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050B1 -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050B1
KR100762050B1 KR1020060023722A KR20060023722A KR100762050B1 KR 100762050 B1 KR100762050 B1 KR 100762050B1 KR 1020060023722 A KR1020060023722 A KR 1020060023722A KR 20060023722 A KR20060023722 A KR 20060023722A KR 100762050 B1 KR100762050 B1 KR 100762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injection means
electrolyte injection
slot
cathod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641A (ko
Inventor
송치윤
장규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0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8Electroplating with moving electrolyte e.g. jet electrop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량의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공급수단은 전해액을 급액하는 슬롯이 등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는 전해액 분사수단;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으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급액수단;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분배 홀이 형성된 유량 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다르다.
동박, 전해 동박, 급액

Description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Mean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electrolytic copper foil hav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S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21...전해조 22...음극드럼
23...샤프트 24...애노드 전극
25...가이드 롤 26...권취보빈
30...전해액 공급수단 31...전해액 분사수단
32...슬롯 35...급액수단
37...유량 분배수단 0...중점
A...가상 기준선 B...제1슬롯 열의 연장선
C...제2슬롯 열의 연장선
본 발명은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량의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 동박은 전기ㆍ전자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인쇄회로기판)의 기초재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써, 슬림형 노트북 컴퓨터, 개인휴대단말기(PDA), 전자북, MP3 플레이어, 차세대 휴대폰, 초박형 평판 디스플레이 등의 소형 제품을 중심으로 그 수요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ㆍ전자 기기류의 경박단소(輕薄短小)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기기에 내장되는 회로도 미세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PCB에 형성되 는 회로도 점점 초박판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해 동박도 초박형화 되어 전해 동박의 두께 및 밀도의 품질 즉, 중량 품질에 대한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전해 동박은 음극드럼 및 상기 음극드럼에 대해 소정 간격을 갖고 전해조 내에 수장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구조의 동박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회전하는 음극드럼 및 애노드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면, 음극드럼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서 구리이온이 음극드럼의 표면에 전착 및 박리된다. 그리고, 박리된 동박은 롤러에 의해 인도되어 보빈에 권취됨으로써, 권취 드럼 형태의 제품으로 제조된다.
전해 동박을 제조하는 장치는 전해조에 전해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더 구비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해액 공급수단(1)은 음극드럼(15)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전해액 분사수단(11), 전해액 분사수단(11)에 연결되어 전해액을 공급하는 급액수단(13), 및 전해액 분사수단(11)의 내부에 구비되어 급액수단(1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을 분배하는 유량분배수단(1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해액 분사수단(11)에는 급액수단(13)으로부터 공급받은 전해액을 전해조 내부로 배출하는 슬롯(12)이 등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속으로 구비되는 슬롯(12)은 슬롯 열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전해액 분사수단(11)의 측면 원의 중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A)을 기 준으로 두 개의 상기 슬롯 열이 서로 대향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슬롯 열은 상기 가상 기준선(A)으로부터 동일한 표면거리(전해액 분사수단(11)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 상에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전해액 분사수단(11)의 측면 원의 중점으로부터 상기 가상 기준선(A)을 기준으로 일 측에 구비되는 슬롯 열(제1슬롯 열)이 존재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가상선을 제1슬롯 열의 연장선(B), 전해액 분사수단(11)의 측면 원의 중점(O)으로부터 상기 가상 기준선(A)을 기준으로 타 측에 구비되는 슬롯 열(제2슬롯 열)이 존재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가상선을 제2슬롯 열의 연장선(C)으로 정의할 때, 상기 가상 기준선(A)과 제1슬롯 열의 연장선(B)이 형성하는 제1각(θ1)과 상기 가상 기준선(A)과 제2슬롯 열의 연장선(C)이 형성하는 제2각(θ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때, 전해액 분사수단(11)에서 가상 기준선(A)으로부터 동일한 위치(거리 및 각도)에 구비되는 상기 제1슬롯 열 및 제2슬롯 열로 분사되는 전해액의 속도는 각각 동일하다. 그러나, 음극드럼(15)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슬롯 열 및 제2슬롯 열에서 분사되는 전해액이 음극드럼(15)과 접촉하는 속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음극드럼(1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상 기준선(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측에 구비되는 슬롯 열을 제1슬롯 열로, 시계 반대방향에 구비되는 슬롯 열을 제2슬롯 열로 가정한다. 그러면, 제1슬롯 열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은 음극드럼(15)이 회전하는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분사되고, 제2슬롯 열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은 음극드럼(15)이 회전하는 반대방향(즉, 반 시계방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1슬롯 열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음극드럼과 접촉하는 속도는 제2슬롯 열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음극드럼과 접촉하는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나타난다. 즉, 제1슬롯 열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제2슬롯 열에서 공급되는 전해액보다 더 적은 압력으로 음극드럼(15)에 인가된다.
음극드럼(15)에 서로 다른 압력으로 전해액이 공급될 경우, 음극드럼(15)에 공급되는 구리 이온의 양이 다르게 되어 음극드럼(15)에 불균일한 전착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불균일한 전착으로 음극드럼(15) 또는 애노드 전극(16)의 수명이 불 균일해지고, 길이방향 불 균일 전착이 가속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동박이 전착되는 드럼으로 균일한 량의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해액 공급수단은 전해액을 급액하는 슬롯이 등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는 전해액 분사수단;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으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급액수단;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분배 홀이 형성된 유량 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이 형성하는 사이 각의 각도는 서로 다르다.
상기 슬롯에는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각; 및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각;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각이 제2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다.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에 대향된다.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는,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는 전해조의 전해액에 일부가 침잠되어 회전하는 음극드럼과, 상기 음극드럼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전해액 내에 설치된 애노드 전극과, 상기 음극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생성되는 전해 동박을 상기 음극드럼에서 분리하여 권취하는 권취기와, 상기 전해조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수단은 상기 음극드럼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음극드럼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전해액을 급액하는 슬롯이 등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는 전해액 분사수단; 상기 전해조 외부와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에 연결되어 액체 유로를 제공하는 급액수단;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분배 홀이 형성된 유량 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이 형성하는 사이 각의 각도는 서로 다르다.
상기 슬롯에는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각; 및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각;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각이 제2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다.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에 대향된다.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는,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다.
상기 유량 분배수단과 급액수단은 비 금속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는 전해액이 채워지는 전해조(21), 전해액에 일부가 침잠되어 회전하는 음극드럼(22)과, 상기 음극드럼(2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전해액 내에 설치된 애노드 전극(24)과, 상기 음극드럼(22)과 평행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생성되는 전해 동박을 상기 음극드럼(22)에서 분리하여 권취하는 권취보빈(26)과, 상기 전해조(21)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수단(30)을 구비한다.
전해조(21)에는 황산, 구리 이온 및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황산구리 용액의 전해액이 채워진다. 상기 전해액은 음극드럼(22)에 근접하는 영역에서 구리 이온의 결핍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조(21) 내에서 고속으로 순환된다.
음극드럼(22)은 전해조(21)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해조(21)에 채워지는 전해액에 그 일부가 침잠된다. 또한, 음극드럼(22)의 중심에는 샤프트(23)가 구비되고, 샤프트(23)에는 모터(미 도시)가 연결된다.
나아가, 음극드럼(22)의 표면은 강산성의 전해액에 대해서 안정된 내산성을 유지하고, 전해 동박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티타늄 재질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스테인리스 재질의 표면을 구비하는 음극드럼(2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24)은 전해액에 침잠된 음극드럼(22)의 표면과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또한, 애노드 전극(24)은 음극드럼(22)의 표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음극드럼(22) 및 애노드 전극(24)에는 각 극성에 대응하는 전위가 인가되고, 음극드럼(22)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음극드럼(22)이 회전함에 따라, 음극드럼(22)과 (+)전류가 인가되는 애노드 전극(24) 사이에서는 도금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음극드럼(22)의 표면에는 전해 동박이 전착된다.
가이드 롤(25)은 음극드럼(22)의 회전방향, 즉 전착된 전해 동박이 배출되는 방향에 샤프트(23)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가이드 롤(25)은 음극드럼(22)으로부터 박리되어 배출되는 동박(50)을 권취 보빈(26)으로 유도한다.
도 4는 도 3의 S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전해액 공급수단(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전해액 공급수단(30) 음극드럼(22)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전해액 분사수단(31), 전해액 분사수단(31)에 연결되어 전해액 분사수단(31)으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급액수단(35), 및 전해액 분사수단(31)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유량 분배수단(37)을 포함한다.
전해액 분사수단(31)에는 급액수단(35)으로부터 공급받은 전해액을 전해조(21) 내부로 배출하는 슬롯(32)이 등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속으로 구비되는 슬롯(32)은 슬롯 열을 형성한다.
한편, 전해액 분사수단(31)의 측면 원의 중점(O)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가상 기준선(A)으로 정의할 때, 전해액 분사수단(31)은 가상 기준선(A)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슬롯 열(제1슬롯 열, 제2슬롯 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상 기준선(A)을 기준으로 일 측에 구비되는 슬롯 열(제1슬롯 열)이 존재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가상선을 제1슬롯 열의 연장선(B), 및 전해액 분사수단(31)의 측면 원의 중점(O)으로부터 상기 가상 기준선(A)을 기준으로 타 측에 구비되는 슬롯 열(제2슬롯 열)이 존재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가상선을 제2슬롯 열의 연장선(C)으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가상 기준선(A)과 제1슬롯 열의 연장선(B)이 형성하는 각(θ1) 및 상기 가상 기준선(A)과 제2슬롯 열의 연장선(C)이 형성하는 각(θ2)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각이,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음극드럼(2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가상 기준선(A) 및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사이 각을 제1각, 상기 가상 기준선(A) 및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사이 각을 제2각으로 정의할 때, 제1각이 제2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다.
상기 가상 기준선(A) 및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사이 각이 작은 경우, 슬롯에서 분사되는 전해액이 음극드럼(22)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사이 각이 큰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다. 즉, 제1각을 형성하는 슬롯 열에서 분사되는 전해액의 이동속도가 제2각을 형성하는 슬롯 열에서 분사되는 전해액의 이동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된다. 그러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음극드럼(22)의 회전 각속도를 감안하면, 제1각을 형성하는 슬롯 열에서 분사되는 전해액이 음극드럼과 접촉하는 속도와 제2각을 형성하는 슬롯 열에서 분사되는 전해액이 음극드럼과 접촉하는 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기준선(A)으로부터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까지의 제1표면거리(전해액 분사수단(31)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가,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까지의 제2표면거리(전해액 분사수단(31)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보다 더 가깝게 위치한다. 이에 대한 효과는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각에서 충분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각과 제2각의 크기 및 제1표면거리와 제2표면거리의 길이는 음극드럼의 회전 각속도 및 각각의 슬롯 열을 통해 분사되는 전해액의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급액수단(35)은 액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급액수단(35)으로는 예컨대 노즐이나, 파이프 등이 채택될 수 있다. 급액수단(35)의 일 단부는 전해액이 저장되는 탱크(미도시)에 연결되고, 그 타 단부는 전해액 분사수단(31)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연결된다.
유량 분배수단(37)은 급액수단(3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을 전해액 분사수단의 슬롯(32)에 동일한 압력으로 제공하는 수단으로써, 복수의 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판이다.
급액수단(35) 및 유량 분배수단(37)은 강산성의 전해액에 대해서 안정된 내산성을 유지하는 비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박 제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동박 제조장치를 가동하면, 동박 제조장치의 가동으로 음 전위가 대전된 음극드럼(22)과 양 전위가 대전된 애노드 전극(24) 사이에 전해액을 매질로 높은 밀도의 전류가 가해지면, 전해액에 포함된 구리 이온(銅, C++)이 음극드럼(22)에 달라 붙어 고체로 응고 및 석출된다. 상기 석출된 구리는 회전하는 음극드럼(22)의 표면을 따라 금속막 형태의 전해 동박으로 전착된다.
전해액에 존재하는 구리 이온이 음극드럼(22)의 표면에 전착됨으로서, 전해액 내에 존재하는 구리 이온의 수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전해액 내에 구리 이온이 감소하게 될 경우, 음극드럼(22)에 전착되는 구리이온의 수에 차이가 발생하여 전해 동박이 길이방향으로 점점 얇아지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음극드럼(22)과 애노드 전극(24)사이에 일정량의 전해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해액 공급수단(30)을 설치한다.
이때,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각을, 음극드럼(22)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위치하는 슬롯 열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유지한다. 이로써, 상기 각각의 슬롯 열에서 분사하는 전해액은 음극드럼(22)에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고, 전해 동박은 균일하게 전착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음극드럼(22)에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로 전착된 전해 동박은 음극드럼(22)으로부터 박리되어 인출되고, 가이드 롤(25)의 안내를 받아 권취 보빈(26)에 권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따르면, 동박이 전착되는 드럼으로 균일한 속도로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동박이 전착되는 드럼에 구리 이온을 균일하게 전착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해액을 급액하는 슬롯이 등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는 전해액 분사수단;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으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급액수단;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분배 홀이 형성된 유량 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이 형성하는 사이 각의 각도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공급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는,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각; 및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각;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각이 제2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공 급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공급수단.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는,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공급수단.
  5. 전해조의 전해액에 일부가 침잠되어 회전하는 음극드럼과, 상기 음극드럼에 이격되어 상기 전해액 내에 설치된 애노드 전극과, 상기 음극드럼과 평행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생성되는 전해 동박을 상기 음극드럼에서 분리하여 권취하는 권취기와, 상기 전해조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수단은
    상기 음극드럼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음극드럼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전해액을 급액하는 슬롯이 등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는 전해액 분사수단;
    상기 전해조 외부와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에 연결되어 액체 유로를 제공하는 급액수단;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복수의 분배 홀이 형성된 유량 분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이 형성하는 사이 각의 각도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는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각; 및
    상기 가상 기준선 및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연장되는 슬롯 가상선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각;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각이 제2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중심점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의 회전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는,
    상기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음극드럼이 회전하는 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까지의 표면거리(상기 전해액 분사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분배수단은 복수의 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분배수단은 비 금속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제조 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액수단은 비 금속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제조장치.
KR1020060023722A 2006-03-14 2006-03-14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 KR10076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22A KR100762050B1 (ko) 2006-03-14 2006-03-14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22A KR100762050B1 (ko) 2006-03-14 2006-03-14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41A KR20070093641A (ko) 2007-09-19
KR100762050B1 true KR100762050B1 (ko) 2007-09-28

Family

ID=3868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722A KR100762050B1 (ko) 2006-03-14 2006-03-14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0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79B1 (ko) 2015-03-11 2016-08-22 (주)피엔티 전극 드럼 및 이를 구비한 금속박 형성 장치
KR20210145544A (ko) 2020-05-25 2021-12-02 (주)피엔티 전해조 및 이를 구비한 금속박 형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576A (ko) * 1985-02-02 1986-09-13 야기야스히로 전기 도금 장치의 역류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576A (ko) * 1985-02-02 1986-09-13 야기야스히로 전기 도금 장치의 역류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79B1 (ko) 2015-03-11 2016-08-22 (주)피엔티 전극 드럼 및 이를 구비한 금속박 형성 장치
KR20210145544A (ko) 2020-05-25 2021-12-02 (주)피엔티 전해조 및 이를 구비한 금속박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41A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86423A1 (en) Electroplating apparatus
EP1562412B1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lytical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pattern on a dielectric substrate.
KR101414105B1 (ko) 웹의 압접 방법, 압접 장치, 급전 방법, 급전 장치, 연속 전해 도금 장치 및 도금막 부착 웹의 제조 방법
US11492717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electrolytic copper foil
KR102022920B1 (ko) 롤투롤 수평식 연속 도금장치
KR20050024350A (ko) 도금 필름의 제조방법, 도금용 음극 롤, 및 회로기판의제조방법
TWI513859B (zh) 製造可撓性印刷電路板的電鍍設備
KR100762050B1 (ko) 전해액 공급수단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동박 제조장치
JP2020084280A (ja) 銅張積層板および銅張積層板の製造方法
KR100665481B1 (ko) 필름 연속 도금 장치 및 방법
JP7070012B2 (ja) 電解めっき装置、および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
US20060151315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metal foil
US6293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KR100990029B1 (ko) 기판도금장치
CN108425135B (zh) 电解铜箔的生产设备及其电流调整控制装置
KR100762048B1 (ko) 광폭 방향의 중량편차 저감을 위한 금속박막 제박기
CN101054696B (zh) 能够减小重量的横向偏差的用于制造金属箔的电解机
JP5353261B2 (ja) 金属化長尺樹脂フィルム基板の製造方法及びめっき装置
KR100451253B1 (ko) 전해동박 제조장치
KR100729895B1 (ko) 전해 동박의 중량편차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동박제조 장치
KR101630980B1 (ko) 금속박판 제조장치
JP2014129591A (ja) 電解メッキ装置
EP3890458A1 (en) Circuit pattern continuous manufacturing device
TWI627311B (zh) 電解銅箔的生產設備及其電流調整控制裝置
KR100976745B1 (ko) 작업물을 전해 금속 도금하기 위한 컨베이어 도금 라인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