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360B1 -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360B1
KR100755360B1 KR1020060093421A KR20060093421A KR100755360B1 KR 100755360 B1 KR100755360 B1 KR 100755360B1 KR 1020060093421 A KR1020060093421 A KR 1020060093421A KR 20060093421 A KR20060093421 A KR 20060093421A KR 100755360 B1 KR100755360 B1 KR 10075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nput unit
hierarchical
display
visu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60B1/ko
Priority to EP07116208A priority patent/EP1906299A3/en
Priority to CNA2007101534650A priority patent/CN101155374A/zh
Priority to US11/859,629 priority patent/US2008007788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조그 입력부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조그 입력부의 누름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표시부에 기준점을 표시하고 그 주위에 분포된 제1 메뉴 할당 지점들에 제1 계층 메뉴들을 표시한다. 이어서, 조그 입력부의 제1 방향 이동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제1 계층 메뉴들 중에서 조그 입력부의 제1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활성화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의 주위에 분포된 제2 메뉴 할당 지점들에 제2 계층 메뉴들을 표시하거나,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기준점에 할당하여 다시 표시하고 제1 메뉴 할당 지점들에 제2 계층 메뉴들을 표시한다. 조그 입력부의 제2 방향 이동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제2 계층 메뉴들 중에서 조그 입력부의 제2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계층 메뉴를 활성화한다.
조그 입력부, 메뉴 표시, 계층, 기준점, 메뉴 할당 지점, 활성화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portable device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조그 입력부의 조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조그 입력부가 6방향의 이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로서, 도 4a는 기준점의 표시 단계를, 도 4b는 제1 계층 메뉴의 표시 단계를, 도 4c와 도 4d는 제1 계층 메뉴의 선택적 활성화 단계를, 도 4e는 제2 계층 메뉴의 표시 단계를, 도 4f와 도 4g는 제2 계층 메뉴의 선택적 활성화 단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할당 지점 분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의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의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그 입력부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휴대폰, PDA와 같은 각종 휴대 단말기가 현대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무엇보다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인간공학적 측면이나 디자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제약사항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더욱더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더욱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의 개발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조그(jog), 터치패드(touchpad) 등은 그러한 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의 입력 장치이다.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가 점점 더 간편하고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한 추세로 발전함에 따라, 표시부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이나 화면의 이동 방식도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여러 개의 메뉴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이 메뉴들 사이를 움직여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는 방식이 쓰이고 있다. 따라서 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메뉴의 검색도 복잡해지고 원하는 메뉴를 찾기도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메뉴 검색 및 화면 이동을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그 입력부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그에 적합한 메뉴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일정 영역에서 4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입력부와,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마다 메뉴를 할당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입력부가 이동한 방향에 할당된 메뉴를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하는 표시부와,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 및 이동한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부의 메뉴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부가 이동 가능한 일정 영역은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일 수 있고, 이때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은 다각형의 꼭지점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메뉴의 주위에 하위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때 하위 메뉴는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기준 위치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4방향 이상의 이동 위치들을 가지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입력부의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표시부와,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부의 위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에 따라 표시부의 메뉴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기준 위치이면 기준 위치에 대응하여 기준점을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제1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이동 위치 중의 하나이면 입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하고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중심으로 다시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제2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입력부의 이동 위치들은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은, 일정 영역에서 4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으로서,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마다 메뉴를 할당하여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와, 입력부가 이동한 방향을 수신하는 단계와, 입력부의 이동 방향에 할당된 메뉴를 시각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뉴 표시 방법은, 활성화된 메뉴의 주위에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에 대응하여 하위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은, 기준 위치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4방향 이상의 이동 위치들을 가지는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으로서, 입력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기준 위치이면 기준 위치에 대응하여 기준점을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와,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표시부에 제1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뉴 표시 방법은,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이동 위치들 중의 하나이면 입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하는 단계와,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중심으로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제2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은, 일정 영역에서 4방향 이상으로 이동 가능한 조그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으로서, 조그 입력부의 누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표시부에 기준점을 표시하는 단계와, 기준점의 주위에 분포된 제1 메뉴 할당 지점들에 제1 계층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조그 입력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계층 메뉴들 중에서 조그 입력부의 제1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뉴 표시 방법은,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의 주위에 분포된 제2 메 뉴 할당 지점들에 제2 계층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기준점에 할당하여 다시 표시하는 단계와, 제1 메뉴 할당 지점들에 제2 계층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이 메뉴 표시 방법은 조그 입력부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계층 메뉴들 중에서 조그 입력부의 제2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계층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그 입력부가 이동 가능한 일정 영역은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일 수 있고, 조그 입력부가 이동 가능한 방향은 다각형의 꼭지점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 계층 메뉴의 활성화 단계는 기준점과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 사이에 연결선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102)의 한 면에 형성된 조그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표시부(120)의 화면은 일반적 인 메뉴 표시 방식이 적용된 초기화면(또는 주화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뉴(menu)란 목적이 되는 작업(task)을 수행할 수 있는 항목(item)들의 모임으로서, 일반적으로 여러 계층(depth)으로 구성된다.
조그 입력부(110)는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입력부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장치의 일종이다. 도 2a 및 도 2b는 조그 입력부(110)의 조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3은 조그 입력부(110)가 6방향의 이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도 2b, 도 3을 참조하면, 조그 입력부(110)는 본체(102)의 일정 영역에 형성된 이동 공간(104) 안에 위치한다. 이동 공간(104)은 다각형 모양이며, 예컨대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이 가능하다. 도 3은 육각형 이동 공간(104)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조그 입력부(110)는 이동 공간(104)의 중심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며 몸체(102)로부터 위쪽으로 약간 돌출된다. 조그 입력부(110)는 도 2a처럼 누를 수도 있고, 도 2b처럼 특정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이동시킬 수도 있다. 조그 입력부(11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조그 입력부(110)는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온다.
조그 입력부(110)는 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지만, 이동 공간(104)의 모양과 연관지어 그 이동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예에서 이동 공간(104)이 육각형이면,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 가능한 방향은 상, 좌상, 좌하, 하, 우하, 우상의 여섯 방향으로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하면 이동 공간(104)을 이루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방향이 대응되 므로 입력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사용자의 조작감도 좋아진다.
본 실시예는 조그 입력부(110)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장치라면 모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들이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g의 예시 화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a는 기준점의 표시 단계를 나타낸다. 도 2a와 같이 조그 입력부(110)를 누르면, 표시부(120)에는 초기화면의 메뉴들이 사라지고 중앙에 기준점(122)이 나타난다. 이어서, 표시부(120)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점(122) 주위로 여섯 개의 제1 계층 메뉴(124)들이 표시된다. 제1 계층 메뉴(124)들이 표시되는 지점은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 가능한 방향과 대응된다. 기준점(122)이 나타난 후 제1 계층 메뉴(124)들이 표시되는 시점은 미리 결정되며, 그 시간은 예컨대 0.5초와 같이 정하기 나름이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입력부(110)를 누른 채로 좌상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그 이동 방향에 있는 제1 계층 메뉴(124a)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기준점(122)과 나머지 제1 계층 메뉴들은 비활성화된다. 기준점(122)과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124a) 사이에는 연결선(126)이 표시되어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방향을 알려준다. 특정 제1 계층 메뉴(124a)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입력부(110)를 회전시켜 다른 제1 계층 메뉴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d는 조그 입력부(110)가 하 방향으로 이동한 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하면 해당 제1 계층 메뉴(124b)가 활성화되며 나머지 제1 계층 메뉴들은 비활성화된다.
도 4c와 같이 특정 제1 계층 메뉴(124a)가 선택되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컨대, 0.5초)이 경과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124a)의 주위로 제2 계층 메뉴(128)들이 표시된다. 제2 계층 메뉴(128)들이 표시되는 지점은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 가능한 방향과 대응된다. 도 4f는 제2 계층 메뉴(128)들이 표시된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4e 및 도 4f와 같이,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 가능한 모든 방향에 제2 계층 메뉴(128)들이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그 입력부(110)의 현재 위치를 제외하고 이동 가능한 방향은 모두 5곳이지만, 제2 계층 메뉴(128)들이 표시될 수 있는 곳은 4곳이다. 도 4e의 예에서 조그 입력부(110)는 좌상 방향에 있으며, 제2 계층 메뉴(128)는 조그 입력부(110)의 상, 우상, 우하, 하 방향에 대응한다. 도 4f의 예에서 조그 입력부(110)는 하 방향에 있으며, 제2 계층 메뉴(128)는 좌하, 좌상, 우상, 우하 방향에 대응한다.
도 4e와 같이 좌상 쪽의 제1 계층 메뉴(124a)가 선택되어 활성화되고 그 주위의 제2 계층 메뉴(128)가 표시된 상태에서,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입력부(110)를 누른 채로 우상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그 이동 방향에 있는 제2 계층 메뉴(128a)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기준점(122)과 모든 제1 계층 메뉴들 및 선택되지 않은 제2 계층 메뉴들은 비활성화된다. 선택된 제1 계층 메뉴(124a)와 활성화 된 제2 계층 메뉴(128a) 사이에는 연결선(126)이 표시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뉴 표시 방법은 조그 입력부(110)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원하는 메뉴로 신속하게 찾아갈 수 있다. 메뉴들은 계층별로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선택된 메뉴는 시각적으로 활성화됨으로써 다른 메뉴들과 구별된다.
메뉴들이 표시되는 지점, 즉 메뉴 할당 지점의 분포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점(122)을 중심으로 제1 계층 메뉴(124c, 124d, 124e)의 할당 지점이 분포하며, 제1 계층 메뉴를 중심으로 제2 계층 메뉴(128b, 128c, 128d)의 할당 지점이 분포한다. 제2 계층 메뉴의 할당 지점은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8b가 가리키는 지점은 인접한 두 제1 계층 메뉴(124c, 124d)의 제2 계층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128d가 가리키는 지점도 인접한 두 제1 계층 메뉴(124d, 124e)의 제2 계층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조그 입력부(110), 표시부(120), 감지센서(130), 제어부(140),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조그 입력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영역에서 4방향 이상으로(예컨대, 6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조그 입력부(110)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기준 위치에 있다고 하며,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이동 위치에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도 3은 조그 입력부(110)의 6방향 이동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 가능한 일정 영역이란 예컨대 휴대 단말기의 본체(도 1 내지 도 2의 102)에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동 공간(도 2 내지 도 3의 104)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영역이 반드시 이동 공간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조그 입력부(1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제한된 영역이면 충분하다. 다각형 모양의 이동 공간에서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 가능한 방향은 다각형의 꼭지점 방향이며 이동 위치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한다.
표시부(120)는 조그 입력부(110)의 입력에 대응하여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20)는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 가능한 방향에 메뉴를 할당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조그 입력부(110)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그 이동 방향에 할당된 메뉴를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활성화된 메뉴 주위에 하위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표시부(120)의 각종 메뉴 표현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감지센서(130)는 조그 입력부(110)의 입력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그 입력부(110)를 누르거나 이동시키는 조작 행위를 하면, 감지센서(130)는 조그 입력부(110)에 발생하는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20)의 메뉴 표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감지센서(130)로부터 조그 입력부(110)의 위치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에 따라 표시부(120)의 메뉴 표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수신된 조그 입력부(110)의 위치가 기준 위치이면, 그에 대응하여 기준점을 표시 부(120)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제어하고,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제1 계층 메뉴들을 표시부(120)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수신된 조그 입력부(110)의 위치가 이동 위치이면, 그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표시부(120)에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하도록 제어하고,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중심으로 다시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제2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50)는 메뉴 표시 방법의 수행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컨대, 메모리(150)는 표시부(120)에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거나 활성화하여 표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표시부(120)에서의 메뉴 할당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 조그 입력부(110)의 입력과 메뉴의 대응관계에 대한 정보, 각 메뉴를 표시부(120)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아이콘 등을 저장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메뉴 표시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40)는 표시부(120)에 초기화면을 표시한다(단계 210). 전술한 도 1은 초기화면의 예이다.
사용자가 조그 입력부(110)를 누르면, 감지센서(130)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140)로 보낸다(단계 220). 이때, 조그 입력부(110)는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은 상태인 기준 위치에 있다. 조그 입력부(110)를 눌러 조작하는 예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감지센서(130)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은 제어부(140)는 표시부(120)에 기준점 을 표시한다(단계 230). 즉, 기준 위치에서 누름 신호를 받은 제어부(140)는 표시부(120)의 중앙에 기준점을 출력한다. 전술한 도 4a는 기준점(122)의 표시 단계를 예시하고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제1 계층 메뉴를 표시한다(단계 240).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되는 곳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뉴 할당 지점이며,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위치와 대응된다. 도 4b는 기준점(122) 주위에 표시된 제1 계층 메뉴(124)를 예시하고 있다. 이 단계(240)에서 표시되는 제1 계층 메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그 입력부(110)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면, 감지센서(130)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40)에 보낸다(단계 250). 조그 입력부(110)를 이동하여 조작하는 예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선택된 제1 계층 메뉴를 활성화한다(단계 260). 즉, 전 단계(250)에서 감지센서(130)가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위치에 있는 제1 계층 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도 4c와 도 4d는 선택된 제1 계층 메뉴(124a, 124b)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예시한다.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1 계층 메뉴와 기준점은 비활성화되며, 기준점(122)과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연결하는 연결선(126)이 표시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의 주위로 제2 계층 메뉴를 표시한다(단계 270). 제2 계층 메뉴가 표시되는 곳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 뉴 할당 지점이며,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위치와 대응된다. 도 4e와 도 4f는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124a, 124b)의 주위에 표시된 제2 계층 메뉴(128)를 예시하고 있다. 이 단계(270)에서 표시되는 제2 계층 메뉴 역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다른 방향으로 조그 입력부(110)를 움직여 이동시키면, 감지센서(130)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40)로 보낸다(단계 280). 감지센서(130)가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 위치를 다시 감지하면, 제어부(140)는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계층 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단계 290).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제2 계층 메뉴와 모든 제1 계층 메뉴와 기준점은 비활성화된다. 도 4g는 선택된 제2 계층 메뉴(128a)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와 다소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의 화면 예시도이며, 도 9는 그 메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와 도 9를 참조하면, 조그 입력부(110)가 눌릴 때 기준점(122)을 표시하고 그 주위에 제1 계층 메뉴(124)들을 표시한 후, 조그 입력부(110)가 이동할 때 그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124a)를 활성화하는 단계(260)까지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어서, 도 8b와 도 9를 참조하면,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 주위에 제2 계층 메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124a)를 기준점(도 8a 의 122)에 할당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단계 272). 아울러, 제어부는 제2 계층 메뉴(128)들을 메뉴 할당 지점에 표시하고(단계 274), 조그 입력부(110)의 이동이 감지되면 그에 따라 선택된 제2 계층 메뉴를 활성화한다(280).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메뉴 표시 방법은 기준점 주위에 제1 계층 메뉴를 표시한 후, 제2 계층 메뉴를 표시할 때는 선택된 제1 계층 메뉴(124a)를 기준점에 할당하고 그 주위에 제2 계층 메뉴(128)를 표시한다. 즉, 선택된 제1 계층 메뉴(124a)는 원래의 표시 위치로부터 표시부(120)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계층 메뉴(128)들은 조그 입력부(110)의 모든 이동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표시 방법을 구현하려면 조그 입력부(110)의 조작 방식이 다소 바뀌어야 한다. 즉, 조그 입력부(110)는 도 8a와 같이 제1 계층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도 8b와 같이 기준 위치로 돌아와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그 입력부(110)를 계속 누른 상태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그 입력부(110)를 밀거나 당긴 후 바로 손을 떼게 된다. 이에 따라 조그 입력부(110)는 탄성에 의해 곧바로 기준 위치에 복귀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제1 계층 메뉴와 제2 계층 메뉴의 표시 방법을 예로 들었지만, 그 하위 계층 메뉴의 표시 방법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뉴 표시 방법은 초기화면에서 뿐만 아니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듣기, 영화감상, 카메라촬영 등의 메뉴에 진입한 후 세부 메뉴를 표시하는 방식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뉴 표시 방법은 기존의 일반적인 메뉴 표시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어떤 유형으로 메뉴를 표시할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뉴 표시 방법은 자주 사용하는 메뉴 아이콘의 시각적 속성(예컨대, 색상)을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등과 같이 표시부와 이동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한 모든 유형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메뉴 검색 및 화면 이동을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구현하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메뉴로 신속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그 입력부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부의 연속적인 조작을 통해 쉽게 해당 메뉴 또는 화면으로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이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메뉴로 직접 이동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메뉴 접근 및 선택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부의 각 이동 방향에 메뉴를 배치함으로써 메뉴 접근 및 선택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부가 다각형 모양의 이동 공간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일정 영역에서 4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마다 메뉴를 할당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상기 입력부가 이동한 방향에 할당된 메뉴를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 및 이동한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의 메뉴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이동 가능한 상기 일정 영역은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며, 상기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은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메뉴의 주위에 하위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상기 하위 메뉴는 상기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기준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4방향 이상의 이동 위치들을 가지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입력부의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입력부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메뉴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이면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여 기준점을 상기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상기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제1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상기 이동 위치 중의 하나이면 상기 입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하고 상기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중심으로 다시 상기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제2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이동 위치들은 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일정 영역에서 4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마다 메뉴를 할당하여 상기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가 이동한 방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 방향에 할당된 메뉴를 시각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메뉴의 주위에 상기 입력부의 이동 가능한 방향에 대응하여 하위 메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0. 기준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4방향 이상의 이동 위치들을 가지는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이면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여 기준점을 상기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제1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입력부의 위치가 상기 이동 위치들 중의 하나이면 상기 입력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중심으로 상기 이동 위치들에 대응하여 제2 계층 메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2. 일정 영역에서 4방향 이상으로 이동 가능한 조그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그 입력부의 누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기준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의 주위에 분포된 제1 메뉴 할당 지점들에 제1 계층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조그 입력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계층 메뉴들 중에서 상기 조그 입력부의 제1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1 계층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의 주위에 분포된 제2 메뉴 할당 지점들에 제2 계층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를 상기 기준점에 할당하여 다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뉴 할당 지점들에 상기 제2 계층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입력부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계층 메뉴들 중에서 상기 조그 입력부의 제2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계층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입력부가 이동 가능한 상기 일정 영역은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며, 상기 조그 입력부가 이동 가능한 방향은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 메뉴의 활성화 단계는 상기 기준점과 상기 활성화된 제1 계층 메뉴 사이에 연결선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KR1020060093421A 2006-09-26 2006-09-26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 KR10075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21A KR100755360B1 (ko) 2006-09-26 2006-09-26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
EP07116208A EP1906299A3 (en) 2006-09-26 2007-09-12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portable device
CNA2007101534650A CN101155374A (zh) 2006-09-26 2007-09-20 便携式设备和用于在便携式设备中显示菜单的方法
US11/859,629 US20080077885A1 (en) 2006-09-26 2007-09-21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21A KR100755360B1 (ko) 2006-09-26 2006-09-26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360B1 true KR100755360B1 (ko) 2007-09-04

Family

ID=3873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421A KR100755360B1 (ko) 2006-09-26 2006-09-26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77885A1 (ko)
EP (1) EP1906299A3 (ko)
KR (1) KR100755360B1 (ko)
CN (1) CN1011553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6714A1 (en) * 2009-03-05 2010-09-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navigating and selecting items with a return-to-center navigation component
CN103235682B (zh) * 2013-05-22 2015-11-25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展示菜单的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539A (ko) * 1999-02-11 2000-10-25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무선 통신용 단말기 및 이와 같은 단말기의디스플레이상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6950679B2 (en) 2000-06-16 2005-09-27 Sony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having hierarchically structured menus of executing functions
KR20050120505A (ko) * 2004-06-19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거리 센서를 이용한 조그다이얼형 방향 버튼 제어 장치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07337A (ko) * 2004-07-19 2006-01-24 유동석 제반건축물의 하수구 악취 방지 뚜껑
KR100606803B1 (ko) 2005-05-1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휠 장치를 이용한 기능 수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1866A3 (en) * 1983-04-08 1985-03-27 Tektronix, Inc. Keyboard joyswitch
DE69625523T2 (de) * 1995-05-10 2003-07-10 Nintendo Co Ltd Steuergerät mit analogem Joystick
US5963882A (en) * 1996-10-08 1999-10-05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sonic pulser/receiver for ultrasonic test equipment
US7286115B2 (en) * 2000-05-26 2007-10-23 Tegic Communications, Inc. Directional input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GB2364493B (en) * 2000-06-30 2004-11-10 Nokia Mobile Phones Ltd Improved data input
JP2002298058A (ja) * 2001-03-29 2002-10-11 Seiko Epson Corp デジタル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デジタルコンテンツ提供方法,サーバ装置及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KR100941948B1 (ko) * 2002-05-21 2010-02-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객체를 선택 및 입력하는 시스템, 객체 세트로부터 객체를 입력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040130578A1 (en) * 2003-01-08 2004-07-08 Douglas Charney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on of menu items in a telephone menu screen interface
US20070128899A1 (en) * 2003-01-12 2007-06-07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comfort, and/or reliability in Operating Systems, such as for example Windows
JP3945445B2 (ja) * 2003-04-2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5292970A (ja) * 2004-03-31 2005-10-20 Kenwood Corp 施設検索装置、プログラ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施設検索方法
US7600201B2 (en) * 2004-04-07 2009-10-06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viewing choices and making selections
US7603633B2 (en) * 2006-01-13 2009-10-13 Microsoft Corporation Position-based multi-stroke marking men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539A (ko) * 1999-02-11 2000-10-25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무선 통신용 단말기 및 이와 같은 단말기의디스플레이상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6950679B2 (en) 2000-06-16 2005-09-27 Sony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having hierarchically structured menus of executing functions
KR20050120505A (ko) * 2004-06-19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거리 센서를 이용한 조그다이얼형 방향 버튼 제어 장치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07337A (ko) * 2004-07-19 2006-01-24 유동석 제반건축물의 하수구 악취 방지 뚜껑
KR100606803B1 (ko) 2005-05-1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휠 장치를 이용한 기능 수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5374A (zh) 2008-04-02
EP1906299A2 (en) 2008-04-02
EP1906299A3 (en) 2008-11-19
US20080077885A1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24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4837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US10102010B2 (en) Layer-based user interface
KR101070111B1 (ko)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US79525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interaction based on tactile feedback and pressure measurement
KR101510013B1 (ko) 자동차의 조작계 터치패드를 이용한 멀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09183A1 (en) Remote Control of a Display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EP2778884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KR20140017429A (ko) 화면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1243486A (zh) 用于触摸垫传感器和滚动区的矩形传感器栅格
JP2008276776A (ja) タッチ式タグ・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関連装置
US2007028540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KR20070062911A (ko)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조작 방법
KR102016650B1 (ko)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EP2936280A1 (e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MX2013001818A (es) Resalto de objetos en visualizacion.
KR100931926B1 (ko) 자세를 감지하여 메뉴 아이콘이 움직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55360B1 (ko) 휴대 단말기 및 메뉴 표시 방법
Lee et al. Touch play pool: touch gesture interaction for mobile multifunction devices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2506B1 (ko) 단말 장치에서의 아이템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 장치
KR20140121132A (ko) 디스플레이어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