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212B1 -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 Google Patents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212B1
KR100765212B1 KR1020000068310A KR20000068310A KR100765212B1 KR 100765212 B1 KR100765212 B1 KR 100765212B1 KR 1020000068310 A KR1020000068310 A KR 1020000068310A KR 20000068310 A KR20000068310 A KR 20000068310A KR 100765212 B1 KR100765212 B1 KR 10076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nonwoven fabric
urine collection
reg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749A (ko
Inventor
와다이치로
아베쿠조우
쿠리타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된 소변이 접합영역으로부터 새지 않는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는 기재 시트(2)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중심선(Y)에서 절곡되며, 서로 겹쳐지는 기재 시트(2)의 시트면이 기재 시트(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접합영역에서 접합되어 세로로 긴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1)를 형성하고, 주머니(1)가 페니스 삽입용 개구부(4)와, 주머니(1)의 내부에 부착된 액체 흡수성 패널(3)을 구비하며, 접합영역의 내수압이 5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DISPOSABLE URINE COLLECTION POCKET FOR MAN}
도 1은 전면부의 측면에서 도시한 일회용 소변 수거 주머니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양측면부의 측면에서 도시한 도 1의 주머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2 : 기재 시트
2a : 부직포
2b : 플라스틱 필름
3 : 액체 흡수성 패널
4 : 개구부
5 : 접합영역
6 : 절곡 안내부
f1 : 주면부
f2 : 전면부
f3, f4 : 양측면부
S : 중공부
Y : 세로 중심선
본 발명은 병상의 환자나 노인, 실금 환자 등에 사용하는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평 9-38126호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로 구성된 세로로 긴 남성용 일회용 소변 수거 주머니를 개시하고 있다. 주머니에는 이들 시트와 코어를 관통하는 페니스 삽입 구멍이 주머니의 한쪽의 끝 가장자리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는 페니스에 맞추어 안내선을 적절한 길이 만큼 찢어 페니스 삽입 구멍을 만들고, 페니스를 삽입 구멍으로부터 주머니의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동호 공보에 개시된 주머니는, 코어의 둘레에서 연장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부분이 주머니의 상하 단부와 좌우측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접합영역에 있어서 핫 멜트 접착제나 열 융착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접합영역에 있어서의 내수압이 낮으면, 이들 시트의 접합시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성상에도 의하지만, 배설된 소변이 접합영역에 스며들어 접착제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가 접합영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박리하게 된다. 이들 시트의 접합에 열 융착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설된 소변이 접합영역에 스며들어 접합영역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가 접합영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박리하게 된다. 접합영역에 있어서 이들 시트가 부분적으로 박리되면, 배설된 소변이 박리한 부분으로부터 주머니의 밖으로 누설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설된 소변이 접합영역에서 새지 않는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요성이며 액체 불투과성 기재 시트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중심선에서 절곡되고, 서로 겹쳐지는 상기 기재 시트의 시트면이 상기 기재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접합영역에서 접합되어 세로로 긴 주머니를 형성하며, 상기 주머니가 그 상부에 페니스 삽입용 개구부와, 상기 주머니의 내부에 부착된 가요성 액체 흡수성 패널을 구비한 개량된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를 개량하는 것이다.
개량에 관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 접합영역의 내수압이 5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는, 상기 기재 시트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소수성 부직포인 것으로서, 상기 합성 수지 섬유의 밀도가 상기 주머니의 내면을 향해서 점차로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는, 상기 기재 시트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소수성 부직포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수압이 상기 부직포의 내수압보다도 높은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을 겹쳐놓은 적어도 이층의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주머니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는, 상기 기재 시트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소수성의 부직포를 겹쳐 놓은 적어도 이층의 것으로서, 상기 주머니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직포의 내수압이 상기 주머니의 외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직포의 내수압보다도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는, 상기 주머니의 접합영역이 상기 주머니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상기 세로 중심선쪽으로 점차로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있어 상기 하부를 향해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의 주면부가 상기 세로 중심선과 상기 접합영역 사이의 치수를 이분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안내부 각각에서 절곡되어, 상기 절곡 안내부 사이로 연장되는 전면부와 상기 절곡 안내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접합영역으로 연장되는 양측면부로 구분되며, 서로 이격되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양측면부로 둘러싸여진 중공부가 상기 주머니의 내부에 구획되어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2는 전면부(f2)측에서 도시한 소변 수거 주머니(1)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개구부(4)를 확대 개방한 상태의 양측면부(f3, f4)측에서 도시한 주머니(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주머니(1)는 주머니(1)를 형성하는 가요성이며 액체 불투과성인 기재 시트(2)와, 주머니(1)의 내부에 부착되어 피복 시트(3a, 3b) 및 액체 흡수성 코어(3c)로 이루어진 가요성 액체 흡수성 패널(3)로 구성되어 있다. 주머니(1)는 이의 상부(1a)에서 하부(1b)를 향하여 세로로 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의 것으로서 주머니(1)의 하부(1b)는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다. 주머니(1)는 이의 상부(1a)에 페니스 삽입용의 개구부(4)를 갖는다.
주머니(1)는 세로 중심선(Y)에서 절곡되어 서로 겹쳐지는 기재 시트(2)가 기재 시트(2)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세로 중심선(Y)에 근접하도록 호를 그리며 연장되는 접합영역(5)에서 접합된 것이다.
기재 시트(2)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소수성 부직포(2a)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2b)이 서로 겹쳐진 이층의 것으로, 부직포(2a)가 주머니(1)의 외면측에 위치하고, 플라스틱 필름(2b)이 주머니(1)의 내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접합영역(5)에서는 플라스틱 필름(2b)이 도 3의 위쪽으로 연장되고, 플라스틱 필름(2b)에서 다시 도 3의 위쪽으로 부직포(2a)가 연장되어 있다. 접합영역(5)에서는 서로 겹쳐지는 부직포(2a)의 내면끼리와, 서로 겹쳐지는 플라스틱 필름(2b)의 내면끼리가 핫 멜트 접착제(10)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기재 시트(2)에서는 접합영역(5)의 내수압이 5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다. 접합영역(5)의 내수압이 50 mm 미만인 경우는 배설된 소변이 접합영역(5)에 스며들어 접착제(10)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므로 접합영역(5)이 부분적으로 박리해 버리는 수가 있다. 내수압이 1500 mm를 초과하는 경우는 기재 시트(2)가 접합영역(5)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경화되어 접합영역(5)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할 때에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2b)은 그 내수압이 부직포(2a)의 내수압보다도 높은 것으로서, 이때 플라스틱 필름(2b)의 내수압은 400 내지 1500 mm의 범위, 부직포(2a)의 내수압은 20 내지 100 mm의 범위에 있다. 주머니(1)는, 비록 부직포(2a)가 소변이 스며드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의 내수압만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내수압이 40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는 플라스틱 필름(2b)을 주머니(1)의 내면측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2b)에 있어서 소변이 스며드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부직포(2a)로 소변이 스며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접합영역(5)에서는 접착면으로 소변이 새어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2b)끼리와 부직포(2a)끼리를 접합하는 접착제(10)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주머니(1)의 주면부(f1)에는 세로 중심선(Y)과 접합영역(5) 사이의 치수를 이분하는 절곡 안내부(6) 각각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주머니(1)의 주면부(f1)는 이들 절곡 안내부(6)에서 절곡되고, 절곡 안내부(6) 사이로 연장되는 전면부(f2)와, 절곡 안내부(6)와 접합영역(5) 사이로 연장되는 양측면부(f3, f4)로 구분되어 있다. 주머니(1)의 내부에는 서로 이격되는 전면부(f2)와 양측면부(f3, f4)로 둘러싸인 중공부(S)가 구획되어 있다.
주머니(1)의 개구부(4)는 전면부(f2)와 양측면부(f3, f4)의 상단으로 둘러싸여지고, 도 2에 화살표(M1)로 나타낸 주머니(1)의 위쪽으로 개구된 제1 개구부(4a)와, 접합영역(5)의 상단으로부터 제1 개구부(4a)로 연장되는 양측면부(f3, f4)로 둘러싸여지며, 제1 개구부(4a)에 연속하여 도 2에 화살표(M2)로 나타낸 주머니(1)의 옆쪽으로 개구된 제2 개구부(4b)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에서는 절곡 안내부(6)의 근방에 있어서 전면부(f2)의 상단의 일부와 양측면부(f3, f4)의 상단의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전면부(f2)와 양측면부(f3, f4)를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합 부위의 내수압은 접합영역(5)과 마찬가지로 5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개구부(4a)에는 전면부(f2)의 상단을 따라서, 주머니(1)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신축성 부재(7)가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제1 개구부(4a)에는 측면부(f4)의 상단을 따라서 주머니(1)의 내부 측면에 메카니컬 퍼스너 중의 띠 형상의 훅 부재(8)가 부착되어 있다.
패널(3)은 반 강성이며 액체 흡수성인 코어(3b)가 기재 시트(2)를 마주하는 가요성이며 액체 불투과성인 피복 시트(3a)와 기재 시트(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요성이며 액체 투과성인 피복 시트(3b)에 피복, 접합된 것이다. 피복 시트(3a)는 기재 시트(2)에 접착제(9)를 통하여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패널(3)은 제1, 제2 개구부(4a, 4b)와 접합영역(5)의 근방을 제외하고 주머니(1)의 전면부(f2)와 양측면부(f3, f4)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A-A 선 단면도로서, 접합영역(5)의 형태가 도 3의 접합영역과는 상이한 것이다. 기재 시트(2)는 소수성 부직포(2a)와 플라스틱 필름(2b)이 서로 겹쳐진 이층의 것으로, 부직포(2a)는 주머니(1)의 외면측에 위치하고, 플라스틱 필름(2b)은 주머니(1)의 내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접합영역(5)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 융착 기술을 이용하여 기재 시트(2)가 접합되어 있다.
기재 시트(2)에서는 접합영역(5)의 내수압이 5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다. 접합영역(5)의 내수압이 50 mm 미만인 경우는 접합영역(5)에 도달한 소변이 접합영역(5)에 스며들고, 스며들어간 소변에 의해서 접합영역(5)이 점차로 불게 되어, 접합영역(5)이 약화됨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박리해 버리는 일이 있다. 내수압이 1500 mm을 초과하는 경우는 기재 시트(2)가 접합영역(5)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경화해 버리는 일이 있다.
부직포(2a)는 그 내수압이 20 내지 100 mm의 범위, 플라스틱 필름(2b)은 그 내수압이 40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다. 도 4의 주머니(1)는 내수압이 40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는 플라스틱 필름(2b) 끼리를 접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접합영역(5)에 있어서 가열, 융해된 플라스틱 필름(2b)이 박약화 또는 취약화되었다고 해도, 접합영역(5)의 내수압을 50 내지 1500 mm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주머니(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주머니(1)는 전면부(f2)의 상단을 페니스(P)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페니스(P)를 제1 개구부(4a)와 제2 개구부(4b)로부터 주머니(1)의 내부에 넣는다. 이 때, 페니스(P)를 이들 개구부(4a, 4b)로부터 주머니(1)의 내부에 놓도록 하면 좋고, 개구부(4)로부터 삽입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페니스(P)를 주머니(1)에 삽입하는 조작이 용이하다. 페니스(P)를 주머니(1)의 내부로 넣은 후에는 측면부(f4)가 측면부(f3)의 상부가 되도록 이들 측면부(f3, f4)를 번갈아 겹쳐 페니스(P)를 감싸고, 훅 부재(8)를 측면부(f3)의 외측에 걸어 맞춘다.
주머니(1)를 페니스(P)에 장착한 후에는 주머니(1)의 하부(1b)를 사용자의 가랑이부에 위치시킨다. 주머니(1)는 그 상부(1a)에서 하부(1b)를 향하여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하부(1b)가 뾰족한 형상이기 때문에 주머니(1)의 하부(1b)를 사용자의 가랑이부에 위치시킨 때에, 주머니(1)의 하부(1b)가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알맞게 들어간다. 주머니(1)는 주머니(1)의 전면부(f2)가 사용자의 가랑이부에 접촉하여 접합영역(5)이 사용자의 가랑이에 맞닿게 되는 일이 없다.
주머니(1)에서는 기재 시트(2)가 가요성이며 소수성인 한층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부직포가 한층일 경우에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의 밀도가 주머니(1)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해서 점차로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머니(1)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 부위의 내수압이 80 내지 300 mm의 범위, 주머니(1)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 부위의 내수압이 20 내지 10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머니(1)는 주머니(1)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의 부위의 내수압을 80 내지 300 mm의 범위로 유지시킴으로써 부직포로 소변이 스며드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접합영역(5)에 있어서 부직포가 접착제(10)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경우는, 접착면으로 소변이 새어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부직포를 접합시키는 접착제(10)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접합영역(5)에 있어서 부직포가 열 융착되어 있는 경우는, 가열, 융해된 부직포가 취약화되었다고 해도, 접합영역(5)의 내수압을 50 내지 1500 mm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주머니(1)에서는 기재 시트(2)가 가요성이며 소수성인 부직포를 겹쳐놓은 이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는 주머니(1)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의 내수압이 주머니(1)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의 내수압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주머니(1)의 외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의 내수압이 20 내지 100 mm의 범위, 주머니(1)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의 내수압이 80 내지 30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머니(1)는 주머니(1)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의 내수압을 80 내지 300 mm의 범위로 함으로써, 부직포로 소변이 스며드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접합영역(5)에 있어서 부직포가 접착제(10)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경우는 접착면으로 소변이 새어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부직포를 접합시키는 접착제의 박리 접착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접합영역(5)에 있어서 부직포가 열 융착되어 있는 경우는 가열, 융해된 부직포가 취약화되었다고 해도, 접합영역(5)의 내수압을 50 내지 1500 mm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주머니(1)에서는 기재 시트(2)가 이층을 초과하는 삼층 또는 사층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 시트(2)가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을 이층 이상 겹치는 경우는, 주머니(1)의 내면에 플라스틱 필름을 배치시킴과 동시에, 주머니(1)의 외면에 부직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스틱 필름의 내수압을 400 내지 1500 mm의 범위, 부직포의 내수압을 20 내지 10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2)의 중간층에서는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키는 순서는 없고,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과의 적어도 한쪽이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기재 시트(2)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부직포를 이층 이상 겹치는 경우는 내수압이 80 내지 300 mm의 범위에 있는 부직포를 주머니(1)의 내면에 배치함과 동시에, 내수압이 20 내지 100 mm의 범위에 있는 부직포를 주머니(1)의 외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3a)에는 가요성이며 소수성인 부직포, 가요성이며 액체 불투과성인 플라스틱 필름, 또는 가요성이며 소수성인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통기 액체 불투과성인 시트가 사용된다. 피복 시트(3b)에는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 등의 가요성이며 액체 투과성인 시트,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이며 친수성인 시트가 사용된다.
부직포로서는, 에어 스루,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로운,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 등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복합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어(3c)는 주로 플랩 펄프와 초흡수성 히드로겔 입자의 혼합물이 압축되어 그 전체가 티슈 페이퍼 등의 투수성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탄성 부재(7)로서는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시트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 합성 고무 폼, 폴리스티렌 폼 또는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우레탄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피복 시트(3a, 3b)의 접합이나 코어(3c)의 접합, 탄성 부재(7)나 훅 부재(8)의 부착 등에는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나 점착제 이외에, 소닉 시일이나 히트 시일 등의 열 융착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패널(3)로서는 코어(3c)가 액체 불투과성 피복 시트(3a)와 액체 투과성 피복 시트(3b)에 피복된 것 외에, 코어(3c)가 액체 투과성 피복 시트(3b)로 싸여진 것이나 기재 시트(2)와 액체 투과성 피복 시트(3b) 사이에 코어(3c)가 개재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주머니(1) 외에, 상면부와 하면부를 보유하고 이들 상면부와 하면부가 겹쳐지는 편평한 주머니에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에 의하면, 주머니의 접합영역의 내수압이 50 내지 1500 mm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접합영역에 도달한 소변이 접합영역에 스며들지 않는다. 때문에, 접합영역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거나 접합영역이 약화되지 않고, 접합영역이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소변이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주머니가 이층 이상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주머니의 내면에 위치하는 시트의 내수압을 주머니의 외면에 위치하는 시트의 내수압보다도 높게 하고, 주머니의 내면에 위치하는 시트의 내수압을 80 내지 1500 mm의 범위, 주머니의 외면에 위치하는 시트의 내수압을 20 내지 100 mm의 범위로 함으로써 주머니의 내측에 위치하는 시트로 소변이 스며드는 것을 저지하고, 접합영역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접합영역이 박약화되거나 취약화되었다고 해도 접합영역의 내수압을 50 내지 1500 mm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가요성이며 액체 불투과성인 기재 시트가 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호 중첩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된 접합 영역에서 접합됨으로써, 상부에 페니스 삽입용 개구부를 갖는 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가 그 내부에 체액 흡수성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되는 소수성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주머니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부 근방에서 하부를 향하는 상기 주머니의 세로 중심선으로 점차 근접하도록 연장됨으로써, 상기 주머니가 상기 하부를 향하여 끝이 가늘게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의 주면부가 상기 세로 중심선과 상기 접합 영역 사이의 치수를 이분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안내부 각각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절곡 안내부 사이로 연장되는 전면부와 상기 절곡 안내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접합 영역으로 연장되는 양측면부로 구분되고, 또한,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상부 근방에서 하부까지의 상기 양측면부가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부의 내면이, 핫 멜트 접착제, 히트 시일 또는 소닉 시일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주머니의 상기 상부에 상당하는 상기 양측면부의 상부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부가 접합되지 않고 분리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체액 흡수성 패널은 상기 주머니의 상기 상부에 상당하는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양측면부의 상부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접합부의 근방을 제외한 상기 상면부 및 상기 양측면 내면에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접합 영역은 그 내수압이 50~150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상기 합성 수지 섬유의 밀도가 상기 주머니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인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가 상기 부직포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내수압이 상기 부직포의 내수압보다도 높은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2층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가 상기 주머니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소수성 부직포를 중첩시킨 2층을 포함하고, 상기 주머니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직포의 내수압이 상기 주머니의 외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직포의 내수압보다도 높은 것인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5. 삭제
KR1020000068310A 1999-11-19 2000-11-17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KR100765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51899 1999-11-19
JP???11-329518 199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49A KR20010051749A (ko) 2001-06-25
KR100765212B1 true KR100765212B1 (ko) 2007-10-10

Family

ID=1822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310A KR100765212B1 (ko) 1999-11-19 2000-11-17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65212B1 (ko)
CN (1) CN1307858A (ko)
TW (1) TW454504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1306A (en) * 1981-05-20 1982-11-25 Uni Charm Corp Disposable diaper cover
JPH09206323A (ja) * 1996-01-31 1997-08-12 Uni Charm Corp 男性用尿とり袋
JPH09299392A (ja) * 1996-05-20 1997-11-25 Uni Charm Corp 男性用尿パッド
JPH11206809A (ja) * 1998-01-30 1999-08-03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1306A (en) * 1981-05-20 1982-11-25 Uni Charm Corp Disposable diaper cover
JPH09206323A (ja) * 1996-01-31 1997-08-12 Uni Charm Corp 男性用尿とり袋
JPH09299392A (ja) * 1996-05-20 1997-11-25 Uni Charm Corp 男性用尿パッド
JPH11206809A (ja) * 1998-01-30 1999-08-03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49A (ko) 2001-06-25
TW454504U (en) 2001-09-11
CN1307858A (zh) 2001-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3978B2 (ja) 使い捨ての男性用尿取り袋
KR100822623B1 (ko) 일회용 남성용 소변 보유대
KR100572837B1 (ko) 남성용소변흡수패드
KR100791870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804561B1 (ko) 생리용 흡수 제품
KR100633749B1 (ko) 표면 구조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081623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CN102215803B (zh) 一次性体液吸收性穿着用品
KR100805759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661887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821816B1 (ko) 일회용 기저귀
EP2260808A1 (en) Absorptive article
JPH09206323A (ja) 男性用尿とり袋
JPH09206324A (ja) 男性用尿とり袋
KR100787070B1 (ko) 위생 물품용 체액 흡수성 패널
KR100707225B1 (ko) 일회용 기저귀
JP3776014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65212B1 (ko) 일회용 남성용 소변 수거 주머니
JP4250318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19980081545A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TWI823849B (zh) 吸收性物品
JPH11188055A (ja) 使い捨ておむつ
JP4451294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184563B2 (ja) 使い捨て吸収物品
KR20040035579A (ko) 일회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