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121B1 -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 Google Patents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121B1
KR100757121B1 KR1020060048077A KR20060048077A KR100757121B1 KR 100757121 B1 KR100757121 B1 KR 100757121B1 KR 1020060048077 A KR1020060048077 A KR 1020060048077A KR 20060048077 A KR20060048077 A KR 20060048077A KR 100757121 B1 KR100757121 B1 KR 10075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electric
air
control panel
cool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석진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 판넬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전면판넬의 상단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해 순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는, 오븐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컨트롤판넬(300)과, 다수의 전장부품(880)이 수용되는 전장실(800)의 저면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로어(820)와, 상기 전장실(8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쿨링팬(860)과, 상기 전장실(800)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가이드(840)와, 상기 전장실(800)의 상/측/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로어(820)의 상면과 결합되는 전장실커버(200)와, 상기 전장실커버(200)의 상면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컨트롤판넬(300)의 상단과 결합되는 연장판(222)과, 상기 연장판(222)의 일측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전장실(8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입구를 형성하는 흡기공(2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공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지며 먼지 및 오물의 유입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오븐, 인슐레이터, 전장실, 쿨링팬, 공기, 흡입공, 배출공, 냉각

Description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A structure of air flow for ove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빌트인 전기오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빌트인 전기오븐의 공기 유동 구조를 보인 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전기오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전기오븐의 전면도어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전기오븐의 후측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전기오븐의 전장실 커버가 제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전기오븐의 전장실 내부 공기의 흐름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오븐 120..... 오븐캐비티
200..... 전장실커버 220..... 상면커버
221..... 흡기공 222..... 연장판
240..... 측면커버 260..... 후면커버
300..... 컨트롤판넬 320..... 조작노브
340..... 디스플레이 360..... 결합단
362..... 외기유입부 500..... 오븐도어
520..... 도어핸들 600..... 측면판넬
620..... 손잡이 700..... 전면판넬
720..... 배기공 800..... 전장실
820..... 인슐레이터로어 840..... 공기가이드
860..... 쿨링팬 862..... 쿨링팬가이드
880..... 전장부품 882..... 피씨비
884..... 엘씨디 디스플레이 G....... 개스킷
F ...... 서랍장
본 발명은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컨트롤 판넬의 후면에 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유입시키고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킨 뒤 전면판넬의 상단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해 토출시키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전기오븐을 말하며, 전기오븐은 조리재료를 밀폐한 후에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세라믹히터(Ceramic heater)와 시즈히터(Sheathe heater),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와 고주파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열(蹇熱)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조리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요리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이러한 전기오븐을 포함한 주방용품들이 빌트인 타입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
빌트인(Built-in)이란 각종 전자제품을 가구 안에 내장하여 디자인에 일체감을 주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도 뛰어나 많이 선호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빌트인 오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빌트인 오븐의 공기 유동 구조를 보인 투시도이다.
여기서 빌트인은 오븐의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고, 전반적인 사항은 전기오븐과 다르지 않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기오븐(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조리물을 수납한 채로 조리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2)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캐비티(2)는 상기 전기오븐(1)의 내부 공간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체적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2)의 개구된 전면의 외측에는 전면판넬(13)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3)은 상기 오븐캐비티(2)의 개구된 전면의 테두리를 따라 대략 “ㅁ”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넬(13)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천 공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판넬(13)의 좌우 양측과 하측에는 천공 형성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입구를 형성하는 흡기구(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기구(10)는, 상기 전면판넬(13)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패널(5)의 상면에도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3)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장실(15)을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가 천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판넬(13)의 전방에는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오븐도어(2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오븐도어(20)의 상부에는 도어핸들(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오븐(1)의 전면 상부 즉, 상기 오븐캐비티(2)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5)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5)은 전기오븐(1)의 전면외관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전기오븐(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7)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오븐(1)의 양 측면과 후면에는 측면판넬(19)와 후면판넬(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전기오븐(1)의 양 측면과 후면을 차폐한다.
한편, 상기 오븐캐비티(2)의 상방에는 전장실(15)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15)은 상기 전기오븐(1)의 동작에 필요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되는 공간으로, 상기 전기오븐(1)에서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15)의 저면은 상기 오븐캐비티(2)와 전장실(15)를 구획하는 인슐레이터로어(16)에 의해 형성되며, 측면 및 상면은 전장실 외부케이스(30)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로어(16)의 상면에는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장착되어 전기오븐(1)의 작동을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16)의 상면에는 인슐레이터어퍼(17)가 장착된다.
상기 전장실(15)의 대략 후반부 중앙에는 상기 전장실(15)을 냉각하기 위한 쿨링팬(18)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팬(18)은 시로코팬(Siroccofan)과 같은 원심형 팬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15) 내부를 냉각하고, 상기 전장실(15) 내부의 뜨거운 공기들을 상기 전기오븐(1)의 외부로 강제로 송풍하여 상기 전장실(15)을 냉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쿨링팬(18)의 전방에는 인슐레이터어퍼(17)가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17)는 상기 쿨링팬(18)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전기오븐(1)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16)의 상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형성되는 전기오븐(1)은 상기 흡기구(10)를 통해 외기가 전면판넬(13) 및 컨트롤판넬(5)의 상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전장실(15) 내부를 냉각시킨 후 상기 쿨링팬(18)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터어퍼(17)을 따라 상기 배기구(12)로 배출되어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장실(15) 내부로 외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된 흡기구(10)의 위치가 상기 전면판넬(13)의 좌우 양측과 하측 및 상기 컨트롤판넬(5)의 상면에 형성되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판넬(5)의 상면에 형성된 흡기구(10)는 서랍장에 장착될 때, 서랍장의 상면에 의해 차폐될 가능성이 높고 차폐되지 않더라도 상방으로 천공형성되어 먼지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판넬(13)에 형성된 흡기구(10) 또한 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므로 먼지나 이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장실 내부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공을 컨트롤판넬의 후면에 형성하여 먼지 및 오물의 유입을 최소화 하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판넬의 후면에 형성된 흡기공으로 외기가 보다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컨트롤판넬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외기유입부가 더 구비되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기유입부와 가장 인접한 곳에 열에 민감한 엘씨디(LCD) 디스플레이와, 전장부품들이 장착되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는, 오븐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컨트롤판넬과, 상기 컨트롤판넬의 후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전장부품이 수용되는 전장실의 저면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로어와, 상기 전장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쿨링팬과,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에 장착 되며, 상기 쿨링팬과 연결되어 상기 전장실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가이드와, 상기 전장실의 상/측/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과 결합되는 전장실커버와, 상기 전장실커버의 상면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컨트롤판넬의 상단과 결합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일측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外氣)의 입구를 형성하는 흡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공은 상기 연장판의 가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타원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판넬의 상단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과 결합되는 결합단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단에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기유입부는 상기 흡기공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결합단의 전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븐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오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오븐의 전면도어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오븐(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조리물을 수납한 채로 조리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120)가 형 성된다.
상기 오븐(100)의 양 측면과 후면에는 측면판넬(600)과 후면판넬(도 5 에서 도면부호 900)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넬(6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오븐(1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6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오븐(100)의 전면(前面) 일부 즉, 상기 오븐캐비티(12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120)의 개구된 전면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오븐도어(50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오븐도어(5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도어핸들(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100)의 전면(前面) 상부 즉, 상기 오븐캐비티(120)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판넬(30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판넬(300)은 오븐(100)의 전면(前面) 외관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븐(10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320)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40)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븐도어(500)의 후측 즉, 상기 컨트롤판넬(300)의 하측에는 전면판넬(700)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700)은 상기 오븐캐비티(120)의 테두리를 따라 상/하/좌측/우측부를 형성하여 대략“ㅁ”와 같은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700)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가이드(도 6에서 도면부호 840)와 연통되는 배기공(720)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공(720)은 상기 전면판넬(700)의 상부에서 가로가 길고 모서리가 라운드 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을 냉각한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700)에는 상기 오븐캐비티(120)의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개스킷(G)이 형성되어 상기 오븐캐비티(120) 내부의 열기가 밖으로 새지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오븐(100)의 후측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오븐의 후측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오븐(100)의 후측은 상기 측면판넬(600)과 후면판넬(900) 및 전장실커버(200)로 외관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커버(200)는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커버(220)와,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커버(240),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커버(260)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커버(22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방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컨트롤판넬(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연장판(2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연장판(222)은 상기 상면커버(22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후 후방으로 절곡되고, 상방으로 한번 더 절곡된 후 후방으로 재절곡되어 좌측방(도 5 에서)에서 바라볼 때 대략“
Figure 112006037699228-pat00001
”와 같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판(222)에는 상기 전장실(도 7에서 도면부호 800)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흡기공(221)이 더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221)은 전술한바 있는 배기공(도 4 에서 도면부호 72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가로가 긴 사각형상에 모서리가 라운드 지도록 천공형성되며, 다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공(221)은 상기 전장실(도 7에서 도면부호 800)의 내부에 수용된 각종 전장부품(도 6 에서 도면부호 880)과 인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연장판(222)과 결합되는 컨트롤판넬(300)의 상부에는 결합단(36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360)은 상기 컨트롤판넬(300)의 상단에서 전방(도 5 또는 도 6에서)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연장판(222)의 후단부 상면과 접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단(360)의 하면에 상기 연장판(222)의 후단부 상면이 접하게 되어 상기 연장판(222)의 상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360)에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362)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단(360)은, 후방으로 상기 결합단(360) 폭의 절반 정도 되는 길이로 절개한 후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상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Figure 112006037699228-pat00002
”와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절개된 공간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362)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240)의 후단부도 외측으로 절곡된 뒤 후방으로 재절곡되어 상기 컨트롤판넬(300)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측면커버(240)의 후단부에도 외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전장 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오븐의 전장실커버가 제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은 인슐레이터로어(820)에 의해서 저면이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로어(82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븐캐비티(120)가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의 공간을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오븐(100)의 내측 공간을 가로방향으로 구획한다.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의 내부를 살펴보면,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의 후반부 대략 중앙에는 쿨링팬(860)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팬(860)은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의 내부를 냉각하는 것으로 시로코팬(Siroccofan)과 같은 원심형 팬이 사용된다.
상기 쿨링팬(860)은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의 내부에서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쿨링팬가이드(862)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쿨링팬가이드(862)는 상기 쿨링팬(860)의 장착위치를 고정함은 물론 상기 쿨링팬(86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쿨링팬(860)의 일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하 설명할 공기가이드(840)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공기가이드(840)는 상기 쿨링팬가이드(862)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쿨링팬(860)에서 강제 송풍되는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 내부의 공기가 오븐(1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가이드(840)는 양측단부와 전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이 상기 인슐레이터로어(820)와 결합되어, 상기 인슐레이터로어(820)의 상면과 공기가이드(840)의 내측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의 후단부는 상기 배기공(720)과 연결되어, 상기 전장실(도 7 에서 도면부호 8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72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공기가이드(840)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가이드(840)의 후단부가 상기 전면판넬(700)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공(720)을 모두 포함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공기가이드(840)의 상측에는 전술한바 있는 전장부품(880)과 피씨비(PCB : 882) 및 엘씨디 디스플레이(884)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피씨비(882)와 엘씨디 디스플레이(884)는 상기 외기유입부(362)에서 쿨링팬(860)의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장착되고 특히, 티에프티 엘씨디(TFT LCD)와 같은 부품은 열에 민감한 소자이므로 상기 연장판(222)의 중앙과 우측에 형성된 흡기공(도 5에서 221)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외기유입부(362)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바로 접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작용을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빌트인 장착되는 전기오븐을 일실시예로 설명한 것으로, 빌트인 오븐 이외에도 적용가능함을 밝히는 바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인 빌트인 오븐의 전장실 내부 공기의 흐름을 보인 사시도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오븐(100)을 작동시키면 상기 쿨링팬(860)이 작동하고, 쿨링팬(8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컨트롤판넬(300)의 결합단(360)에 형성된 외기유입부(362)를 통해 상기 흡기공(221)으로 외기가 유입된다. 즉, 상기 쿨링팬(860)은 회전에 의해 상기 전장실(8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장실(800) 내부를 외부보다 기압이 낮은 저기압부로 만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외부의 공기는 용이하게 상기 흡기공(221)을 통해 상기 전장실(8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전장실(800) 내부를 순환하여 내부에 수용된 전장부품(도 6의 도면부호 880) 및 피씨비(882) 엘씨디 디스플레이(884) 등을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한 부품들을 냉각시킨 외기는 다시 쿨링팬(86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가이드(840)로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가이드(840)로 포집된 외기는 상기 공기가이드(840)와 연통된 상기 배기공(720)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외기는 상기 배기공(720)을 통해 오븐(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과정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부(362)는 빌트인 장착되는 오븐(100)에 상대적으로 부족한 외기유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00)의 상/하/좌/우/후면은 수납장이나 벽면에 의해 차폐되어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므로, 상기 외기유입부(362)가 상기 수납장의 상면에서 개구 된 공간을 형성하여 외기의 원활한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외기의 흡입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상기 쿨링팬(86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저기압부로 외기가 빠른속도로 유입되고 빠른속도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전장부품(800)과 엘씨디 디스플레이(884)및 피씨비(882)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공(221)은 이러한 외기유입부(362)의 하측과 상기 전장부품(88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외기유입부(362)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전장부품(880)으로 바로 유입되도록 하여 냉각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일예로 피씨비와 엘씨디 디스플레이 및 전장부품을 외기유입부에서 쿨링팬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위치되도록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상기 흡기공의 형상과 수량을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외기유입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형상의 변형 및 장착위치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이 자명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는, 흡기공이 컨트롤판넬의 후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개구된 공간이 드러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흡기공의 상측에 외기유입부가 형성되어 외기가 빌트인 장착시에도 외기가 흡기공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기공이 상기 컨트롤판넬의 후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먼지 및 오물의 유입이 최소화되어 전장부품에 먼지 및 오물의 적치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기공의 위치가 상기 외기유입부의 하측과 전장부품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기가 전장부품에 바로 유입되므로 냉각효율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오븐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컨트롤판넬과;
    상기 컨트롤판넬의 후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전장부품이 수용되는 전장실의 저면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로어와;
    상기 전장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쿨링팬과;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쿨링팬과 연결되어 상기 전장실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가이드와;
    상기 전장실의 상/측/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과 결합되는 전장실커버와;
    상기 전장실커버의 상면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컨트롤판넬의 상단과 결합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일측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外氣)의 입구를 형성하는 흡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공은,
    상기 연장판의 가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타원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판넬의 상단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과 결합되는 결합단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단에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가 더 형성되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부는,
    상기 흡기공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결합단의 전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오븐의 공기 유동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0048077A 2006-05-29 2006-05-29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KR100757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77A KR100757121B1 (ko) 2006-05-29 2006-05-29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77A KR100757121B1 (ko) 2006-05-29 2006-05-29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682A Division KR100767847B1 (ko) 2007-05-14 2007-05-14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121B1 true KR100757121B1 (ko) 2007-09-10

Family

ID=3873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077A KR100757121B1 (ko) 2006-05-29 2006-05-29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062B1 (ko) * 2009-04-30 201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999Y1 (ko) * 1996-07-29 1998-12-15 김광호 오븐렌지의 냉각장치
KR100288915B1 (ko) 1998-07-29 2001-06-01 구자홍 전자레인지의냉각제어방법
KR20050031781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609156B1 (ko) 2004-02-26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33172B1 (ko) 2004-10-21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999Y1 (ko) * 1996-07-29 1998-12-15 김광호 오븐렌지의 냉각장치
KR100288915B1 (ko) 1998-07-29 2001-06-01 구자홍 전자레인지의냉각제어방법
KR20050031781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609156B1 (ko) 2004-02-26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33172B1 (ko) 2004-10-21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062B1 (ko) * 2009-04-30 201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KR101450879B1 (ko) 밴트그릴
EP0965797A1 (en) Combined microwave oven and extractor
CN105208699A (zh) 埋入式电磁感应加热烹调器
KR100565222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 안내장치
KR100419208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757121B1 (ko)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KR100938205B1 (ko) 오븐
US6956191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on door which extends a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KR20020050027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767847B1 (ko) 오븐의 공기유동 구조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JP2966658B2 (ja) 加熱調理器
CN116097039A (zh) 烹饪器具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JP4969302B2 (ja) 加熱調理器
KR101686303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0485576B1 (ko) 전자렌지
KR101057717B1 (ko) 전자렌지 도어의 습기제거장치
US20220390120A1 (en) Cooking apparatus
JP2012037183A (ja) 加熱調理器
EP2095023B1 (en) A household appliance
KR100369819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