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139B1 -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139B1
KR100765139B1 KR1020060086674A KR20060086674A KR100765139B1 KR 100765139 B1 KR100765139 B1 KR 100765139B1 KR 1020060086674 A KR1020060086674 A KR 1020060086674A KR 20060086674 A KR20060086674 A KR 20060086674A KR 100765139 B1 KR100765139 B1 KR 10076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fastening
clamp
pip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순
Original Assignee
(유)현대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대케미칼 filed Critical (유)현대케미칼
Priority to KR102006008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 고정하는 클램프를 하단측에 압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을 수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 향상은 물론, 클램프와 압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고 또한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는,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11)이 통공된 제1플랜지부(12)와, 상기 제1플랜지부(12) 상단에 제1플랜지부(12)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제1결합공(13)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1체결부(1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21)이 통공된 제2플랜지부(22)와, 상기 제2플랜지부(22) 상단에 제2플랜지부(22)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상기 제1체결부(10)의 제1결합공(13)과 대응되는 제2결합공(23)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2체결부(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과 동일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보강편(30)이 더 삽입된다.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는,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클램프가 이음관의 플랜지와 결합되어 압박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제1,2플랜지부와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 고정하는 제1,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증가되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이음관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CLAMP FOR COUPLING PLASTIC PIPES}
도 1은 특허등록 제543019호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일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체결부 11, 21 : 체결공
삭제
12 : 제1플랜지부 13 : 제1결합공
삭제
20 ; 제2체결부 22 : 제2플랜지부
삭제
23 : 제2결합공 30 : 보강편
삭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 고정하는 클램프를 체결부와 압박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게 형성하여 조립성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내약품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고 강관 및 주철관에 비해 경량인 특성으로 인해 배관재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합성수지관은 내부식성으로 인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중에 매립되더라도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며, 절단이 용이하고, 단가가 저렴하여 수도용 배관으로 적합하다.
이 때 배관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거나 분기될 수 있어야 하고 각각의 절곡부 및 분기부 사이의 거리 또한 다양해야 한다. 나아가 직경이 서로 다른 관 사이를 접합할 필요도 생긴다. 그러나 합성수지관은 일반적으로 압출에 의해 직선형으로 제조되며 직경이 균일하므로, 절곡부에는 엘보우 이음관을, 분기부는 'T'자형 또는 십자형 이음관을, 접합부에는 레듀서(Reducer) 이음관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각 이음관들 사이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합성수지관으로 연결하였다. 또한 직선형 배관에서 합성수지관의 길이가 부족할 때에는 연장용 이음관으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이 연통되도록 연결하였다.
종래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이음관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양단부 에 각각 걸림돌기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패킹링은 링 형상으로서 합성수지관과 이음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음관의 중공에 삽입된다.
또한, 패킹링의 중공으로는 합성수지관이 관통 삽입된다. 고정클램프는 각각 반고리 형상이며 합성수지관의 외경면에서 한 쌍이 볼트로 결착되어 온전한 고리 형상을 이룬다. 고정막대는 일단에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가 이음관의 걸림돌기에 걸리고 타단은 고정클램프에 걸린다. 고정막대에 의해 고정클램프가 이음관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며 고정클램프가 합성수지관을 압박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합성수지관이 이음관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을 이용해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 내부에 패킹링을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합성수지관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합성수지관은 패킹링을 반경방향으로 압박하면서 삽입되어야 한다. 특히 합성수지관이 대구경인 경우에는 패킹링과 합성수지관 사이의 마찰로 인해 인력으로는 합성수지관을 삽입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관 삽입기라는 별도의 공구를 마련하여 합성수지관을 압입하여야 한다. 삽입기를 사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이음관 측으로 밀어넣더라도, 합성수지관과 패킹링 사이의 마찰에 의해 패킹링이 최초 위치를 이탈하거나 뒤틀리게 되어 합성수지관과 이음관 사이의 수밀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남는다. 또한 고정막대의 일단을 걸림돌기에 걸고, 고정막대의 타단은 한 쌍의 고정클램프 사이에 걸리도록 한 쌍의 고정클램프를 볼트로 결착하여야 하므로 고정클램프를 결착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등록 제543019호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중공의 관체이고 상기 중공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중공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 접하고 내주면이 상기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 중 하나의 외주면에 접하여 수밀시키는 패킹링과, 상기 이음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링을 상기 이음관 측으로 압박하고, 일면으로부터 상기 이음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압박플랜지의 중심선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한 걸림쇠가 형성된 링 형상의 압박플랜지와, 각각 반고리형이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결착되어 상기 합성수지관이 상기 이음관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이탈방지고리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고리편은 각각 상기 이음관측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압박플랜지의 걸림쇠의 절곡부와 상기 압박플랜지의 일면 사이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안출된 특허등록 제543019호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과 이음관(2)을 연결하여 고정 체결하는 클램프(3)와 상기 클램프(3)의 일측에 체결되는 압박플랜지(4)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이들을 결합하여 체결하는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또한, 클램프(3)와 압박플랜지(4)를 각각 따로 구입해야 함으로써 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갖을 뿐만 아니라, 클램프(3)와 압박플랜지(4)간의 체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합성수지관 연결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 고정하는 클램프를 하단측에 압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을 수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 향상은 물론, 클램프와 압박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고 또한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는,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이 통공된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플랜지부 상단에 제1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제1결합공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1체결부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이 통공된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 상단에 제2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상기 제1체결부의 제1결합공과 대응되는 제2결합공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2체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내측면과 동일한 반원형상의 금속재질의 보강편이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는,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클램프가 이음관의 플랜지와 결합되어 압박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제1,2 플랜지부와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 고정하는 제1,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증가되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를 나타낸 일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는,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램프(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11)이 통공된 제1플랜지부(12)와, 상기 제1플랜지부(12) 상단에 상기 제1플랜지부(12)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제1결합공(13)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1체결부(1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21)이 통공된 제2플랜지부(22)와, 상기 제2플랜지부(22) 상단에 상기 제2플랜지부(22)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상기 제1체결부(10)의 제1결합공(13)과 대응되는 제2결합공(23)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2체결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 형상과 동일한 반원형상의 금속재질의 보강편(30)이 더 삽입된다.
상기 보강편(30)은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강성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와의 결속력을 증대하는 것으로 철이나, 알류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편(30)은,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과 동일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조각편으로서, 상기 보강편(30)을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에 삽입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사출성형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를 사출성형 함에 있어서, 사출금형에 상기 보강편(30)을 먼저 인서트하여 장입 한 후, 성형수지를 사출금형의 내부측에 충진함으로써 상기 보강편(30)이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에 내삽된다.
이중사출성형이란, 이미 공지사출성형 기술로서 2가지 물질을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이중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금속재질을 갖는 제1물질과, 합성수지의 제2물질이 있을 경우, 금형의 내부에 제1물질을 장입한 상태에서 금형의 내부에 합성수지 성형물을 충진하면, 금속재질의 제1물질과 합성수지의 제2물질이 동시에 구비된 PCB 기판이나 액정클리너, 핸드폰 줄과 같이 2가지 물질이 서로 결합된 물품을 사출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100)는, 사출성형방식에 의해 하단측에 제1,2플랜지부(12)(22)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10)(20)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2플랜지부(12)(22)들의 내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11)(21)들이 통공된다.
상기 체결공(11)(21)들은, 이음관(2)의 일측에 구비되는 외향플랜지와의 체결을 위해 통공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같이 이음관(2)의 일측에 형성된 외향플랜지와 볼트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는 상기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의 결합부의 외주면에 각각 감싸도록 포설된 후 별도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체결부(10)의 제1결합공(13)과 제2체결부(20)의 제2결합공(23)을 각각 체결 고정함으로써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을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을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제1플랜지부(12) 및 제2플랜지부(22)와 제1체결부(10) 및 제2체결부(20)가 각각 하나의 몸체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하여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하단측에 일체로 각각 형성된 제1플랜지부(12)와 제2플랜지부(22)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또한, 상기 제1플랜지부(12)와 제2플랜지부(22)에 통공되는 각각의 체결공(11)(21)들의 개수를 달리 한 것으로,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의 형상은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는,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클램프가 이음관의 플랜지와 결합되어 압박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제1,2 플랜지부와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연결 고정하는 제1,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증가되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Claims (2)

  1.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11)이 통공된 제1플랜지부(12)와, 상기 제1플랜지부(12) 상단에 상기 제1플랜지부(12)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제1결합공(13)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1체결부(1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21)이 통공된 제2플랜지부(22)와, 상기 제2플랜지부(22) 상단에 상기 제2플랜지부(22)와 일체로 성형되고 양측에 상기 제1체결부(10)의 제1결합공(13)과 대응되는 제2결합공(23)이 통공되며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제2체결부(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10)와 제2체결부(20)의 내측면과 동일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보강편(30)이 더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KR1020060086674A 2006-09-05 2006-09-05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KR10076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74A KR100765139B1 (ko) 2006-09-05 2006-09-05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74A KR100765139B1 (ko) 2006-09-05 2006-09-05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81U Division KR200435703Y1 (ko) 2006-09-26 2006-09-26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139B1 true KR100765139B1 (ko) 2007-10-10

Family

ID=3941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674A KR100765139B1 (ko) 2006-09-05 2006-09-05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722B1 (ko) * 2011-09-29 2012-03-1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관 이음장치
CN106321979A (zh) * 2016-10-27 2017-01-1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管道承插口的试压加固装置及方法
KR20220155004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후손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의 메인몸체 사출금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019B1 (ko) 2005-01-14 2006-01-20 이충열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019B1 (ko) 2005-01-14 2006-01-20 이충열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722B1 (ko) * 2011-09-29 2012-03-1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관 이음장치
CN106321979A (zh) * 2016-10-27 2017-01-1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管道承插口的试压加固装置及方法
KR20220155004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후손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의 메인몸체 사출금형
KR102508996B1 (ko) 2021-05-14 2023-03-10 주식회사 후손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의 메인몸체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2601A1 (en) Pipe coupling device
US77709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20060131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oupler fittings to conduit sections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US3341232A (en) Pipe joint
US5829793A (en) Self-restrained adapter system for connecting plastic pipe system to metallic pipe system
JP2001509238A (ja) 複合プラスチックの衛生継手
FI110139B (fi) Jakotukki
KR100765139B1 (ko)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US2653040A (en) Pipe coupling
US20020167171A1 (en) Sanitary Fitting
KR101455088B1 (ko) 고수압용 파이프 내압시험 장치 및 내압시험 설비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US2182995A (en) Expansion pipe joint
KR200435703Y1 (ko) 합성수지관 연결클램프
KR20110009749A (ko) 파이프분리방지수단을 갖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JP4764580B2 (ja) 仮設用水道管路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CN100532903C (zh) 一种连接输送管的法兰装置
US3762684A (en) Rotatable pipe coupling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100718684B1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KR20090095813A (ko) 내압용 메카니컬 조인트의 보강소켓
KR100543019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