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554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554B1
KR100764554B1 KR1020060075445A KR20060075445A KR100764554B1 KR 100764554 B1 KR100764554 B1 KR 100764554B1 KR 1020060075445 A KR1020060075445 A KR 1020060075445A KR 20060075445 A KR20060075445 A KR 20060075445A KR 100764554 B1 KR100764554 B1 KR 10076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ce
pipe
ice mak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이패스배관의 출수측 단부를 흡입배관의 입수측 단부로부터 이격 배치함으로써 바이패스배관을 통해 토출된 바이패스수와 제빙판으로부터 낙하되는 낙하수가 서로 혼합되어 수온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저수조에서 제빙 초기시 발생하는 제빙수의 슬러쉬 현상을 방지하고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분사파이프
120 : 제빙판 122 : 컬럼
130 : 저수조 131 : 흡입배관
140 : 바이패스배관 150 : 펌프
151 : 토출배관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에서 제빙 초기시 발생하는 제빙수의 슬러쉬 현상을 방지하여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방형(立方形) 또는 사방형(斜方形)얼음을 생산하는 제빙기는, 제빙판을 설치하는 방식에 따라 수직형과 수평형으로 나뉘어지나 그중 수직형 제빙 기가 널리 쓰여지고 있는 바, 이 수직형제빙기에는 다수개의 열로 그릿(Grid)이 배열형성된 제빙판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물이 이 제빙판 상부로부터 그릿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상기 제빙판 뒷면에 배열된 제빙코일에 순환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져 그릿의 내부공간에 얼음이 생성되면서 성장하게 된다. 아울러, 펌프에서 제빙판 상부로 토출되는 물 중에서 일부는 바이패스(by-pass)되어 제빙판 하부에 위치한 저수조로 다시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그릿의 내부공간 즉 셀(Cell)에 얼음이 일정규격이상으로 성장하게 되면 이를 감지수단이 감지해서 제빙작동을 중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제빙코일에 고온 개스를 직접 유입시켜 그릿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제빙판의 온도가 높아져 그릿과 접촉하는 얼음측면이 녹아 판형상체의 얼음이 그릿의 셀로부터 빠져나와 저장통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직형제빙기로서 현재 널리 쓰여지고있는 것으로는 미국특허 제3,430,452호에 소개된 것을 들수있는바, 이 수직형제빙기에서는 그릿의 셀내에서 성장하는 얼음의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서 타이밍 기어의 모우터에 구동캠과 종동캠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미리 설정된 얼음두께를 감지해내도록 된 감지편이 그릿의 셀내부를 전.후진해서 마이크로스위치가 ON/OFF 되어져 릴레이가 작동시켜지게 됨으로써 제빙작동과 해빙작동이 서로 전환시켜지도록 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제빙기는 물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의 출수측과 펌프의 흡입측이 근접하여 배치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펌프의 흡입수중 바이 패스수가 상당수 유입되어 제빙판을 통해 낙하한 제빙수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빙 초기시 제빙판 낙하수가 제빙판의 표면을 경유, 낙하하여 저수조 내에 정체되면서 영하의 한랭한 슬러쉬가 형성되어 제빙수의 순환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제빙수의 순환이 저하되면 펌프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줄어들게 되어 분사파이프에서 분사되는 제빙수의 유량이 줄어 제빙효율이 그만큼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패스부의 출수측을 펌프의 입수측으로부터 이격 배치함으로써 바이패스수와 제빙판에서 낙하되는 낙하수가 서로 혼합되어 수온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저수조에서 제빙 초기시 발생하는 제빙수의 슬러쉬 현상을 방지하고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빙기는 제빙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빙판; 상기 제빙판으로 제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파이프;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제빙수를 상기 분사파이프로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분사파이프와 상기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토출배관; 상기 저수조와 상기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배관;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제빙수의 일부가 상기 저수조로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이패스배관의 출수측 단부는 상기 흡입배관의 입 수측 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빙판에는 상기 분사파이프에서 분사된 제빙수가 낙하되는 다수의 컬럼이 구비되되, 상기 바이패스배관의 출수측 단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컬럼을 따라 낙하되는 제빙수의 낙하 지점보다 먼 외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는 제빙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30)와, 상기 저수조(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빙판(120)과, 상기 제빙판(120)으로 제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파이프(110)와, 상기 저수조(130)에 저장된 제빙수를 상기 분사파이프(110)로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펌프(150)와, 상기 분사파이프(110)와 상기 펌프(150) 사이를 연결하는 토출배관(151)과, 상기 저수조(130)와 상기 펌프(150)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배관(131)과, 상기 토출배관(151)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토출배관(151)을 통해 토출되는 제빙수의 일부가 상기 저수조(130)로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배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빙판(120)은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큰 직사각형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빙판(120)의 내측에는 분사파이프(110)에서 분사되는 제빙수가 낙하되는 다수의 컬럼(122)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빙판(120)의 후면에는 증발기(미도시)가 설치되는바, 상기 제빙판(120) 전면에 있는 다수의 컬럼(122)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는 제빙수는 상기 증발기와의 열전도에 의해 결빙이 이루어지게 된다.
분사파이프(110)는 제빙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판(120)에 물을 분사하여 공급하게 되는바, 상기 분사파이프(110)에는 상기 제빙판(120)에 형성된 다수의 컬럼(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분사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수조(130)는 제빙판(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판(120)을 따라 낙하되는 물이 유입된다.
펌프(150)는 상기 저수조(130)의 우측 전방에 설치되는바, 상기 펌프(150)는 흡입배관(131)을 통해 상기 저수조(130)의 우측 저면과 연결되고, 토출배관(151)을 통해 분사파이프(110)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130)의 물을 상기 흡입배관(131)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토출배관(151)을 통해 분사파이프(110)로 토출하여 제빙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바이패스배관(140)은 상기 토출배관(151)의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분기되어 저수조(130)의 상류측 방향(흡입배관과 연결된 저수조의 우측방향을 하류측 방향이라 보고, 좌측방향을 상류측 방향이라 보기로 한다)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배관(151)을 통해 토출되는 제빙수의 일부가 상기 저수조(130)로 바이패스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배관(140)의 출수측 단부(A)는 상기 흡입배관(131)의 입수측 단부(B)로부터 저수조(130)의 좌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패스배관(140)의 출수측 단부(A)가 상기 펌프(15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컬럼(122), 즉, 최좌측 제1컬럼을 따라 낙하되는 제빙수의 낙하 지점보다 먼 최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펌프(150)가 구동되면 흡입배관(131)을 통해 저수조(130)로부터 유입된 제빙수가 토출배관(151)을 통해 분사파이프(110)로 공급되어 순환되고, 일부는 토출배관(151)에서 분기된 바이패스배관(140)을 통해 바이패스되어 저수조(130)로 회수된다. 여기서, 펌프(150)에 의한 제빙수의 토출비는 분사파이프:바이패스배관 = 1:3 비율로 유지된다. 즉, 펌프(150)에 의해 분사파이프(110)로 토출되는 양이 바이패스배관(140)을 통해 토출되는 양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분사파이프(110)에서 분사되는 제빙수는 제빙판(120)에 배열된 다수의 컬럼(122)을 따라 흘러내려 저수조(130) 내부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제빙판(120) 후방에 있는 증발기의 열전도에 의해 결빙이 진행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이패스배관(140)의 출수측 단부(A)는 상기 펌프(15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컬럼(122)을 따라 낙하되는 제빙수의 낙하 지점인 최상류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바이패스배관(140)을 통해 토출된 바이패스수와 상기 제빙판(120)으로부터 낙하되는 낙하수가 서로 혼합되어 수온의 보정(영하의 제빙판 낙하수 + 영상의 바이패스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흡입배관(131)을 통해 펌프(150)로 자연 흡입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수온의 보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빙 초기에 저수조(13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빙수의 슬러쉬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제빙수의 순환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빙기에 따르면, 바이패스배관의 출수측 단부를 흡입배관의 입수측 단부로부터 이격 배치함으로써, 바이패스배관을 통해 토출된 바이패스수와 제빙판으로부터 낙하되는 낙하수가 서로 혼합되어 수온의 보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빙 초기시 제빙판의 낙하수가 제빙판의 표면을 경유, 낙하하여 저수조 내에 정체되면서 발생하는 제빙수의 슬러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바이패스배관의 출수측 단부를 펌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컬럼을 따라 낙하되는 제빙수의 낙하 지점보다 먼 외곽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저수조 내에서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 제빙수의 슬러쉬 현상을 완전하게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빙효율을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빙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빙판;
    상기 제빙판으로 제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파이프;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제빙수를 상기 분사파이프로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분사파이프와 상기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토출배관;
    상기 저수조와 상기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배관;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제빙수의 일부가 상기 저수조로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이패스배관의 출수측 단부는 상기 흡입배관의 입수측 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빙판에는 상기 분사파이프에서 분사된 제빙수가 낙하되는 다수의 컬럼이 구비되되,
    상기 바이패스배관의 출수측 단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컬럼을 따라 낙하되는 제빙수의 낙하 지점보다 먼 외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펌프는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상기 저수조의 우측 저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파이프로 토출되는 제빙수는 상기 바이패스배관으로 토출되는 제빙수의 양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060075445A 2006-08-10 2006-08-10 제빙기 KR100764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445A KR100764554B1 (ko) 2006-08-10 2006-08-10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445A KR100764554B1 (ko) 2006-08-10 2006-08-10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554B1 true KR100764554B1 (ko) 2007-10-08

Family

ID=3941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445A KR100764554B1 (ko) 2006-08-10 2006-08-10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5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741A (ja) * 1992-09-30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741A (ja) * 1992-09-30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US8844312B2 (en) Method of operating ice making machine
US20100139305A1 (en) Ice making water tank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20100082189A (ko) 고온수 사용이 가능한 제빙기
KR100998198B1 (ko)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KR20120107676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100764554B1 (ko) 제빙기
CN203400010U (zh) 饮水机
KR20110069248A (ko) 얼음 정수기
JP5642642B2 (ja) 製氷機の貯留タンク
JP5173486B2 (ja) 噴射式製氷機
CN102221279A (zh) 一种用于冰箱的制冰组件和具有其的冰箱
WO2020143628A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JP2003042619A (ja) 製氷装置
KR102136802B1 (ko) 제빙기
KR100692537B1 (ko) 제빙기
CN203400012U (zh) 饮水机及其水位恒定装置
JP2011231943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US11867444B2 (en) Drainless clear ice maker for recycling water used to make clear ice
WO2018058317A1 (zh) 制冰机
CN203400011U (zh) 饮水机
JP2017101883A (ja) セル型製氷機
CN202581986U (zh) 一种制冰装置
JP2008180467A (ja) 噴射式自動製氷機
KR100764553B1 (ko) 냉수 겸용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