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468B1 - 마커펜용 칠판 - Google Patents

마커펜용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468B1
KR100757468B1 KR1020050030687A KR20050030687A KR100757468B1 KR 100757468 B1 KR100757468 B1 KR 100757468B1 KR 1020050030687 A KR1020050030687 A KR 1020050030687A KR 20050030687 A KR20050030687 A KR 20050030687A KR 100757468 B1 KR100757468 B1 KR 10075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board
foam board
blackboard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937A (ko
Inventor
장상준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장상준
김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준, 김기준 filed Critical 장상준
Priority to KR102005003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46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2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chem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10Writing surfaces thereof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용이나 메모용 등으로 사용되는 마커펜용 칠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고, 벽체 등에 고정하기 쉬우며,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는 마커펜용 칠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기판을 가지는 마커펜용 칠판에 있어서, 상기 필기판이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커펜용 칠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와, 상기 발포 폼 보드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표면도막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와, 상기 발포 폼 보드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표면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표면재가 종이층과, 이 종이층의 한면에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판을 구성하는 기재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로 이루어져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며, 접착제, 양면 점착테이프, 벨크로 등으로도 벽체에 용이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마커펜, 칠판, 필기, 발포, 폼 보드, 플라스틱 필름

Description

마커펜용 칠판 {BOARD FOR MAKER PE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커펜용 칠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펜용 칠판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지우개 6 : 마커펜
10 : 발포 폼 보드 20 : 표면재
22 : 종이층 24 : 표면도막층
26 : 플라스틱 필름층 100 : 필기판
200 : 프레임 300 : 걸쇄
400 : 안착판
본 발명은 마커펜용 칠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판을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로 구성함으로써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고, 벽체 등에 고정하기 쉬우며,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는 마커펜용 칠판에 관한 것이다.
교육용이나 메모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칠판은 사용되는 필기구에 따라 일반적으로 분필용과 마커펜용으로 분류되고 있다.
분필용 칠판은 목재 등의 필기판 상에 무광의 녹색 도료를 코팅하여 제작한 것이 주류를 이루며, 여기에는 필기구로서 탄산칼슘을 주원료로 하는 분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분필용 칠판은 필기성, 지움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필기구로서 사용되는 분필의 재료가 탄산칼슘으로 인하여 필기 또는 지우는 과정에서 미세의 분말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인체에 흡입되고, 흡입된 미세한 분말이 폐에 축적되어 폐염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시키는 관계로 그 사용이 기피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오일에 안료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마커펜을 필기구로 사용하는 마커펜용 칠판(통상, '화이트 보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커펜용 칠판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마커펜용 칠판은 필기가 가능하도록 바탕을 제공 하는 필기판(1)과, 이 필기판(1)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필기판(1)을 지지하는 프레임(2)과, 벽체 등에 고정되도록 상단 프레임(2)에 설치된 걸쇄(3)를 갖는다. 그리고 하단 프레임(2)에는 지우개(5), 마커펜(6) 등을 올려놓기 위한 안착판(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필기판(1)은 목재, 플라스틱판 등의 딱딱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필기가 가능하면서 매끄러움성을 갖도록 아크릴레이트 등을 코팅 처리하여 구성한 표면도막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마커펜용 칠판은 그 필기판(1)이 목재 또는 플라스틱판 등의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중량이 높고,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중량이 높음에 따라 프레임(2)의 설치가 불가피하고, 특히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걸쇄(3)를 설치해야만 했다. 즉, 벽체에 고정구(못, 나사 등)를 박은 다음, 상기 고정구에 걸쇄(3)를 걸어야만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위와 같이 프레임(2), 걸쇄(3) 등의 부수적인 부재의 증가로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표면도막층으로는 아크릴레이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아크릴레이트는 도막 형성 중 발열반응을 일으켜 미세한 돌기를 형성시킴에 따라 매끄러운 평활성을 부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고, 벽체 등에 고정하기 쉬우며,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될 수 있는 마커펜용 칠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 평활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킨 마커펜용 칠판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기판을 가지는 마커펜용 칠판에 있어서, 상기 필기판이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커펜용 칠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와, 상기 발포 폼 보드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표면도막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와, 상기 발포 폼 보드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표면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재는 종이층과, 이 종이층의 한면에 형성된 표면도막층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와, 상기 발포 폼 보드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표면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재는 종이층과, 이 종이층의 한면에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와, 상기 발포 폼 보드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플라시틱 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판을 구성하는 기재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로 이루어져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가벼움에 따라 벽체 등에 고정함에 있어 접착제, 양면 점착테이프, 벨크로(통상의 '칙칙이') 등으로도 쉽게 고정이 가능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에 표면재가 접착된 경우 내구성, 강도 및 표면 평활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기판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펜용 칠판의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은 적어도 필기판(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기판(100)은 기재로서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100)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와, 이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표면도막층(24)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는 표면도막층(24)이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의 상하 양면 모두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상기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는 발포성 합성수지 컴파운드(compound)를 발포 제조한 판상으로서, 이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5cm ~ 20c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발포 폼 보드(10)로는 폴리스티렌 발포 폼 보드, 폴리에틸렌 발포 폼 보드, 폴리우레탄 발포 폼 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중량이 낮고 가격이 저렴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포 폼 보드(10)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합성수지 컴파운드는 적어도 발포성 합성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 합성수지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 유래의 중합체를 들 수 있고, 상기 발포제로는 가스;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지드 등의 술포닐하이드라지드;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이소프틸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니트로소화합물; 그리고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발포제는 합성수지의 종류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합성수지 컴파운드에는 임의 선택적으로 평활제, 색상안료, 살균제, 방향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더 포함되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폼 보드(10)는 섬유질 등의 보강재가 분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 폼 보드(10)는 이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수지 컴파운드에 섬유, 유리섬유 등의 섬유질이나 기타 보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칩, 박편 상의 보강재가 더 함유되어 발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은 필기판(100)의 기재로서 위와 같은 발포 폼 보드 (10)가 사용되어 우수한 경량성을 갖는다. 그리고 보강재가 분산된 경우 강도 및 휨강성이 확보된다.
상기 표면도막층(24)은 필기판(100)에 필기성, 지움성, 내구성 및 매끄러움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이는 표면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수지 재료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양호한 내구성, 내열성을 갖게 하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 중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열반응이 없어 평활도 확보에 유리한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가 좋다. 그리고, 상품명으로서는 호마이카(FOMAICA)를 들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100)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와, 이 발포 폼 보드(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표면재(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표면재(20)는 종이층(22)과, 이 종이층(22)의 한면에 형성된 표면도막층(24)으로 구성된다. 이때, 발포 폼 보드(10) 및 표면도막층(24)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종이층(22)은 1장의 종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장 이상의 종이가 합지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종이층(22)은 필기판(10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차광성을 부여한다. 또한, 사람에 따라 마커펜을 꾹 눌러서 필기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때, 종이층(22)은 발포 폼 보드(10)가 움푹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따른 필기판(10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발포 폼 보드(10)에 종이층(22)을 접착한 다음, 종이층(22)에 표면도막층(24)을 코팅, 형성하는 방법으로 진 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먼저 종이층(22)에 표면도막층(24)을 코팅 형성시켜 표면재(20)를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표면재(20)를 발포 폼 보드(10)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100)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와, 이 발포 폼 보드(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표면재(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표면재(20)는 종이층(22)과, 이 종이층(22)의 한면에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층(26)으로 구성된다. 이때, 발포 폼 보드(10) 및 종이층(22)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판(100)의 단면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층(26)은 1장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이 합지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층(26)은 적어도 필기성 및 지움성을 확보하면서 표면 평활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이 본 발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을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따른 필기판(10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발포 폼 보드(10)에 종이층(22)을 접착한 다음, 종이층(22)에 플라스틱 필름층(26)을 접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먼저 종이층(22)에 플라스틱 필름층(26)을 접착제,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켜 표면재(20)를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표면재(20)를 발포 폼 보드(10)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기판(100)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와, 이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층(2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발포 폼 보드(10) 및 플라스틱 필름층(26)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필기판(1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통상의 인쇄용지 규격에 상당하는 A1, A2, A3, A4, 그리고 가로 × 세로가 100m × 100m, 150m × 100m, 300m × 200m 등의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판(100)은 밝은 색, 어두운 색 등의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적어도 필기가 되는 표면에 도출되는 색상이 흰색, 노란색 등의 밝은 색을 갖거나, 또는 흑색, 녹색, 갈색, 남색 등의 어두운 색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표면에 도출되는 색상이 밝은 색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필기구로서의 마커펜(6)은 어두운 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해야 하며, 표면에 도출되는 색상이 어두운 색일 경우, 이에 대응되는 필기구로서의 마커펜(6)은 밝은 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위와 같이 필기판(100)에 색상을 부여함에 있어서는 발포 폼 보드(10), 종이층(22), 표면도막층(24), 플라스틱 필름층(2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착색층을 형성하여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색층은, 도 2에서는 발포 폼 보드(10)와 표면도막층(24)의 사이, 도 3에서는 종이층(22)과 표면도막층(24)의 사이, 도 4에서는 종이층(22)과 플라스틱 필름층(26)의 사이, 그리고 도 5에서는 발포 폼 보드(10)와 플라스틱 필름층(26)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필기판(100)에는 글씨, 도표 등의 필기가 용이하도록 암선(줄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선(줄선)은 발포 폼 보드(10), 종이층(22), 표면도막층(24) 또는 플라스틱 필름층(26)에 암선용 도료를 롤러 코팅 또는 실크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은 이상에서 설명한 필기판(100)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은 상기와 같은 필기판(100)으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은 필기판(100)과, 이 필기판(10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필기판(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과, 벽체 등에 고정되도록 상단 프레임(200)에 설치된 걸쇄(300), 그리고 지우개(5), 마커펜(6)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단 프레임(200)에 설치된 안착판(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을 벽체 등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걸쇄(300)를 이용한 고정은 물론, 접착제, 양면 점착테이프, 벨크로(통상의 ‘칙칙이’) 등을 통한 고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커펜용 칠판은 고경량성을 가짐에 따라 걸쇄(300)를 이용하지 않고도 접착제, 양면 점착테이프, 벨크로 등을 통한 고정이 가 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기판(100)을 구성하는 기재가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로 이루어져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벼움에 따라 벽체 등에 고정함에 있어 접착제, 양면 점착테이프, 벨크로 등으로도 쉽게 고정이 가능하며, 재질 자체에 의해 그리고 고정을 위한 별도의 걸쇄(300) 등의 설치가 배제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와, 상기 발포 폼 보드(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표면재(20)로 이루어진 필기판(100)을 가지는 마커펜용 칠판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20)는 종이층(22)과, 이 종이층(22)의 한면에 형성된 표면도막층(24)으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는 폴리스티렌 발포 폼 보드, 폴리에틸렌 발포 폼 보드 및 폴리우레탄 발포 폼 보드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표면도막층(24)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종이층(22)의 한면에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펜용 칠판.
  4.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와, 상기 발포 폼 보드(10)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표면재(20)로 이루어진 필기판(100)을 가지는 마커펜용 칠판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20)는 종이층(22)과, 이 종이층(22)의 한면에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층(26)으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수지 발포 폼 보드(10)는 폴리스티렌 발포 폼 보드, 폴리에틸렌 발포 폼 보드 및 폴리우레탄 발포 폼 보드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플라스틱 필름층(26)은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및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종이층(22)의 한면에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펜용 칠판.
  5. 삭제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판(100)은 필기가 되는 표면에 도출되는 색상이 흰색, 노란색, 흑색, 녹색, 갈색 또는 남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펜용 칠판.
KR1020050030687A 2005-04-13 2005-04-13 마커펜용 칠판 KR100757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87A KR100757468B1 (ko) 2005-04-13 2005-04-13 마커펜용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87A KR100757468B1 (ko) 2005-04-13 2005-04-13 마커펜용 칠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188U Division KR200390151Y1 (ko) 2005-04-13 2005-04-13 마커펜용 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37A KR20060108937A (ko) 2006-10-18
KR100757468B1 true KR100757468B1 (ko) 2007-09-13

Family

ID=3762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687A KR100757468B1 (ko) 2005-04-13 2005-04-13 마커펜용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78U (ko) * 1996-10-01 1998-07-15 성재갑 메모보드
KR20000008143A (ko) * 1998-07-10 2000-02-07 김기철 화이트 보드
KR20010003375A (ko) * 1999-06-23 2001-01-15 박경주 다기능 칠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78U (ko) * 1996-10-01 1998-07-15 성재갑 메모보드
KR20000008143A (ko) * 1998-07-10 2000-02-07 김기철 화이트 보드
KR20010003375A (ko) * 1999-06-23 2001-01-15 박경주 다기능 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37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9184B2 (en) Dry erase article
US6837715B2 (en) Dry erase and tack display board having no frame
US5388689A (en) Writing surfaces and container for supplies
JP2010537865A (ja) 取り付け可能な筆記アセンブリ
US20110104655A1 (en) Adhesive-backed chalkboard wall covering
KR200390151Y1 (ko) 마커펜용 칠판
US20080187900A1 (en) Foam writing pad
KR100757468B1 (ko) 마커펜용 칠판
KR100745687B1 (ko) 걸이형 보드
US20100099073A1 (en) Combination chalkboard and corkboard
KR101280715B1 (ko) 방수재층을 구비한 문구 또는 광고용 발포보드 패널
KR20130101265A (ko) 양면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경량칠판
KR20060114892A (ko) 폼 보드에 표면재를 부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폼보드 적층체
KR101085013B1 (ko) 드로잉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공부상, 스케치 북 및 마우스 패드
KR200422176Y1 (ko) 기록용 보드 세트
US20180134067A1 (en) Portable whiteboard with a flexible foam layer
US20220314685A1 (en) Multi-sided modular erasable writing panel and system for attachment thereof
CN213896571U (zh) 一种可擦写粉笔的学习纸
KR101018326B1 (ko) 축광 기능을 갖는 칠판
JPH10250286A (ja) 黒板の表面構成体
JP3224604U (ja) ブラックシートリフィル
KR200313853Y1 (ko) 휴대용 필기용 보드
KR100279533B1 (ko) 교습구
JP2011005723A (ja) 水変色性デスクマ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デスクマットセット
KR20080112499A (ko) 교육용 보드에 합지되는 시트 및 시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