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182B1 -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182B1
KR100756182B1 KR1020060031511A KR20060031511A KR100756182B1 KR 100756182 B1 KR100756182 B1 KR 100756182B1 KR 1020060031511 A KR1020060031511 A KR 1020060031511A KR 20060031511 A KR20060031511 A KR 20060031511A KR 100756182 B1 KR100756182 B1 KR 10075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test tone
intermediate frequency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금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송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튜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의 튜닝 제어 장치는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시켜 미리 튜너 내 대역통과필터에 인가시킨다. 그리고 튜너에서 신호 처리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값에 따라 상기 튜너 내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을 조절시키며 수신할 채널의 대역으로 튜닝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외부의 변화에 의해서 튜너 내 대역통과필터의 특성이 변하더라도 인가시키는 테스트 톤에 대한 출력 결과를 살피며 수신할 채널 대역과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을 매칭시켜 줌으로써 튜너의 수신 성능이 외부의 변화에 의해서 떨어지지 않도록 해 준다.
방송 수신기, 튜닝, 튜너, 테스트 톤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Tuning controlling apparatus of a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종래 튜닝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송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튜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용화된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튜너 및 DTV(Digital TV) 튜너는 50~810MHz의 방송 입력 주파수를 수신하여 방송 채널들(CH2~CH69) 뿐만 아니라 캐이블 티브이 채널들이 포함된 181 채널들을 모두 수용해야 하며, 최소한의 인터페이스로 자동적인 채널 주파수 튜닝이 가능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튜닝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살펴보면, 튜닝 제어 장치는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RF 필터(102)의 중심 주파수 및 Q(Quality factor) 값을 동조시키는 전압제어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이하 'VCO'라 함)(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위상 비교기(104)와 루프 필터(106)로 구성되는 주파수 루프회로(f-loop), 그리고 진폭 검출기(108)와 비교기(110)와 저역통과필터(112)로 구성되는 Q 루프회로(Q-loop)를 통해 RF 필터(102)의 중심 주파수 및 Q 값을 제어한다.
RF 필터(102)의 중심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 루프회로는 VCO(10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공급받아 수신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이 VCO(100)에서 발생되도록 루프 필터를 통해 주파수 조정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주파수 루프회로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조정 전압은 VCO(100)의 출력 주파수를 조절시키고 RF 필터(102)의 중심 주파수를 VCO(100)의 출력 주파수와 동조시키는데 이용된다.
RF 필터(102)의 Q 값을 조절하는 Q 루프회로는 VCO(100)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진폭 크기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신호 크기를 통해 VCO(100)의 Q 값을 판단하고 원하는 Q 값을 가지도록 Q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Q 루프회로에서 발생되는 Q 제어신호는 VCO(100)의 Q 값을 조절시키고 RF 필터(102)의 Q 값을 VCO(100)의 Q 값과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의 튜닝 제어 장치를 통해 RF의 필터(102)를 튜닝시킬 경우에는 RF 필터(102)의 중심 주파수 및 Q 값을 동조시키는 VCO(100)와 RF 필터(102)가 서로 주파수 특성이 매칭되어야 하며, VCO(100)와 RF 필터(102) 간에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RF 필터(102)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채널로 튜닝하지 못하여 방송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방송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튜닝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는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하는 테스트 톤 생성부;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가 생성한 테스트 톤 또는 안테나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 또는 방송신호를 지정된 신호통과대역에 따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가 필터링한 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중간주파처리부; 및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을 전환할 경우에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가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중간주파처리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크기값에 따라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을 조절하며 상기 수신할 채널 대역으로 지정하는 디지털신호처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간주파처리부는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피엘엘 및 제 2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피엘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는 상기 제 2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 2 피엘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 신호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를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제 1 믹서에서 출력되는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 1 피엘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신할 채널 대역으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테스트 톤을 생성하는 제 2 주파수 변환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신호처리기는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을 조절하며 상기 중간주파처리부에서 최대의 신호 크기값이 출력되는 신호통과대역을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으로 지정하거나 상기 중간주파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크기값이 미리 추정된 신호 크기값 범주 내에 속하는 신호통과대역을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중 주파수 변환 동작을 통해 영상 신호, 중간 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 비트(beat) 및 국부 전력에 의한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들을 줄일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튜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튜너에 본 발명에 따른 튜닝 제어 장치가 적용된 형태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중 주파수 변환 동작을 수행하는 방송 수신기 튜너는 우선 높은 대역 주입(high-side injection)을 이용하여 튜너 입력 주파수 대역은 920MHz(혹은 그 이상의 주파수)로 일차 중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한 후 낮은 대역 주입(low-side injection)을 이용하여 44MHz(혹은 그 이하의 주파수)로 이차 중간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며 소정 채널에 실려 들어오는 방송 신호를 검파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의 방송 수신기 튜너는 반송파의 입력 주파수 대역을 1.22 GHz 대역으로 일차 중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한 후 이차 중간 주파수 변환을 통해 반송파 신호가 모두 상쇄되도록 구성된 튜너이며, 실제적으로 회로 구동상 이차 중간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면 DC 대 중간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는 튜너이다.
이러한 튜너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감쇄기(Attenuator)(2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큰 입력 신호에 의해서 나머지 능동 소자들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 레벨 크기 이상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신호의 크기를 감쇄시켜 튜너가 최적의 신호 수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대역통과필터(BPF)(202)는 안테나를 통해 유입되는 50~810MHz의 방송 주파수 대역의 방송 채널들(CH2~CH69) 뿐만 아니라 케이블 티브이 채널들이 포함된 181 채널들을 모두 통과시키고 영상 신호 내(920MHz 이상)로 유입되는 non-television 신호들을 제거한다. 그리고 광대역 추적 필터를 구비하고 있어서 원하는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 신호들을 차단한다.
대역통과필터(202)의 이득은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이하 'AGC'라 함) 증폭기(218)를 통해 조절된다.
그리고, 중간주파처리부(220)는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을 상향 변환하는 부분과 주파수 대역을 하향 변환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제 1 중간주파수로 주파수를 상향 변환하는 부분은 제 1 피엘엘(PLL1)(214)과, 제 1 믹서(204)와, 중간 주파수(IF) 증폭기(206)와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208)로 구성된다.
제 1 피엘엘(21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수신할 채널 주파수 값(CH)에 1.22GHz가 더해진 주파수 대역(CH+1.22GHz)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1 믹서(204)는 대역통과필터(202)에서 통과시킨 채널 대역(CH)의 신호와 제 1 피엘엘(214)에서 발생시킨 주파수 대역(CH+1.22GHz)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대역을 제 1 중간주파수(1.22GHz) 대역으로 상향 변환한다.
제 1 믹서(204)를 통해 제 1 중간주파수 변환이 이루어진 신호는 IF 증폭기(206)를 거쳐서 증폭된 후 SAW 필터(208)로 인가된다.
SAW 필터(208)는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협대역으로 신호를 통과시키고 바깥 대역에 있는 인접 채널의 신호 및 잡음을 크게 감쇄시킨다.
그리고 제 2 중간주파수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부분은 제 2 피엘엘(PLL2)(216)과, 제 2 피엘엘(216)에서 발생되는 I(In-phase) 신호와 Q(Quadrature-phase)에 대해서 각각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두 개의 제 2 믹서(210a, 210b)와, 두 개의 저역통과필터(LPF)(212a, 212b)가 존재한다.
제 2 피엘엘(21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2GHz의 주파수 대역의 I 신호와 Q 신호를 발생시킨다.
두 개의 제 2 믹서(210a,210b)는 SAW 필터(208)에서 출력되는 제 1 중간주파수(1.22GHz 대) 대역 신호를 인가받고 제 2 피엘엘(216)에서 발생되는 1.22GHz I 신호 및 Q 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제 2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한다. 이때에, 제 2 믹서(210a,210b)를 통해 변환되는 제 2 중간주파수는 DC 대역을 가진다.
저역통과필터(212a,212b)는 제 2 믹서(210a,210b)에서 제 2 중간주파수로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며 발생하는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들을 제거한다.
수신할 채널(CH)의 방송 신호는 저역통과필터(212a,212b)를 거쳐 출력되는 신호를 검파하여 획득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방송 수신기 튜너를 튜닝시키는 본 튜닝 제어 장치는 테스트 톤(Test Tone) 생성부(224)와, 스위치(Switch)(222)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Digital Converter)(226)와, 디지털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 DSP' 라 함)(228)로 구성된다.
테스트 톤 생성부(224)는 소정 채널로 튜닝을 수행할 경우에 구동되며 수신할 채널에 해당하는 톤(Tone)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본 테스트 톤 생성부(224)는 튜너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변환이 역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톤 생성부(224)는 제 1 피엘엘(214)과 제 2 피엘엘(216)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해 수신할 채널에 대한 테스트 톤을 생성시키는 제 1 주파수 변환부(224-2) 및 제 2 주파수 변환부(224-6)를 구비한다. 그리고 튜너에서 최종 변환되는 제 2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I 신호 및 Q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224-4)를 구비한다.
여기서 신호 발생부는 제 2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 신호로 2.08MHz의 I 신호 및 Q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놓았다.
제 1 주파수 변환부(224-2)는 제 2 피엘엘(216)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1.22GHz)의 I 신호 및 Q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 발생부(224-4)에서 발생되는 제 2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2.08MHz)의 I 신호 및 Q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제 2 피엘엘(216)에서 발생된 I 신호와 신호 발생부(224-4)에서 발생된 I 신호를 믹서(224-2a)를 통해 주파수 변환하고, 제 2 피엘엘(216)에서 발생된 Q 신호와 신호 발생부(224-4)에서 발생된 Q 신호를 믹서(224-2b)를 통해 주파수 변환한다.
그리고 두 믹서(224-2a,224-2b)를 통해 주파수 변환된 각각의 신호가 가산기(224-2c)에 입력되어 합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SSB(Single Side Band) 변환 과정을 수행하며 제 1 중간주파수 대역(1.22GHz-2.08MHz)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제 1 주파수 변환부(224-2)는 주파수 상향 변환을 수행하여 제 1 중간주파수 대역(1.22GHz-2.08MHz)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 2 주파수 변환부(224-6)는 제 1 주파수 변환부(224-2)에서 제 1 중간주파수 대역(1.22GHz-2.08MHz)으로 변환된 신호와 제 1 피엘엘(214)에서 발생 시키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CH+1.22GHz)를 입력받아 수신할 채널 대역으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한다.
이때, 제 1 피엘엘(214)은 수신할 채널(CH)를, 즉 튜닝할 채널의 주파수를 설정받아 그 채널 주파수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제 2 주파수 변환부(224-6)를 통해 변환된 주파수 대역(CH+2.08MHz)의 신호가 수신할 채널에 대한 테스트 톤으로 출력된다.
스위치(222)는 테스트 톤 생성부(224)에서 생성된 테스트 톤이 대역통과필터(202)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대역통과필터(202)로 인가될 수 있도록 스위칭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6a, 226b)는 튜너의 저역통과필터(21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DSP(228)로 제공한다.
DSP(228)는 소정 채널로 튜닝할 시에 스위치(222)의 스위칭을 제어(SW_CTL)하여 튜너의 대역통과필터(202)가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도록 연결을 차단시키고, 테스트 톤 생성부(224)와 대역통과필터(202)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테스트 톤 생성부(224)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수신할 채널에 대한 테스트 톤이 스위치(222)를 통해 대역통과필터(202)에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테스트 톤이 대역통과필터(202)로 입력되어 튜너의 중간주파처리부(220)를 통해 신호가 출력되는 때에, DSP(228)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6a, 226b)로부터 그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값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의 크기값에 따라 대역통과필터(202)의 신호통과대역을 조절해서 수신할 채널로 튜닝이 이루어지 도록 처리한다.
이에 대한 DSP(228)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DSP(2288)는 채널 튜닝시에 수신할 채널에 따라 미리 저장해 놓은 초기 셋팅값을 이용하여 대역통과필터(202)의 신호통과대역을 설정해 놓는다.
그리고 스위치(222)와 테스트 톤 생성부(224)의 동작 제어를 통해 소정의 신호통과대역이 설정된 대역통과필터(202)에 테스트 톤 생성부(224)에서 생성된 테스트 톤이 인가되도록 한다.
DSP(228)는 테스트 톤이 대역통과필터(202)에 인가되어 중간주파처리부(220)의 저역통과필터(226a, 226b)에서 신호가 출력되는 때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6)로부터 그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값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DSP(228)는 대역통과필터(202) 및 중간주파수 증폭기(206) 등의 튜너 내 각 단의 신호 이득(GAIN)을 제어함에 따라 대역통과필터(202)에 설정된 신호통과대역의 중심 주파수 대역이 테스트 톤과 매칭이 이루어질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6)로부터 입력받을 신호의 크기값을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DSP(228)는 대역통과필터(202)에 설정된 신호통과대역의 중심 주파수 대역이 테스트 톤과 매칭이 이루어질 경우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6)로부터 최대의 신호 크기값을 입력받게 된다.
그러므로 DSP(228)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값에 따라 일정 범위 내의 제어값(BAND_VALUE)들을 출력하여 대역통과필터(202)의 신호통과대역을 조절시킨다.
그러면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값이 미리 추정되는 신호 크기값 범주 내에 속하는 시점 또는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값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대역통과필터(202)의 신호통과대역이 테스트 톤과 매칭되는 시점으로 판단하고 그 시점의 제어값으로 대역통과필터(202)의 신호통과대역을 지정한다.
이로써 DSP(228)는 수신할 채널의 신호가 수신 가능하도록 대역통과필터(202)의 신호통과대역을 지정해 놓으며 수신할 채널 대역으로의 튜닝을 수행한다. DSP(228)는 다시 스위치(222)를 제어하여 테스트 톤 생성부(224)와 대역통과필터(202)의 연결을 차단시키고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도록 감쇄기(200)와 연결시켜서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가 튜너를 통해 수신되도록 해 준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장치의 튜닝 제어 장치는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시켜 미리 튜너 내 대역통과필터에 인가시킨다. 그리고 튜너에서 신호 처리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값에 따라 상기 튜너 내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 역을 조절시키며 수신할 채널의 대역으로 튜닝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외부의 변화에 의해서 튜너 내 대역통과필터의 특성이 변하더라도 인가시키는 테스트 톤에 대한 출력 결과를 살피며 수신할 채널 대역과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을 매칭시켜 줌으로써 튜너의 수신 성능이 외부의 변화에 의해서 떨어지지 않도록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튜닝 제어 장치는 디지털신호처리기를 통해 상기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회로를 단순화시킨다.

Claims (5)

  1.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하는 테스트 톤 생성부;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가 생성한 테스트 톤 또는 안테나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 또는 방송신호를 지정된 신호통과대역에 따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가 필터링한 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중간주파처리부; 및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을 전환할 경우에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가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중간주파처리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크기값에 따라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을 조절하며 상기 중간주파처리부에서 최대의 신호 크기값이 출력되는 신호통과대역을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으로 지정하는 디지털신호처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처리부는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피엘엘 및 제 2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피엘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는
    상기 제 2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 2 피엘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 신호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를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제 1 주파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 1 피엘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신할 채널 대역으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테스트 톤을 생성하는 제 2 주파수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3. 삭제
  4.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하는 테스트 톤 생성부;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가 생성한 테스트 톤 또는 안테나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 또는 방송신호를 지정된 신호통과대역에 따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가 필터링한 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중간주파처리부; 및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을 전환할 경우에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가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수신할 채널 대역의 테스트 톤을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중간주파처리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크기값에 따라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을 조절하며 상기 중간주파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크기값이 미리 추정된 신호 크기값 범주 내에 속하는 신호통과대역을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신호통과대역으로 지정하는 디지털신호처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처리부는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피엘엘 및 제 2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피엘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테스트 톤 생성부는
    상기 제 2 중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 2 피엘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 신호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를 변환하는 제 1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제 1 주파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제 1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 1 피엘엘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수신할 채널 대역으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테스트 톤을 생성하는 제 2 주파수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KR1020060031511A 2006-04-06 2006-04-06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KR10075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511A KR100756182B1 (ko) 2006-04-06 2006-04-06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511A KR100756182B1 (ko) 2006-04-06 2006-04-06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182B1 true KR100756182B1 (ko) 2007-09-05

Family

ID=3873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511A KR100756182B1 (ko) 2006-04-06 2006-04-06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88U (ja) * 1991-07-10 1993-02-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5122549A (ja) * 1991-10-28 1993-05-18 Dx Antenna Co Ltd テレビジヨン受信機用前置増幅器
KR20010037870A (ko) * 1999-10-20 2001-05-15 서평원 디지털 tv 중계기의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6042128A (ja) 2004-07-29 2006-02-09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88U (ja) * 1991-07-10 1993-02-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5122549A (ja) * 1991-10-28 1993-05-18 Dx Antenna Co Ltd テレビジヨン受信機用前置増幅器
KR20010037870A (ko) * 1999-10-20 2001-05-15 서평원 디지털 tv 중계기의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6042128A (ja) 2004-07-29 2006-02-09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617B2 (en) Dual mode tuner for co-existing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s
US7079195B1 (en) Broadband integrated tuner
JP3906792B2 (ja)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8260233B2 (en) FM receiver
KR100353861B1 (ko) 주파수 매핑 근사 함수를 이용한 광대역 주파수 자동 채널선택 장치 및 그 방법
JPH0678227A (ja) 放送信号の受信方法及び装置
KR100233658B1 (ko) 고선명 텔레비젼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시간을 줄이는 방법
TW484315B (en) Television receiver for digital signals with offset tuning provisions
US7065337B2 (en) Tuner for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 signals
US63965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cision tuning, and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vestigial sideband signal in television
JP4089275B2 (ja) 受信制御方法、受信制御装置、受信装置
JP2001177779A (ja) 映像中間周波処理装置
KR100756182B1 (ko) 방송 수신기의 튜닝 제어 장치
JPH1198037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チュ−ナ
US7343142B2 (en) Tuner
KR100355621B1 (ko) 룩업 테이블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광대역 주파수 자동 채널 선택용 디지털 텔레비전 튜너
EP17861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WO2004070940A1 (en) Tuner for reception of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s
US7663431B2 (en) Tuner and demodulating unit thereof
KR100423407B1 (ko) 튜너 아이씨와 복조 아이씨의 원칩화한 튜너복조블럭
JP2005020302A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KR970007889B1 (ko) 위성방송 및 케이블방송 겸용 튜너
JP2005159591A (ja) 放送受信装置
KR100309097B1 (ko) 텔레비젼수신기의정밀튜닝방법및장치와잔류측파대신호정합방법및장치
KR970007888B1 (ko) 디지탈 위성방송용 튜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