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094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094B1
KR100758094B1 KR1020030074738A KR20030074738A KR100758094B1 KR 100758094 B1 KR100758094 B1 KR 100758094B1 KR 1020030074738 A KR1020030074738 A KR 1020030074738A KR 20030074738 A KR20030074738 A KR 20030074738A KR 100758094 B1 KR100758094 B1 KR 10075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ashing
cleaning means
spray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665A (ko
Inventor
오야마마코토
이누이히로아키
이노우에다카유키
기쿠카와도모유키
우에사키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9333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53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39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97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3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5400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Abstract

식기의 배치나 오물에 맞는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가 제공된다.
식기 세척기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27)과,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27)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37)을 포함하며, 세정 수단(27)의 수는 분수 수단(37)에 의해 전환되는 분기(分岐)의 수보다 적게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동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세정 펌프 운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6은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세정 펌프 정지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결합부의 상세도,
도 8은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다른 결합부의 상세도,
도 9는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10은 동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11은 동 실시 형태 1의 다른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12는 동 실시 형태 1의 다른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13은 동 실시 형태 1의 다른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14는 동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15는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결합부의 상세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18은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20은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21은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23은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24는 동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25는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27은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29는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개략도,
도 31은 동 식기 세척기의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패턴도,
도 32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
도 33은 동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식기 세척기 본체 22 : 세정조
24 : 식기 바구니 26 : 세정 펌프
27 : 세정 수단 37 : 분수 수단
39 : 유출부 40 : 케이싱
본 발명은 식기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척기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218721 호 참조). 이하,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1)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2a 내지 2e)과, 세정 펌프(1)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2a 내지 2e)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3)을 구비하며, 분수 수단(3)은 도 33과 같이 구성되며, 회전 분수부(4)를 구동용 모터(5)로 회전시켜, 회전 분수부(4)의 토출구(6)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를 세정 수단(2a 내지 2e)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분사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회전 분수부(4)의 토출구(6)를 2개 마련한 경우에는 2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하여, 순차적으로 2개씩 분사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급수량(순환수량)을 늘리지 않고 세정 수단(2a 내지 2e)의 수를 늘릴 수 있어,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의 단축이나, 에너지 절약, 절수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하나의 세정 수단에서만 분사하는 경우에는 고압이면서 고유량으로 집중적인 세정을 할 수 있고, 또한 2개를 동시에 분사하는 경우에는 한번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고, 분사 횟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대유량으로의 세정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각각 세정 성능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하나의 세정 수단에서 분사하는 경우에는 항상 하나씩의 분사이며, 또한 2개 분사의 경우에는 항상 2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이며, 어느 한쪽 패턴으로밖에 분사할 수 없었다.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더러워진 식기류를 세정하는 경우, 식기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을 떼어내어 떨어뜨리는 작용과, 한번 떼어낸 오물이 다시 식기에 부착한 재부착 입자 등을 씻어내는 작용 모두가 필요하다. 고압의 분사이면 오물을 떼어내는 능력은 높지만, 유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씻어내는 작용은 작다. 반대로, 대유량으로 광범위하게 분사하면, 씻어내는 작용은 얻을 수 있지만, 눌어붙어 있는 오물을 떼어내는 힘은 작다. 종래의 분사 패턴에서는 어느 한쪽 세정이 주체여서, 최적의 세정을 할 수 없었고, 세정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식기류의 오물은 다양하여, 그 재질이나, 크기, 부착의 강약 등이 다 르다. 밥알이 눌어붙은 밥공기 등은 고압으로의 세정이 적합하고, 접시류는 표면적이 넓고 부착 입자가 비교적 많기 때문에 대량의 세정수로 씻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세정 방법에서는 세정조 전체가 동일한 세정 조건이기 때문에 식기 배치에 따른 최적의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과,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을 구비하며, 세정 수단의 수는 분수 수단에 의해 전환되는 분기(分岐)의 수보다 적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세정 수단의 수가 분수 수단의 분기의 수보다 적은 횟수만큼의 분사를 임의의 분사에 이용할 수 있고, 특정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 횟수를 늘려, 부분적으로 강력한 세정을 하거나, 광범위하게 분사함으로써, 높은 분사압으로의 강력한 세정과, 대유량으로 광범위하게 씻어내는 세정을 조합하는 등, 식기의 배치나 오물에 맞는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과, 상기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 수단의 수는 상기 분수 수단에 의해 전환되는 분기의 수보다 적게 한 것으로,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하는 것은 아니고,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함으로써, 적은 순환수량으로,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으며, 운전 시간의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수단의 수가 분수 수단의 분기의 수보다 적은 횟수만큼의 분사를 임의의 분사에 이용할 수 있고, 특정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 횟수를 늘려, 부분적으로 강력한 세정을 하거나, 광범위하게 분사함으로써, 높은 분사압에서의 강력한 세정과, 대유량으로 광범위하게 씻어내는 세정을 조합하는 등, 식기의 배치나 오물에 맞는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어, 세정 효율이 향상되고, 운전 시간의 단축 등을 한층 더 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분기된 후의 세정수가 흐르는 복수개의 유출부를 구비하며, 2개 이상의 유출부가 동일 세정 수단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서, 특정한 세정 수단에서는 복수회 세정수가 분사된다. 이 때문에, 특정 세정 수단에서의 세정력이 증강되어, 이 장소에 오염이 심한 식기류를 위치시키도록 하거나, 혹은 밥공기 등의 오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위에 대하여 분사하는 분사 횟수를 많이 설정함으로써, 식기의 오물의 종류나 강약에 대응한, 보다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분기된 후의 세정수가 흐르는 복수개의 유출부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유출부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 동시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개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를 혼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독의 세정 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정조내의 전체를 강력하게 세정하고, 다음에,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동시에 광범위하게 분사를 함으로써 재부착물 등을 씻어내고, 다시 강력한 세정을 하는 식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서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이 분기된 후의 세정수가 흐르는 복수개의 유출부를 구비하며, 분수 수단의 한 군데 이상의 전환 위치에서는 모든 유출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모든 유출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되며, 개개의 세정 수단에 단독으로 세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세정조내의 전체를 강력하게 세정하고, 또한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함으로써 다량의 세정수를 동시에 분사하여, 한번에 넓은 범위를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강력 분사로 순차적으로 오물을 떼어내고, 재부착물 등을 광범위하게 세정하고, 다시 강력 세정을 하는 식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세정 효과에 관해서는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 횟수가 문제이며, 1-사이클 중의 분사 횟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 동시 분사가 있으면, 전환 횟수는 최소한으로 하면 되므로, 세정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3군데의 세정 수단의 경우, 모두 2회 분사하는 데에, 단독 분사이면 6회 전환이 필요하지만, 단독 분사와 전체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조합이면 4회의 전환이면 된다.
제 5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세정수의 흐름을 전환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체는 복수개의 유출부에 동시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동시 분사를 기본으로 하여, 하나 의 세정 수단에서만 세정수를 분사하는 경우에 비하면, 사용수량은 약간 증가하지만, 세정조 전체를 강력하면서 또한 광범위하게 세정함으로써, 하나의 세정 수단에서 단독으로 분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세정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와 조합함으로써, 2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동시 분사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하나의 세정 수단에서의 고압 분사도 할 수 있는 등, 세정조내의 세정력의 강약이나 유량의 차이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높은 세정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흐름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전환을 위한 밸브체 등을 구동하는 별개의 구동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성의 간소화나 공간 절약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구성과 조합한 경우, 분사 위치의 검출 수단을 마련하여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 시간을 다르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하지 않고, 단순히 세정 펌프의 운전과 정지를 소정 간격으로 반복함으로써, 센서 등의 특별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7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모든 세정 수단에서 개개로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또한, 특정 세정 수단에서는 복수회 세정수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모든 세정 수단에서 단독으로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급수량(순환수량)을 늘리지 않고,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분사압을 높일 수 있어, 더욱 효율이 높아지며, 운전 시간의 단축이나, 에너지 절약, 절수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세정 수단에서는 복수회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정조내에 세정력의 강약을 할 수 있어, 강의 장소에 오염이 심한 식기류를 위치시키도록 하거나, 혹은 밥공기 등의 오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위에 대하여 분사하는 분사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는 등, 오물의 강약에 대응한, 보다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세정 수단에서 분사되는 횟수를 달리한 것으로,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하는 것은 아니고,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함으로써, 급수량(순환수량)을 늘리지 않고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의 단축이나, 에너지 절약, 절수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세정 수단에서 분사하는 횟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세정조내에서 세정력을 강하게 및 약하게 할 수 있어, 세정력이 강한 장소에 오염이 심한 식기류를 위치시키거나, 혹은 밥공기 등의 오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위에 대하여 분사하는 분사 시간을 길게 하는 등, 오물의 강약에 대응한, 보다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는 특히,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이루어지는 특정 세정 수단에서의 복수회의 분사는 연속하여 수행하도록 한 것으로, 어떤 식기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분사되는 시간이 길어져, 분사가 정지함에 따라 한번 떨어진 오물이 다시 식기류에 밀착되어 버리기 전에, 그 오물을 제거할 확률이 높아져, 보다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세정할 수 있다.
제 10 실시예는 특히,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이루어지는 특정 세정 수단에서의 복수회의 분사는 연속하지 않고 수행하도록 한 것으로, 밥알 등과 같이 세제나 세정수의 윤활 작용에 의해 세정이 진행하는 경우에는 분사와 분사의 간격을 짧게 하여, 오물 주위에 세정수가 풍부하게 있는 상태를 길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며, 1-사이클중에서 연속하지 않고 분사함으로써, 분사와 분사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어, 세정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 11 실시예는 특히,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피세정물을 위치시키는 식기 바구니를 구비하며, 상기 식기 바구니의 주로 밥공기를 위치시키는 위치에 대하여 분사하는 세정 수단에서 분사되는 횟수가 가장 많아지도록 한 것으로, 밥알은 달라붙기 쉽기 때문에, 밥공기는 가장 세정하기 어려운 식기이며, 식기 바구니에는 기본적으로 밥공기를 주로 위치시키는 장소가 정해져 있어, 여기에 대하여 분사하는 세정 수단에서 분사되는 횟수를 가장 많게 함으로써, 밥공기에 분사되는 에너지가 증가하고, 세정 시간이 단축되어, 세정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제 12 실시예는 특히,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피세정물을 위치시키는 식기 바구니를 구비하며, 상기 식기 바구니의 하방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수단에서 분사되는 횟수가 가장 많아지도록 한 것으로,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경우, 식기 바구니의 하방으로부터의 분사는 식기와의 거리가 짧고, 강력한 세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로부터 오물을 떼어내는 데에 이용하며, 식기의 상방에 배치된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는 재부착 입자 등을 씻어내는 데에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세정 방법이며, 하방으로부터의 분사 횟수가 가장 많아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에너지를 집중하여 강력히 세정하여, 보다 단시간에 오물을 제거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13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상기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하나의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하는 것은 아니고,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함으로써, 적은 순환수량으로,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의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세정 수단에서 분사하는 경우와, 복수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하는 경우가 있어, 세정조내에 높은 분사압으로 강력히 세정하는 부위와, 대유량으로 광범위하게 씻어내는 부위를 마련하여, 오물에 맞는 최적의 세정을 함으로써, 세정 효율이 향상되고, 한층 더 운전 시간의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제 14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상기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모든 세정 수단에서의 개개의 분사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함으로써, 적은 순환수량으로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독의 세정 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분출압을 높일 수 있고, 모든 세정 수단에서 이러한 강력한 분사를 실시함으로써, 세정조내의 전체를 강력히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동시 분사를 함으로써 다량의 세정수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고, 한번에 넓은 범위를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강력 분사로 순차적으로 오물을 떼어내어, 재부착물 등을 광범위하게 씻어내고, 다시 강력 세정을 하는 식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씻어내는 효과에 관해서는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 횟수가 문제이며, 1-사이클중의 분사 횟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 동시 분사가 있으면, 전환 횟수는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5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의 분수 수단은 모든 세정 수단에서의 개개의 분사와,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함으로써,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의 단축이나, 에너지 절약, 절수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단독의 세정 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분사압을 높일 수 있고, 모든 세정 수단에서 이 강력한 분사를 함으로써 세정조내의 전체를 강력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모든 세정 수단에서의 동시 분사를 함으로써 다량의 세정수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한번에 넓은 범위를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강력 분사로 순차적으로 오물을 떼어내고, 재부착물 등을 광범위하게 씻어내고, 다시 강력 세정을 하는 식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씻어내는 효과에 대해서는 각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 횟수가 문제이며, 1-사이클중의 분사 횟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 동시 분사가 있으면, 전환 횟수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세정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3군데의 세정 수단의 경우, 모두 2회 분사하는 데에, 단독 분사이면 6회 전환이 필요하지만, 단독 분사와 전체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의 조합이면 4회의 전환이면 된다.
제 16 실시예는 특히,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한 세정 수단에서는 항상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함으로써, 적은 순환수량으로,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의 단축이나, 에너지 절약, 절수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세정 수단에서 항상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정조내에서 분사력을 강하게 및 약하게 할 수 있어, 분사력이 강한 장소에 오염이 심한 식기를 위치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혹은, 밥공기 등 눌어붙은 오염이 심한 식기를 주로 위치시키는 부위에 대하여 항상 분사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제 17 실시예는 특히,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 항상 분사하는 세정 수단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경로는 분수 수단을 통과하지 않도록 마련한 것으로, 분수 수단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제 18 실시예는 특히, 제 13 내지 제 16의 실시예에 있어서,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에 따라서, 세정 펌프의 출력이 상이하도록 한 것으로, 분사마다의 세정력이나 유량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19 실시예는 특히, 제 13 내지 제 16의 실시예에 있어서,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에 따라서, 세정수가 분사되는 분사 시간이 상이하도록 한 것으로, 분사마다의 세정력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20 실시예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과, 상기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 수단의 수는 상기 분수 수단에 의해 전환되는 분기의 수보다 적게하는 동시에, 상기 분수 수단은 분기된 후의 세정수가 흐르는 복수개의 유출부를 구비하여, 2개 이상의 유출부는 동일 세정 수단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하는 것은 아니고,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함으로써, 적은 순환수량으로,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의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서, 특정 세정 수단에서는 복수회 세정수가 분사된다. 이 때문에, 특정한 세정 수단에서의 세정력이 증강되어, 이 장소에 오염이 심한 식기류를 위치시키게 되거나, 혹은 밥공기 등의 오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위에 대하여 분사하는 분사 횟수를 많이 설정함으로써, 식기의 오물의 종류나 강약에 대응한, 보다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21 실시예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과, 상기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수단의 수는 상기 분수 수단에 의해 전환되는 분기의 수보다 적게 하는 동시에, 상기 분수 수단은 분기된 후의 세정수가 흐르는 복수개의 유출부를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유출부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 동시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에 분사하는 것은 아니고, 세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분사하는 것으로, 적은 순환수량으로, 피세정물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의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개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를 혼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독의 세정 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정조내의 전체를 강력히 세정하고, 다음에,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의 동시에 광범위한 분사를 함으로써 재부착물 등을 씻어내고, 다시 강력세정을 하는 식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20)에는 문(21)에 의해 개폐 가능한 세정조(22)를 설치하고,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은 식기 바구니(24)에 위치되어, 세정조(22)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면부호(26)는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된 세정조(22)의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로, 복수의 분사 구멍을 마련한 세정 노즐(세정 수단)(27)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세정 수단(27)은 식기 바구니(24)의 하방으로부터 분사하는 도면부호(27a, 27b)와, 배면으로부터 분사하는 도면부호(27c)의 3군데에 설치되어 있고, 세정 수단(27a, 27b)은 분류(噴流)에 의해 축 주위에 회전하는 회전 노즐로, 세정 수단(27c)은 이동하지 않는 고정 노즐로 하고, 각각의 세정 수단(27)에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4 내지 10개 정도 구비하고 있다.
세정조(22)의 저부에는 세정 펌프(26)의 흡입측으로 연통한 배수구(28)가 있으며, 이 배수구(28)에는 음식 찌꺼기를 수집하는 음식 찌꺼기 필터(29)와 가열용의 발열체(30)를 설치하고, 세정조(2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31)를 설치하고 있다. 배수 펌프(32)는 세정조(22)내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것이다. 송풍기(도시하지 않음)는 송풍 경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세정조(22)에 공기를 보내고, 그 배기를 배기구(35)로부터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세정 펌프(26)의 토출 경로(36)에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수단(27)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분수 수단(37)을 설치하고 있고, 이 분수 수단(3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구조를 하고 있다. 세정 펌프(26)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38)와, 4개의 유출부(39)를 갖는 케이싱(40)과, 케이싱(40)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밸브체(41)로 구성되며, 밸브체(41)에는 세정수를 통과시키는 개구부(42)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밸브체(41)의 상승시에 밸브체(41)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1 세트의 상부 결합부(44)와, 밸브체(41)의 하강시에 밸브체(41)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1 세트의 하부 결합부(45)를, 케이싱(40)측과 밸브체(41)측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가정용 식기 세척기의 바람직한 예로써, 밸브체(41)는 90°씩 회전하는 구성이며, 4군데로 세정수를 분기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수단(27)은 3군데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 수단(27)의 수는 2 이상이고, 분수 수단(37)에 의해 전환되는 분기의 수보다 예컨대 1 또는 2가 적어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도 5는 밸브체(41)의 하방에서 본 도면이며, 유출부(39)는 각각 세정 경로(43)에 의해 세정 수단(27)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 중 유출부(39a, 39c)에 접속된 세정 경로(43)는 연결되어, 함께 세정 수단(27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세정 수단(27)이란, 하나의 유출부(39)를 통과한 세정수가 분사되는 분사구의 집합체를 가리키며, 회전 노즐이나 고정 노즐이 각 하나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노즐이 복수개 있거나, 회전 노즐과 고정 노즐의 조합이거나, 혹은 분사구의 장소가 떨어져 있는 경우 등 다양한 구성을 생각할 수 있는데, 어느 경우에나 하나의 세정 수단(27)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3 등은 분수 수단(37)의 개념적인 도면이며, 실제로는 케이싱(40)은 상하로 2분할하여, 나사 고정 및 끼워 넣기, 용착이나 용접 등으로 결합된 구조가 된다. 또한, 세정조(22)가 수지제인 경우 등, 이 세정조(22)의 저면과 일체로 케이싱(4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우선 식기 세척기의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을 식기 바구니(24)에 위치시켜 세정조(22)에 수납하고, 세제를 투입한 후, 문(21)에 의해 식기 세척기 본체(20)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피세정물(23)의 오물을 떨어뜨리는 세정 공정, 부착된 세제나 찌꺼기를 씻어내는 헹굼 공정, 그리고 피세정물(23)에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의 순으로 실행한다.
우선, 급수 밸브를 동작하여 소정량의 세정수를 세정조(22)에 급수하고, 계 속해서 세정 펌프(26)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하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이 때, 세정조(22)내에 설치한 시즈 히터 등의 발열체(30)에 통전하고 있어, 세정수를 가온하면서 세정 공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온도 센서(31)는 세정조(22)의 온도를 검지하고 있어,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발열체(30)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세정수는 음식 찌꺼기 필터(29)를 통과하여 세정 펌프(26)에 흡입되며, 세정 펌프(26)로부터 세정조(22)에 설치한 세정 수단(27)에 공급되고, 세정조(22)내에 분사되어, 피세정물(23)을 세정한 뒤, 다시 배수구(28)로 되돌리는 경로로 순환한다. 이 때, 피세정물(23)에서 떨어진 음식 찌꺼기 등은 세정수와 함께 음식 찌꺼기 필터(29)에 유입하고, 음식 찌꺼기 필터(29)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음식 찌꺼기는 음식 찌꺼기 필터(29)에 포집된다.
소정 시간의 세정 공정을 종료하면, 오물을 포함한 세정수는 배수 펌프(32)에 의해 세척기 밖으로 배출되고, 새롭게 세정수가 공급된다. 세정 펌프(26)를 운전하여, 세정 노즐(27)로부터 다시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제나 찌꺼기 등이 부착된 피세정물(23)의 헹굼을 수행한다. 소정 시간 운전한 뒤, 세정수를 배출하고, 다시 세정수를 공급하는 식의 동작을 반복하고, 이 헹굼 공정은 연속하여 3회 정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세정수를 세척기 밖으로 배출하고, 헹굼 공정은 종료된다.
계속해서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송풍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송풍 경로를 통과하여 외기가 세정조(22)내에 송풍되고, 배기구(35)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발열체(30)에는 통전되어 있고, 송풍과 온도 모두의 효과에 의해 피세정물(23)에 부 착된 물방울의 증발은 촉진된다. 소정 시간 이들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운전을 종료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인 분수 수단(37)의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40)은 대략 원통형이며, 그 축방향이 대략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세정 펌프(26)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하는 유입부(38)는 케이싱(40)의 하단부에, 유출부(39)는 케이싱(40)의 상면에 설치하고 있다. 밸브체(41)는 대략 평면 형상을 하고 있고,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면하는 면도 평면 형상을 하고 있다.
세정 펌프(26)를 운전했을 경우, 유입부(38)로부터 유입된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41)는 상부 결합부(44)의 경사에 따라서, 대략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수반한 동작으로 상승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유출부(39)가 개구하는 것 같은 위치에서 고정되고, 이 유출부(39)와 연통한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된다. 밸브체(41)의 아래쪽에서 보면, 도 5와 같이, 밸브체(41)를 세정수가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한 개구부(42)가, 소정의 유출부(39)와 일치하도록, 상부 결합부(44)를 설정하고 있다(단면도에서는 결합부의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았고, 도 7을 참조할 것).
계속해서, 세정 펌프(26)를 일단 정지시키면, 밸브체(41)를 아래쪽에서 밀어 올리고 있던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밸브체(41)는 그 자중으로 하강하는 데, 이 때 하부 결합부(45)의 경사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시, 세정 펌프(26)를 운전하면, 상부 결합부(44)의 다음 경사에 결합되어, 밸브체(41)는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다음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며, 다음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또한, 밸브체(41)의 하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작용시키면, 밸브체(41)가 하강할 때의 동작의 확실성이 증가한다.
원형의 상부 결합부(44) 및 하부 결합부(45)를 평면으로 확대하여 그 관계를 나타내면, 도 7과 같이 되어 있어, 세정 펌프(26)의 운전과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대략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을 조합한 동작을 하면서 밸브체(41)의 위치는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군데의 유출부(39)로 전환하기 때문에, 일회의 정지와 운전으로 밸브체(41)가 90° 회전하는 구성이지만, 임의의 수의 분할이 가능하다.
또한, 이 상부 결합부(44) 및 하부 결합부(45)에 대해서는 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정 펌프(26)를 단속적으로 운전할 때에, 세정 펌프(26)의 운전중에 소정의 유출부(39)와 밸브체(41)의 개구부(42)가 일치하면 좋고, 예컨대, 밸브체(41)의 하강시에는 거의 회전하지 않고, 상승시에 약 90° 회전하거나, 반대로, 하강시에 약 90° 회전하며, 상승시에는 거의 회전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삼각 형상의 발톱부 형상이 아니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46)를 축부(47)가 따르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의 외주부에 결합부를 마련하더라도 동일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상부 결합부(44) 및 하부 결합부(45)의 구성이면, 밸브체(41)는 유출부(39)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접촉하지 않아, 접촉면의 마모는 거의 없으므로, 내마모성 재료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아세탈 등의 일반적인 수지 성형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따르면, 찌꺼기나 이쑤시개 등의 이물질을 동반하여 흐르는 세정수를 순환시켜, 케이싱(40)과 밸브체(41)와의 간극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에도, 세정 펌프(26)를 정지하여,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도록 동작했을 때에, 이물질은 그 간극으로부터 제거된다. 이 때문에, 간극에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 밸브체(41)가 이동 불능이 되는 일이 없어, 확실히 밸브체(41)의 전환을 할 수 있다.
밸브체(41)는 도 5의 위치로부터, 세정 펌프(26)의 정지, 운전에 의해 90°씩 회전하기 때문에, 세정 펌프(26)를 단속적으로 운전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분사하는 세정 수단(27)은 (27a)→ (27b)→ (27a)→ (27c)의 순으로 전환된다. 이것이 밸브체(41)가 일주하는 전환의 1-사이클이며, 이 분사 패턴을 반복하면서 계속 분사한다. 즉, 1-사이클이란, 분수 수단(37)에 의한 세정 수단(27)의 전환이 일 순환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동시에 3군데의 세정 수단(27)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 내지 2개의 세정 수단(27)에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보내기 때문에, 급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적은 수량으로 임의의 피세정물(23)에 대하여 복수 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피세정물(23) 등에 부착된 오물을 세정할 수 있어, 고효율의 세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23)에 대하여 보다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피세정물(23)을 식기 바구니(24)에 배치하는 위치나, 세로 두기, 엎어 두기 등의 배치 방법을 선택하지 않고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을 위치시키기에 보다 우수한 식기 세척기로 할 수 있다. 더욱이, 각진 사발, 깊은 사발, 각접시 등, 단일 방향에서의 분사로는 세정수를 충분히 닿게 할 수 없었던 식기에 대해서도 충분한 세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수단(27a)으로부터는 1-사이클중에서 2회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어, 세정 수단(27a)으로부터의 분사가 닿는 부분의 세정력은 다른 것 보다 2배로 높아져, 이 부위를 집중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즉, 1-사이클중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의 분사 횟수에 차이를 둠으로써, 오염의 강약에 따른 최적의 세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강의 부분에 오염이 심한 식기류를 위치시키도록 하면,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식기에서는 밥알이 눌어붙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밥공기(23A)가 가장 세정하기 어려워, 도 1과 같이, 식기 바구니(24)의 주로 밥공기(23A)를 배치하는 위치에 분사하는 세정 수단(27a)으로부터의 분사 횟수를 가장 많게 함으로써, 더욱 세정 효율은 높아진다.
즉, 세정 수단(27)보다 분수 수단(37)의 분기수 쪽이 많은 일회분을, 특정 세정 수단(27a)으로부터의 두번째의 분사로 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 경우, 유출부(39) 및 세정 경로(43)를 임의로 설정해 두면, 밸브체(41)는 단순히 소정 시간마다 전환하는 것만으로 세정조(22)내에 분사의 강약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복수회 분사하는지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복수개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복수회 분사되는 구성으로도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다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경우, 식기 바구니(24)의 하방에 위치하는 세정 수단(27a, 27b)으로부터의 분사는 피세정물(23)과의 거리가 짧아, 강력한 세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피세정물(23)로부터 오물을 떼어내는 데에 이용하고, 피세정물(23)의 상방에 배치된 세정 수단(27c)으로부터의 분사는 재부착 입자 등을 씻어내는 데에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세정 방법이며, 하방에서 분사하는 세정 수단(27a)의 분사 횟수가 가장 많아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에너지를 집중하여 강력히 세정하여, 보다 단시간에 오물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세정 효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피세정물(23)에 부착된 세제나 찌꺼기를 단시간에 헹굴 수 있는 점도 있어, 헹굼 횟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헹굼 공정을 4회 실시했던 것을 3회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회의 급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게다가, 헹굼 횟수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히터를 이용한 세정수의 가열 시간도 단축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절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세정 수단(27)에서 분사하는 시간은 수 초 내지 수 분 정도로 전환하면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는 데, 한 번의 세정 내지 헹굼 공정중에, 1회 이상은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0초 내지 1분 정도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공정의 처음과 끝에서 전환 간격을 바꾸거나, 세정과 헹굼 공정에서 간격을 바꿀 수도 있어, 헹굼 공정에서의 전환 간격을 길게 하면, 세정 펌프(26)의 단속 운전 횟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운전음의 정음화(靜音化)나 세정 펌프(26)의 모터 수명의 연장으로 이어진다.
또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수단(27)의 전환은 세정 펌프(26)의 단속 운전에 의해 수행하고 있고, 3방 밸브나 전동 모터 등의 전동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저렴하면서 분수 수단(37)의 소형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의 경우에는 회전축은 케이싱(40)을 관통하여 설치해야 하며, 치밀한 밀봉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이 밀봉이 불량한 경우에는 제품 외부에 누수를 일으킬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본 구성에서는 케이싱(40)을 관통하여 동작하는 부품이 존재하지 않아, 외부에 누수를 일으킬 우려는 없다.
단, 본 발명은 이러한 분수 수단(37) 그 자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과 같이, 밸브체(41)를 구동 모터(54)로 구동하는 것이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동 모터(54)를 연속적으로 구동하여 전환하는 경우에는 회전의 중간 위치에서 2개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동시 분사할 가능성도 있지만, 이는 모든 세정 수단(27)에 있어서 동일 조건이며, 마침 개구부(42)와 유출부(39)가 일치한 상태에서의 분사를 상태로 생각하면, 상기한 이산적(離散的)으로 유출부(39)를 전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분사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수단(27)의 개수나 분사 패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피세정물(23)의 배치 등에 따른 다양한 조합을 생각할 수 있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과 같이 4개의 세정 수단(27)을 구비하며, 세정조의 저면에 2개(27a, 27b), 우측 상면에 하나(27c), 좌측면에 하나(27d) 설치한 경우나, 도 12와 같이 세정조의 저면에 2개(27a, 27b), 배면에 2개(27c, 27d)의 세정 수단을 설치한 경우, 또는 도 13과 같이 상하 2단의 식기 바구니(24)를 설치하고, 그 중간에 2개의 세정 수단(27c, 27d)을 마련한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어, 세정 수단(27a)→ (27a)→ (27b)→ (27c)→ (27d)→ 등의 패턴으로 분사할 수 있어, 어느 경우에도 세정에 강약을 부여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정 수단(27)의 개수는 2군데 이상이면 효과를 발휘하지만, 어느 피세정물(23)에 대하여 2방향 이상으로부터의 분사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세정 성능을 향상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며, 세정조(22)가 대략 입방체 형상인 경우에는 2군데 이상, 직방체 형상의 방형인 경우에는 3군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분기수가 너무 많으면, 하나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되는 총 수량이 작아져서 세정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10군데 이하, 더 낫게는 6군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 펌프(26)는 운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인버터 모터를 사용한 세정 펌프와 같이, 펌프의 출력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펌프의 출력의 강약을 이용하여 밸브체(41)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한 경우의 출력을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멀어지는 출력 이하로 하면 전환이 가능하며, 펌프의 운전과 정지의 횟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모터의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정음화로도 이어진다.
또한, 분사하는 세정 노즐(27)마다 분사의 출력을 가변함으로써, 오염의 강약에 따른 임의의 분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의 전환 방식에 관한 것으로, 식기 세척기 본체(20)의 형상이나 크기, 문(21)의 개폐 방식, 피세정물(23)의 배치, 개개의 부품의 배치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건조 기능을 갖는 식기 건조기의 예를 나타냈지만, 건조 기능을 수반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분수 수단(37)의 다른 예이며, 도 15는 결합부의 전개도, 도 16은 그 분해 사시도이다. 밸브체(41)의 개구부(42)는 밸브체(41)의 외형부와 연결한 절결 형상으로 되어 있어, 개구부(42)와 케이싱(4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케이싱(40)으로부터 유출부(39)는 대략 부채꼴로 되어 있어, 동일 유출부(39) 면적을 얻기 위한 케이싱의 외형 치수를 가장 작게 할 수 있어, 분수 수단을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부 결합부(44)의 케이싱측은 인접하는 유출부(39)의 경계부(44)가 이것을 겸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결합부(44) 사이를 세정수가 통과하기 때문에, 결합부(44)(상기 결합부의 케이싱측)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결합부(44)(상기 결합부의 케이싱측)를 위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동일 유출부(39) 면적을 얻기 위한 케이싱의 외형 크기를 가장 작게 할 수 있어, 분수 수단을 보다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7은 분수 수단(37)의 다른 예로, 세정 수단(27)은 실시 형태 1과 같은 3군데(27a, 27b, 27c)이고, 분수 수단(37)의 분기수는 4군데이며, 4군데의 유출부(39) 중 유출부(39b)의 흐름은 2개로 분기되어, 세정 수단(27a, 27b)의 양쪽에 동시에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유출부(39a)와 유출부(39b)의 일부가 세정 수단(27a)에, 유출부(39b)의 일부와 유출부(39c)가 세정 수단(27b)에, 유출부(39d)가 세정 수단(27c)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과 같이, 세정 펌프(26)의 운전과 정지의 동작에 의해, 밸브체(41)는 90°씩 회전하고, 세정 펌프(26)가 운전하고 있을 때의 분사 패턴은 도 18과 같이 되어, 전환의 1-사이클중에, 각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단독으로 분사하고, 추가로 2개의 세정 수단(27a, 27b)으로부터 동시 분사하는 공정을 갖는다. 2군데 동시 분사이더라도, 3군데 전부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하는 경우에 비해, 수량이 적게 들어, 분수 수단(37)을 사용하는 것도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우선,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단독으로 분사함으로써, 세정조(22)내의 전체를 고압 분사로 강력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2개의 세정 수단(27a, 27b)으로부터의 동시 분사를 함으로써, 다량의 세정수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한번에 넓은 범위를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강력 분사로 순차적으로 오물을 떼어내어, 재부착물 등을 광범위하게 씻어내고, 다시 강력 세정을 하는 식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각 세정 수단(27)으로부터의 분사 횟수는 (27a, 27b, 27c)의 순서로 2회, 2회, 1회이지만, 동시 분사의 공정이 없으면, 같은 분사 횟수를 얻기 위해서는 5회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1회로 전환 횟수가 적게 듦으로, 세정 효율이 향상되어, 시간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즉,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수 수단(37)의 분기수 쪽이 많은 1회분을, 2개의 세정 수단(27a, 27b)으로부터의 동시 분사로 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이고 있다.
(실시 형태 3)
도 19는 분수 수단(37)을 다른 구성으로 한 것으로, 밸브체(41)의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세정 수단(27)은 실시 형태 1과 같은 3군데(27a, 27b, 27c), 분수 수단(37)의 분기수는 4군데이며, 유출부(39a, 39b, 39c)는 각각 세정 수단(27a, 27b, 27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출부(39d)는 어느 세정 수단(27)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고, 실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상부 결합부(44)로서의 요철만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41)의 외주부에는 3군데의 돌출부(55)가 있어, 케이싱(40)의 상면(밸브체와의 접촉면)에도 3군데의 볼록부(56)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2)가 유출부(39d)의 위치에 왔을 때에는 돌출부(55)와 볼록부(56)의 위치가 일치하여,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상태에서도 도 20과 같이 밸브체(41)는 케이싱(40)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과 같이, 세정 펌프(26)의 운전과 정지의 동작에 의해, 밸브체(41)는 90°씩 회전하여, 개개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지만, 유출부(39d)의 위치에서는 도 20과 같이, 밸브체(41)가 유출부(39)에 밀착하지 않기 때문에, 세정수는 모든 유출부(39)에 공급되어,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동시에 분사된다. 즉, 분사 패턴은 도 21과 같이 되어, 세정 수단(27a)→ (27b)→ (27c)→ 전부→가 된다.
단독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분사압을 높일 수 있어,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이 강력한 분사를 함으로써 세정조(22)내의 전체를 강력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의 동시 분사를 함으로써 다량의 세정수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한번에 넓은 범위를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강력 분사로 순차적으로 오물을 떼어내어, 재부착물 등을 광범위하게 씻어내고, 다시 강력 세정을 하는 식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즉, 세정 수단(27)보다 분수 수단(37)의 분기수 쪽이 많은 1회분을, 모든 세정 수단에서의 동시 분사로 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이고 있다.
(실시 형태 4)
도 22는 분수 수단(37)을 다른 구성으로 한 것으로, 밸브체(41)의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세정 수단(27)은 실시 형태 1과 같은 3군데(27a, 27b, 27c), 분수 수단(37)의 분기수는 4군데이며, 유출부(39a, 39b)는 연결되어 하나의 세정 수단(27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41)의 개구부(42)는 2개의 유출부(39)를 동시에 개구하도록 되어 있다.
밸브체(41)를 순차적으로 전환한 경우의 분사 패턴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세정 수단(27)은 (27a)(저면 왼쪽)→ (27a)와 (27b)(저면 오른쪽)→ (27b)와 (27c)(배면)→ (27c)와 (27a)의 순으로 전환된다. 이것이 밸브체(41)가 일주하는 전환의 1-사이클이며, 이 분사 패턴을 반복하면서 세정한다.
기본은 2개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의 동시 분사이며, 하나 분사의 경우에 비하여, 약간 수량은 증가하지만,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동시에 분사하는 경우에 비하면, 적은 수량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강력한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하나의 세정 수단(27a)에서 단독으로 고압 분사하는 공정이 있어, 세정조(22)내에 높은 분사압으로 강력하게 세정하는 부위와, 대유량으로 광범위하게 씻어내는 부위를 마련하여, 오물에 맞는 최적의 세정을 함으로써 세정 효율이 향상되고, 한층 더 운전 시간의 단축 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1-사이클중의 분사 횟수도, 세정 수단(27a)에서는 3회, 세정 수단(27b)에서는 2회, 세정 수단(27c)에서는 2회로 다르며, 세정 수단(27a)로부터의 분사 횟수가 가장 많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세정 수단(27a)의 상방에 오염이 심한 피세정물(23)을 위치시키도록 하면,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식기에서는 밥알이 눌어붙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밥공기(23A)가 가장 세정하기 어려워, 도 1과 같이, 식기 바구니(24)의 주로 밥공기(23A)를 위치시키는 위치를 세정 수단(27a)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세정 수단(27)보다 분수 수단(37)의 분기수 쪽이 많은 1회분을, 단독 세 정 수단(27a)으로부터 고압 분사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도 24는 밸브체(41)의 개구부(42)가 2개의 유출부를 개구하는 경우의 다른 예이며, 이 경우, 도 25의 분사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세정 수단(27a, 27b)으로부터의 단독 분사와 2군데에서의 동시 분사가 혼합된 패턴이며, 식기 바구니(24)의 하방으로부터의 분사에 중점을 둔 분사로 하고 있다.
(실시 형태 5)
도 26은 분수 수단(37)을 다른 구성으로 한 것으로, 밸브체(41)의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밸브체(41)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그 원통부에 개구부(42)를 마련하고, 유출부(39)도 케이싱(40)의 원통부에 마련하고 있다. 케이싱(40)으로부터의 유출부(39)는 6군데 구비하며, 유출부(39a, 39b, 39c) 및 유출부(39d, 39e)는 케이싱(40)으로부터 나간 직후에 연결되어 있고, 도 1과 같이 3군데의 세정 수단(27)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26과 같은 분수 수단(37)을 사용함으로써 분사 패턴은 도 27과 같이 (27a)→ (27a)→ (27a)→ (27b)→ (27b)→ (27c)→가 된다. 이는 식기 바구니(24)의 하방으로부터의 분사에 중점을 둔 분사이다.
또한, 세정 수단(27a) 및 세정 수단(27b)으로부터의 분사는 1-사이클중에서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식기에 대하여 밀착성이 있는 오물은 그 일부가 떼어내어 세정수가 침입하더라도, 분사가 멈추면 다시 밀착되어 버려,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완전히 떼어낼 수 있을 때까지 세정수를 계속 분사하는 것이 그 세정에 효과적이고, 연속하여 동일 세정 수단에서 분사함으로써, 한번 떨어지려고 한 오물이 다시 식기류에 밀착되기 전에, 그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져, 보다 효율적이면서 단시간에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유출부(39a, 39b, 39c) 및 유출부(39d, 39e)는 케이싱(40)에서 나간 직후에 연결되어 있어, 구성의 간단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세정 경로(43)를 경유하는 공간을 생략할 수 있어, 장치의 식기 세척기 자체의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28은 분수 수단(37)을 다른 구성으로 한 것으로, 밸브체(41)의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밸브체(41)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그 원통부에 개구부(42)를 마련하고, 유출부(39)도 케이싱(40)의 원통부에 마련하고 있다. 케이싱(40)으로부터의 유출부(39c, 39d)는 각각 2개의 경로로 나뉘어져, 유출부(39a)와 유출부(39d)의 일부가 세정 수단(27a)에, 유출부(39b)와 유출부(39c)의 일부가 세정 수단(27b)에, 유출부(39c)의 일부와 유출부(39d)의 일부가 세정 수단(27c)에 접속되어 있다. 세정 수단(27)은 도 1과 같이 3군데이며,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다.
도 28과 같은 분수 수단(37)을 이용하여, 90°씩 밸브체(41)를 전환하면, 분사 패턴은 도 29와 같이 (27a)(저면 왼쪽)→ (27b)(저면 오른쪽)→ (27b)와 (27c)(배면)→ (27c)와 (27a)→가 된다. 이는 식기 바구니(24)의 하방으로부터의 분사에 중점을 두면서, 좌우의 세정 수단(27a, 27b)로부터의 분사 조건을 동일하게 한 것으로, 세정 수단(27a)와 세정 수단(27b)으로부터 각각 단독으로 분사 공정이 있어, 식기 바구니(24) 하부의 식기 바구니 전체에 강력한 세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시 형태 7)
도 30은 분수 수단(37)을 다른 구성으로 하여, 이 분수 수단(37)을 통과하지 않는 세정 경로(바이패스 경로)(57)를 세정 수단(27a)에 접속한 것이다. 세정 수단(27)은 도 12와 같이 4군데(27a, 27b, 27c, 27d)에 마련하고 있고, 분수 수단(37)의 각 유출부(39)가 각 세정 수단(27)과 연결되어 있다.
분수 수단(37)은 각각의 세정 수단(27)에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공급하지만, 세정 경로(57)는 이 분수 수단(37)을 통과하지 않고서, 항상 세정 수단(27a)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며, 세정 펌프(26)가 운전하고 있을 때의 분사 패턴은 도 31과 같이 된다.
저면 왼쪽의 세정 수단(27a)으로부터는 단독으로 고압의 세정수가 분사되면서, 또한, 2개 동시 분사의 경우에도 항상 세정수는 분사되고 있어, 그 상부 공간의 세정력은 매우 강하고, 이 장소에 피세정물(23)을 위치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는, 눌어붙음이 심한 밥공기류(23A)를 이 위치에 주로 위치시키도록 식기 바구니(24)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항상 세정 수단(27a)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경로(57)는 분수 수단(37)을 지나지 않도록 마련한 것으로, 분수 수단(37)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저비용, 공간 절약으로도 이어진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세정 수단의 수보다 분수 수단의 분기수 쪽이 많은 횟수만큼의 분사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고, 특정 부위의 세정력을 높이거나, 높은 분사압으로의 강력한 세정과 대유량으로 광범위하게 씻어내는 세정을 조합하는 등, 식기의 배치나 오물에 맞는 고효율의 세정을 할 수 있다.

Claims (21)

  1.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과,
    상기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분수 수단은,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복수개의 유출부를 갖는 케이싱과, 세정수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마련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와 상기 케이싱에 각각 마련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상기 유출부에 대하여 진퇴 동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밸브체의 진퇴 동작에 의해 상기 밸브체와 상기 케이싱의 결합부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여 상기 밸브체의 개구부와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의 일치부를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상기 유출부는 상기 세정 수단과 각각 세정 경로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복수개의 세정 경로중 어느 2개 이상의 세정 경로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유출부중 어느 2개 이상의 유출부가 동일한 세정 수단에 접속된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모든 세정 수단에서 개개로 세정수를 분사하고, 또한 특정 세정 수단에서는 복수회 세정수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세정 수단에서 분사되는 횟수를 달리한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이루어지는 특정 세정 수단에서의 복수회의 분사는 연속하여 수행하도록 한
    식기 세척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이루어지는 특정 세정 수단에서의 복수회의 분사는 연속하지 않고 수행하도록 한
    식기 세척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식기 바구니의 주로 밥공기를 배치하는 위치에 대하여 분사하는 세정 수단에서 분사되는 횟수가 가장 많아지도록 한
    식기 세척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식기 바구니의 하방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수단에서 분사되는 횟수가 가장 많아지도록 한
    식기 세척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하나의 세정 수단에서의 분사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척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분수 수단의 전환의 1-사이클중에, 모든 세정 수단에서의 개개의 분사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세정 수단에서의 개개의 분사와, 모든 세정 수단에서 동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척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 세정 수단에서는 항상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항상 분사하는 세정 수단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경로는 분수 수단을 통과하지 않도록 설치한
    식기 세척기.
  18.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에 따라서, 세정 펌프의 출력이 상이하도록 한
    식기 세척기.
  19.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에 따라서, 세정수가 분사되는 분사 시간이 상이하도록 한
    식기 세척기.
  20. 삭제
  21. 삭제
KR1020030074738A 2002-10-24 2003-10-24 식기 세척기 KR100758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9333 2002-10-24
JP2002309333A JP3835393B2 (ja) 2002-10-24 2002-10-24 食器洗い機
JPJP-P-2002-00313901 2002-10-29
JP2002313901A JP3829790B2 (ja) 2002-10-29 2002-10-29 食器洗い機
JP2002333389A JP3835400B2 (ja) 2002-11-18 2002-11-18 食器洗い機
JPJP-P-2002-00333389 2002-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665A KR20040036665A (ko) 2004-04-30
KR100758094B1 true KR100758094B1 (ko) 2007-09-11

Family

ID=3733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738A KR100758094B1 (ko) 2002-10-24 2003-10-2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8094B1 (ko)
TW (1) TWI2634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967A (ko) * 2013-12-20 2016-08-24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선택 가능 위치에 세척 구역을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3046A (zh) * 2018-04-23 2018-08-17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洗碗机脉冲式喷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3028A2 (de) 1989-02-14 1990-08-2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elektromechanischen Umsteuervorrichtung
KR19980030483A (ko) * 1996-10-30 1998-07-25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리공급장치
JP2002219088A (ja) * 2001-01-26 2002-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4141379A (ja) 2002-10-24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3028A2 (de) 1989-02-14 1990-08-2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elektromechanischen Umsteuervorrichtung
KR19980030483A (ko) * 1996-10-30 1998-07-25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리공급장치
JP2002219088A (ja) * 2001-01-26 2002-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4141379A (ja) 2002-10-24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967A (ko) * 2013-12-20 2016-08-24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선택 가능 위치에 세척 구역을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의 장치
KR102074467B1 (ko) 2013-12-20 2020-02-06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선택 가능 위치에 세척 구역을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3486B (en) 2006-10-11
KR20040036665A (ko) 2004-04-30
TW200412894A (en) 200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9759B2 (ja) 食器洗い機
JP4483773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3956870B2 (ja) 食器洗い機
KR100716349B1 (ko) 식기 세척기
WO2011132358A1 (ja) 食器洗い機
KR20130016308A (ko) 식기 세척기
US9642510B2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15060B2 (ja) 食器洗い機
KR100758094B1 (ko) 식기 세척기
JP3835393B2 (ja) 食器洗い機
JP4852788B2 (ja) 食器洗浄機
JP3832175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654767B2 (ja) 食器洗い機
JP3835400B2 (ja) 食器洗い機
JP3829777B2 (ja) 食器洗い機
JP3829790B2 (ja) 食器洗い機
JP3835385B2 (ja) 食器洗い機
JP3849418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2010263941A (ja) 食器洗浄機
JP3829795B2 (ja) 食器洗い機
JP4604355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2003339609A (ja) 食器洗い機
JP2006068561A (ja) 食器洗い機
JP4654768B2 (ja) 食器洗い機
JP2012213542A (ja) 食器洗い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