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27B1 -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27B1
KR100755927B1 KR20050134515A KR20050134515A KR100755927B1 KR 100755927 B1 KR100755927 B1 KR 100755927B1 KR 20050134515 A KR20050134515 A KR 20050134515A KR 20050134515 A KR20050134515 A KR 20050134515A KR 100755927 B1 KR100755927 B1 KR 10075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bile terminal
image
abandon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3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1231A (ko
Inventor
정종석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13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사양을 가진 휴대단말기에서도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초고속망을 통해 서버에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을 이미지로서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휴대단말기에서 이를 표시함으로써 저 사양의 휴대단말기에서도 고 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휴대단말기가 가진 하드웨어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휴대단말기, 사양, 하이엔드, 애플리케이션, WIFI

Description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MOBILE TERMINAL AND SYSTEM PROVIDING HIGH-END APPLICATION SERVICE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서버 120: 휴대단말기
210: 송수신부 220: 입력부
230: 제어부 240: 출력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메모리, 프로세서, 배터리 등의 휴대단말기 관련 기술과 휴대단말기 제조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단말기는 휴대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라 불릴 정도로 발전해왔고, 3D 게임이나 네비게이션, 윈도우형 운영체제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서버에 견줄만한 높은 사양으로 고성능을 발휘하는 개인용 컴퓨터와 이런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소정 레벨 이상의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는 휴대단말기에서 지원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느리고 수준이 떨어지는 프로그램으로 인식되었고, 만족할만한 수준이 되질 못하였다.
비록, 휴대단말기 제조업체 및 관련 부품 제조업체,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이 사용자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무리 휴대단말기가 발전하더라도 컴퓨터의 사양을 따라가기에는 소형화, 경량화, 이동성 등의 휴대단말기가 가진 특성으로 인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사양을 가진 휴대단말기에서도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휴대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의 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초고속망을 통해 전송받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는,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의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을 받은 서버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단말기의 해상도 및 컬러에 맞도록 상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과정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전환될 때마다 화면 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만들어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를 수신한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화면에 따른 애플리케 이션의 동작 제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마우스 위치정보와 같은 제어정보로써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서버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120)로부터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서버(110)와; 상기 서버(11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의 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초고속망을 통해 전송받는 휴대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110)는 휴대단말기(120)로부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것이 요구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20)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단말기(120)의 해상도 및 컬러에 맞도록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정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변할 때마다 혹은 주기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화면의 정보를 캡쳐(Capture) 등의 기법으로 이미지화하여 초고속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110)는 휴대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우스 위치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받아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변화된 화면을 상기 휴대단말기(120)로 이미지화하여 전송한다.
상기 서버(110)는 이미지 전송 시에 이전의 이미지와 현재 전송될 이미지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이 소정 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 이미지를 전송하고, 소정 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는 변경된 부분의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낮춘다.
상기 휴대단말기(120)는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것을 서버(110)로 요청하고, 서버(110)로부터 초고속망을 통해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이미지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키 이벤트 및 마우스 기능을 추가하여 화면상에 마우스 위치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초고속망은 컴퓨터 등과 연결되는 광랜과 같은 기존의 유선망은 물론,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랜의 AP(Access Point)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하며, 10Mbps 이상의 초고속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120)는 상기 WIFI를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폰(Wi-Fi Phone)일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화면 전환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할 때, 실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효과음이나 안내음성과 같은 소리를 해당 화면의 이미지 와 함께 휴대단말기(12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씽크(Sync.)를 맞춰 데이터로써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120)는 상기 씽크 정보를 통해 화면에 맞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120)는,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210)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20)와; 상기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하고 송수신부(210)를 통해 외부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부(210)는 WIFI 모듈과 같은 무선 송수신부일 수 있으며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튜너와 같은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마이크로폰과 같은 장치적인 입력수단일 수 있으며,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서버에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것을 요청하고, 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화면 의 정보를 이미지로써 전송하면 송수신부(210)를 통해 받아서 상기 출력부(240)에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키 이벤트나 마우스 기능의 입력을 받아 이를 마우스 위치정보로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상기 마우스 위치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240)는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외장형 스피커와 같은 외부 출력장치와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와 씽크가 맞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씽크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전환과 함께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부(240)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휴대단말기(210)는 메모리나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모듈, MP3 모듈, 모바일 뱅킹용 칩 등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S310)과; 상기 요청을 받은 서버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단말기의 해상도 및 컬러에 맞도록 상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과정(S320)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전환될 때마다 화면 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만들어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S330)과; 상기 이미지를 수신한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화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제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마우스 위치정보와 같은 제어정보로써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S340)과; 서버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S350)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이미지 전송부터 애플리케이션 동작 제어까지의 과정들(S330~S350)은 서비스 종료시까지 계속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편집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사진 편집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 동작 될 수 없는 포토샵과 같은 사진 편집을 수행하는 고 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더라도 휴대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내부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서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기만 하고, 서버에서 상기 사진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전송하면 휴대단말기에서는 화면 이미지에 따라 사진 편집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는 가상 사진 편집으로 실제 휴대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사진 편집 제어에 따라 제어 정보를 수신한 서버에서 실제 사진 편집을 수행하고 휴대단말기에 편집된 사진의 화면을 바로바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휴대단말기에서 사진 편집을 수행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서버에서 편집되어 전송되는 사진 이미지를 받아 저장하거나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진인화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첨부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이용하면, 휴대단말기에서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고 사양의 프로그램들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은, WIFI와 같은 초고속망을 통해 서버에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을 이미지로서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휴대단말기에서 이를 표시함으로써 저 사양의 휴대단말기에서도 고 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휴대단말기가 가진 하드웨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휴대단말기에서 동작시키는 것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 는 효과가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휴대단말기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모리의 부담을 줄이고, 설치 작업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휴대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서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의 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초고속망을 통해 이미지 전송시에 이전의 이미지와 현재 전송될 이미지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이 소정 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 이미지를 전송하고, 소정 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는 변경된 부분의 정보만을 전송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것이 요구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맞도록 조정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킨 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변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화면의 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초고속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킨 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화면의 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초고속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받아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변화된 화면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이미지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이미지를 전송할 때, 실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화면의 이미지와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씽크(Sync.)를 맞춰 오디오 데이터로써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씽크 정보를 통해 화면에 맞는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것을 서버로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초고속망을 통해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화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 이미지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망은
    유선망과 무선망을 포함하며, 10Mbps 이상의 초고속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WIFI(Wireless Fidelity)의 AP(Access Point)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와이파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14.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이미지 전송시에 이전의 이미지와 현재 전송될 이미지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이 소정 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 이미지를 전송하며, 소정 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는 변경된 부분의 정보만을 전송하는 외부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무선 송수신부이며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장치적인 입력수단이며, 외부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키 이벤트나 마우스 기능의 입력을 받아 마우스 위치정보로써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상기 마우스 위치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표시수단으로써 외부 출력장치와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를 담은 이미지와 씽크가 맞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씽크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전환과 함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오디오 출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22.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을 받은 서버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단말기의 해상도 및 컬러에 맞도록 상기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전환될 때마다 화면 정보를 담은 이미지를 만들어 초고속망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를 수신한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화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제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마우스 위치정보와 같은 제어정보로써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이미지 전송 시에 이전의 이미지와 현재 전송될 이미지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이 소정 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 이미지를 전송하고, 소정 퍼센트 미만인 경우에는 변경된 부분의 정보만을 전송하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송 단계부터 애플리케이션 동작 제어 단계까지의 과정들은 서비스 종료시까지 계속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망은
    유선망과 무선망을 포함하며, 10Mbps 이상의 초고속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은
    WIFI(Wireless Fidelity)의 AP(Access Point)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지원 방법.
KR20050134515A 2005-12-29 2005-12-29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075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4515A KR100755927B1 (ko) 2005-12-29 2005-12-29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4515A KR100755927B1 (ko) 2005-12-29 2005-12-29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231A KR20070071231A (ko) 2007-07-04
KR100755927B1 true KR100755927B1 (ko) 2007-09-06

Family

ID=3850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4515A KR100755927B1 (ko) 2005-12-29 2005-12-29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15B1 (ko) * 2008-12-19 2010-04-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소프트웨어 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314A (ko) * 2001-06-30 2003-01-10 (주)메타젠소프트 씬 클라이언트 아키텍쳐를 이용한 무선 pda 서비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314A (ko) * 2001-06-30 2003-01-10 (주)메타젠소프트 씬 클라이언트 아키텍쳐를 이용한 무선 pda 서비스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231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1938A1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CN106792120B (zh) 视频画面的显示方法、装置和终端
US80782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a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n application for an idle state in a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KR101000106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대기 화면 제공 방법
JP4792247B2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の視聴方法
CN106658064B (zh) 虚拟礼物展示方法及装置
JP2007243944A (ja) 遠隔地のディスプレイに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選択的に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2905089B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4254005A (zh) 一种无线视频共享播放器及播放方法
CN108605057B (zh)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1504635A (ja) 移動体メディ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携帯型電子デバイス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50028588A (ko)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03009560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대기 모드시 다양한 콘텐츠 정보 화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1199A (ko) 액정화면의 해상도 변경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CN111935510B (zh) 一种双浏览器应用加载方法及显示设备
US93920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transfer of imag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040229655A1 (en) Mobile terminal having time shift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55927B1 (ko) 고 사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JP5649861B2 (ja) 表示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597809B1 (ko)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CN111447196B (zh) 注册方法及电子设备
KR20000058699A (ko) 웹-박스
KR100663739B1 (ko) 이동 단말기용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선물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2057935A (ja) 携帯電話を用いてカメラを制御する方法
US20220357913A1 (en) Method for selecting audio output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