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507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507B1
KR100759507B1 KR1020060089257A KR20060089257A KR100759507B1 KR 100759507 B1 KR100759507 B1 KR 100759507B1 KR 1020060089257 A KR1020060089257 A KR 1020060089257A KR 20060089257 A KR20060089257 A KR 20060089257A KR 100759507 B1 KR100759507 B1 KR 100759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block
visually impaired
guide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탁
Original Assignee
권영탁
강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탁, 강지호 filed Critical 권영탁
Priority to KR102006008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 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길 안내를 위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모듈형식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에는 점자블록이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안내표지판의 내용은 6자 점차체계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점자블록을 배열함으로써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블록에는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 및 방향표시 점자블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을 모듈 형식으로 구성시키고, 설치 위치에 따라 단위 점자블록 및 단위 일반블록을 절절히 구비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시각 장애인, 점자, 돌기, 인도(人道)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A sign board for guiding a blind pers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평면도(지역명이 국문 및 영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에 사용되는 단위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 도 5a는 분리사시도, 도 5b는 결합사시도, 도 5c는 평면도, 도 5d는 정면도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점자블록 110: 몸체
120: 홈 131: 짧은 점자돌기
132: 긴 점자돌기 210: 일반블록
220: 선형 점자블록 230: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
240: 방향표시 점자블록 250: 일반인을 위한 길 안내표시부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단위블록이 모듈형태로 구성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로는 대표적으로 점자블록이 있다.
상기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이 통상의 보행상태에서 주로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그 존재 및 대강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돌기를 표면에 양각시킨 블록으로서 시각 장애인에게 보다 정확한 위치와 보행 방향을 제시하여 안전하게 안내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해 6점 점자 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6점을 이용하여 하나의 자음, 모음, 숫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6점 점자 체계는 세로로 3점, 가로로 2점으로 구성된다.
점자블록은 지하철, 철도역사, 공항 터미널, 장애인복지시설, 관공서, 공공시설물, 은행, 우체국, 교회, 병원, 호텔, 오피스텔, 백화점, 아파트 등에 설치된다.
점자블록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동선의 분기점, 대기점, 목적지 점 등의 위치 표시 및 위험지역 표시에 사용되는 점형 점자블록과, 보행동선의 분기점, 대기점, 시발점에서 목적 방향으로 설치하여 정확한 방향을 알려주는 선형 점자블록이 있다.
그러나 시각 장애인은 점형 점자블록(22)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그 방향을 잃어버린 경우, 매우 난감해하며 주위 사람들에게 물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모듈형식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에 점자블록이 포함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올바른 길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인도 점자블록에 표기된 점자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블록의 일측에 일반인을 위한 표시부가 더 포함된 안내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인도 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길 안내를 위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모듈형식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에는 점자블록이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안내표지판의 내용은 6자 점차체계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점자블록을 배열함으로써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블록에는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 및 방향표시 점자블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반인도 점자블록에 표기된 점자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블록의 일측에 일반인을 위한 길 안내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정중앙에 점형 점자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블록은 다수개의 홈이 구비된 몸체; 및 점자내용에 따라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점자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점자돌기는 짧은 점자돌기와 긴 점자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에 짧은 점자돌기를 삽입시키면 짧은 점자돌기는 몸체의 표면 이하까지 돌출되고, 상기 홈에 긴 점자돌기를 삽입시키면 긴 점자돌기는 몸체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에 점자돌기를 삽입시켰을 때, 상기 짧은 점자돌기의 상부면은 몸체의 표면과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긴 점자돌기의 상부는 모따기나 라운딩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평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평면도(지역명이 국문 및 영문임)이다.
본 발명은 인도 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길 안내를 위한 표지판(1)에 관한 것으로,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모듈형식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에는 점자블록이 포함된다.
여기서, '단위(單位)'는 하나(one)를 의미한다.
단위 블록에는 단위 점자블록(230)과 단위 일반블록(210a)(210b)이 있다.
점자블록은 점자가 형성된 블록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6자 점자 체계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지각(知覺)수단(지팡이 등)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에 표기된 점자를 인지하게 된다. 이하, 단위 점자블록(2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설명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반면에 일반블록(210a)(210b)은 점자가 형성되지 않는 블록을 말한다.
상기 안내표지판(1)의 전체적인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위 점자블록을 복수개 연이어 나열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역명, 건물명 등을 나타내는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230)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모양의 방향표시 점자블록(24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내부가 채워진 원(●)은 긴 점자돌기(도 5의 도면부호 132에 해당 함)가 설치된 것이고, 내부가 채워지지 않은 원(○)은 짧은 점자돌기(도 5의 도면부호 131에 해당함)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방향표시 점자블록(240)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긴 점자돌기(241)와 하나의 선형 점자돌기(242)를 이용하여 화살표 모양으로 구성시켰다. 또한, 방향표시 점자블록(240)은 상기 세 개의 긴 점자돌기(241) 자체를 화살표 모양으로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230)은 방향표시 점자블록(240) 일측 가까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점형 점자블록을 안내표지판(1)의 정중앙에 형성시켜 시각장애자로 하여금 이 부분이 보행동선의 분기점이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자의 내용을 일반인도 인지할 수 있도록 각 방향에 대한 길 안내 표시 수단(25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는데, 길 안내 표시 수단(250)은 상기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230)의 일측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및 도 4b 참조)
상기 일반인을 위한 길 안내 표시부(250)에 표기된 내용은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230)에 표기된 내용과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안내표지판(1)을 인도(人道) 등에 구비하면 시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올바른 길 안내가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에 사용되는 단위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 도 5a는 분리사시도, 도 5b는 결합사시도, 도 5c는 평면도 및 도 5d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점자블록(100)은 크게, 몸체(110)와 점자돌기(131)(132)로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인도(人道) 등에 설치(매립 또는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몸체(110)에는 다수개의 홈(120)이 구비된다. 상기 홈(12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진 않지만, 6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자음, 모음, 숫자 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개수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홈(120)은 상(上)에서 하(下) 방향으로 뚫리며,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태이다.
상기 홈(120)에는 점자돌기(131)(132)가 삽입된다. 이에, 상기 점자돌기(131)(132)의 형태는 홈(120) 형태대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120)의 깊이는 점자돌기(131)(132)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자돌기는 그 길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즉, 점자돌기에는 긴(長) 점자돌기(132)와, 짧은(短) 점자돌기(131)가 있다. 상기 긴 점자돌기(132)는 상대적으로 짧은 점자돌기(131)보다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에 구비된 홈(120)에 긴 점자돌기(132) 또는 짧은 점자돌기(131)가 점자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짧은 점자돌기(131)의 길이는 몸체에 구비된 홈(120)의 깊이와 같거나 그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짧은 점자돌기(131)를 상기 몸체의 홈(120) 내에 삽입시켰을 때, 짧은 점자돌기(131)가 몸체(110)의 표면(133) 이하(以下)까지만 돌출되도록 한다.
반면에 긴 점자돌기(132)는 상기 짧은 점자돌기(131)보다 그 길이를 약간 더 길게 형성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긴 점자돌기(132)를 상기 몸체의 홈(120) 내에 삽입시켰을 때, 긴 점자돌기(132)가 몸체(110)의 표면 밖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짧은 점자돌기(131)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긴 점자돌기(132)의 상부를 모따기나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홈(120)에 점자돌기(131)(132)를 삽입시킨 후, 그 틈을 모래 등을 이용하여 메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자돌기(131)(132)의 삽입 및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면서 쉽게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점자블록의 본체(110) 및 점자돌기(131)(132)를 돌(stone)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몸체(110)에 형성된 홈(120)보다 작은 직경 을 갖는 배수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120)과 배수구(140)는 연통되며, 배수구(140)는 홈(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구를 형성시킴으로써 첫째, 점자돌기(131)(132)가 턱에 걸려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둘째 물이 몸체의 홈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을 모듈 형식으로 구성시키고, 설치 위치에 따라 단위 점자블록 및 단위 일반블록을 절절히 구비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둘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에 일반인을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일반인에게도 올바른 길 안내가 가능하다.

Claims (5)

  1. 인도 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길 안내를 위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단위 블록을 모듈형식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블록에는 점자블록이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안내표지판의 내용은 6자 점차체계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단위 점자블록을 배열함으로써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블록에는 길 안내표시 점자블록 및 방향표시 점자블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3.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인도 점자블록에 표기된 점자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블록의 일측에 일반인을 위한 길 안내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의 정중앙에 점형 점자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블록은 다수개의 홈이 구비된 몸체; 및 점자내용에 따라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점자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점자돌기는 짧은 점자돌기와 긴 점자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에 짧은 점자돌기를 삽입시키면 짧은 점자돌기는 몸체의 표면 이하까지 돌출되고,
    상기 홈에 긴 점자돌기를 삽입시키면 긴 점자돌기는 몸체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KR1020060089257A 2006-09-14 2006-09-14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KR100759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57A KR100759507B1 (ko) 2006-09-14 2006-09-14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57A KR100759507B1 (ko) 2006-09-14 2006-09-14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817U Division KR200432254Y1 (ko) 2006-09-14 2006-09-14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507B1 true KR100759507B1 (ko) 2007-09-21

Family

ID=3873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57A KR100759507B1 (ko) 2006-09-14 2006-09-14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95B1 (ko) * 2009-10-01 2010-11-11 대구광역시 수성구 위치 안내용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540Y1 (ko) 2003-04-26 2003-09-19 김성호 안내표시용 발광편
KR100563639B1 (ko) 2005-10-14 2006-03-29 (주)경동기술공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자도로 내의 감지블럭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540Y1 (ko) 2003-04-26 2003-09-19 김성호 안내표시용 발광편
KR100563639B1 (ko) 2005-10-14 2006-03-29 (주)경동기술공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자도로 내의 감지블럭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95B1 (ko) * 2009-10-01 2010-11-11 대구광역시 수성구 위치 안내용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5992B2 (en) Emergency exit sign
EP1312058A4 (en) PASSIVE LIGHTING DISPLAY ATTRACTING ATTENTION FOR SIGNALING PANELS
NO20111323A1 (no) Retningselement
KR100759507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JP4420355B2 (ja) 点字ブロック
KR200432254Y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US20080280265A1 (en) Mobility map and system
Mac an Bhreithiún et al. Language, typography, and place-making: Walking the Irish and Ulster-Scots linguistic landscape
JP2008203983A (ja) 案内標識および方向指示標識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誘導標識設備
KR200432253Y1 (ko) 점자블록
KR100686940B1 (ko) 교체가능한 요철식 투명보도블록
KR20120022093A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럭
Košťálová et al. Save guiding of visually impaired people-artificial guiding lines arrangements in the infrastructure
KR200391083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200320528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JP3078508U (ja) 点字タイル
KR200313306Y1 (ko) 무단횡단 금지 표지판
KR20000010428U (ko) 조립식 도로표지판용 기둥
JP2003066829A (ja) 視覚障害者用点字プレート及び点字ブロック
KR200180278Y1 (ko) 버스 정류장의 안내장치
KR19990004441U (ko) 시각장애자용 안내표지판
KR200324267Y1 (ko) 교체가능한 위험경고표시용 투명보도블록
KR200297381Y1 (ko) 보도용 유도블록
ES2284364B1 (es) Maqueta tridimensional para la orientacion y movilidad autonoma de personas que no pueden ver, en espacios abiertos o cerrados.
JPS61230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