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702B1 -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702B1
KR100761702B1 KR1020027016551A KR20027016551A KR100761702B1 KR 100761702 B1 KR100761702 B1 KR 100761702B1 KR 1020027016551 A KR1020027016551 A KR 1020027016551A KR 20027016551 A KR20027016551 A KR 20027016551A KR 100761702 B1 KR100761702 B1 KR 10076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ubstrate
fixed
fixing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513A (ko
Inventor
아라키요시노리
시게유키다키구치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0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관찰자에 의해 관찰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불투명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행 및 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 개의 화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화소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고정된 제1 고정면, 상기 제1 고정면에 인접한 제2 고정면 및 상기 제1 고정면과 상기 제2 고정면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고정면 사이의 경계선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불투명한 셔터를 포함하는데, 제1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제2 고정면과 상기 셔터의 제2 관찰면이 병렬 배치되어 제1 가시 화소를 형성하고, 제2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제1 고정면과 상기 셔터의 제1 관찰면이 병렬 배치되어 제2 가시 화소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의 정지 상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서로 동기하여 결정 가능하고, 그에 따라 가시 화소로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VARIABLE IMAGE-DISPLAY}
본 발명은 가시 화소(visible pixel)로 구성되는 가변 이미지(variable image)를 표시하는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삭제
재귀 반사성 시트를 포함하는 정지 이미지를 갖는 표지에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050,327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표지의 이미지는 광 투과성 프리즘형 재귀 반사성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프리즘형 재귀 반사성 시트는 큐브 코너 프리즘(cube corner prism)이라 칭하는 프리즘 소자를 갖는 프리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큐브 코너 프리즘은 프리즘 소자의 굴절 기능과 전반사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즘 시트는 광 투과성 폴리머 재료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리즘 시트는 전체로서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재귀 반사성 시트는 프리즘 시트의 표면에 입사된 조명광을 효과적으로 반사시켜서, 표지 이미지를 관찰자에 의해 밝게 관찰할 수 있다. 한편, 프리즘 시트의 배면에서 입사된 배면 광을 이 프리즘 시트를 통해 효과적으로 투과하여, 동일하게 표지 이미지를 관찰자에 의해 밝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재귀 반사성 시트에는 비교적 좁은 관측각에서 가시성만을 증가시키는 반사 시트 이외에, 비교적 넓은 관측각에서 가시성을 증가시키는 광관측각(wide observation angle) 반사 시트도 사용되고 있다. 광관측각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갖는 표지를 이용하는 표지 조명 시스템(sign illuminating system)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보 제2,910,868호(대응 미국 특허 제5,818,640호)에는 표지와 외부 광원을 구비하는 외부 조명 방식의 표지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광원은 0∼30°범위의 입사 각도로 표지면에 입사되는 광을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통상, 표지면에는 그 표면 상에 표지 이미지를 갖는 재귀 반사성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광관측 각도를 갖도록 개량된 반사 시트는 유리 비드(glass bead)나 프리즘 소자 등의 광학 굴절 소자와, 금속 증착막 등의 반사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큐브 코너 프리즘 소자의 경우, 반사 소자를 이용함이 없이 프리즘의 전반사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발광 화소로 구성된 가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지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공통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즉, 전술한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A)관찰자에 의해 관측되는 전면(front surface) 및 그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back surface)을 구비한 기판과; (B)상기 기판의 전면에 행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화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화소는 내부 광원을 필수 요소로서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로서 잘 알려져 있는 예로서는 전광 표지판(electronic sign)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광 표지판형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97/3943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에서는 내부 광원으로서 LED 등의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 발광 패널로 이루어진 화소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있어서, 관찰가능한 이미지는 복수 개의 발광 화소에 의해 생성된다. 한편, 이미지를 명확히 하는 콘트라스트 기능을 수행하는 배경 부분은 광을 방출하지 않는 화소를 포함한다. 기판의 전면 상의 소정의 위치의 화소를 발광시키고, 어느 위치의 화소를 발광시키지 않는지를 컴퓨터 제어하여,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에서는 발광 소자나 전자 제어 회로의 고장에 의해 발광 소자의 일부 또는 모두가 발광하지 않게 되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광 패널에 대응하는 부분에 전술한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반사체(프리즘 시트 반사체)를 내장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었다. 발광 소자가 발광하지 않게 된 경우라도 외부 광원으로부터 발광부 표면의 반사체가 고휘도로 반사시킴으로써 이미지가 관찰될 수 있도록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개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있어서는, 발광부의 표면에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 투과성 반사체를 설치하여, 발광부의 배면측에서 발광 소자의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의 배면에서 조사된 광은 프리즘 시트를 투과하여, 이미지를 관찰자에 의해 밝게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타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내부 광원(예컨대, 발광 소자)이 발광되는 경우라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전광 표지판형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6에 도시된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9)에 있어서, 각 화소는,
(i)기판(90)의 전면에 설치된 발광부(93), 상기 발광부에 인접 배치된 인접 영역(94) 및 상기 발광부와 인접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96)을 갖는 고정부와;
(ii)상기 경계선(96)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발광부(93)를 차폐하는 제1 정지 상태와 상기 발광부(93)를 노출시키는 제2 정지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되며, 상기 제1 정지 상태에서 관찰자에게 대향하는 제2 면(912)과 상기 제2 정지 상태에서 관찰자에게 대향하는 제1 면(911)을 갖는 불투명한 셔터(9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부(93)와 상기 셔터의 제1 면(911)이 상기 기판의 전면을 따라 서로 병렬 배치된 상태에서 관찰되고, 가시 화소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발광부를 발광시킨다. 또한, 상기 발광부(93)와, 상기 셔터의 제1 면(911)에는 통상 동일한 색을 갖는 프리즘 시트 반사체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부(93)가 차폐된다. 따라서, 이 제1 정지 상태에 있어서, 외부에서 광이 조명되더라도 발광부(93) 및 셔터의 제1 면(911)은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이 제1 정지 상태에서 관찰자에게 대향하는 셔터의 제2 면(912)과 인접 영역(94)은 통상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정지 상태에서는 가시 화소(즉, 발광 화소)로 형성되는 이미지를 명확히 하는 콘트라스트 기능을 수행하는 배경 부분으로서 비발광 화소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위치의 화소(셔터)를 제2 정지 상태로 하고, 대응하는 발광부(93)를 발광시키며, 나머지 화소를 제1 정지 상태가 되도록 화소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의 정지 상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된다.
통상, 발광부(93)는, (1)기판에 설치된 개구부(예컨대, 관통 구멍)와, 그 개구부 전면을 피복하도록 설치된 프리즘 시트 반사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2)기판에 설치된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발광 반사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1)의 구조의 발광부를 갖는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050,327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의 구조의 발광부를 갖는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148,156호, 제5,500,652호 및 제5,790,088호의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광 반사 구조(2)는, LED 등의 소형 발광 소자와, 프리즘 시트 반사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의 고장 시에, 각 발광부의 모듈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그 모듈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발광 반사 모듈을 각각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해 두고 있다.
한편, 상기 (1)의 구조에 있어서는, 기판의 배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광원(예컨대, 형광등 등)을 배치하여, 개구부를 통해서 프리즘 시트 반사체의 배면에 광이 조명되도록 하고 있다.
어느쪽의 경우에도, 복수 개의 발광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개구부가 필요하다.
전술한 종래의 셔터를 갖는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로서는 간단한 단어나 문장을 표시하는 표지 등을 제작하는 데에는 이점이 있지만, 하나의 정지 이미지로부터 별도의 다른 정지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표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디스플레이나 장치를 제작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가변형 이미지 디스플레이나 장치는 종래의 정지 인쇄 이미지를 갖는 도로 표지나 안내 표지 등의 표지로 교체해서 이용되고 있다, 그 이유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삭제
종래의 인쇄된 정지 이미지를 갖는 표지의 경우에 있어서는, 배경 부분은 비교적 밝은 색(예컨대, 적색, 황색, 청색, 녹색 등)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에서는, 인접 영역(94)과, 셔터(91)의 제2 면(912)은 흑색으로 착색되고 있다. 또한, 밝은 색으로 착색된 경우, 비발광 화소와 발광 화소 사이의 휘도의 차이는 너무 크게 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정지 인쇄 이미지를 갖는 표지와 비교해서 서로 다른 외관을 갖는 표지가 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복잡한 도형이나 기호, 또는 문자(예컨대, 한자 등의 획수가 비교적 많은 문자)를 복수 개의 가시 화소를 이용해서 표시하고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 표지와 형태가 유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가시 화소로 합성되는 이미지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쪽이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서로 인접한 개구부 사이의 프레임부(95)의 치수(폭)를 작게 하고, 이미지를 연속해서 보이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프레임부(95)의 폭을 작게 하면, 프레임부(95) 자체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되어, 그와 같은 좁은 폭의 프레임부를 복수개 갖는 기판(90) 전체의 기계적인 강도도 저하된다. 이와 같은 기판의 기계적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기판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기판의 재질을 밀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기판을 두껍게 하거나, 기판의 재질을 밀도가 높은 것으로 변화시키게 되면, 표시체의 박형화나 경량화가 곤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일부 도로 표지에는 비교적 큰 면적(예컨대, 1 m2 이상)의 이미지 표시면을 갖는 것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비교적 큰 정지 이미지 표지와의 호환성(즉, 크기에 있어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면적의 이미지 표시면을 갖는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작해야만 한다. 발광 유닛의 중량이나, 광선 및 상기 발광 유닛을 장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종래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표시 면적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전체로서의 경량화나 박형화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를 갖는 표지와 유사한 가변 이미지 표지를 형성할 수 있는 가변 이미지 종래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전체로서 경량화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복수 개의 가시 화소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연속해서 보이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로서 합성된 이미지는 외부 광원에 의해 조명되어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화소를 발광시키기 위한 광원을 가질 필요는 없다. 한편, 관찰 가능한 화소는 반사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 광원에 의해 야간에도 밝게(고휘도로)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도로 표지나 안내 표지 등의 표지로서, 또는 그와 같은 표지의 구성 부품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화소가, (a)기판의 전면의 2개의 고정면과, (b)2개의 정지 상태 중의 하나의 정지 상태에서 한쪽의 고정면을 관찰 불가능하게 차폐하고 다른쪽의 고정면을 관찰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2개의 정지 상태의 사이에서 표면 및 배면 중 어느 한쪽이 관찰가능한 불투명한 셔터를 갖는 타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미지 디스플레이로서는, 각 화소가 2개의 정지 상태의 사이에서 변화되어, 각각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 가시 화소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들 가시 화소로 합성된 이미지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찰가능한 전면과, 이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구비한 불투명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행방향 및 이 행방향과 직교하는 열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 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화소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고정된 제1 고정면과, 이 제1 고정면에 인접한 제2 고정면과, 이들 제1 고정면과 제2 고정면의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을 갖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면 사이의 경계선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제1 및 제2 관찰면을 갖는 불투명한 셔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제2 고정면과 상기 셔터의 제2 관찰면이 서로 병렬 배치되어 제1 가시 화소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제1 고정면과 상기 셔터의 제1 관찰면이 서로 병렬 배치되어 제2 가시 화소를 형성한다. 상기 각 화소의 정지 상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되거나 서로 동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가시 화소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1 고정면 및 제2 고정면이 상기 기판의 전면을 피복하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반사체의 반사면으로 각각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관찰면 및 제2 관찰면이 상기 셔터의 표면 및 배면을 피복하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반사체의 반사면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합성된 이미지는 외부 광원(예컨대, 헤드라이트)에 의해 조명되어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에서는 기판의 전면의 2개의 고정면(제1 고정면 및 제2 고정면) 및 셔터의 표면 및 배면(제1 관찰면 및 제2 관찰면)이 어느 것이나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반사체의 반사면으로 구성된다. 이들을 포함하는 가시 화소로 합성된 이미지는 외부 광원에 의해 조명되고, 고휘도로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시 화소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서, 개구부(관통 구멍)를 기판에 설치하고 기판의 배면으로부터의 투과광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를 갖는 표지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가변 이미지 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사체는 통상 재귀 반사성 시트 등의 반사 시트이다. 따라서, 반사면은 기판 등의 구성 부품에 반사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2개의 정지 상태에서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로 작성된 가변 표지의 2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로 작성된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표시체를 일부로서 포함하는 가변 규제 표지의 2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으로 작성된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일부로서 포함하는 가변 표지의 2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바람직한 일례에 관해서,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설명할 것이다.
도시된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10)는,
(A)관찰자에 의해 관찰되는 전면(11)과, 이 전면(11)과 대향하는 배면(12)을 구비한 불투명한 기판(1)과;
(B)상기 기판의 전면(11)에 행(즉, 방향(L)) 및 열(즉, 방향(R))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 개의 화소(P)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1)은 화소(들)(3)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기판을 통한 구멍 또는 개구부가 없다.
각 화소(3)는, 기판의 전면(11)에 고정된 제1 고정면(21)과 이 기판의 전면의 행방향(L)을 따라 상기 제1 고정면과 인접하게 셔터(3)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고정면(22)을 갖는 고정부(2)를 포함한다. 고정부(2)는 서로 인접 배치되어 기판의 전면(11)을 피복하는 2개의 상이한 반사체로 구성되고, 이들 반사체의 반사면은 제1 고정면(21)과 제2 고정면(22)을 구성한다. 또한, 제1 고정면(21)과 제2 고정면(22)의 사이에는 경계선(20)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고정부(2)는 각각 기판의 전면(11)에 접착제(도시 생략됨)에 의해 고정된 백색 반사면을 갖는 제1 반사 시트(41)와, 착색된 반사면을 갖는 제2 반사 시트(4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고정면(21)은 제1 반사 시트(41)의 반사면으로 구성되고, 제2 고정면(22)은 제2 반사 시트(42)의 반사면으로 구성된다.
통상의 반사 시트는 백색 반사면을 갖는다. 따라서, 착색된 반사면을 갖는 반사 시트는 투명한 착색 잉크층이나 투명한 착색막을 백색 반사 시트의 반사면에 배치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에 부가해서, 각 화소는 불투명한 셔터(3)를 갖는다. 셔터(3)는 기하학 형상의 2개의 주면(표면 및 배면)을 갖는다. 셔터(3)의 주면의 형상은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반원, 반타원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셔터(3)의 주면은 평면 형상(예컨대, 장방형)을 갖는다.
셔터(3)는 기판의 전면의 열방향(R)에 평행한, 즉 경계선(20)에 평행한 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의 전면(11)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20)과 평행하게 회전축을 고정하고, 그 회전축에 셔터(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 경우, 셔터(3)는 주면 형상의 장방형의 긴 변에 대응하는 하나의 엣지부(30) 또는 이 엣지부의 근방에 회전축을 수용하는 구멍을 갖는 베어링부를 갖는다.
또한, 셔터(3)에 회전축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계선(20)을 따라서 상기 기판의 전면(11)에 베어링 부재를 고정하고, 셔터의 회전축을 베어링 부재에 수용해서 셔터(3)를 기판의 전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이 경우의 회전축은 셔터의 주면 형상의 장방형의 2개의 짧은 변에 대응하는 2개의 측면에 상기 엣지부(30) 근방의 셔터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고정된 한쌍의 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예에 있어서, 베어링 부재는 통상 한쪽의 고정면과 동일한 색으로 착색되거나 또는 무색의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 상기 기판의 고정면의 전면을 덮는 무색의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레이트와 베어링 부재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고정면을 보호하는 피복 시트 또는 플레이트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셔터(3)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기판의 배면(12)에 배치된 전자석(6)과 셔터에 내장된 영구 자석(도 2a 및 도 2b에서는 자극만이 도시됨)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셔터(3)는 고정부(2)의 제1 고정면(21)을 실질적으로 관찰 불가능하게 차폐하는 제1 정지 상태(도 2a)와, 제2 고정면(22)을 실질적으로 관찰 불가능하게 차폐하는 제2 정지 상태(도 2b)와의 사이에서 행방향(L)을 따라서 회전한다.
또한, 회전축은 행방향(L)과 평행하게 배치되더라도 좋고, 이 경우, 2개의 고정면 사이의 경계선은 행방향(L)과 평행하며, 셔터는 열방향(R)을 따라 회전된다.
또한, 회전축은 행방향이나 열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2개의 고정면 사이의 경계선도 회전축과 동일하게 경사져서, 셔터의 평면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방형 화소의 대각선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셔터가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셔터(3)는 제1 정지 상태에서 관찰자에 의해 관찰되는 제2 관찰면(32)과, 제2 정지 상태에서 관찰자에 의해 관찰되는 제1 관찰면(31)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셔터(3)의 한쪽의 주면이 제1 관찰면(31)이고, 다른쪽의 주면이 제2 관찰면(32)이다. 예컨대, 셔터(3)는 백색 반사면을 갖는 제1 반사 시트(51)와, 상기 제1 반사 시트(51)의 비반사면에 접착되는 착색된 반사면을 갖는 제2 반사 시트(52)로 이루어진다. 즉, 제1 관찰면(31)은 제1 반사 시트(51)의 반사면이고, 제2 관찰면(32)은 제2 반사 시트(52)의 반사면이다. 또한, 셔터(3)의 제2 반사 시트(52)의 제2 반사면은 상기 제2 고정면과 동일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또한, 셔터(3)는 시트형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의 주면에 접착된 제1 반사 시트(51)와,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의 주면에 접착된 제2 반사 시트(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지 상태에서는, 고정부(2)의 제2 고정면(22)과 셔터(3)의 제2 관찰면(32)이 기판의 전면(11)을 따라 서로 병렬 배치되어 관찰되고, 착색된 제1 가시 화소를 형성한다. 한편, 제2 정지 상태에서는, 고정부(2)의 제1 고정면(21)과 셔터(3)의 제1 관찰면(31)이 기판의 전면(11)을 따라 병렬 배치되어 관찰되고, 백색의 제2 가시 화소를 형성한다.
상기 각 화소(3)의 정지 상태는 종래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서로 동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복수 개의 가시 화소로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각 화소(3)의 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5,148,156호, 제5,500,652호 및 제5,790,088호의 공보 등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에서는, 제1 고정면(21) 및 제2 고정면(22)은 각각 불투명한 제1 및 제2 반사 시트(41, 42)의 반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셔터(3)의 제1 관찰면(31) 및 제2 관찰면(32)은 각각 불투명한 제1 및 제2 반사 시트(51, 52)의 반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 개의 가시 화소로 합성된 이미지는 외부 광원에 의해 조명되는 경우에 고휘도로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41, 42, 51, 52)는 재귀 반사성 시트(광관측각 반사 시트를 포함함)를 사용할 수 있다. 반사 시트는 이하에 규정하는 관측각 특성(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측각 특성(A):
JIS Z 9117에 기초한 방법에 따라 측정된 반사 휘도는, 입사각 0° 및 관측각 10∼20°의 범위에서 0.2∼100 칸델라 ·룩스-1 ·m-2(cd ·lux-1 ·m -2)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휘도가 0.2 cd ·lux-1 ·m-2 미만이면, 야간에 이미지의 가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상기 반사 휘도가 100 cd ·lux-1 ·m-2 를 초과하면, 이미지에 포함되는 문자 등의 정보의 판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주간과 야간 사이에서 이미지의 형태가 서로 상이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입사각 0°에서 10°미만의 관측각(예컨대, 4°)에 있어서의 반사 휘도는, 통상 0.2 cd ·lux-1 ·m-2 이상, 바람직하게는 1 cd ·lux-1 ·m-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0 cd ·lux-1 ·m-2 의 범위이다. 또한, 표시체는 이미지면 상의 조도(판면 조도)가 10∼400 lux가 되도록 해서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귀 반사성 시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3M사로부터 입수가능한 반사 시트의 상품명인 "DIAMOND GRADE 시트" 상품 번호 "3963", "3990", "3983", "3924", "3951", "3970", "3971" 및 "981"와; 스미토모 3M사로부터 입수가능한 반사 시트의 상품명인 상품 번호 "HV 8100", "HIGH INTENSITY GRADE 시트의 상품 번호 3870" 및 "EHGINEER GRADE 시트의 상품 번호 3290", 및 니뽄 카바이드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가능한 상품명인 "크리스탈 등급 시리즈(CRYSTAL GRADE SERIE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고정면(21) 및 제2 고정면(22)은 기판의 전면(11)에 평행하게 열방향(R)에 연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가시 화소로 합성되는 이미지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보이도록 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면이 회전축(2개의 고정면 사이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가시 화소는 한쪽의 정지 상태에서 (1)하나의 셔터의 관찰가능한 관찰면과, (2)그 관찰가능한 관찰면과 인접한 고정면의 일부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셔터의 열방향 치수가 30 mm인 경우, 셔터가 한쪽의 관찰면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가시 화소를 (1)개방된 셔터의 관찰면(예컨대, 제1 관찰면)과, (2)그 관찰면과 인접한 고정면(예컨대, 제1 고정면)의 열방향 치수가 30 mm인 부분으로 구성한다.
가시 화소는 통상 대략 정방형의 반사면으로 형성된다. 정방형의 한변의 길이는 통상 50 mm 이하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한자 등의 비교적 획수가 많은 문자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경우 등과 같이 복수 개의 가시 화소로 합성된 이미지의 윤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시 화소의 한변의 길이가 2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변의 길이가 너무 작으면, 셔터의 작동이나 그 제어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시 화소의 한변의 길이는 5 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한 셔터들 간의 간격은 합성 이미지가 연속해서 보이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가급적 작은 쪽이 좋다. 한편, 셔터 자체의 치수 정밀도나 기판에 고정된 셔터의 위치 정밀도에 오차가 있으면, 하나의 셔터가 다른 셔터의 이동을 방해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인접한 셔터들 간의 간격은 통상 0.5∼5 mm, 바람직하게는 0.8∼3 mm의 범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셔터의 작동에는 기판의 배면에 배치된 전자석과, 셔터에 내장된 영구 자석과의 상호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기판의 배면에 배치된 전자석은 통상 도선을 복수회 감은 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코일의 내부에 철심 등의 코어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 하나의 정지 상태로부터 다른 정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셔터의 작동에 관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정지 상태(도 2a)에 있어서, 셔터(3)는 영구 자석의 자극 N을 기판의 전면으로 향하고, 제2 관찰면(32)을 외부를 향해서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자석(6)의 기판의 배면에 가까운 쪽의 자극이 N극 되도록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면, 셔터(3)의 자극 N과 전자석이 서로 반발하여, 셔터(3)는 회전한다. 셔터(3)가 회전된 이후, 셔터(3)의 자극 S가 전자석(6)의 기판의 배면에 가까운 자극 N으로 잡아 당겨지기 때문에, 셔터(3)는 제1 관찰면(31)을 외부로 향하고, 제2 정지 상태(도 2b)에서 안정되게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석(6)으로 흐르는 전류를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전자석(6)의 코일(도시하지 않음)내를 셔터의 자석으로부터의 자력선이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과 셔터의 자석은 비록 약한 힘이기는 하지만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데에 충분한 힘으로 서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셔터의 위치는 제2 정지 상태로부터 제1 정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터의 작동을 각 화소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행하거나 또는 서로 동기시켜서 행하도록 함으로써, 가시 화소를 변화시키고, 또한 차례대로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셔터용 영구 자석은 전술한 바와 같은 셔터의 작동이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영구 자석은 페라이트계(예컨대, 베릴륨 페라이트 등), 알니코계, 희토류 코발트계(예컨대, 사마륨 코발트 등), 희토류 철 붕소계(예컨대, 네오디뮴철 붕소 등) 등의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자성 재료는 비교적 높은 자기 특성(예컨대, 잔류 자속 밀도, 보자력, 및 최대 에너지 곱 등)을 가지며, 가능한 작은 평면 치수 및 두께 방향 치수의 영구 자석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셔터의 두께나 중량을 불필요하게 크게 증가시킴이 없이 화소의 셔터를 제작할 수 있다.
셔터용 영구 자석은 셔터의 제작시에 셔터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체에 자석을 내장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자석으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지지체에 자석을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터 지지체는 통상 (1)대략 장방형 표면을 갖는 셔터 부재용 지지부와, (2)그 지지부에 장착된 영구 자석을 갖는다.
셔터 부재의 지지부에 영구 자석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i)지지부를 플라스틱 자석 등의 영구 자석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ii)지지부의 표면에 영구 자석을 고정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셔터 부재는 통상 2장의 반사 시트의 비반사면과 서로 대향하여 접합시켜서 반사 시트 적층체를 형성한 후, 그 적층체로부터 소정의 형상 및 평면 치수를 갖도록 재단하여 제작할 수 있다.
셔터 부재와 이 셔터 부재의 지지부는 지지부의 배면과 셔터 부재의 한쪽의 반사면을 대향시켜 서로 고정한다. 따라서, 셔터 부재의 지지부의 표면은 셔터 부재의 한쪽의 반사면(반사 시트의 표면)과 동일한 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셔터 부재의 지지부도 셔터 부재와 동일한 반사 시트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셔터 부재의 지지부를 무색의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무색의 투명한 지지부의 경우, 셔터 부재의 반사면의 전면을 피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내부에 광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표시체 자체에는 셔터의 작동만을 행하기 위한 비교적 작은 전류가 공급되면 좋다. 따라서,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태양 전지(광전지)와 축전지의 조합만으로 디스플레이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지면에 태양 전지 또는 이 태양 전지에 접속된 집광 유닛을 배치하여, 표지면을 조명하는 외부 광원의 광을 이용해서 광학적으로 발생시켜서 셔터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얻을 수도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가변 이미지 표시체의 실시예는, "지정된 방향외 진행 금지"를 표시하는 가변 교통 표지를 다음과 같이 해서 제작되었다.
우선, 기판으로서, 직경 900 mm, 두께 1.5 mm의 원형 알루미늄 기판을 준비하였다. 이 기판은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를 갖는 표지의 기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고정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반사체를 준비하였다. 이 반사체는 3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반사 시트의 상품명인 "DIAMOND GRADE 시트 상품 번호 3990(백색)"이었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 시트의 백색 반사면 상에 제1 고정면(21) 및 제2 고정면(22)을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인쇄는 제1 고정면(21)과 대응하는 부분과 기판 주위의 원형의 주변 부분을 잉크가 통과하지 않도록 제작된 실크 스크린 인쇄판을 사용해서 투명한 청색 잉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제2 고정면(22)은 청색 인쇄층의 표면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2)는 백색 반사 시트의 비인쇄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의 청색 인쇄층은 열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연장된 폭(행방향의 치수)이 17 mm의 스트라이프로 구성되고, 비인쇄 부분은 열방향을 따라서 연속 해서 연장된 폭(행방향의 치수)이 15 mm의 스트라이프로 구성되고 있었다. 또한, 청색과 백색의 스트라이프(각각 28개씩 구성됨)는 청색의 스트라이프와 백색의 스트라이프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고정면을 갖는 반사 시트를 상기 알루미늄 기판의 한쪽의 주면 상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셔터(3)를 제작하였다.
우선, 셔터 부재를 다음과 같이 해서 제작하였다.
전술한 반사 시트의 상품명인 "DIAMOND GRADE 시트 상품 번호 3990(백색)"이 준비되었다. 다른 반사 시트인 "상품 번호 3990"의 반사면에 전술한 투명한 청색 잉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인쇄하였다. 이 2개의 반사 시트를 비반사면과 서로 대향시켜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이 적층체를 15 mm × 30 mm의 평면 치수를 갖도록 재단하여, 2장의 반사 시트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셔터 부재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셔터 지지체에 상기 셔터 부재를 고정하여,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셔터(3)를 제작하였다. 셔터 지지체는, (ⅰ)15 mm × 30 mm의 평면 치수를 갖는 무색의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셔터 부재의 지지부와, (ⅱ)지지부의 표면 상의 길이 방향 중앙과 폭방향의 한쪽 에지 근방의 위치에 고정된 영구 자석(평면 형상은 직경 약 6 mm, 두께 약 4 mm의 디스크 형상임)과, (ⅲ)지지부의 장방형의 하나의 긴 변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에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폭방향 한쪽의 에지에 해당하는 긴 변 방향을 따라서 약 4 mm의 길이로 연장되는 한쌍의 회전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배면과 셔터 부재의 청색 반사면을 서로 대향해서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여 셔터 부재를 지지부에 고정하였다.
한편, 반사 시트의 무색의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베어링 부재를 2개의 고정면 사이의 경계선(20)을 따라서 고정하였다. 각 베어링 부재는 각각이 상기 셔터 부재의 하나의 회전축을 수용하고, 한쌍의 베어링 부재가 하나의 셔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셔터가 원활하게 회전가능하도록 경계선 상의 소정의 위치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였다.
이 상태에 후속해서, 각 베어링 부재에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된 셔터(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각각이 (a)하나의 셔터(3)와, (b)그 셔터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경계선(20)을 통해 서로 인접하고 길이 방향 치수가 30 mm인 제1 및 제2 고정면(21, 22)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화소를 상기 알루미늄 기판 상에 형성하였다. 또한, 각 화소가 형성되는 가시 화소는 한변의 길이가 약 30 mm의 대략 정방형이고, 기판 상에 584개의 화소가 배치된 형상이다.
최종적으로,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하나의 전자석이 대응하도록 기판의 배면(12)의 경계선(20)의 근방 위치에 복수 개의 전자석(6)을 부착하여,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표지를 완성시켰다.
이 표지를 열방향(L)이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배치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작동시켰다. 즉, 도 3과 같이 표시되는 이미지를 비트 맵 데이터로서 작성하고, 컴퓨터에 의해 전자석의 ON/OFF 및 자극의 방향을 제어하며, 각 화소의 정지 상태를 제어하여, 각 이미지를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 함으로써, 도 3의 우측의 표지 이미지와 도 3의 좌측의 표지 이미지와의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본 실시예의 표지가 표시되는 각 이미지는, 근거리에서 표지를 관찰할 때 각 가시 화소의 들쭉날쭉한 형상이 다소 마음에 걸리지만, 10 m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관찰하면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 표지의 경우와 같이 상기 가변 이미지의 화살표의 수, 형상 및 방향을 주간과 야간의 어느 시점의 경우라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야간의 경우에는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금속 할로겐 램프(metal halide lamp) "상품 번호 : M400 L/BH-SC"를 외부 광원으로 사용해서 조명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지로서는, 각 화소의 정지 상태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이미지 이외에도 다른 원하는 이미지를 임의로 표시할 수 있는 프리 패턴(다중 패턴) 타입의 가변 표지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부분적 가변 안내 표지를 표시하는 가변 안내 표지를 제작하고 있다. 이 표지는 예를 들면 계절에 따라 상이한 복수 개의 안내 정보를 가변 표시할 수 있는 안내 표지이다. 본 실시예의 가변 표지는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도 4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대응하는 장방형 모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작하였다. 또한, 도 4의 표지의 비가변 부분은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 표지의 경우와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즉, 전술한 반사 시트의 상품명인 "DIAMOND GRADE 시트 상품 번호 3990(백색)"의 반사면에 전술한 투명 청색 잉크를 이용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와 화살표를 포함하는 정지 이미지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된 것을 알루미늄 표지 기판에 접착함으로써, 안내 표지의 본체 부분을 제작하였다.
상기 모듈로서는, 표시 이미지가 한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 화소로 형성되는 가시 화소를 평면 치수가 약 10 mm × 약 10 mm의 대략 정방형(각 셔터 부재는 5 mm × 10 mm의 평면 치수를 갖는 대략 장방형의 형상임)이 되도록 하였다.
안내 표지의 본체 부분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모듈 부착용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모듈을 조립하여, 본 실시예의 가변 이미지 표지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1의 표지와 동일하게, 표시되는 이미지를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도 4의 우측의 표지 이미지와 도 4의 좌측의 표지 이미지와의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본 실시예의 표지가 표시되는 각 이미지에 있어서의 가시 화소의 들쭉 날쭉한 형상은 가시 화소의 치수가 실시예 1의 치수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상당히 경감되고 이미지의 윤곽은 원활하였다.
또한, 각 이미지를 약 50∼100 m 이격된 지점에서 관찰하였을 때,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 표지의 경우와 같이 상기 가변 이미지의 문자를 판독 가능하고, 화살표의 형태나 방향을 주간 및 야간의 어느 경우에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지는 각 화소의 정지 상태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이미지 이외에도 다른 원하는 이미지를 임의로 표시할 수 있 는 프리 패턴 타입의 가변 표지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와는 상이한 타입인 다른 가변 안내 표지를 제작한 실시예이다. 이 표지는 예를 들면, 주간과 야간 사이에 교통량이 변화되었을 때, 2 종류의 상이한 표지 이미지를 가변 표시할 수 있는 안내 표지이다. 본 실시예의 가변 표지는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도 5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대응하는 장방형 모듈(가변 이미지 표시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도 5의 표지의 비가변 부분은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 표지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듈은 화소의 정지 상태를 서로 동기시켜서 사용되고 있다.
우선, 모든 셔터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제1 정지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좌측과 같이 "大森/Omori" 및 우측 화살표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고정부의 제2 고정면과 셔터의 제2 관찰면을 다음과 같이 해서 형성하였다.
전술한 반사 시트, 즉 "상품 번호 3990(백색)"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투명 청색 잉크로 인쇄하여, 소정의 면적과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가늘게 재단하였다. 이와 같이 재단된 복수 개의 조각을 제1 정지 상태에서 관찰되는 복수 개의 가시 화소가 상기 제1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셔터의 제2 관찰면과 제2 고정면으로 적절하게 분배하고 있다. 또한, 각 셔터의 제2 관찰면은 25 mm × 50 mm의 대략 장방형이었다.
한편, 고정부의 제2 고정면과 셔터의 제2 관찰면의 경우와 동일하게, "진입 금지"의 원형 표지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고정부의 제1 고정면과 셔터의 제1 관찰면을 형성하였다. 이 경우에, 투명한 청색 잉크에 부가해서, 투명한 적색 잉크도 이용하여 전술한 진입 금지의 원형 표지의 배경 부분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모듈을 안내 표지의 본체 부분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해서, 본 실시예의 가변 이미지 표지를 완성하였다.
본 실시예의 가변 이미지 표지를 약 50∼100 m 이격된 지점에서 관찰하였을 때, 통상의 정지 인쇄 이미지 표지의 경우와 같이 상기 가변 이미지의 문자를 판독 가능하고, 화살표의 형태나 방향을 주간과 야간의 어느 경우에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스미토모 3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광관측각 반사 시트인 "상품 번호 HV 8100"을 반사 시트로서 사용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해서 본 실시예의 가변 이미지 표지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지의 조명 광원으로서 스미토모 3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투광기(flood lamp)인 "상품 번호 OPL-250"을 이용해서 약 20°의 조사 각도(표지의 반사면의 법선 방향을 0°로서 측정된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면, 다수의 가변 이미지를 밝게 관찰할 수 있었다.

Claims (5)

  1. (A)관찰가능한 전면과, 상기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기판과;
    (B)상기 기판의 전면에 행 및 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 개의 화소
    를 구비하고,
    상기 각 화소는,
    (a)제1 고정면, 상기 제1 고정면에 인접한 제2 고정면-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면은 불투명한 반사면을 가짐 -, 및 상기 제1 고정면과 상기 제2 고정면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과;
    (b)상기 제1 및 제2 고정면들 사이의 경계선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각각 불투명한 반사면이 있는 제1 및 제2 관찰면을 갖는 셔터
    를 포함하며,
    제1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고정면과 상기 셔터의 제2 관찰면이 병렬 배치되어 제1 가시 화소를 형성하고,
    제2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고정면과 상기 셔터의 제1 관찰면이 병렬 배치되어 제2 가시 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면과 제1 관찰면은 백색 또는 제1 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제2 고정면과 제2 관찰면은 제2 색으로 착색되는 것인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정지 상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되어, 3 이상의 상이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인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재귀 반사성 시트를 포함하는 것인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5. 삭제
KR1020027016551A 2000-06-05 2001-05-30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KR100761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67001 2000-06-05
JP2000167001A JP2001343914A (ja) 2000-06-05 2000-06-05 可変イメージ表示体
PCT/US2001/017414 WO2001095008A2 (en) 2000-06-05 2001-05-30 Variable image-display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513A KR20030009513A (ko) 2003-01-29
KR100761702B1 true KR100761702B1 (ko) 2007-10-02

Family

ID=1867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551A KR100761702B1 (ko) 2000-06-05 2001-05-30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57279B2 (ko)
EP (1) EP1297375B1 (ko)
JP (1) JP2001343914A (ko)
KR (1) KR100761702B1 (ko)
CN (1) CN1446322A (ko)
AT (1) ATE341777T1 (ko)
AU (1) AU2001266624A1 (ko)
DE (1) DE60123613T2 (ko)
WO (1) WO20010950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9593A2 (en) * 2002-02-09 2003-08-21 Display Science, Inc. Flexible video displays and their manufacture
CN102956163A (zh) * 2011-08-19 2013-03-06 博奕时空传媒 显示装置、显示屏及显示方法
JP6196238B2 (ja) * 2011-12-19 2017-09-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カラーシフトする看板
CN107132680A (zh) 2017-07-05 2017-09-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以及包括该显示面板的窗户
US11714316B2 (en) 2017-09-20 2023-08-01 New Visual Media Group, L.L.C. Highly reflective electrostatic shutter display
US10741104B2 (en) * 2018-04-25 2020-08-11 Traffic Engineering Services, LLC Road sig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US10801258B2 (en) 2018-07-06 2020-10-13 Guardian Glass, LLC Flexible dynamic shade with post-sputtering modified surface,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95102B2 (en) 2018-07-06 2021-01-19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internal shade and external power source,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914114B2 (en) 2018-07-06 2021-02-09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including shutter supporting surface-modified conductive coating,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76349B2 (en) 2018-07-06 2020-12-29 Guardian Glass, LLC Electro-polymeric shade for use at elevated temperature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871027B2 (en) 2018-07-06 2020-12-22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CIGS solar cell,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927592B2 (en) 2018-07-06 2021-02-23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surface-modified polymer,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58884B2 (en) 2018-07-06 2020-12-08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coil strength,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794110B2 (en) 2018-07-06 2020-10-06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perforations,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634942B2 (en) 2020-02-03 2023-04-25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electrostatic shade retraction,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428040B2 (en) 2020-02-03 2022-08-30 Guardian Glass, LLC Electrostatic latching stop bar for dynamic shade,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174676B2 (en) 2020-02-03 2021-11-16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shade extension control,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421470B2 (en) 2020-02-17 2022-08-23 Guardian Glass, LLC Coil skew correction techniques for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210972B1 (en) 2020-12-23 2021-12-28 New Visual Media Group, L.L.C. Optical shutter and display pan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8281A (en) 1969-12-30 1972-03-07 Ibm Electrostatic display panel
US4983956A (en) 1988-10-13 1991-01-08 Unisplay S.A. Display arrangement
US5790088A (en) 1995-12-04 1998-08-04 American Electronic Sign Company Electronic display element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3332B2 (en) * 1976-10-05 1995-09-05 Unisplay Sa Matrix display device
SE7910071L (sv) * 1978-12-08 1980-06-09 Roy Mcgreevy Skyltanordning
GB2045991B (en) 1979-04-06 1982-12-08 Salam H P A Matrix display device
US4893903A (en) * 1985-05-06 1990-01-16 Taliq Corporation Flashing advisory sign
US5050327A (en) 1989-11-17 1991-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sign having improved legibility
US5148156A (en) 1990-06-06 1992-09-15 American Electronic Sign Company Electronic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xel elements
IL95017A (en) * 1990-07-10 1995-07-31 Peled Oded Magnetically-actuated display ele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GB9124444D0 (en) * 1991-11-18 1992-01-08 Black Box Vision Limited Display device
US5638084A (en) * 1992-05-22 1997-06-10 Dielectric Systems International, Inc. Lighting-independent color video display
US5500652A (en) 1992-11-19 1996-03-19 American Electronic Sign Company Display element with reflective lens
US5818640A (en) 1994-08-01 1998-10-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g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6175342B1 (en) 1996-04-15 2001-01-16 Aadco, Inc. Enhanced modular message board
US5781333A (en) * 1996-08-20 1998-07-14 Lanzillotta; John Piezoelectric light shut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8281A (en) 1969-12-30 1972-03-07 Ibm Electrostatic display panel
US4983956A (en) 1988-10-13 1991-01-08 Unisplay S.A. Display arrangement
US5790088A (en) 1995-12-04 1998-08-04 American Electronic Sign Company Electronic display element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95008A2 (en) 2001-12-13
ATE341777T1 (de) 2006-10-15
DE60123613T2 (de) 2007-08-16
JP2001343914A (ja) 2001-12-14
WO2001095008A3 (en) 2003-01-09
EP1297375B1 (en) 2006-10-04
US6557279B2 (en) 2003-05-06
AU2001266624A1 (en) 2001-12-17
EP1297375A2 (en) 2003-04-02
DE60123613D1 (de) 2006-11-16
US20020002783A1 (en) 2002-01-10
CN1446322A (zh) 2003-10-01
KR20030009513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702B1 (ko) 가변 이미지 디스플레이
KR101466546B1 (ko) 에지형 면광원 양방향 표지판
JPH10301509A (ja) 書込み可能な表示サイン
US20080074368A1 (en) Architectures for enhancing reflective, bi-stable magneto-optical displays
JP2013516646A (ja) 光を偏向する標識用基材
US5452532A (en) Customizable sign having translucent border around retroreflective message
EP0608269B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US20060080874A1 (en) Dynamic message sign
EP1591984A2 (en) Illumination for electromagnetic display panel
KR20010041727A (ko) 광각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트 및 시스템
EP1496489B1 (en) Dynamic message sign
US6603458B1 (en) Electromagnetic display device
EP149649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sheet
JP2008517325A (ja) 動的メッセージ標識
KR100487080B1 (ko) 프론트 라이트 조명 전시 장치
CA2352821C (en) Electromagnetic display device
JP3124202B2 (ja) 情報表示装置
WO2020250150A1 (en) An animated illuminated sign
KR20070063603A (ko) 동적 전광 표지
HU221770B1 (hu) Állandómágneses jelmegjelenítő elemek, különösen sötétben való kijelzésre is alkalmas elektromágneses gerjesztésű passzívelemes jelmegjelenítő berendezésekhez
JPH11175001A (ja) 可変イメージ表示体
HU217747B (hu) Állandómágneses raszterelem kijelzőberendezésekhez, különösen sötétben való kijelzésre alkalmas elektromágneses gerjesztésű információmegjelenítő beredezésekhe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