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599B1 -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599B1
KR100764599B1 KR1020060098784A KR20060098784A KR100764599B1 KR 100764599 B1 KR100764599 B1 KR 100764599B1 KR 1020060098784 A KR1020060098784 A KR 1020060098784A KR 20060098784 A KR20060098784 A KR 20060098784A KR 100764599 B1 KR100764599 B1 KR 10076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body
ultrasonic generator
ultrasonic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식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주)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젬텍 filed Critical (주)젬텍
Priority to KR102006009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에 둘러지는 본체에 다수개의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둘러지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일측에 구비되어 저주파를 발생하는 통전지압부(130)와; 상기 통전지압부(130)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0)에 삽입되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190)와; 상기 초음파발생부(190)가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캡(180)과; 상기 캡(18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190)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상기 본체(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체(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치료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저주파, 치료기, 초음파, 캡, 지지체

Description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A low-frequency electrotherapeutic device having an ultra-sonic generat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A'부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자주파 치료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에서 캡이 제거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도 3의 B-B'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케이블
112. 연결단자 120. 벨트걸이홈
130. 통전지압부 140. 열선
150. 온도센서 160. 천공부
170. 지지체 172. 삽입구멍
180. 캡 182. 상부캡
182'. 상면플랜지 183. 수나사
184. 하부캡 184'. 하면플랜지
185. 암나사 186. 안내구멍
190. 초음파발생부 192. 초음파전도선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에 둘러지는 본체에 치료 효과가 향상되도록 다수개의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 펄스(pulse)로 되어 있는 전기적 신호로서 신경이나 근육을 자극하여 치료하는 기기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신경마비, 절림, 통증 등의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지압, 안마 등과 같은 사람의 힘을 이용한 방법 이외에도 저주파수의 전기적 펄스를 인체에 인가하는 방법이 있다.
저주파수의 전기적 펄스를 인체에 가한 방법은 그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용 방법이 간단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도 치료(사용)를 할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A'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치료기는 판상의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케이블(12)에 의해 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블(12)의 단부에는 제어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14)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14)가 제어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10)는 케이블(1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에는 저주파발생수단(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수단이 발생한 저주파 신호는 케이블(12)을 통해 상기 본체(10)로 전해지게 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의 허리 등에 둘러질 때 착용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는 전/후로 길게 절제된 벨트걸이홈(16)이 구비된다. 상기 벨트걸이홈(16)은 별도로 구비된 벨트(미도시)가 삽입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벨트걸이홈(16)에 삽입된 벨트의 양단부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본체(10)는 치료가 요구되는 인체부위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통전지압부(20)가 구비된다. 상기 통전지압부(20)는 상기 저주파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신호가 출력되는 곳으로, 피부와 접촉하여 저주파 신호를 인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통전지압부(20)는 고무부재 내부에 탄소가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도 전성(導電性)을 가지며, 상기 본체(10)에 하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지압부(20)를 통해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가 인체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통전지압부(20)가 접촉하게 될 피부에는 물이나 겔 등의 매개물질이 사용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통전지압부(20)의 하측에는 상기 저주파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신호가 상기 본체(10) 내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도선(22)이 구비된다. 상기 전도선(22)은 전술한 케이블(12) 내부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전도선(22)의 단부는 통전지압부(20)의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된 접속고정핀(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도선(22)을 따라 이동한 저주파 신호는 상기 접속고정핀(24)을 통해 통전지압부(20)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는 통전지압부(20)를 통한 저주파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전원 인가시에 선택적으로 발열하는 열선(26)이 구비된다. 상기 열선(26)은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열선(26)으로부터 이격된 우측에는 온도센서(28)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28)는 열선(26)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열선(26)의 과열로 인한 화상 등의 신체상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매설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 점이 있다.
즉,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초음파를 발생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치료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전지압부(20)의 하부는 본체(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접속고정핀(24)의 상부와 형합됨으로써 결합된다.
따라서, 플렉시블한 본체(10)가 작은 곡률로 휘어지게 되면 상기 통전지압부(20)가 접속고정핀(24)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전지압부(20)가 이탈됨으로 인하여 상기 저주파 치료기의 사용이 불가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만족도 저하를 야기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부 일측에 치료 효과가 향상되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를 성형시에 통전지압부를 인서트하여 성형함으로써 통전지압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음파발생부의 일측에 지지체를 더 구비하여 초음파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초음파가 플렉시블한 본체에 의해 소실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둘러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저주파를 발생하는 통전지압부와; 상기 통전지압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와; 상기 초음파발생부가 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캡과; 상기 캡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상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실리콘으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통전지압부는 상기 본체를 성형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상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초음파발생부가 접촉한 상태로 수용되는 상부캡과;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어 상부캡의 하부를 차폐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의 일측에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수나사와 암나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의 내경은 캡의 외경과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두께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초음파발생부가 수용되고, 상기 캡이 삽입 고정 되도록 천공된 천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파발생부와 상부캡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세라믹진동자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의 일측에는, 상기 초음파발생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초음파전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 성형된 삽입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캡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초음파전도선이 상기 천공부로 안내되도록 천공된 안내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기능이 부가되어 치료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된 자주파 치료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에서 캡이 제거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의 B-B'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기는 전/후단부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판상의 본체(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는 제어장치(미도시)와 케이블(11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블(110)의 단부에는 제어장치와 케이블(110)을 이어주기 위한 연결단자(1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112)가 제어장치의 일측에 꽂힌 상태에서 제어장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본체(100)는 케이블(1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에는 저주파발생수단(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발생수단이 발생한 저주파 신호는 케이블(110)을 통해 상기 본체(100)로 전해지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허리 등에 둘러져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성형되어야 하며 인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케이블(110)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이 신체로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성 재질로 성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탄성력을 가지는 실리콘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에는 전/후로 길게 절제되어 천공된 벨트걸이홈(12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벨트걸이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벨트(122)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벨트의 일면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의 결합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가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100)는 흘러내리지 않고 신체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통전지압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통전지압부(130)는 상기 저주파발생수단(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신호가 출력되는 곳으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저주파 신호를 인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통전지압부(130)는 고무부재 내부에 탄소가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도전성(導電性)을 가지며, 이미 성형 완료된 통전지압부(130)를 본체(100) 성형을 위한 사출 금형 내부에 삽입(insert) 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통전지압부(130)와 본체(100) 사이에 발생하는 구속력은 본드 등의 접착부재(미도시)로 접착시보다 큰 구속력을 나타내게 되므로 상기 통전지압부(13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불량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통전지압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110)을 통해서 제어장치에 연결된 지압전도선이 구비된다. 즉, 상기 지압전도선은 상기 저주파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신호가 상기 통전지압부(1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압전도선(미도시)의 양단부는 상기 통전지압부(130)와 제어장치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전원 인가시에 선택적으로 발열하는 열선(도 5의 도면부호 140)이 구비된다. 상기 열선(140)은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면(全面)에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열선(140)으로부터 이격된 우측에는 온도센서(150)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150)는 열선(14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열선(140)의 지나친 과열을 방지하여 과열로 인한 화상 등의 신체상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00)의 상면 전/후 및 좌/우에는 동일한 지름으로 천공된 천공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천공부(160)는 아래에서 설명할 초음파발생부(190)가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100)를 상/하로 관통 성형한 것으로, 초음파발생부(190)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160) 내부에는 초음파발생부(190)에 전원을 인가하는 초음파전도선(192)이 구비된다. 상기 초음파도전도선은 통전지압부(130)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사출 성형시에 사출 금형 내부에 삽입(insert)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각각의 천공부(160)마다 2가닥씩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160) 내부에 설치되는 초음파발생부(190)에 상기 초음파전도선(192)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초음파발생부(190)는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천공부(160)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 모양의 지지체(170)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체(170)는 아래에서 설명할 캡(18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본체(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초음파발생부(190)가 초음파를 발생시에 유발되는 진동이 상기 본체(1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하고 탄성력을 지닌다. 따 라서, 초음파발생부(190)가 작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본체(100)에 의해 흡수되며 결국 상기 본체(100)도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170)가 천공부(160) 내부면과 접촉한 상태로 끼워지게 되면 초음파발생부(190)에서 발생된 진동은 지지체(170)가 흡수하게 되어 캡(18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체(170)의 외면 우측에는 삽입구멍(172)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멍(172)은 지지체(170)가 천공부(160)에 끼워질 때 도 4와 같이 천공부(160) 내부로 돌출된 초음파전도선(192)과의 간섭을 해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삽입구멍(172)을 관통한 초음파전도선(192)은 도 5와 같이 천공부(160) 내부로 삽입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체(170) 내부에는 초음파발생부(190)가 본체(100) 외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천공부(16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캡(180)이 구비된다. 상기 캡(180)은 신체와 접촉하여 초음파를 발산하는 곳으로, 땀과 접촉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180)은 상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초음파발생부(190)가 접촉한 상태로 수용되는 상부캡(182)과, 상기 상부캡(182)의 하측에서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캡(182)과 결합되어 천공부(160)의 개구된 하부를 차폐하는 하부캡(1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은 서로 결합되어 천공부(160)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캡(182)의 상면과 하부캡(184)의 하면 테두리부에 는 상면플랜지(182')와 하면플랜지(18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면플랜지(182')와 하면플랜지(184')는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이 결합시에 천공부(160)를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캡(180)의 외면에서 가장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6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이 도 5와 같이 결합되면 상기 상면플랜지(182')와 하면플랜지(184')는 본체(100)의 상/하면에 각각 간섭됨으로써, 상기 캡(180)이 천공부(160)를 관통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캡(182)의 하부 내주면과 상기 하부캡(184)의 상부 외주면에는 암나사(185)와 수나사(18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183)와 암나사(185)는 동일한 피치(pitch)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이 천공부(160)의 상/하측에서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나사(183)와 암나사(185)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은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82)의 외주면 우측부분에는 상기 지지체(170)에 형성된 삽입구멍(172)을 관통한 초음파전도선(192)이 초음파발생부(190)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구멍(18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구멍(186)과 삽입구멍(172)이 동일한 직선상에 동심원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초음파전도선(192)은 초음파발생부(190)와 연결 가능하게 된 다.
한편, 상기 상부캡(182)의 저면에는 초음파발생부(190)가 구비된다. 상기 초음파발생부(190)는 초음파전도선(192)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하는 것으로, 세라믹 진동자가 적용된다.
세라믹 진동자는 전기가 흐를 때 진동하는 성질을 가진 압전 세라믹에 전기 신호가 보내졌을 때, 진동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전기 모터에 비해 적은 전기 소모량이 요구되므로 소형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발생부(190)는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캡(182)의 저면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초음파발생부(190)는 상부캡(182)의 저면에 접착부재로 접착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가 도 4와 같은 상태까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캐이블에 포함된 지압도전체에 미리 만들어진 통전지압부(130)를 연결한 다음 상기 본체(100)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 금형 내부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천공부(160)가 형성되어 질 부위에는 초음파전도선(192)의 단부가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실리콘을 사출하여 도 4와 같은 상태의 본체(100)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열선(140)과 온도센서(150)도 상기 본체(100)를 사출 성형하기 이전에 사출 금형 내부에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 상태여야 함은 자명하다.
이후 상기 천공부(160) 내부에 지지체(17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므로 상기 삽입구멍(172)에 초음파전도선(192)을 삽입한 후에 상기 지지체(170)를 천공부(160) 내부로 밀어넣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초음파전도선(192)의 단부를 초음파발생부(190)에 연결하여 상기 초음파발생부(19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캡(182)의 저면에 초음파발생부(190)를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160)의 상측에 상부캡(182)을 위치시킨 다음(암나사(185)가 천공부(160) 내측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 상기 안내구멍(186)으로 초음파전도선(192)을 삽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캡(182)을 천공부(160)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하부캡(184)을 돌리게 되면 상기 수나사(183)와 암나사(185)는 나사체결되어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은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수나사(183)와 암나사(185)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기 초음파발생부(190)가 초음파를 발생시에 유발되는 진동으로 상기 수나사(183)와 암나사(185)가 풀려 구속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암나사(185)와 수나사(183)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이 결합되면 상기 상면플랜지(182')의 저면과 하면플랜지(184')의 상면은 상기 지지체(170)의 상/하단부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초음파발생부(190)가 발생한 진동이 본체(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상부캡과 하부캡에 수나사와 암나사를 형성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초음파발생부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해 상부캡과 하부캡이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라면 탄성을 가지는 후크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에서는, 본체 내부 일측에 다수개의 초음파발생장치를 더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열, 저주파뿐만 아니라 초음파치료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치료 효과가 향상됨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를 성형시에 통전지압부가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통전지압부의 이탈이 미연에 방지되며 제조 공정수가 현저히 감소하 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초음파발생장치의 일측에 지지체를 더 구비하고 지지체의 상/하단부가 상/하부캡과 접촉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초음파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플렉시블한 본체에 흡수됨에 따라 유발되는 진동의 소실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둘러지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일측에 구비되어 저주파를 발생하는 통전지압부(130)와;
    상기 통전지압부(130)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0)에 삽입되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190)와;
    상기 초음파발생부(190)가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캡(180)과;
    상기 캡(18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190)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상기 본체(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체(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실리콘으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통전지압부(130)는 상기 본체(100)를 성형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80)은,
    상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초음파발생부(190)가 접촉한 상태로 수용되는 상부캡(182)과;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캡(182)과 결합되어 상부캡(182)의 하부를 차폐하는 하부캡(18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의 일측에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캡(182)과 하부캡(184)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수나사(183)와 암나사(185)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70)의 내경은 캡(180)의 외경과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18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70)의 높이는 상기 본체(100)의 두께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초음파발생부(190)가 수용되고, 상기 캡(180)이 삽입 고정되도록 천공된 천공부(1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 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부(190)와 상부캡(182)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부(190)는 세라믹 진동자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70)의 일측에는,
    상기 초음파발생부(190)에 전원을 인가하는 초음파전도선(19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 성형된 삽입구멍(17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82)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구멍(172)에 삽입되는 초음파전도선(192)이 상기 천공부(160)로 안내되도록 천공된 안내구멍(18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KR1020060098784A 2006-10-11 2006-10-11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KR10076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84A KR100764599B1 (ko) 2006-10-11 2006-10-11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84A KR100764599B1 (ko) 2006-10-11 2006-10-11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599B1 true KR100764599B1 (ko) 2007-10-08

Family

ID=3941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784A KR100764599B1 (ko) 2006-10-11 2006-10-11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5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29B1 (ko) 2009-12-07 2011-05-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의료용 복합 비만치료 장치 및 그 전극패드
KR101725488B1 (ko) * 2016-02-27 2017-04-10 박성하 탄소패드용 의료기구
KR20210027725A (ko) 2019-09-03 2021-03-11 윤병예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858A (ja) 2000-12-01 2002-06-11 Katsutoshi Masuda 美容器具
KR20020065309A (ko) * 2001-02-06 2002-08-13 황현배 초음파 진동/저주파를 이용한 복부비만 치료방법 및 그 장치
KR20050122167A (ko) * 2004-11-30 2005-12-28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개인용 체형 관리기
KR200412781Y1 (ko) 2006-01-20 2006-03-31 최동환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858A (ja) 2000-12-01 2002-06-11 Katsutoshi Masuda 美容器具
KR20020065309A (ko) * 2001-02-06 2002-08-13 황현배 초음파 진동/저주파를 이용한 복부비만 치료방법 및 그 장치
KR20050122167A (ko) * 2004-11-30 2005-12-28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개인용 체형 관리기
KR200412781Y1 (ko) 2006-01-20 2006-03-31 최동환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29B1 (ko) 2009-12-07 2011-05-1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의료용 복합 비만치료 장치 및 그 전극패드
KR101725488B1 (ko) * 2016-02-27 2017-04-10 박성하 탄소패드용 의료기구
KR20210027725A (ko) 2019-09-03 2021-03-11 윤병예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39943A1 (en) Ultrasonic wave device
US10172763B2 (en) Skin and scalp massaging apparatus using acoustic pressure
JP2015517931A (ja) 成形方法
KR100974531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안면 마사지용 마스크
JP2008503312A (ja) 歯肉専用の低周波刺激器
KR102103052B1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CN110192971B (zh) 温热治疗仪
KR101248435B1 (ko) 초음파 발생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기기
JP2015514460A (ja) 成形刺激パッド
KR100764599B1 (ko) 초음파발생부가 구비되는 저주파 치료기
JPH11347097A (ja) 足裏マッサージ器
KR101454806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 시술장치
KR200438733Y1 (ko) 초음파 및 저주파 밴드
KR20060128766A (ko) 초음파 및 전기자극용 도자
KR100764759B1 (ko) 고주파치료장치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102055791B1 (ko) 전기자극 기능이 구비된 부항장치
KR101709271B1 (ko) 두피마자시장치
KR20180085948A (ko) 근접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자극기
KR200185058Y1 (ko) 안면 마사지기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101874980B1 (ko) 부항 일체형 전기마사지기
KR200419090Y1 (ko) 고주파치료장치
KR100862648B1 (ko) 치료 및 체형 관리 장치
KR200279850Y1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