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947B1 -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 Google Patents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947B1
KR100765947B1 KR1020060118806A KR20060118806A KR100765947B1 KR 100765947 B1 KR100765947 B1 KR 100765947B1 KR 1020060118806 A KR1020060118806 A KR 1020060118806A KR 20060118806 A KR20060118806 A KR 20060118806A KR 100765947 B1 KR100765947 B1 KR 100765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lange
drain
drainage
bucke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102006011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유닛은, 버켓(10)의 상방에 배치되는 결합링(22)과, 버켓의 하방에서 결합링과 결합되는 고정플랜지(50)와, 고정플랜지와 그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배수통(52)과, 고정플랜지 및 배수통에 의해 지지되어 버켓의 저면에 밀착되는 패킹링(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단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평받침부(501)가 구비되고, 수평받침부의 아래쪽에 외향 걸림턱부(50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통은 그 상단에 고정플랜지의 수평받침부 외측에 배치되는 가아드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아드부 아래쪽에는 상기 외향 걸림턱부와 걸리는 내향 걸림턱부(52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킹링은 고정플랜지의 수평받침부와 배수통의 가아드부가 조합되어 형성하는 장착홈(50a)에 장착됨으로써 버켓과 배수통간의 실링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플랜지와 배수통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통의 실링구조가 강화되고, 고정플랜지와 배수통간의 결합이 견고해지기 때문에, 오수가 누수될 우려가 현저히 감소되고, 고정플랜지와 배수통이 분리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drainage unit of sink}
도 1은 일반적인 배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식 배수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유닛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유닛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켓 30: 패킹링
50: 고정플랜지 50a: 장착홈
501: 수평받침부 502: 외향 걸림턱부
503: 수직 걸림편부 52: 배수통
521: 가아드부 522: 내향 걸림턱부
523: 내부 걸림편부
본 발명은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식 배수통의 실링구조가 강화되고, 보다 견고하게 구성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요리나, 설거지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버켓(bucket)(10)과, 상기 버켓(10)에 장착된 배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수유닛은 설거지 등을 할 때 버켓(10)으로 버려지는 오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찌꺼기를 거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버켓(10)의 하면에 부착되는 배수통(20)과, 버켓(10)의 상면에서 배수통(20)과 결합되는 결합링(22), 배수통(20)에 내장되는 필터망(24), 배수통(20)의 하단에 연결된 악취유입방지구(일명 유트랩:U-trap)(26)와, 버켓(10)의 측면으로부터 배수통(20)으로 이어진 오버플로우배관(2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배수유닛에 의하면, 설거지 등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수가 배수통(20)을 통해 배출되며, 오수에 섞인 음식찌꺼기는 필터망(24)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악취유입방지구(26)에 의하면 배수통(20)으로부터 배출된 오수가 그 내부에 일정량 머물러 있게 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역유입되는 악취가스가 차단된다.
그리고, 오버플로우배관(28)은, 주름관 형태로서 버켓(10)의 측면에 그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배수통(20)의 측면에 연결되는데, 이에 의하면 오수가 버켓(10) 내에서 과도하게 차오르는 경우에 배수통(20)으로 오버플로우 시킴으로써 버켓(10)에서 오수가 흘러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상기 배수통의 장착구조는, 버켓(10)의 상방에 배치된 결합링(22)과 버켓(10)의 하방에 배치된 배수통(20)이 버켓(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수통(20)과 버켓(10)의 저면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패킹링(30)이 개재된다.
한편, 배수통(20)의 장착시에는 배수통(20) 또는 결합링(2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 서로 나사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배수통(20)이 결합링(22)과 최종결합된 상태에서는 오버플로우배관(28)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포트(201)가 버켓(10)에 설치된 오버플로우배관(28) 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수통(20)을 장착하고, 배수통(20)과 오버플로우배관(28)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오버플로우배관(28)이 주름관의 특성상 약간의 신축은 가능하지만 신축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배수통(20)의 연결포트(201)와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게 되면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수통(20)을 결합링(22)과 최종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포트(201)의 방향이 잘못되어 오버플로우배관(28)과의 연결이 어려울 때에는 배수통(20)과 결합링(22)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느슨하게 한 다음, 배수통(20)을 돌려서 연결포트(201)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서 다시 결합링(22)과 배수통(20)을 결합시 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식 배수통이 구비된 배수유닛이 안출된 바 있다.
종래의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배수유닛은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결합링(22)과 나사결합되어 버켓(10)의 저면과 밀착되는 밀착되는 고정플랜지(40) 및 상기 고정플랜지(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식 배수통(4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고정플랜지(40)의 측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수평걸림편부(4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식 배수통(42)의 상단에는 고정플랜지(40)의 수평걸림편부(401)에 수평방향으로 걸리는 수직걸림편부(421)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패킹링(30)은 고정플랜지(4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40a)에 장착되어 버켓(10)의 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고정플랜지(40)의 하단에는 외향 걸림턱부(402)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통(42)의 상단에는 내향 걸림턱부(422)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바, 고정플랜지(40)의 하단이 배수통(42)의 안쪽으로 끼워지면 외향 걸림턱부(402)가 내향 걸림턱부(422)를 타고 아래로 내려가 외향 걸림턱부(402)의 상면과 내향 걸림턱부(422)의 하면이 교접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고정플랜지(40)와 배수통(42)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배수통(42)을 장착한 다음 회전시켜서 연결포 트(423)와 오버플로우배관(28)이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오버플로우배관(28)을 연결포트(423)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배수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플랜지(40)와 결합링(22)을 연결하거나, 배수통(42)에 오버플로우배관(28)을 연결하는 등의 작업은 버켓(10)이 설치된 현장에서 진행하게 되는데, 고정플랜지(40)를 결합링(22)과 연결할 때에는 고정플랜지(40)에 결합된 배수통(42)을 잡고 돌리게 되며, 배수통(42)의 수직걸림편부(421)에 의해 고정플랜지(40)의 수평걸림편부(401)가 밀려서 고정플랜지(40)가 배수통(42)을 따라 돌게 됨으로써 고정플랜지(40)와 결합링(22)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고정플랜지(40)와 결합링(22)이 완전히 결합된 다음에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배수통(42)을 양 걸림편부(401)(421)가 서로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적절히 회전시켜서 연결포트(423)가 오버플로우배관(28)과 근접되는 위치에 오도록 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고정플랜지와 배수통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랜지(40)의 하단이 배수통(42)의 안쪽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외향 걸림턱부(402)가 내향 걸림턱부(422)를 타고 아래로 내려가 외향 걸림턱부(402)의 상면과 내향 걸림턱부(422)의 하면이 교접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고정플랜지(40)가 배수통(42)의 상방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고정플랜지(40)와 배수통(42)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랜지(40)의 하단은 배수통(42)의 안쪽에서 내향 걸림턱부(422) 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하향방지 부(424)에 걸리게 됨으로써 배수통(42)의 아래쪽으로 과도하게 내려가지 않게 된다.
즉, 고정플랜지(40)와 배수통(42)이 양 걸림턱부(402)(422)에 의해 결속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양 걸림턱부(402)(422)의 교접면이 밀착됨으로써 고정플랜지(40)와 배수통(42)간의 연접부위를 통한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외향 걸림턱부(402)와 내향 걸림턱부(422)의 교접면(외향 걸림턱부의 상면과 내향 걸림턱부의 저면)은 수평기준선에 대해 일정한 각도(θ)(약 45°)만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배수통(42)의 성형과정에서 배수통 내부에 배치된 내부금형을 배수통의 성형이 완료된 다음 배수통 내부로부터 빼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외향 걸림턱부(402)와 내향 걸림턱부(422)의 교접면이 수평을 이루면 서로간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해지겠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에 있어서는 배수통(42)을 성형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양 걸림턱부(402)(422)의 교접면이 기울어진 각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양 걸림턱부(402)(422)의 교접면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특성상, 고정플랜지(40)와 배수통(42)의 결합력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오수의 배수압력에 의해, 배수통(42)이 고정플랜지(40)로부터 이탈될 수 도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앞서 말한바와 같이 고정플랜지(40)를 결합링(22)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배수통(42)을 잡고 고정플랜지(40)를 돌리게 되므로,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충 격 등에 의해 고정플랜지(40)에서 배수통(42)이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패킹링(30)이 고정플랜지(40)에 대해서만 실링작용을 수행하며, 고정플랜지(40)와 배수통(42)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양 걸림턱부(402)(422)가 교접되는 구조에 의해서만 누수방지 작용을 기하기 때문에 양 걸림턱부(402)(422)의 교접면이 정밀하게 가공되어 밀착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간극이 발생하여 통해 오수가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배수통의 실링구조가 강화되고, 고정플랜지와 배수통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은, 버켓의 상방에 배치되는 결합링과, 버켓의 하방에서 상기 결합링과 나사결합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그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는 배수통과, 상기 고정플랜지 및 배수통에 의해 지지되어 버켓의 저면에 밀착되는 패킹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플랜지는 그 상단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평받침부가 구비되고, 수평받침부의 아래쪽에 외향 걸림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통은 그 상단에 고정플랜지의 수평받침부 외측에 배치되는 가아드부가 형성 되고, 상기 가아드부 아래쪽에는 상기 외향 걸림턱부와 걸리는 내향 걸림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킹링은 고정플랜지의 수평받침부와 배수통의 가아드부가 조합되어 형성하는 장착홈에 장착됨으로써 버켓과 배수통간의 실링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플랜지와 배수통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상기 고정플랜지의 외향 걸림턱부와, 배수통의 내향 걸림턱부는 서로간의 교접면이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통의 내향 걸림턱부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배수통을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랜지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직 걸림편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통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플랜지의 수직 걸림편부와 수평방향으로 걸리는 내부 걸림편부가 돌출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유닛은, 도 3과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버켓(10)의 상방에 배치되는 결합링(22)과, 버켓(10)의 하방에서 상기 결합링(22)과 나사결합되는 고정플랜지(50)와, 상기 고정플랜지(50)와 그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는 배수통(52)과, 상기 고정플랜지(50) 및 배수통(52)에 의해 지지되어 버켓(10)의 저면에 밀착되는 패킹링(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랜지(50)는 그 상단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평받침부(501)가 구비되고, 수평받침부(501)의 아래쪽에 외향 걸림턱부(50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수평받침부(501)는 고정플랜지(50)의 상단에서 일정거리 만큼 아래로 내려온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통(52)은 그 상단에 고정플랜지(50)의 수평받침부(501) 외측에 배치되는 가아드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아드부(521) 아래쪽에는 상기 외향 걸림턱부(502)와 걸리는 내향 걸림턱부(52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고정플랜지(50)와 배수통(52)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랜지(50)의 상단과 수평받침부(501) 및 배수통(52)의 가아드부(521)는 조합되어 장착홈(50a)을 형성하게 되고, 패킹링(30)은 상기 장착홈(50a)에 장착된다.
패킹링(30)은 고정플랜지(50)가 걸림링(22)과 결합되면 버켓(10)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배수통(52)과 버켓(10) 사이의 실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고정플랜지(50)의 외향 걸림턱부(502)와, 배수통(52)의 내향 걸림턱부(522)는 서로간의 교접면(외향 걸림턱부의 상면과 내향 걸림턱부의 저면)이 수평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향 걸림턱부(502)의 저면과 내향 걸림턱부(522)의 상면은 배수통(52)에 고정플랜지(50)를 끼우는 과정에서 외향 걸림턱부(502)가 내향 걸림턱부(522)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향 걸림턱부(502)는 고정플랜지(5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향 걸림턱부(522)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배수통(5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향 걸림턱부(522)가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은 그 저면이 수평인 구조상 배수통(52)의 성형과정에서 배수통(52) 내에 배치된 내부금형을 배수통(52)의 성형이 완료된 다음 배수통(52) 내부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플랜지(5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직 걸림편부(503)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통(52)의 내면에는 상기 수직 걸림편부(503)와 수평방향으로 걸리는 내부 걸림편부(523)가 돌출형성된다.
고정플랜지(50)와 배수통(52)이 결합되면, 배수통(52)의 내향 걸림턱부(522)가 고정플랜지(50)의 수평받침부(501)와 외향 걸림턱부(502)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수평받침부(501)가 내향 걸림턱부(522)에 의해 받쳐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킹링(30)에 의해 버켓(10)과 배수통(52) 사이의 실링이 견고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정플랜지(50)와 배수통(52) 사이의 간극이 차단되므로, 배수통(52)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누수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고정플랜지(50)의 외향 걸림턱부(502)와 배수통(52)의 내향 걸림턱부(522)의 교접면이 수평이기 때문에 특히 수직방향의 압력에 대해 강한 버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오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배수통(52)이 고정플랜지(50)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오수에 의한 수압 뿐만 아니라 결합링과 고정플랜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배수통(52)을 잡고 돌리게 됨으로써 배수통(52)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 수통(52)의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결합링(22)과 고정플랜지(50)의 결합을 위해 배수통(52)을 잡고 돌리게 되면, 배수통(52)의 내부 걸림편부(523)가 고정플랜지(50)의 수직 걸림편부(503)에 수평방향으로 걸려서 밀리게 됨으로써 고정플랜지(50)가 배수통(52)을 따라 돌게 된다.
그리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수평받침부(501)가 외향 걸림턱부(502)에 의해 받쳐지는 구조상, 고정플랜지(50)와 배수통(52)의 결합시 고정플랜지(50)가 배수통(52) 안쪽으로 깊게 들어가지 않고 제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고정플랜지(50)와 배수통(52)의 결합시 고정플랜지(50)가 배수통(52) 안쪽으로 지나치게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었던 하향방지부(424)(도 2참조)와 같은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유닛에 따르면, 배수통의 실링구조가 강화되고, 고정플랜지와 배수통간의 결합이 견고해지기 때문에, 오수가 누수될 우려가 현저히 감소되고, 고정플랜지와 배수통이 분리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버켓의 상방에 배치되는 결합링과,
    버켓의 하방에서 상기 결합링과 나사결합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그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는 배수통과,
    상기 고정플랜지 및 배수통에 의해 지지되어 버켓의 저면에 밀착되는 패킹링
    을 포함하는 배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는 그 상단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평받침부가 구비되고, 수평받침부의 아래쪽에 외향 걸림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통은 그 상단에 고정플랜지의 수평받침부 외측에 배치되는 가아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아드부 아래쪽에는 상기 외향 걸림턱부와 걸리는 내향 걸림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킹링은 고정플랜지의 수평받침부와 배수통의 가아드부가 조합되어 형성하는 장착홈에 장착됨으로써 버켓과 배수통간의 실링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플랜지와 배수통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의 외향 걸림턱부와, 배수통의 내향 걸림턱부는 서로간의 교접면이 수평을 이루는 형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내향 걸림턱부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배수통을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직 걸림편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통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플랜지의 수직 걸림편부와 수평방향으로 걸리는 내부 걸림편부가 돌출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KR1020060118806A 2006-11-29 2006-11-29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KR10076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806A KR100765947B1 (ko) 2006-11-29 2006-11-29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806A KR100765947B1 (ko) 2006-11-29 2006-11-29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947B1 true KR100765947B1 (ko) 2007-10-10

Family

ID=3941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806A KR100765947B1 (ko) 2006-11-29 2006-11-29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9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42Y1 (ko) 2011-03-15 2011-08-19 박일선 싱크대의 배수유닛
KR101126336B1 (ko) * 2009-08-05 2012-03-21 손현미 싱크대 배수유닛
KR101935790B1 (ko) * 2018-05-31 2019-04-03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2051087B1 (ko) 2019-04-15 2019-12-0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190002965U (ko) * 2018-05-25 2019-12-04 신세욱 싱크대용 배수통 체결 구조
KR102074503B1 (ko) 2019-06-27 2020-02-06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220063058A (ko) 2020-11-09 2022-05-17 (주)와이비케이 싱크대와 배수통의 설치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344A (ja) * 1991-09-03 1993-03-12 Nec Ibaraki Ltd 電子部品接続装置
KR970025489A (ko) * 1995-11-10 1997-06-24 히로노부 도미오카 주방용 싱크대
KR20060020718A (ko) * 2006-02-16 2006-03-06 송재섭 고정 및 이동 혼합 씽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344A (ja) * 1991-09-03 1993-03-12 Nec Ibaraki Ltd 電子部品接続装置
KR970025489A (ko) * 1995-11-10 1997-06-24 히로노부 도미오카 주방용 싱크대
KR20060020718A (ko) * 2006-02-16 2006-03-06 송재섭 고정 및 이동 혼합 씽크대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실용 평5-63344호
한국공개특허 제1997-0025489호
한국공개특허 제2006-0020718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36B1 (ko) * 2009-08-05 2012-03-21 손현미 싱크대 배수유닛
KR200455142Y1 (ko) 2011-03-15 2011-08-19 박일선 싱크대의 배수유닛
KR20190002965U (ko) * 2018-05-25 2019-12-04 신세욱 싱크대용 배수통 체결 구조
KR200491261Y1 (ko) 2018-05-25 2020-03-10 신세욱 싱크대용 배수통 체결 구조
KR101935790B1 (ko) * 2018-05-31 2019-04-03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2051087B1 (ko) 2019-04-15 2019-12-0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2074503B1 (ko) 2019-06-27 2020-02-06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220063058A (ko) 2020-11-09 2022-05-17 (주)와이비케이 싱크대와 배수통의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947B1 (ko) 회전식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유닛
GB2475297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WO2016185375A1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JP2008088630A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RU2695456C2 (ru)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раковин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126336B1 (ko) 싱크대 배수유닛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1830672B1 (ko) 오수받이
KR200482345Y1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20180070274A (ko) 싱크대의 누수방지 배수유닛
KR101272416B1 (ko) 다용도 오폐수 침전조 오수받이 맨홀
JP2004244981A (ja) 排水トラップ
KR101109290B1 (ko) 복수 씽크대용 분리형 유트랩
JP2003321860A (ja) 排水トラップ
KR20100033033A (ko) 다기능 배관연결구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JP3112329U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20120010320A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395063Y1 (ko) 싱크대용 배수관
JP6532417B2 (ja) 雨水ます
JP2002242254A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