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311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311B1
KR100755311B1 KR1020050131780A KR20050131780A KR100755311B1 KR 100755311 B1 KR100755311 B1 KR 100755311B1 KR 1020050131780 A KR1020050131780 A KR 1020050131780A KR 20050131780 A KR20050131780 A KR 20050131780A KR 100755311 B1 KR100755311 B1 KR 10075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yoke
screen
convergenc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530A (ko
Inventor
조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3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6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 H01J2229/964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associated with the deflection syste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랜딩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이 편향되게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수행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전자총에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철편이 결합된 보빈에 컨버젼스 코일이 권선된 컨버젼스 요크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철편은 상기 전자총 측 팁부가 상기 보빈과 결합된 폴부보다 상기 스크린 쪽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컨버젼스 요크와 전자총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됨은 물론, 슬림화가 강화될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한다.
음극선관, 편향요크, 전자총, 컨버젼스 요크, 철편, 슬림화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e-ray Tub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편향 요크 및 컨버젼스 요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와 전자총 간 상호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편향 요크 및 컨버젼스 요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와 전자총 간 상호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진공튜브 52 : 스크린
54 : 새도우 마스크 60 : 전자총
70 : 편향 요크 78 : 홀더
80 : 컨버젼스 요크 82 : 보빈
84 : 컨버젼스 코일 86 : 철편
86A : 폴부 86B : 전자총 측 팁부
86C : 브리지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버젼스 요크의 축 방향으로 철편의 폴부와 철편의 전자총 측 팁부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구비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기신호를 전자빔으로 형성하고 이를 형광층에 주사하여 광학 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음극선관은 전면에 형광층(1)이 구비된 진공 튜브(2)와, 상기 진공 튜브(2)와, 상기 진공 튜브(2)의 후부에 연결되어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 튜브(2)의 형광층(1)을 향해 전자빔(4a)을 방출하는 전자총(4)과, 상기 전자총(4)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6)와, 상기 편향 요크(6)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진공 튜브(2)의 전면 뒤에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편향 요크 및 컨버젼스 요크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와 전자총 간 상호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상기 음극선관에는 디스토션 및 컨버젼스 특성 향상을 위해 컨버젼스 요크(1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버젼스 요크(10)는 상기 전자총(4)의 메인 렌즈가 상기 컨버젼스 요크(10)에 의해 형성되는 컨버젼스 자계 영역에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기 편향 요크(6)의 후방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컨버젼스 요크(10)는 상기 편향요크(6)의 홀더(6a)의 중앙부위에 고정된 보빈(12)과, 상기 보빈(12)에 의해 지지되어 자계 통로를 형성하는 철편(14)과, 상기 철편(14)에 권선되어 상기 컨버젼스 자계가 형성되게 하는 컨버젼스 코일(1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자총(4)에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총(4)으로부터 전자빔 (4a)이 방출되고, 상기 방출된 전자빔(4a)이 상기 컨버젼스 요크(10) 및 상기 편향 요크(6)에 의해 진행 경로를 안내 받아 상기 새도우 마스크(8)를 향해 진행된다.
상기 새도우 마스크(10)로 진행된 전자빔(4a)은 상기 새도우 마스크(10)의 홀을 통과하면서 색 선별된 후, 상기 진공 튜브(2)의 형광층(1)의 목표 지점, 즉 랜딩 포인트에 타격된다. 그러면, 전자빔(4a)에 의해 타격된 형광층(1)이 발광되면서 상기 진공 튜브(2)의 전면에 특정 영상이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총(4)의 메인 렌즈와 상기 컨버젼스 요크(10)의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일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총(4)의 설치 위치가 제한되는데, 상기 철편(14)과 상기 편향 요크(6)의 홀더(6a)의 중앙부위와의 간격(T)만큼 상기 전자총(4)이 상기 스크린(1)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상기 음극선관의 경쟁력 강화의 일환인 슬림화 추세에 따라 상기 음극선관의 전장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상기 전자총(4) 및 컨버젼스 요크(10)의 설계 자유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버젼스 요크의 축방향으로 철편의 풀부와 철편의 전자총 측 팁부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음극선관의 슬림화가 극대화됨은 물론 상기 컨버젼스 요크 및 전자총 등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랜딩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이 편향되게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수행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전자총에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철편이 결합된 보빈에 컨버젼스 코일이 권선된 컨버젼스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철편은 상기 전자총 측 팁부가, 상기 보빈과 결합된 폴부보다 상기 스크린 쪽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편은 상기 철편의 폴부와 상기 철편의 전자총 측 팁부를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축방향과 평행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편은 상기 철편의 폴부와 상기 철편의 전자총 측 팁부를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는 전자총의 외측에 고정된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선된 컨버젼스 코일과, 상기 보빈에 의해 지지되어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되도록 폐루프 자로를 형성하는 철편을 포함하고; 상기 철편은 컨버젼스 요크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전자총 측 팁부와 상기 보빈과 결합된 폴부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외관을 이루는 진공 튜브(50)와, 상기 진공튜브(50)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자빔이 랜딩되면 발광되는 형광체가 도포된 스크린(52)과, 상기 진공 튜브(50)의 후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52)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60)과, 상기 진공 튜브(50)의 네크부(50')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총(60)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상기 스크린(52)의 목표 위치에 랜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총(60)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70)와, 상기 스크린(52)과 전자총(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편향 요크(70)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수행하는 새도우 마스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편향 요크 및 컨버젼스 요크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와 전자총 간 상호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전자총(60)은 상기 전자총(60)의 맨 뒤쪽에 위치되어 전자빔을 발생하는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에서 발생된 전자빔이 집속, 가속되게 하는 다수의 전극들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편향 요크(70)는, 상기 전자총(60)에서 스크린(52)을 향해 방출되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72)과, 상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72) 및 수직편향코일에 의한 자기력 손실이 최소화되게 하여 상기 수평편향코일(72) 및 수직편향코일의 자기 효율을 높아지게 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편향코일(72)과 수직편향코일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평편향코일(72)과 수직편향코일의 절연을 위한 홀더(78)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자총(60)이 삽입 설치된 진공 튜브(50)의 후부 외측에는 상기 전자총(60)에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되게 하는 컨버젼스 요크(8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버젼스 요크(80)는 상기 홀더(78)의 후부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홀더(78)에 고정되는 보빈(82)과, 상기 보빈(82)의 외측에 권선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버젼스 코일(84)과, 상기 보빈(8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보빈(82)에 삽입되고 상기 컨버젼스 코일(84)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전자총(60)에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되도록 폐루프 자로를 형성하는 철편(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편(86)은 상기 보빈(8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82)과 결합된 폴부(86A)와, 상기 전자총(60) 측에 위치되고 상기 컨버젼스 요크(80)의 축방향으 로 상기 폴부(86A)와 위치가 상이한 전자총 측 팁부(86B)와, 상기 전자총 측 팁부(86B)와 폴부(86A)를 연결하는 브리지부(86C)로 구분된다.
상기 철편(86)의 전자총 측 팁부(86B)는 상기 컨버젼스 요크(80)에 의한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상기 전자총(60)의 메인 렌즈와 일치되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총(6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철편(86)의 전자총 측 팁부(86B)는 상기 전자총(60)과 스크린(52) 사이 거리가 가능한 짧아질 수 있도록, 상기 컨버젼스 요크(80)의 축방향으로 상기 철편(86)의 폴부(86A)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스크린(52) 쪽에 가깝게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철편(86)의 전자총 측 팁부(86B)는 상기 스크린(52) 쪽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78)에 밀착되거나 상기 홀더(78)와 최소 간극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편(86)의 브리지부(86C)는 상기 컨버젼스 요크(8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철편(86)이 계단 구조로 구비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철편(86)의 브리지(86C)는 도 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컨버젼스 요크(80)의 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 및 그 컨버젼스 요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자총(60)에서 스크린(52)을 향해 전자빔이 방출되면, 상기 전자총(60)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상기 수평편향코일(72)과 수직편향코일에 의해 각각 수 평, 수직방향으로 편향된 후, 상기 새도우 마스크(54)를 통과하여 상기 스크린(52)에 랜딩됨으로써, 상기 스크린(52)에 화상이 구현된다.
이 때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전류가 상기 컨버젼스 코일(84)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컨버젼스 요크(80)에 의해 상기 전자총(60)에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자총(60)에 방출되는 전자빔이 디스토션 및 컨버젼스 개선방향으로 보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 및 그 컨버젼스 요크는 컨버젼스 요크의 축 방향으로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철편의 폴부와 전자총 측 팁부의 위치가 상이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컨버젼스 요크와 전자총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됨은 물론, 상기 철편의 전자총 측 팁부가 상대적으로 상기 스크린 쪽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전자총과 스크린 사이 거리가 최소화됨으로써 음극선관의 슬림화가 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랜딩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이 편향되게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수행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전자총에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철편이 결합된 보빈에 컨버젼스 코일이 권선된 컨버젼스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철편은 상기 전자총 측 팁부가, 상기 보빈과 결합된 폴부보다 상기 스크린 쪽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폴부와 상기 전자총 측 팁부를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축방향과 평행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랜딩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이 편향되게 하는 편향요크와;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수행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전자총에 컨버젼스 자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철편이 결합된 보빈에 컨버젼스 코일이 권선된 컨버젼스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철편은 상기 전자총 측 팁부가, 상기 보빈과 결합된 폴부보다 상기 스크린 쪽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폴부와 상기 전자총 측 팁부를 연결하는 브리지부가, 상기 컨버젼스 요크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삭제
KR1020050131780A 2005-12-28 2005-12-28 음극선관 KR10075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780A KR100755311B1 (ko) 2005-12-28 2005-12-28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780A KR100755311B1 (ko) 2005-12-28 2005-12-28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30A KR20070069530A (ko) 2007-07-03
KR100755311B1 true KR100755311B1 (ko) 2007-09-05

Family

ID=3850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780A KR100755311B1 (ko) 2005-12-28 2005-12-28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885A (ja) * 1992-10-06 1994-04-28 Murata Mfg Co Ltd 偏向ヨークの補助コイル
KR19990000311A (ko) * 1997-06-04 1999-01-15 구자홍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컨버젼스요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885A (ja) * 1992-10-06 1994-04-28 Murata Mfg Co Ltd 偏向ヨークの補助コイル
KR19990000311A (ko) * 1997-06-04 1999-01-15 구자홍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컨버젼스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30A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69110A (en) Electron beam control means
KR100755311B1 (ko) 음극선관
KR10070863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87896B1 (ko) 전자총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99453B1 (ko) 평면브라운관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20060094302A (ko) 칼라음극선관
KR10021378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9990071008A (ko) 칼라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30071128A (ko) 편평형 칼라 음극선관
KR20030016539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30072888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20040032198A1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KR2003009234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4527890A (ja) 表示管及び表示装置
KR2004000923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50078067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3007288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54761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20040073077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20064114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고정장치
KR2003007301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73737A (ko) 3개의 모노 전자총을 이용한 칼라 브라운관
KR20070090395A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