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228B1 -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228B1
KR100765228B1 KR1020060088449A KR20060088449A KR100765228B1 KR 100765228 B1 KR100765228 B1 KR 100765228B1 KR 1020060088449 A KR1020060088449 A KR 1020060088449A KR 20060088449 A KR20060088449 A KR 20060088449A KR 100765228 B1 KR100765228 B1 KR 10076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hair
desk plate
support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원
Original Assignee
선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47B39/023Adjustable forms with adjustable spacing between table and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책상판(6)의 저부 양측에 갖는 좌우안내대(6a)(6b)사이에 받침틀(4)의 수평부(10)가 갖는 좌우안내봉(10a)(10b)이 결합되게 하여 책상판(6)이 전후로 슬라이딩 되게 하고, 상기 책상판의 저부 전후에는 받침틀(4)의 걸림봉(10c)을 사이에 두고 걸림편(6c)(6d)이 돌출형성되게 하여 전후 슬라이딩거리가 주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책상판(6)의 위치조정을 위한 구조와 조립공정을 간단히 하여 제작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 또 책상판의 위치조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받침틀이 견고하여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DESK BOARD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ONE UNITED DESK-CHAIR FOR LECTURE ROOM}
도 1 :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 책상판의 후퇴시 측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책상판의 전진시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 (2)--의자
(4)--받침틀 (6)--책상판
(6a)(6b)--안내대 (6c)(6d)--걸림편
(8)--공간부 (10)--수평부
(10a)(10b)--안내봉 (10c)(10d)--걸림봉
(12)--경사부
본 발명은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책상판의 위치조정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은 주로 학원이나 대학교등의 강의실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좌판과 등판을 갖는 의자의 전방에 책상판을 연결설치하여 의자와 책상판 사이에 갖는 공간부를 통하여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의자와 책상판 사이에는 공간부, 즉 의자와 책상판 사이의 간격이 사용자의 체형에 비해 넓을 경우 출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으나 책상판이 의자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또 좁을 경우에는 출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책상판이 너무 가까이 위치하여 이역시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게 되므로 제작시 사용연령대의 평균체형에 맞춰 제작해 준다 하더라도 대부분 성장기의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있는 점과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 비만인들을 고려할때 상당수 이용자들은 사용상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이에 본건 발명자는 의자로부터 책상판의 위치조정으로 의자와 책상판 사이에 갖는 공간부를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넓혀 주거나 또는 좁혀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에 대하여 이미 특허 제568459호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 특허 제568459호는 의자에 책상판을 연결하기 위한 받침틀과 지지대를 각각 굵기가 다른 두개의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의 볼트공을 통하여 내측 파이프의 안내장공을 관통하는 죄임구로 구성하여 받침틀과 지지대의 길이조정으로 의자와 책상판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은 목적달성은 이룰 수 있다 하겠으나 받침틀과 지지틀을 구성하는데 각각 굵기가 다른 두개의 파이프와 죄임구를 필요로 하고 또 상기 죄임구를 결합해 주기 위한 볼트공과 안내장공을 가공형성해 주어야 하므로 제작시 부품의 구입 및 가공비용상승과 늘어난 공정수로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또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간격조정시에는 받침틀과 지지대가 갖는 죄임구를 이완시켜서 의자와 책상판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정하여 조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죄임구를 죄여서 고정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받침틀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죄임구와 안내장공에 의해 길이가 조정가능케 구성될 경우 지지력 약화로 이어져 죄임구를 힘껏 죄여준다 하더라도 책상판에 걸터앉거나 또는 기대는 등의 행위로 큰 힘이 가해지게 되면 지지대는 쉽게 지지력 상실로 이어지게 되므로 매우 위험하고 또 재조정해 주는데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많은 결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결점들을 없애 주기 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의자로부터 책상판의 위치를 조정해 줄 수가 있어 제작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또 책상판의 위치조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을 뿐 아니라 책상판의 지지력 약화우려가 없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가 있는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판의 저부 양측에 갖는 안내대 사이에 받침틀이 갖는 좌우안내봉이 결합되게 하여 책상판이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하고 또 상기 책상판의 저부 전후에는 받침틀의 걸림봉을 사이에 두고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게 하여 책상판의 슬라이딩거리가 주어지도록 한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A)은 의자(2) 전방에 받침틀(4)을 이용하여 책상판(6)이 연결설치되고 또 상기 의자(2)와 책상판(6) 사이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공간부(8)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8)를 통하여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로서, 책상판(6)를 받쳐주는 받침틀(4)은 수평부(10)와 경사부(12)로 구성되어 서로 간에는 물론 의자(2)와도 용접고정되는데 그중 수평부(10)는 좌우에 두개의 안내봉(10a)(10b)이 나란히 형성되고 또 좌우안내봉(10a)(10b) 사이에는 전후 적정간격 유지하는 걸림봉(10c)(10d)이 형성된다.
한편 책상판(6)은 저부 양측에 위치를 달리하여 안내대(6a)(6b)가 나란히 고정형성되고 그 전후에는 받침틀(4)의 전후 걸림봉(10c)(10d) 사이에 갖는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걸림편(6c)(6d)이 고정형성되게 하여 상기 안내대(6a)(6b)에 받침틀(4)의 안내봉(10a)(10b)이 결합되게 하고 또 그 전후에 갖는 걸림편(6c)(6d) 사이에는 걸림봉(10c)(10d)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제작시 의자(2)에 용접고정되는 받침틀(4)의 좌우안내봉(10a)(10b)이 책상판(6)이 갖는 좌우안내대(6a)(6b)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책상판(6)의 저부 전후에는 받침틀(4)의 걸림봉(10c)(10d)을 사이에 두고 걸림편(6c)(6d)을 연결고정해 주는 것으로 조립완료된다.
이때 책상판(6)을 받쳐주는 받침틀(4)의 수평부(10)와 경사부(12)는 서로간에는 물론 의자(2)와도 용접고정되어 있어 견고하고 강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받침틀(4)을 구성하는 수평부(10)와 경사부(12)는 각각 굵기가 일정한 하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또 책상판(6)을 위치조절가능케 연결하는데에는 안내대(6a)(6b)와 걸림편(6c)(6d)을 추가해 주는 것으로 만족하므로 구성 및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단시간에 제작해 줄 수가 있게 된다.
이용시에는 의자(2)와 책상판(6) 사이에 갖는 공간부(8) 내에 사용자가 신체를 진입시켜서 의자(2)에 앉으며 되는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비해 의자(2)와 책상판(6) 사이에 갖는 공간부(8)가 좁거나 또는 넓을 경우 의자(2)에 앉기 전이나 또는 앉은 상태에서 책상판(6)을 잡고 전방으로 밀거나 당겨주게 되면 받침틀(4)로부터 안내대(6a)(6b)의 안내로 책상판(6)이 쉽게 슬라이딩 하게 되므로 책상판(6)의 위치조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 이러한 위치조정시 상기 책상판(6)의 전후 슬라이딩 거리는 받침틀(4)의 걸림봉(10c)(10d)을 사이에 두고 돌출형성되는 전후 걸림편(6c)(6d)에 의해 주어지게 되므로 책상판(6)의 이탈우려없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2)로부터 책상판(6)의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는데 받침틀(4)을 구성하는 수평부(10)와 경사부(12)를 각각 굵기가 일정한 하나의 파이프로 형성해 줄 수가 있고 또 이외에 책상판(6)에 안내대(6a)(6b)와 걸림편(6c)(6d)을 연결형성해 주는 것으로 만족하므로 구성과 조립공정이 간단한만큼 제작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또 단순히 책상판(6)을 잡고 밀거나 당겨주는 것으로 위치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책상판의 위치조정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으며, 책상판(6)을 받쳐주는 받침틀(4)은 수평부(10)와 경사부(12) 서로간에는 물론 의자(2)와도 용접고정되어 있어 강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받침틀의 안내봉이 책상판이 갖는 안내대 사이에 결합되어 책상판의 위치가 조절되는 강의실용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4)의 전후에는 걸림봉(10c)(10d)을 형성하고, 책상판(6)의 저부 전후에는 받침틀의 전후 걸림봉(10c)(10d) 사이에 갖는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는 걸림편(6c)(6d)을 형성하여 책상판의 이동거리를 제한해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용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KR1020060088449A 2006-09-13 2006-09-13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KR10076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449A KR100765228B1 (ko) 2006-09-13 2006-09-13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449A KR100765228B1 (ko) 2006-09-13 2006-09-13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228B1 true KR100765228B1 (ko) 2007-10-09

Family

ID=3941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449A KR100765228B1 (ko) 2006-09-13 2006-09-13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14B1 (ko) 2014-09-15 2014-11-21 윤일식 접이식 의자가 달린 접이식 책상
KR20190090158A (ko) 2018-01-24 2019-08-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간격 조절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853Y1 (ko) 2006-01-25 2006-04-11 김민채 수강용 책상
KR200422796Y1 (ko) * 2006-05-03 2006-08-01 토즈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심타형 다용도 접지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853Y1 (ko) 2006-01-25 2006-04-11 김민채 수강용 책상
KR200422796Y1 (ko) * 2006-05-03 2006-08-01 토즈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심타형 다용도 접지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14B1 (ko) 2014-09-15 2014-11-21 윤일식 접이식 의자가 달린 접이식 책상
WO2016043408A1 (ko) * 2014-09-15 2016-03-24 윤일식 접이식 의자가 달린 접이식 책상
CN105982434A (zh) * 2014-09-15 2016-10-05 尹�植 配有折叠椅的折叠桌
CN105982434B (zh) * 2014-09-15 2017-05-17 尹一植 配有折叠椅的折叠桌
KR20190090158A (ko) 2018-01-24 2019-08-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간격 조절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6917A (en) Table assembly with slidable table
WO2006053317A3 (en) Side rail assembly for beds
DK1410738T3 (da) Stol med bevægeligt sæde og ryglæn
KR100765228B1 (ko) 강의실용 일체형 책걸상의 책상판 위치조절장치
JP2007289705A (ja) 背もたれ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ATE427677T1 (de) Schubkasten
US3220771A (en) Reverse sun deck chair
US10820707B2 (en) Bracket
US9375091B1 (en) Portable adjustable headrest
DE202005001166U1 (de) Synchronmechanik
CN212437956U (zh) 一种可升降头枕结构及座椅
EP1790812A3 (de) Torblatt mit Schlupftür und Mehrfachverriegelung
US7694931B2 (en) Artist assistive device
CN202588945U (zh) 椅背调整结构
KR20190070208A (ko) 위치 조절식 강의용 책걸상
GB2468511A (en) Foldable stadium seating
US1228583A (en) Bracket.
KR20110042547A (ko) 다리베개
JP2017176456A (ja) 椅子の腰部支え装置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JP3107587U (ja) 子供用椅子
KR200306805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PL1674627T3 (pl) Urządzenie do mocowania rur do konstrukcji instalacji armatury sanitarnej, w szczególności do toalety ze spłuczką
KR20100071321A (ko) 스피커 의자
BE1017185A7 (nl) Vector verstelsysteem voor stoelen en werktaf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