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989B1 -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989B1
KR100761989B1 KR1020060103125A KR20060103125A KR100761989B1 KR 100761989 B1 KR100761989 B1 KR 100761989B1 KR 1020060103125 A KR1020060103125 A KR 1020060103125A KR 20060103125 A KR20060103125 A KR 20060103125A KR 100761989 B1 KR100761989 B1 KR 10076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ositive electrode
powe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선
고영욱
김선웅
유영진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티 filed Critical (주)케이디티
Priority to KR102006010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단 방향 전원 인가 유기 발광 소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양(+)전원이 전달되며 일 측면에 n(n은 자연수)개의 홈을 구비한 양전극; 상기 양전극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구동 전원에 상응하여 일정한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구동 전원의 음(-)전원이 전달되는 음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의 일 측면에 전원이 인가되나 양 측면에 전원이 인가되는 효과를 발휘하여 발광 휘도의 불균형을 개선하고 유기 발광 소자 일부분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O (Indium Tin Oxide)

Description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Single-direction powered OL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단 방향 전원인가를 위한 양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기판 및 양전극이 적층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
도 4b는 도 4a의 양전극 상면에 보조전극이 적층된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
도 4c는 도 4a의 양전극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 방향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음전극과 양전극 사이에 빛을 발하는 유기 물질을 둔 다이오드 형태로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말하며, 현재의 주 응용분야는 단말기 내/외부창, 중소형 LCD를 대체하는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이다. 다만, 그 자체의 발광 특성인 고 휘도, 저소비 전력 등으로 인하여 다른 분야로의 적용도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즉, 유기 발광 소자는 넓은 시야각, 고속 응답성, 고명조 대비(contrast)의 특성을 가지므로 텔레비전 영상 디스플레이나 표면 광원의 픽셀로 사용될 수 있고, 얇고 가벼우며 색도가 좋기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투명기판 상면에 위치한 양전극에 인가되는 양전원과 음전극에 인가되는 음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며 양전극으로 통하여 전달되는 정공과 음전극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되면서 발생하는 빛을 발광하는 소자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그 용도가 다양하며 플라스틱 기판을 채용할 경우에는 휘어지는 소자를 제작할 수도 있고, 백색광 및 단색광을 방출하는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자체 후광, 조명, 액체 결정 디스플레이의 후광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는 구동 전원이 유기 발광 소자의 일 측면(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의 하 측면)에만 인가됨으로 인하여 휘도의 불균형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다 측면(예를 들어 상하 2 측면)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 휘도의 불균형을 개선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다 측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서는 전원부(예를 들어 패드)를 각 측면에 구비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제조 공정의 복잡성, 소자 구조 및 부피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발광 소자의 일 측면에만 전원을 인가하나 양 측면에 전원이 인가되는 효과를 발휘하여 균일한 휘도를 발할 수 있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 측면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제품의 제조 공정뿐 아니라 다 측면의 전원인 인가되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상 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 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양(+)전원이 전달되며 일 측면에 n(n은 자연수)개의 홈을 구비한 양전극; 상기 양전극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구동 전원에 상응하여 일정한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구동 전원의 음(-)전원이 전달되는 음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2 일 수 있다. 특히, 상기 2 개의 홈은 상기 양전극의 일 측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양전극의 일 측면으로부터 마주보는 타 측면으로 일정 거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유기발광층에서 생성된 빛이 외부로 투사되는 투명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발명을 구체화하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한 예 일 뿐이며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 또는 플라스틱 기판(100) 위에 양전극(110), 양전극(110) 위에 정공 주입층(120), 정공 수송층(130), 발광층(140), 전자 수송층(150), 전자 주입층(160), 음전극(170) 순으로 진공 증착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음전극(170)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고 전자 주입층(160)과 전자 수송층(130)을 거쳐 발광층(140)으로 전자가 주입된다. 또한, 양전극(110)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은 정공 주입층(120), 정공 수송층(130)을 거쳐 발광층(140)으로 주입된다. 발광층(140)으로 각각 이동한 전자와 정공은 쌍을 이루고 이렇게 형성된 엑시톤이 재결합하면서 빛이 방출된다.
투명 또는 플라스틱 기판(100)는 유기 가용성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빛이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빛이 투명기판(100)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양전극(110)은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투명한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특히, 인듐 주석 산화(Indium Tin Oxide: ITO) 막은 대표적인 양전극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저항값이 낮은 보조 전극을 형성하여 전원 인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120) 및 정공 수송층(130)은 양전극에 형성된 정공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형성된 층이다.
발광층(140)는 각각 전극으로 양전극(110)과 음전극(170)에서 인가된 정공과 전자의 결합을 통하여 빛이 생성되는 층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 발광층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자 수송층(150) 및 전자 주입층(160)은 음전극에서 전달된 전자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형성된 층이다.
상술한 정공 주입층(120), 정공 수송층(130), 발광층(140), 전자 수송층(150) 및 전자 주입층(160)를 포함하여 유기발광층(180)으로 통칭할 수 있다.
음전극(170)은 음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금속층으로 형성된다. 특히, 음전극(170)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기판(100)은 투명한 유리 가요성 필름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동 전원이 유기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경우 생성된 빛이 투명 기판(100)을 통하여 외부로 투사된다. 여기서, 투명 기판(100)은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있을 수 있다.
양전극(110)은 구동 전원의 양전원이 유기 발광 소자에 전달되도록 형성된전극이다. 특히, 양전극(110)은 투명 전극인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n Oxide), ZnO/Ga, ZnO/Al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전극은 스퍼터 법으로 소정의 막 두께로 형성한 후 에칭 또는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PR) 등에 의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전극(110)은 10nm ~ 9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양전극의 면저항값은 양전극의 두께에 상응하여 1~ 90 [Ω/□] 일 수 있다. 여기서, □는 정사각형을 의미하여 단위는 [mm2]이다.
특히, 양전극과 유기발광층(180) 사이에 존재하는 일함수를 조정하기 위해 양전극(110) 표면에 대하여 대기압 또는 진공 상태에서 산소, 질소 또는 아르곤 이온 등으로 일정 시간 동안 플라즈마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양전극으로의 전원인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보조전극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보조 전극은 10nm ~ 900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두께에 상응한 면저항값은 0.05 [Ω/□] 내지 5 [Ω/□] 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전극은 다양한 모양(예를 들어, 십자 모양, 수평 또는 수직의 한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모양, 양전극 인가부에서는 폭이 좁고 발광영역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모양 등)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특히, 보조전극은 금속 전극 일 수 있으며 특히 크롬(Cr), 몰리브덴(Mo),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일 수 있다.
또한, 양전극(110) 상면에 저항이 낮은 메탈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보조전극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메탈층과 보조전극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층(180)은 양전극(110)상면에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유기발광층(180)은 정공 주입층(120), 정공 수송층(130), 발광층(140), 전자 수송층(150) 및 전자 주입층(160)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정공 주입층(120)은 양전극(11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예를 들어 100Å)를 가진 CuPC, MTDATA 등의 유기막일 수 있다.
정공 수송층(130)은 정공 주입층(12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예를 들어 500Å)를 가진 NPB, TPD 등의 유기막일 수 있다.
발광층(140)은 Alq3 혹은Alq3:C545T(0.5%) 등으로 구성된 녹색(Green)발광층, Alq3:DCJTB (1%) 등으로 구성된 적색(red) 발광층 또는 SAlq 혹은 DPVBi 등으로 구성된 청색(Blue) 발광층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층(140)의 두께는 약 300Å일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은(150)은 발광층 상면에 일정한 두께(예를 들어 300Å)를 가진Alq3 등의 층일 수 있다.
전자 주입층(160)은 전자 수송층(15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예를 들어 5Å )를 가진 LiF, BCP:Cs 등의 층일 수 있다.
음전극(170)은 저항값이 작으며 불투명한 금속(예를 들어 Al, Ag, Mg, MgAl, Li-Al등)일 수 있다.
물론,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투명 기판(100)과 양전극(110) 사이에 확산방지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확산 방지막(190)은 투명 기판(100)에서 발산되는 나트륨(Na)성분이 양전극(110)으로 침투하는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확산 방지막은 SiO2, SixN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양전극(또는 보조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 소자 네 측면(예를 들어 상하좌우 측면)에 절연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유기 발광 소자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상하좌우의 기준이 달라질 아 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용어의 혼동을 방지하며 및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상 측면, 하 측면, 좌 측면 및 우 측면 대신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으로 표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단 방향 전원인가를 위한 양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제2 측면에만 전원이 형성된 경우(210) 유기 발광 소자의 제2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면저항값이 증가하게 되며 발광되는 휘도의 불균형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는 제2 측면뿐 아니라 제1 측면에도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 인가부를 형성한 경우(220)이다. 이 경우, 상술한 종래 문제점인 휘도의 불균형은 개선할 수 있으나 제조 공정상의 복잡성을 유발할 뿐 아니라 유기 발광 소자의 전체 부피를 크게 하고 경제적 측면에서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제2 측면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 인가부를 형성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제1 측면에서도 전원이 인가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양전극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23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양전극은 제3 측면 및 제4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측면으로 형성된 두 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홈은 제1 측면에 이르기 전 소정의 거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전극에 형성되는 홈은 제3 측면 및 제4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은 홈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분리되는 양전극의 중앙부의 간격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유기 발광 소자의 적용여부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홈으로 인하여 양전극의 좌우에 형성된 좌측부/우측부와 양전극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부는 서로 이격되며 제1 측면쪽으로 일정 거리에 이르러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홈의 넓이는 유기 발광소자의 공정 마진(margin)과 제품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홈의 길이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전체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제2 측면에 인가된 전원은 중앙부에서는 제2 측면상으로 전원이 인가된 효과를 보이며 제2 측면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인가된 전원으로 제1 측면에 전원이 인가된 효과를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를 통하여 휘도의 균일성을 실험한 결과, 종래의 단 방향(즉, 1측면) 전원 인가 방식을 이용한 휘도의 균일성은 약49%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 방향 전원 인가 방식을 이용한 휘도의 균일성은 약 80%의 높은 균일성을 보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양전극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전극(300a)의 일 측면으로부터 마주보는 타 측 면으로 홈들(340a-1, 340a-2)이 형성된 양전극(300a)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홈은 일 측면을 기준으로 좌우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2 개의 홈들(340a-1, 340a-2))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양전극(300a)은 홈들(340a-1, 340a-2)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좌측부(310a), 중앙부(320a) 및 우측부(330a)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양전극의 일 측면에 형성된 홈은 양전극(300a)의 타 측면으로 일정한 거리까지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한 거리 이상에서는 양전극(300a)의 좌측부(310a), 중앙부(320a) 및 우측부(330a)는 다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양전극의 좌측부(310a), 중앙부(320a) 및 우측부(330a)는 양전극(300a)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전극(300b)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형성된 홈들(340b-1, 340b-2)이 일 측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양전극(300b)를 보여주고 있다. 즉, 홈들(340b-1, 340b-2)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좌측부(310b), 중앙부(320b) 및 우측부(330b)는 타 측면으로 가면서 중앙부(320b)는 넓어지고 좌측부(310b)와 우측부(330b)는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3a와 같이 일 측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보는 경우 홈들(340b-1, 340b-2)은 비대칭일 수도 있다. 물론, 양전극의 면저항을 줄일 수 있다면 이러한 홈들(340b-1, 340b-2)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 다. 이 경우는, 양전극(300c)의 일 측면을 기준으로 한 쪽에만 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물론, 일 측면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일 수도 있다.
도 3c를 통하여 본 발명의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일 측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홈(33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330c)을 기준으로 양전극(300c)은 좌측부(310c)와 우측부(320c)로 이격되며 서로 대칭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물론, 좌측부(310c)와 우측부(320c)의 간격의 비율이 큰 양전극(300c)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물론, 양전극의 면저항을 줄일 수 있다면 이러한 홈들(340b-1, 340b-2)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물론, 본 발명은 도 3a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양전극의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 발광 소자의 양전극의 일 측면에 형성된 홈은 n(n은 자연수)개일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유기 발광 소자는 도 2 또는 도 3a에서 설명한 양전극을 기초로 하여 구성된 유기 발광 소자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 가능함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기판 및 양전극이 적층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양전원 인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투명기판(400)과 그 상면에 위치한 양전극(410)만을 나타낸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이다.
유기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원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제2 측면에 형성된 양전원 인가부(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인가될 수 있다. 양전원 인가부는 양전극(410)의 일 측면(예를 들어 제 1측면 내지 제 4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 4a에서의 양전원 인가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제2 측면의 중앙부에는 2 부분으로, 좌측부에는 1 부분으로 및 우측부에는 1 부분으로 나뉘어져 구비되었으나 이러한 양전원 인가부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도 4b는 도 4a의 양전극 상면에 보조전극이 적층된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전극(420)은 일반적으로 양전극(410)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양전원이 보조전극을 통하여 인가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400)의 보조전극(420)은 양전극(4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c는 도 4a의 양전극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즉, 도 4c에서의 유기 발광 소자는 도 4b에서 유기 발광층(도 4c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의 측면에 절연막(430)및 유기발광층의 상면에 음전극(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양전원이 인가되는 양전원 인가부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4b에서 설명하였는바 생략한다. 절연막(430)은 보조전극 또는 양전극이 음전극(440)과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전극 또는 양전극 상면에 적층된다. 물론, 이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구비되지 않을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일 측면에만 전원이 인가되나 양 측면에 전원이 인가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균일한 휘도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에만 전원을 인가됨으로 인하여 제품의 제조 공정뿐 아니라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양(+)전원이 전달되며 일 측면에 n(n은 자연수)개의 홈을 구비한 양전극;
    상기 양전극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구동 전원에 상응하여 일정한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구동 전원의 음(-)전원이 전달되는 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 방향 전원 인가 유기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홈은 상기 양전극의 일 측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유기발광층에서 생성된 빛이 외부로 투사되는 투명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060103125A 2006-10-23 2006-10-23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KR100761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125A KR100761989B1 (ko) 2006-10-23 2006-10-23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125A KR100761989B1 (ko) 2006-10-23 2006-10-23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989B1 true KR100761989B1 (ko) 2007-09-28

Family

ID=3873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125A KR100761989B1 (ko) 2006-10-23 2006-10-23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9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252A (ja) 2000-09-29 2002-04-10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パネル
JP2004146340A (ja) 2002-08-30 2004-05-20 Tomy Co Ltd El発光シート
JP2004327070A (ja) 2003-04-21 2004-11-18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4327344A (ja) 2003-04-25 2004-11-18 Tomy Co Ltd El発光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el発光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252A (ja) 2000-09-29 2002-04-10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パネル
JP2004146340A (ja) 2002-08-30 2004-05-20 Tomy Co Ltd El発光シート
JP2004327070A (ja) 2003-04-21 2004-11-18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4327344A (ja) 2003-04-25 2004-11-18 Tomy Co Ltd El発光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el発光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94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TW451601B (en) The fabrication method of full 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975867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20190296264A1 (en) Quantum dot based pixel assembly
US2012026800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93435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074808B1 (ko) 청색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TW201440280A (zh) 有機發光二極體裝置
KR20030052028A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KR10200029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053091A (ja) 白色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8541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9163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92414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05112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761989B1 (ko) 단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KR100760901B1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50063659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059227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21723B1 (ko) 다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KR10052891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8395145B2 (en)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0542996B1 (ko) 투명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56574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65909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