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133B1 -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133B1
KR100766133B1 KR1020060022972A KR20060022972A KR100766133B1 KR 100766133 B1 KR100766133 B1 KR 100766133B1 KR 1020060022972 A KR1020060022972 A KR 1020060022972A KR 20060022972 A KR20060022972 A KR 20060022972A KR 100766133 B1 KR100766133 B1 KR 10076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oker
shock absorbing
clip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180A (ko
Inventor
임병택
Original Assignee
(주)힌지코리아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힌지코리아,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힌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06002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1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압력밥솥의 주방 사용조건(경사면 사용조건 및 평면 사용조건)별 밥솥 뚜껑 개폐 기능상의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는 힌지장치로서, 본체와 뚜껑을 구비하는 전기 밥솥에 서, 전기 밥솥의 본체에 고정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에 축 지지 구멍이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임의의 개소에서 힌지 축에 끼워지고, 1개 또는 2개가 겹쳐져서 이루어진 한세트 이상의 충격흡수 클립; 축 지지 구멍과 상기 한세트 이상의 충격흡수 클립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힌지 축; 힌지 축에 제공되어 전기 밥솥의 뚜껑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힌지 축의 양단이 고정되기 위해 한편 상기 전기 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고정구; 그리고 충격흡수 클립을 운동 정지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경사면 사용조건에서는 취사 후 사용자가 밥솥 뚜껑을 추가로 올리지 않고도 밥을 풀 수 있는 완전 개방각에 근접하는 각도까지 열리도록 하여 화상요인의 제거를 포함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켜주고, 평면 사용조건에서는 효과적으로 열림 끝단 충격을 제거함으로서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밥솥 고장요인을 제거하여 주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전기 압력밥솥, 힌지장치, 충격흡수 클립, 힌지 축, 고정구, 걸림부

Description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HINGE DEVICE IN THE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이 전기밥솥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의 분해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이 설치된 밥솥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한 밥솥 뚜껑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밥솥 바닥이 수평조건에서의 밥솥 뚜껑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b는 밥솥 바닥이 경사조건에서의 밥솥 뚜껑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한 밥솥 뚜껑의 개방 각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해 밥솥 뚜껑의 개방 작용 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하는 작동 개념도로서, 뚜껑이 완전 폐쇄 상태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6b는 뚜껑이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6c는 뚜껑이 충격흡수 구간에 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한 밥솥 뚜껑의 폐쇄 각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a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해 밥솥 뚜껑의 폐쇄 작용 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하는 작동 개념도로서, 뚜껑이 완전 개방 상태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8b는 뚜껑이 제 2 충격흡수 시작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8c는 뚜껑이 제 2 충격흡수 시작 지점으로부터 완전 폐쇄지점 구간에 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9a는 종래 기술의 전기 밥솥 뚜껑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전기 밥솥이 수평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 개방 상태도, 도 9b는 경사진 거치대에서 경사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 개방 상태도,
도 10a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전기 밥솥 뚜껑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전기 밥솥이 수평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 개방 상태도, 도 10b는 경사진 거치대에서 경사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 개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 밥솥, 특히 전기 압력밥솥에 사용되는 충격흡수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밥솥의 뚜껑을 개방할 때 뚜껑이 적정 수준으로 감속되어 완전 개방 지점에서 충격없이 정지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일체식 충격흡수 클립을 포함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밥솥에서는, 걸음장치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어 있던 뚜껑이 걸음장치의 해제에 따라 본체와 뚜껑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힌지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회동 개방되고, 소정의 완전 개방 지점에서 본체와 뚜껑에 각각 형성된 멈춤부의 작용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발생한 뚜껑의 개방 회전력이 뚜껑의 개방 각도 증가에 수반되는 회전 가속력의 증가에 대응하여 적정 수준으로 댐핑되지 않으면, 완전 개방 지점에서 충격 소음을 동반한 정지충격이 발생함은 물론 뚜껑이 요동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상 사용상의 반복적 충격에 의해 전기 밥솥 내부의 전기회로에 손상을 발생시키거나 밥솥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발생한 뚜껑의 개방 회전력이 지나치게 감쇄되면 뚜껑이 소정의 완전 개방 지점까지 올라가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더 힘을 가해 개방상태가 유지되는 지점까지 끌어 올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발생하는 뚜껑의 개방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감속하기 위한 댐핑부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2005-99749호로 극복되었다.
하지만, 최근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주방환경이 고급화되고, 주방에서 전기 밥솥(전기 압력 밥솥을 포함)을 거치대에 올려 놓고 취사를 할 수 있는 쌀통의 사용이 보편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통상 사용시에는 쌀통으로부터 전방으로 당겨서 그 위에 전기 밥솥을 얹어놓고 사용한다. 이렇게 전방으로 당겨서 사용할 경우, 거치대가 일정 각도 하향으로 경사져서 그 위에 밥솥을 놓고 사용 하게 되는데, 이때 경사진 각도로 인해 밥솥의 뚜껑을 개방할 경우, 뚜껑이 경사각에 비례해서 뚜껑 폐쇄방향으로 하향 경사져서 개방되므로, 완전 개방하여 취사를 하고, 밥을 푸고, 내솥을 꺼낼 때, 뚜껑에 부주의하게 부딪혀 손을 다치거나 화상을 입는 등,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이외에, 도 8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힌지 작용을 설명한다.
도 9a는 종래 기술의 전기 밥솥(500)의 밥솥 뚜껑(600)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전기 밥솥(500)이 수평조건으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600) 개방 상태도, 도 9b는 경사진 거치대(700)에서 경사조건으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600) 개방 상태 도면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수평조건 및 경사조건 모두 완전 개방 지점까지 열리도록 힌지가 작용한다. 특히, 경사조건에서도 완전 개방 지점까지 열리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 힌지(800)로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만으로 개방 토크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상기 2가지의 사용조건 모두 완전 개방 지점에서 충격이 발생한다. 특히, 수평조건에서는 충격음을 동반한 완전 개방 지점 충격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매 사용시마다 반복되는 충격으로 밥솥 내부회로의 손상이 발생하여 수명 단축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경사조건에서 완전 개방 지점까지 열리는데 초점을 둔 상기한 힌지(800)의 경우, 개방 토크량을 높여 경사조건에서도 밥솥뚜껑이 완전 개방 지점까지 열리는 장점은 있으나, 수평상태에서는 완전 개방 지점의 충격이 과도하여 고장발 생, 내구성 저하 요인으로 작용한다.
도 10a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전기 밥솥(500)의 밥솥 뚜껑(600)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전기 밥솥(500)이 수평조건으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 개방 상태도, 도 10b는 경사진 거치대(700)에서 경사조건으로 놓여 있는 경우의 뚜껑(600) 개방 상태 도면이다.
이러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수평조건의 완전 개방 지점 충격 제거에 초점을 맞춘 힌지(800)로서, 수평조건에서는 충격없이 완전 개방 지점까지 열리지만, 도 10b와 같이 경사면 사용조건에서는 밥솥 뚜껑의 비스듬한 각도에서 두드러지게 작용하는 뚜껑 자중 및 기하학적인 하방 모멘트의 영향을 받아 완전 완전 개방각도의 대략 1/2 정도만 열리게 된다.
하지만, 주방가구의 일종인 쌀통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취사시 사용하는 밥솥 거치대(700)에서의 취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밥을 푸거나 내솥을 들어내려면 밥솥의 뚜껑이 덜 열린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추가로 뚜껑을 들어 올려 주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밥을 풀 때 부주의 할 경우 뜨거워져 있는 밥솥 뚜껑에 손 등에 화상을 입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평조건에서의 열림 끝단 충격만을 제거하는데 초점을 둔 상기한 힌지의 경우, 뚜껑 개방 토크를 수평 사용조건에서 완전 개방 순간의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 수준으로 낮추었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의한 스프링의 피로가 누적될 경우, 그로 인해 경사면 사용조건에서는 개방력 악화에 따라 개방각이 줄어드는 정도 가 타 힌지장치에 비해서 더욱 심해지는 단점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전기 밥솥을 올려놓고 취사를 할 수 있는 쌀통의 사용 등을 고려할 때, 수평조건에서는 밥솥의 뚜껑이 충격없이 열리고 쌀통의 밥솥 거치대에서의 경사조건에서도 완전 개방 지점까지 완전히 열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이상적인 뚜껑 작동 특성의 구현이 어려운 이유는 전기 압력밥솥 뚜껑의 무게가 일반 전기 밥솥에 비해 상당히 무겁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이상적인 뚜껑 작동특성을 전기 압력밥솥에 구현하려면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 또는 감속기어장치 등을 밥솥에 설치해야 하지만, 설치공간의 제약이나 제조비용 증가 등으로 구현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밥솥의 뚜껑이 완전 개방 지점에서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하여 수평 사용조건에서는 충격없이 완전 개방 지점까지 뚜껑이 열리고 경사 사용조건에서는 밥솥 뚜껑의 완전 개방 지점의 인접수준까지 열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취사할 때 그리고 취사 후 추가로 밥솥 뚜껑을 더 열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전기 밥솥 뚜껑의 매끄러운 개폐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뚜껑을 구비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전기 밥솥의 본체에 고정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에 축 지지 구멍이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임의의 개소에서 힌지 축에 끼워지고, 1개 또는 2개가 겹쳐져서 이루어진 한세트 이상의 충격흡수 클립; 축 지지 구멍과 상기 한세트 이상의 충격흡수 클립의 중심부를 억지끼움하여 관통하는 힌지 축; 힌지 축에 제공되어 전기 밥솥의 뚜껑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힌지 축의 양단이 고정되기위해 상기 전기 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고정구; 그리고 상기 한세트 이상의 충격흡수 클립을 운동 정지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세트 이상의 충격흡수 클립은, 충격흡수 클립이 2개로 겹쳐진 경우에는, 외측 클립과 내측 클립의 2중 클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걸림부는 제 1 걸림부와 제 2 걸림부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 클립은 제 1 걸림부와 제 2 걸림부에 각각 걸릴 수 있는 제 1 및 제 2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 클립이 밥솥 뚜껑 열림 끝단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열림동작 초기부터 일정 개방각 지점까지는 상기 충격흡수 클립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공회전하고, 열림 끝단에 근접한 일정각도 지점부터 열림 끝단 사이에서만 충격 흡수기능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전기밥솥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이 설치된 밥솥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와 뚜껑(20)을 구비하는 전기 밥솥(1)에 본 발명의 힌지장치(100)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전기 밥솥(1)의 뚜껑(20)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100)를 통해 본체(10)에 대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힌지장치(100)에 제공된 스프링(140,140')을 통해 전기 밥솥(1)의 뚜껑(2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본체(10)와 뚜껑(20)을 잠금하고 있는 걸음장치(도시생략)를 해제함으로서 전기 밥솥(1)의 뚜껑(20)은 힌지장치(10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들어 올려져 개방된다.
힌지장치(100)의 프레임(110)은 전기 밥솥(1)의 본체(10)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파스너용 구멍(112,112')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조립의 편의를 위해 전기 밥솥(1)의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맞물리는 가이드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힌지 축(130)을 수용하는 축 지지 구멍(111,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힌지 축(130)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힌지 축(130)의 임의의 개소, 바람직하게는 힌지 축(130)의 중앙에 1개 이상의 충격흡수 클립(4)이 끼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충격흡수 클립(4)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클립의 갯수, 설치 위치, 클립의 크기 및 형상은 밥솥 자체의 설계 특성, 밥솥의 무게, 뚜껑의 무게, 개방 각도, 사용조건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은 것으로서,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충격흡수 클립(4)의 몸체부분은 타원형상을 포함한 임의의 원형 형상으로 이 루어지고, 하나의 클립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내측 클립(40) 및 외측 클립(43)의 2중 클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2중 클립에 관해서만 예시할 것이나, 단일의 클립에 관하여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충격흡수 클립(4)은 고탄성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가진 강재 또는 다른 소재를 포함한다. 충격흡수 클립(4)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압착부분을 가진 클립으로서 외측 클립(43)이 내측 내측 클립(40)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측 클립(43)의 일단은 프레임(110)의 제 1 걸림부(51)에 걸리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단부를 형성하는 제 1 스토퍼(41)를 가지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내측 클립(40)의 일단은 밥솥 본체(10)의 일단(60)에 형성된 제 2 걸림부(61)에 걸리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단부를 형성하는 제 2 스토퍼(4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내측 클립(40)의 타단은 외측으로 약간 만곡되어서, 외측 클립(43)의 타단을 걸도록 되어 있다.
힌지 축(130)은 충격흡수 클립(4)의 원형(또는 타원형) 구멍에 억지끼움되어 클립(4)을 관통하고, 축 지지 구멍(111,111')에 끼워진다.
힌지 축(130)에는 전기 밥솥(1)의 뚜껑(20)이 개방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140,140')이 제공된다. 이 스프링(140,140')은 축 지지 구멍(111,111') 사이와 충격흡수 클립(4) 양쪽에 하나씩 힌지 축(130)에 끼워져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흡수 클립(4)의 설치 개소 및 갯수는 임의로서,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힌지 축(130)의 중앙에 한 개 배치한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고정구(150,150')가 전기 밥솥(1)의 뚜껑(20)에 설치되어서, 힌지 축(130)이 전기 밥솥(1)의 뚜껑(20)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00)가 장착된 전기 밥솥(1)의 수평조건 및 경사조건에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100)의 작용에 의한 밥솥 뚜껑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바닥이 수평조건에서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4b는 바닥이 경사조건에서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수평조건에서는 완전 개방 지점에서는 충격흡수 기능이 작용하며, 완전 개방 지점에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고 개방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경사조건에서는 취사 후 사용자가 밥솥 뚜껑을 추가로 올리지 않아도 되는 완전 개방 지점에 근접하는 각도까지 열리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와 화상 등에 대한 안전 효과를 높여준다. 또한, 효과적으로 충격을 제거함으로써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밥솥 고장 요인을 제거하여 주고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다음에,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밥솥 뚜껑의 개방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한 밥솥 뚜껑의 개방 각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해 밥솥 뚜껑의 개방 작용 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하는 작동 개념도로서, 뚜껑이 완전 폐쇄 상태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6b는 뚜껑이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에 도달 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6c는 뚜껑이 충격흡수 구간에 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밥솥 뚜껑의 개방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폐쇄 지점(CLP)에 있던 뚜껑(20)을 뚜껑 열기 버튼(도시생략)을 눌러 뚜껑(20)이 열리기 시작하여 완전 개방 지점(OPP)에 도달한다. θ1은 충격흡수 작용이 시작되기 이전의 폐쇄 지점(CLP)에서부터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1)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θ2는 충격흡수 작용이 시작된 이후의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1)에서부터 완전 개방 지점(OPP)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밥솥 뚜껑(20)이 폐쇄 지점(CLP)에 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4)의 작동은, 제 2 스토퍼(42)와 밥솥 본체(10)의 일단(60)에 형성된제 2 걸림부(61)가 맞닿아 있게 되며, 이때 축 중심선(71), 제 2 스토퍼(42), 제 2 걸림부(61)는 일직선을 이룬다(도 6a 참조).
밥솥 뚜껑의 개방작동은, 사용자가 밥솥 뚜껑 열기 버튼을 눌러 밥솥 뚜껑(20)이 열리기 시작하면, 밥솥 뚜껑(20)에 회전축에 지지되어 있는 힌지 축(130) 또한 뚜껑(20)의 개방 방향으로 같이 회전하게 된다. 힌지 축(130)을 강하게 물고 있는 충격흡수 내측 클립(40)도 힌지 축(130) 회전각도 θ1만큼 같이 회전하게 되며,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1)에 도달했을 때, 충격흡수 내측 클립(40)은 공회전하기 때문에 뚜껑(20)의 회전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뚜껑(20)이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1)에 도달하면, 제 1 스토퍼(41)와 제 1 걸림부(51)가 맞닿게 되며 이때 축 중심선(71)과 제 2 스토퍼(42)는 일직선을 이룬다(도 6b 참조).
충격흡수 구간(θ2)에서의 작동은, 완전 개방 지점(OPP)쪽으로 열리던 뚜껑(20)이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1)에 도달하면, 제 1 스토퍼(41)가 제 1 걸림부(51)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되며, 그 이후부터 완전 개방 지점(OPP)까지는 힌지 축(130)만 회전하게 된다. 힌지 축(130)이 θ2 구간을 회전할 때는 충격흡수 내측 클립(40)의 강한 압착력을 받으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힌지 축(130)의 회전방향으로 같이 열리는 밥솥뚜껑(20)은 자연히 이동속도가 급속히 감소하면서 완전 개방 지점(OPP)에서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도 6c 참조).
이때의 θ2는 완전 개방 지점(OPP) 전방의 작은 각도에서만 존재하기 때문에 이전 구간(θ1)에서의 감속이 없이도 완전 개방 지점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적 수단을 제공하게 되며, 부수적으로는 경사면 사용조건에서도 밥솥 개방 각도를 최대화시키는데 유용하다. 이때 θ2의 각도가 너무 크면, 밥솥의 경사면 사용조건에서 뚜껑(20)이 끝까지 열리는데 지장을 주므로 θ2의 적절한 각도 크기는 제 1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1)으로부터 완전 개방 지점(OPP)까지 10도~15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7,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밥솥 뚜껑의 폐쇄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한 밥솥 뚜껑의 폐쇄 각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의 충격흡수 클립의 작용에 의해 밥솥 뚜껑의 폐쇄 작용 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하는 작동 개념도로서, 뚜껑이 완전 개방 상태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8b는 뚜껑이 제 2 충격흡수 시작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8c는 뚜껑이 제 2 충격흡수 시작 지점으로부터 완전 폐쇄지점 구간에 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의 확대 단면도이다.
밥솥 뚜껑의 폐쇄 작동을 설명하면, 밥솥 뚜껑(20)을 닫을 때, 완전 개방 지점(OPP)에서부터 폐쇄 지점(CLP)까지, θ3는 도 4의 θ1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θ4는 도 4의 θ2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제 2 충격흡수 지점(SASP2)은 도 5에서의 제 1 충격흡수 지점(SASP1)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지점으로서 세부 작동 개념을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뚜껑(20)이 완전 개방 지점(OPP) 위치에 있을 때의 충격흡수 클립(4)은, 제 1 스토퍼(41)가 제 1 걸림부(51)와 맞닿아 있으며, 축 중심선(71)과 제 1 스토퍼(41)는 일직선으로 되며 충격흡수 클립(4) 일체가 도 6c의 조건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도 8a 참조).
사용자가 뚜껑(20)을 닫기 시작하여 제 2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2)에 도달할 때 제 2 스토퍼(42)가 제 2 걸림부(61)에 닿게 되며, 힌지 축(130)을 물고 같이 회전하던 충격흡수 내측 클립(40)은 더 이상 같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제 1 스토퍼(41)는 축 중심선(71)과 일직선을 이룬다. 또한, θ3은 도 6b의 θ1과 동일한 크기의 각도를 갖는다(도 7b 참조).
그리고, 제 2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2)으로부터 폐쇄 지점(CLP) 구간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8b와 같이, 제 2 충격흡수 시작 지점(SASP2)에서 내측 클립(40) 은 정지상태가 되고, 그 지점으로부터는 힌지 축(130)만 θ4만큼 회전하게 되며, 이때의 θ4는 도 6c의 θ2와 동일한다. 이때 축 중심선(71)은 제 2 스토퍼(42)와 제 2 걸림부(61)가 맞닿는 선과 일직선을 이루게 되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 기능부 일체가 밥솥 뚜껑(20)을 열기 직전의 상태와 동일한 조건이 된다(도 8c 참조).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경사조건에서는 취사 후 사용자가 밥솥 뚜껑을 추가로 올리지 않아도 되는 완전 개방 지점에 근접하는 각도까지 열리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와 화상 등에 대한 안전 효과를 높여준다. 또한, 수평 사용조건에서는 효과적으로 열림끝단 충격을 제거해 줌으로서 반복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회로 손상 등의 밥솥 고장요인을 없애주고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Claims (7)

  1. 본체 그리고 본체를 개폐하는 본체 뚜껑을 구비하는 전기 압력밥솥에 사용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본체에 대한 본체 뚜껑의 개방시 회전축으로 기능하는 힌지축;
    본체 뚜껑을 개방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그리고
    힌지축과 함께 회전하며, 힌지축의 회전에 따라 정지되어 계속 회전하는 힌지축에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힌지축에 결합되는 충격흡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 클립은 본체 뚜껑의 개방시 본체에 걸림되어 정지되는 제1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 클립은 본체 뚜껑의 개방시, 초기에는 힌지축과 함께 구속없이 회전하고, 이후 힌지축에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힌지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 클립은 본체 뚜껑의 폐쇄시 본체에 걸림되어 정지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 클립은 힌지축 측에 위치하는 내측 클립과, 내측 클립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 클립은 제1 스토퍼가 형성되는 내측 클립;과 제2 스토퍼가 형성되는 외측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본체에 고정되며, 힌지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제2 스톱퍼와 연동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KR1020060022972A 2006-03-13 2006-03-13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KR10076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972A KR100766133B1 (ko) 2006-03-13 2006-03-13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972A KR100766133B1 (ko) 2006-03-13 2006-03-13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29U Division KR200423959Y1 (ko) 2006-03-13 2006-03-13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180A KR20070093180A (ko) 2007-09-18
KR100766133B1 true KR100766133B1 (ko) 2007-10-17

Family

ID=3868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972A KR100766133B1 (ko) 2006-03-13 2006-03-13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83B1 (ko) 2011-10-20 2014-02-10 쿠쿠전자주식회사 회전각도별 댐핑조절장치 및 그가 구비된 전기조리기
KR20180000470A (ko)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밥솥의 힌지 매커니즘
KR20200084966A (ko) 2019-01-03 2020-07-14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상향 개폐방식 도어의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76972A1 (en) * 2022-03-01 2023-09-07 J.C. UNI-Tec, Inc. Pressure cook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332U (ja) 1984-03-13 1985-10-0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ジヤ−の蓋開放機構
JPH09192006A (ja) * 1996-01-24 1997-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0221569Y1 (ko) 1998-12-19 2001-06-01 구자홍 압력밥솥의 힌지부 보강구조
KR20040040182A (ko) * 2002-11-06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
KR200406892Y1 (ko) 2005-10-21 2006-01-24 (주)힌지코리아 전기밥솥용 힌지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332U (ja) 1984-03-13 1985-10-0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ジヤ−の蓋開放機構
JPH09192006A (ja) * 1996-01-24 1997-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0221569Y1 (ko) 1998-12-19 2001-06-01 구자홍 압력밥솥의 힌지부 보강구조
KR20040040182A (ko) * 2002-11-06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
KR200406892Y1 (ko) 2005-10-21 2006-01-24 (주)힌지코리아 전기밥솥용 힌지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83B1 (ko) 2011-10-20 2014-02-10 쿠쿠전자주식회사 회전각도별 댐핑조절장치 및 그가 구비된 전기조리기
KR20180000470A (ko)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밥솥의 힌지 매커니즘
KR20200084966A (ko) 2019-01-03 2020-07-14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상향 개폐방식 도어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180A (ko)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133B1 (ko)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TWI373544B (en) Washing machine
JP2011517477A (ja) 家具部品の開閉動作を減衰する減衰装置
KR200423959Y1 (ko) 전기 압력밥솥의 힌지장치
CN210685670U (zh) 阻尼铰链及门体开合结构
FR2793537A1 (fr) Amortisseur de vibrations de torsion
KR200421868Y1 (ko) 작동복귀도어용 댐퍼힌지장치
JP2524717B2 (ja) 洋式便器の便蓋等の開閉装置
KR200406892Y1 (ko) 전기밥솥용 힌지 모듈
JPH09238756A (ja) 収納部昇降支持装置
KR100731783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KR100735040B1 (ko) 밀폐도어 및 도어의 완충힌지장치
CN209846856U (zh) 烹饪器具
KR200357044Y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01884303B1 (ko) 시트와 커버용 댐퍼를 갖는 좌변기
CN107080454B (zh) 蒸煮器具
JP2000142480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フードの開閉装置
KR200445166Y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
CN218942879U (zh) 一种电水壶
CN216741143U (zh) 烤箱的门铰链装置及烤箱
KR200402393Y1 (ko) 밀폐도어 및 도어의 완충힌지장치
CN210439848U (zh) 一种铰链
KR101124464B1 (ko) 도어 회전 장치
KR200424023Y1 (ko) 도어 힌지
KR100968539B1 (ko) 차량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