generating a halogen-stable anti-microbial synthetic fiber
US10506805B2 (en) 2010-10-18 2019-12-17 PurThread Technologies, Inc. Method for generating a halogen-stable anti-microbial synthetic fiber
WO2012088507A3 (en) * 2010-12-23 2012-10-26 Foss Stephen W Fibers with improving anti-microbial performance
KR101264990B1 (ko) 2011-03-18 2013-05-27 성안합섬주식회사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아웃웨어 및 이의제조방법
KR101264986B1 (ko) 2011-03-18 2013-05-27 성안합섬주식회사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이의제조방법
US9953741B2 (en) 2013-01-22 2018-04-24 Bs Support Co., Ltd. Plastic molded product comprising copper-based compound micr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10096397B2 (en) 2013-01-22 2018-10-09 Bs Support Co., Ltd. Plastic molded product comprising copper-based compound micr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9908987B2 (en) 2013-08-12 2018-03-06 PurThread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polymer fibers, fabric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0508188B2 (en) 2013-08-12 2019-12-17 PurThread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polymer fibers, fabric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9878480B1 (en) 2014-06-24 2018-01-30 PurThread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king polymer feedstock usable for generation of fiber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KR102303269B1 (ko) 2020-04-10 2021-09-17 (주)서원테크 항균 및 자외선 차단 기능성 pet/pb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513753B1 (ko) 2022-05-30 2023-03-27 유한회사 대동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실리카-금속 나노입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418B1 (ko) 합성섬유 방사용 항균칩,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항균칩으로부터 제조된 항균사 및 원단
KR101555001B1 (ko) 라이오셀 섬유
CN100558952C (zh) 竹炭粘胶纤维及其制造方法
CN104689724B (zh) 一种有机无机复合纳米纤维膜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575448B (zh) 一种具有抗菌功能多孔无纺布的制备方法
KR101559392B1 (ko) 나노 입자의 일라이트와 복합 기능성 광물이 함유된 섬유 제조 방법
TWI751399B (zh) 再利用來自含有纖維素的初始物質之不溶性顆粒
CN111235681A (zh) 一种大黄素改性涤纶长丝及其制备方法
CN110230119A (zh) 一种抗菌涤纶纤维的制备方法
KR20070038939A (ko) 항균·항진균사, 항균향기·항진균향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106B1 (ko) 항균성 이형단면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66130A1 (ja) 抗菌性繊維及び抗菌性繊維の製造方法
CN111154236A (zh) 抗菌卫材纤维专用色母粒及其制备方法
CN106751582B (zh) 一种聚酯-聚乙烯双组份纤维用着色母料及其制备方法
WO2006016753A1 (en) Functional synthetic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8221183A (zh) 一种可降解磁性聚乳酸清洁擦拭布及其制备方法
CN208201298U (zh) 一种可降解磁性聚乳酸清洁擦拭布
KR101756911B1 (ko) 견운모함유 쉬쓰/코어형 복합필라멘트의 제조방법
CN1888158A (zh) 一种具有负离子远红外抗菌保健纤维及其制备方法
KR20160092294A (ko) 견운모함유 기능성 합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0780320B1 (ko) 기능성 광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US2048248A (en) Textil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609452B1 (ko) 항균력을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10565179A (zh) 一种芳香负离子锦纶长丝制备方法
CN105582744B (zh) 一种蚕丝纳米纤维过滤材料、其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