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316B1 -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316B1
KR100755316B1 KR1020050031005A KR20050031005A KR100755316B1 KR 100755316 B1 KR100755316 B1 KR 100755316B1 KR 1020050031005 A KR1020050031005 A KR 1020050031005A KR 20050031005 A KR20050031005 A KR 20050031005A KR 100755316 B1 KR100755316 B1 KR 100755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funnel
ray tube
yok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828A (ko
Inventor
김료향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31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electric heating arrangements
    • A43B3/35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electric heating arrangements heated by an electric current from an external source, e.g. car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5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resistor,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7Details of powe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은, 패널과 접합되는 실 에지면에서 TOR(Top of Round)까지의 거리를 B, 상기 TOR에서 네크 실링부까지의 거리를 Y하고, Y/B = L 이라 할 때, L ≥ 0.67 로 설정됨으로써, 광각화된 슬림형 음극선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바디부와 요크부의 비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편향 요크의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패널, 펀넬, 바디부, 요크부, 편향 요크, 전류치, 발열, TOR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Funnel for cathode ray tube}
도 1은 종래 펀넬이 사용된 컬러 음극선관이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종래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컬러 음극선관에서 편향 요크의 전류치와 발열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패널 30 : 펀넬
40 : 튜브 50 : 편향 요크
B : 바디부 거리 Y : 요크부 거리
본 발명은 컬러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이 광각화됨에 따라 펀넬의 바디부와 요크부의 비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편향 요크의 발열을 줄 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은 전기신호를 전자빔으로 형성하고 이를 형광면에 주사시켜 광학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컬러 음극선관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상기 음극선관은 패널(1), 펀넬(2), 전자총(3), 편향 요크(4), 스크린(5) 및 섀도우마스크(6)로 구성된다.
상기 음극선관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총(3)에서 방출된 전자빔은 전자총(3)의 각 전극을 통과하면서 가속, 집속되어 상기 패널(1)을 향해 진행하며, 펀넬(2)의 네크 부분에 설치된 편향 요크(4)에 의해 상기 전자빔이 상하좌우로 편향된다.
상기 편향된 전자빔은 섀도우 마스크(6)의 유효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여 패널(1)의 내면에 형성된 스크린(5)에 도달하게 되고, 특히 상기 전자빔은 스크린(5)에 도포되는 적,청,녹의 형광체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형광체가 전자빔의 에너지에 의해 발광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펀넬(2)의 구조를 살펴보면, 패널(1)과 펀넬(2)은 실 에지면(12)을 통해 봉착되고, 상기 펀넬(2)의 요크부에는 편향요크(4)가 설치되어 전자빔이 편향하도록 하기 위한 자계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의 슬림화 추세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두께보다 획기적으로 두께를 줄인 광각화 슬림형 음극선관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펀넬(2)은 바디부(2b)의 거리 즉, 상기 패널(1)과 접합되는 실 에지면(12)에서 TOR(Top of Round)까지의 거리를 B, 요크부(2y)의 거리 즉, 상기 TOR 에서 네크 실링부까지의 거리를 Y라 할 때, 요크부(2y)와 바디부(2b)의 비(B:Y)가 2:1 정도로 형성되었으나, 음극선관이 점차 슬림화 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요크부와 바디부의 비(B:Y)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면, 편향 요크(4)의 편향 중심이 상대적으로 펀넬(2)의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편향 요크(4)의 크기도 더 작아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음극선관이 슬림화 됨에 따라 펀넬(2)의 바디부와 요크부의 거리를 적절하게 설정하지 못할 경우에는 편향 요크(4)의 크기 축소에 따라 발열이 증가되어, 편향 자계의 왜곡에 의한 화면의 변형 등 음극선관의 신뢰성에 상당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각화된 슬림형 음극선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바디부와 요크부의 비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편향 요크의 발열을 최소화하여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은, 패널 과 접합되는 실 에지면에서 TOR(Top of Round)까지의 거리를 B, 상기 TOR에서 네크 실링부까지의 거리를 Y하고, Y/B = L 이라 할 때, L ≥ 0.67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넬은 Y/B ≥ 0.77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은 전자빔의 편향각이 120도 이상인 각도를 갖는 슬림형으로, 패널(20)과 펀넬(30)이 상호 접합되어 구성하는 튜브(40) 전장의 길이가 종래 음극선관의 전장 길이 보다 상당히 짧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펀넬(30)은 바디부의 거리 즉, 상기 패널(20)과 접합되는 실 에지면(45)에서 TOR(Top of Round)까지의 거리를 B, 요크부의 거리 즉, 상기 TOR 에서 네크 실링부까지의 거리를 Y라 할 때, 요크부와 바디부의 거리 비(Y/B = L)는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
L ≥ 0.67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L ≥ 0.8 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펀넬(30)의 요크부의 거리, Y는 60 m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19419508-pat00001
Figure 112005019419508-pat00002
상기의 [표 1]은 29인치 음극선관에 적용할 때 종래 음극선관과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펀넬 비교표이고, [표 2]는 32인치 음극선관에 적용할 때 종래 음극선관과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펀넬 비교표이다.
먼저, [표 1]을 참조하면, 종래 29인치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펀넬은 전체 길이가 212.6mm인 조건에서 바디부의 거리 B가 140.78mm이고, 요크부의 거리 Y가 71.82mm이므로, 요크부와 바디부의 비(Y/B)인 L은 0.51이 된다.
이와 같은 종래 29인치 음극선관의 L을 그대로 펀넬의 전체 길이가 150.1mm인 29인치 광각 음극선관에 적용할 경우에 B는 99.1mm, Y는 51mm이 됨으로써 요크부의 거리 B가 상당히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요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의 크기도 줄어들게 되어 음극선관 작동시에 발열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신뢰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발열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음극선관의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50)의 크기를, 상기 L이 0.67 이상으로 설정한 요크부의 크기와 비례하게 증가시킴으로써 편향 요크(50)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편향 요크의 코어와 코일 길이가 감소하여 편향 요크의 발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가 있었다.
즉,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9인치 및 32인치 음극선관은 편향 요크(50)가 설치되는 요크부의 길이 Y를 67mm 로 설정하므로, 전체 펀넬의 전장이 축소된 것과 비교하여 요크부의 길이(Y)가 길어짐에 따라 여기에 장착할 수 있는 편향 요크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요크부의 길이(Y)를 설정하게 되면, 펀넬(30)의 전장이 150.1mm인 29인치와, 펀넬(30)의 전장이 153.79mm인 32인치에 각각 적용되는 펀넬(30)에서, 요크부와 바디부의 비(L)는 0.81과 0.77로 각각 설정된다.
따라서 음극선관의 광각화 및 슬림화에 따라 펀넬(30)의 전체 전장도 그만큼 축소되나 상대적으로 바디부의 거리(B)를 요크부의 거리(Y)보다 더 축소하여, 상대적으로 큰 편향 요크(50)의 설치가 가능하여 그만큼 발열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편향 요크(DY)(50)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전류치 및 발열량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19419508-pat00003
상기의 [표 3]은 편향 요크(DY, 50)의 길이(Y)를 16mm 축소할 경우에 전류치의 증가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 편향 요크에 비하여 편향 요크의 길이(Y)가 16mm 정도 축소된 경우에 전류치는 15.44A 에서 19.02A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펀넬(30)의 요크부 길이 축소에 따라 편향 요크(DY, 50)의 길이(Y)가 짧아질 경우에 그만큼 전류치도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전류치 증가에 따른 발열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전류치가 15A에서 19A로 증가하게 되면, 이 구간에서 온도는 50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펀넬의 요크부가 종래 비율로 설정된 경우에 발열량이 높아지므로 편향 요크의 작동 신뢰성에 상당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표 1]에서 종래 29인치의 요크부의 길이를 71.82mm에서 종래 비율로 축소할 경우에 51mm 가 되므로, 20.82mm 가 축소된 경우이므로, 이때에는 전류치가 20A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어 발열량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본 발명은 도 4를 참고하면, 전류치가 17A 이상일 때, 온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전류치가 17A 이하로 되는 부분의 L값, 즉 펀넬(30)의 요크부와 바디부의 비를 설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각화 및 슬림화된 컬러 음극선관에서는 종래의 L값 보다 0.67 이상으로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길이가 큰 편향 요크(50)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펀넬(30)의 전장의 길이를 축소하면서도 편향 요크(50)의 발열량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은, 광각화된 슬림형 음극선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바디부와 요크부의 비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편향 요크의 발열을 최소화하여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패널과 접합되는 실 에지면에서 TOR(Top of Round)까지의 거리를 B, 상기 TOR에서 네크 실링부까지의 거리를 Y하고,
    Y/B = L 이라 할 때, L ≥ 0.67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은 Y/B ≥ 0.77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3. 삭제
  4. 삭제
KR1020050031005A 2005-04-14 2005-04-14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KR10075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05A KR100755316B1 (ko) 2005-04-14 2005-04-14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05A KR100755316B1 (ko) 2005-04-14 2005-04-14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28A KR20060108828A (ko) 2006-10-18
KR100755316B1 true KR100755316B1 (ko) 2007-09-05

Family

ID=3762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005A KR100755316B1 (ko) 2005-04-14 2005-04-14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925A (ja) 1999-09-13 2001-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
KR20030025552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
KR20040006719A (ko) * 2002-07-15 2004-01-2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
KR20060108826A (ko) * 2005-04-14 2006-10-18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925A (ja) 1999-09-13 2001-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
KR20030025552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
KR20040006719A (ko) * 2002-07-15 2004-01-2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
KR20060108826A (ko) * 2005-04-14 2006-10-18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28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31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JPH0129709Y2 (ko)
JPH10144238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11706B1 (ko) 투사형 수상관용 편향요크 및 포커스 마그네트의 고정구조
KR100712904B1 (ko) 음극선관
KR100723794B1 (ko) 컬러 음극선관용 펀넬
KR100728678B1 (ko) 슬림형 음극선관
TWI278890B (en) Structure of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775826B1 (ko) 슬림형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KR100722267B1 (ko) 슬림형 음극선관의 패널
US7355331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200155157Y1 (ko) 음극선관의 판넬과 펀넬의 콘넥터 겸용 인너실드
KR100755311B1 (ko) 음극선관
KR19980021641A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JPH05190119A (ja) 陰極線管
KR20040068375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30091137A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20060094302A (ko) 칼라음극선관
KR20000033554A (ko) 음극선관
KR20050009831A (ko) 음극선관
KR20030071128A (ko) 편평형 칼라 음극선관
KR20030087463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80059802U (ko) 칼라음극선관의 컨택트스프링 구조
KR20070029411A (ko) 슬림형 음극선관의 펀넬
KR19990036201U (ko) 칼라음극선관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