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785B1 -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785B1
KR100754785B1 KR1020060022038A KR20060022038A KR100754785B1 KR 100754785 B1 KR100754785 B1 KR 100754785B1 KR 1020060022038 A KR1020060022038 A KR 1020060022038A KR 20060022038 A KR20060022038 A KR 20060022038A KR 100754785 B1 KR100754785 B1 KR 10075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runner
socket
valve
driv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남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많은 공구가 필요하고, 작업성 또한 용이하지 못하며, 밸브간극의 조절을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부(160)가 형성된 브라켓(110)의 일측으로 지지대(12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20)에는 제1너트런너(130)에 의해 동작되는 드라이버(131)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에는 제2너트런너(140)에 의해 동작되는 소켓(141)을 설치하되 상기 소켓(141)의 상면에는 구멍(142)이 형성되어 그 구멍(142)으로 상기 드라이버(131)의 끝단이 관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너트런너(130)와 제2너트런너(140)는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조절장치(100)를 구성하므로서, 간극 게이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1너트런너(130)가 작동되면서 간극조절나사(210)의 위치가 조절된 후 제2너트런너(140)가 작동되면서 상기 조절된 간극조절나사(210)의 위치가 고정너트(22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밸브간극의 측정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밸브간극의 유지 및 관리를 더욱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밸브, 간극, 드라이버, 너트런너, 로커암, 소켓, 컨트롤러, 간극 게이지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Control device for valve clearance of engine for automobiles}
도 1 은 종래 밸브간극을 조절하는 작업상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밸브간극을 조절하는 작업상태를 예시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요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절장치 110 : 브라켓
120 : 지지대 130 : 제1너트런너
131 : 드라이버 132 : 탄성부재
140 : 제2너트런너 141 : 소켓
142 : 구멍 150 : 너트런너 컨트롤러
160 : 손잡이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밸브간극의 조절을 간극 게이지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장치로서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밸브간극의 조절작업성의 향상과 밸브간극의 유지 및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의 흡기 및 배기밸브는 연소실에 설치되어 공기 또는 혼합기를 실린더내로 유입시키고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동시에 압축 및 폭발행정에서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연소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꾼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한다.
한편, 엔진을 이루는 각 구성부품은 재질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작동중 온도상승에 비례해서 팽창을 하게 되며, 상기 밸브 또한 열팽창을 하기 때문에 밸브기구내에 간극을 두지 않으면 밸브가 닫힐때 밀착되지 않아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없는 것이다.
즉, 밸브간극은 냉간, 열간시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의 열팽창을 고려한 간극으로 엔진마다 다르지만 보통 0.2㎜∼0.3㎜ 전후 정도가 적당하며, 밸브간극의 조절이 잘못되면 밸브개폐시기가 변화하게 되어 가스교환이 불량하게 되는데, 밸브간극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밸브가 너무 빨리 열리고 늦게 닫히게 되고, 밸브간극이 너무 클 경우에는 밸브가 너무 늦게 열리고 아주 일찍 닫힌다.
이와 같은 밸브를 이용한 밸브간극의 조절방법은 로커암에 설치된 편심캠을 움직여서 조정하는 방법과 로커암에 체결된 간극조절나사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과 밸브리프터위에 각각 두께가 다른 심을 넣어 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도 1 은 로커암에 체결된 간극조절나사의 높이를 조절하여 간극 게이지에 상응하도록 밸브간극을 조절하는 작업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밸브간극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밸브간극에 상응하는 간극 게이지(20)를 로커암(30)에 설치된 간극조절나사(31)와 밸브(40)의 끝단 사이에 설치한 후 드라이버(11)를 이용하여 간극조절나사(31)를 회전시켜 간극조절나사(31)의 끝단이 간극 게이지(20)에 닿도록 한 다음 상기 간극조절나사(31)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면서 렌치(12)를 이용하여 간극조절나사(31)에 설치된 고정너트(32)를 회전시켜 조절된 간극조절나사(3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밸브간극의 조절시 사용되는 공구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공구의 사용 및 각 공구의 유지 및 관리가 복잡해지면서 전체적인 작업성이 불량해지고, 밸브간극의 조절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며, 밸브간극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간극의 조절에 필요한 각 공구를 하나의 장치로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기존에 반드시 사용하던 간극 게이지를 사용하지 않고 밸브간극을 정확하면서 용이 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간극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형성된 브라켓의 일측으로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제1너트런너에 의해 동작되는 드라이버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드라이버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제2너트런너에 의해 동작되는 소켓을 설치하되 상기 소켓의 상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그 구멍으로 상기 드라이버의 끝단이 관통되어 소켓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너트런너를 통한 드라이버의 회전 및 역회전과 상기 제1너트런너와 연계되는 제2너트런너를 통한 소켓의 회전 및 역회전이 너트런너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밸브간극을 조절함에 있어서, 간극 게이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너트런너 컨트롤러에 의해 제1너트런너가 작동되면서 간극조절나사의 위치가 조절된 후 정지 토크(Torque)를 유지하여 제2너트런너가 작동되면서 상기 조절된 간극조절나사의 위치가 고정너트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밸브간극의 조절을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밸브간극을 조절하는 작업상태를 예시한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간극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부(160)가 형성된 브라켓(110)의 일측으로 지지대(12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20)에는 제1너트런너(130)에 의해 동작되는 드라이버(131)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드라이버(131)가 탄성부재(13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에는 제2너트런너(140)에 의해 동작되는 소켓(141)을 설치하되 상기 소켓(141)의 상면에는 구멍(142)을 형성하여 그 구멍(142)을 통해 상기 드라이버(131)의 끝단이 관통되면서 소켓(14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너트런너(130)에 의한 드라이버(131)의 회전 및 역회전과 상기 제1너트런너(130)와 연계되는 제2너트런너(140)에 의한 소켓(141)의 회전 및 역회전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한 조절장치(10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43)은 제2너트런너(140)에 연결되어 로커암(200)의 유동을 방지해주는 지지편이고, (210)은 간극조절나사이며, (211)은 간극조절나사 (210)의 나사홈이고, (220)은 간극조절나사(210)를 제어하는 고정너트이며, (300)은 밸브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드라이버(131)가 설치된 제1너트런너(130)와 소켓(141)이 설치된 제2너트런너(140)가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조절장치(100)를 이용하여 간극 게이지 없이 밸브간극을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공구 및 부품을 단순화시켜 공구의 관리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고 밸브간극의 유지 및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는 밸브간극의 측정을 위한 조절장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일자형태의 브라켓(110) 한쪽 측면에는 상기 브라켓(110)과 직각형태를 이루는 지지대(120)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0)의 반대쪽 측면에는 손잡이부(160)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에는 드라이버(131)가 설치된 제1너트런너(13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드라이버(131)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32)가 설치됨에 따라 제1너트런너(130)와 드라이버(131)는 상기 탄성부재(132)에 의해 상하방향을 탄성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너트런너(130)를 하측방향을 눌러주면 탄성부재(132)는 압축되며, 이때 제1너트런너(130)의 하부에 설치된 드라이버(131) 끝단은 로커암(200)에 체결된 간극조절나사(210)의 나사홈(211)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며, 그러한 상태에서 토크를 유지하면서 제1너트런너(130)가 작동되어 드라이버(131)가 회전되 면 간극조절나사(210)가 회전되면서 승하강될 수 있는 것이며, 이후 눌러주던 제1너트런너(130)를 놓아주면 상기 압축되었던 탄성부재(132)의 복원력에 의해 제1너트런너(130)와 드라이버(131)는 원상태로 승강되면서 드라이버(131)의 끝단과 간극조절나사(210)의 나사홈(211)은 다시 이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20)의 저면에는 제2너트런너(140)가 설치되고 그 끝단에는 소켓(141)이 설치되는데, 상기 소켓(141)은 간극조절나사(210)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220)에 끼워져 고정너트(2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소켓(141)의 상면에는 구멍(142)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너트런너(130)에 설치된 드라이버(131)의 끝단이 상기 구멍(142)을 관통하여 소켓(141) 내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1너트런너(130)에 의해 드라이버(131)가 작동되면서 간극조절나사(210)의 위치를 조절된 후 토크를 유지하면서 제2너트런너(140)에 의해 소켓(141)이 고정너트(220)를 회전시키므로서 위치가 조절된 간극조절나사(21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너트런너(130)와 제2너트런너(140)는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에 연결되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제1너트런너(130)와 제2너트런너(140)의 작동순서 및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너트런너 컨트롤러(150)가 제1너트런너(130)와 제2너트런너(140)를 제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너트런너 컨트롤러(150)를 작동시키기 전 작업자가 조절장치의 공구를 세팅하고 전원을 연결하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가 작동되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가 제1너트런너(130)와 연결된 드라이버(131)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에 의해 간극조절나사(210)가 하강하여 그 하단이 밸브(300)의 끝단에 닿게 되면서 토크가 변화하게 되면 간극조절나사(210)의 이동이 최하점에 도달했다고 판단하게 되며, 이후 원하는 밸브간극과 상응하도록 상기 드라이버(131)를 자동으로 역회전시켜 간극조절나사(210)가 반대로 상승하여 밸브(300)의 끝단에 도달했던 간극조절나사(210)의 하단이 밸브(300)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원하는 밸브간극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크를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다시 너트런너 컨트롤러(150)가 작동되어 제2너트런너(140)를 제어하여 소켓(141)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소켓(141)에 끼워져 있던 고정너트(220)가 조여지면서 제1너트런너(130)의 드라이버(131)에 의해 조절된 간극조절나사(210)의 위치가 상기 고정너트(2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절장치(100)를 이용하여 밸브간극을 조절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조절장치(100)를 밸브(300)와 로커암(200)에 적용하기 전 조절하고자 하는 밸브간극을 설정한 후 그 설정값을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에 입력하게 되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는 제1너트런너(130)에 설치된 드라이버(131)의 회전 및 역회전의 범위를 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2너트런너(140)에 연결된 소켓(141)을 간극조절나사(210) 를 제어하는 고정너트(220)에 설치한 후 제1너트런너(130)를 하측방향으 로 눌러주게 되면 제1너트런너(130)에 설치된 드라이버(131)의 끝단이 소켓(141)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간극조절나사(210)의 나사홈(211)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작업자가 너트런너 컨트롤러(150)를 작동시키게 되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는 제1너트런너(130)를 작동시켜 드라이버(131)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에 의해 간극조절나사(210)의 하단이 밸브(300)의 끝단에 닿게 되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는 드라이버(131)를 반대로 역회전시키므로서 밸브(300)의 끝단과 간극조절나사(210)의 하단이 이격되도록 해주며, 상기 이격된 간격은 작업자가 설정해둔 밸브간극와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제1너트런너(130)의 토크가 계속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너트런너 컨트롤러(150)를 다시 작동해주면, 제2너트런너(140)가 작동되면서 소켓(141)을 회전시켜 상기 소켓(141)에 의해 고정너트(220)가 조여지면서 위치가 조절된 간극조절나사(210)가 고정되므로서 밸브간극의 조절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제2너트런너(140)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로커암(200)에 측면에 위치하는 보조편(143)을 설치하므로서, 제2너트런너(140)에 의해 소켓(141)이 회전되면서 고정너트(220)가 조여질 때 상기 제2너트런너(140)가 소켓(141)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종래에는 많은 공구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복잡하게 작업을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를 이용하면 간극 게이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공구의 관리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밸브간극의 조절 또한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밸브간극의 측정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밸브간극의 유지 및 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간극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부(160)가 형성된 브라켓(110)의 일측으로 지지대(12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20)에는 제1너트런너(130)에 의해 동작되는 드라이버(131)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드라이버(131)가 탄성부재(13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에는 제2너트런너(140)에 의해 동작되는 소켓(141)을 설치하되 상기 소켓(141)의 상면에는 구멍(142)을 형성하여 그 구멍(142)으로 상기 드라이버(131)의 끝단이 관통되면서 소켓(14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너트런너(130)에 의한 드라이버(131)의 회전 및 역회전과 상기 제1너트런너(130)와 연계되는 제2너트런너(140)에 의한 소켓(141)의 회전 및 역회전이 너트런너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한 조절장치(100)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제2너트런너(140)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로커암(200)에 측면에 접면 되는 보조편(143)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KR1020060022038A 2006-03-09 2006-03-09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KR10075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038A KR100754785B1 (ko) 2006-03-09 2006-03-09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038A KR100754785B1 (ko) 2006-03-09 2006-03-09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785B1 true KR100754785B1 (ko) 2007-09-03

Family

ID=3873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038A KR100754785B1 (ko) 2006-03-09 2006-03-09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495B1 (ko) * 2008-09-08 2013-03-18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간극의 측정방법 및 측정유닛
KR20180074225A (ko) * 2016-12-23 2018-07-03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밸브 간극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7117A (en) 1977-11-08 1979-05-30 Toyota Motor Corp Adjusting method for engine tappet clerance
JPH11173124A (ja) 1997-12-05 1999-06-29 Hirata Corp バルブ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及び方法
JP2000073718A (ja) 1998-08-26 2000-03-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201811A (ja) 2002-01-07 2003-07-1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エンジン動弁系のバルブ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7117A (en) 1977-11-08 1979-05-30 Toyota Motor Corp Adjusting method for engine tappet clerance
JPH11173124A (ja) 1997-12-05 1999-06-29 Hirata Corp バルブ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及び方法
JP2000073718A (ja) 1998-08-26 2000-03-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201811A (ja) 2002-01-07 2003-07-1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エンジン動弁系のバルブ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495B1 (ko) * 2008-09-08 2013-03-18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간극의 측정방법 및 측정유닛
KR101244494B1 (ko) 2008-09-08 2013-03-18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밸브간극의 측정조정방법 및 측정조정장치
KR20180074225A (ko) * 2016-12-23 2018-07-03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밸브 간극 측정장치
KR101999816B1 (ko) 2016-12-23 2019-07-12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밸브 간극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85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JPH0456126B2 (ko)
US20170159510A1 (en) Camshaft adjustement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54782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JP2020019076A (ja) インジェクタパイプシール取外し工具
CN109026255B (zh) 连续可变气门升程机构的气门升程调试方法及系统
KR20020086653A (ko) 회전 엘리먼트 리세팅 장치
US4071044A (en) Air monitoring valve for combustion engines
KR100754781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간극 조절장치
JP3263118B2 (ja)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ヘッド構造
JP2005201077A (ja) 可変動弁機構
ITMI20130552A1 (it)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e relativo coperchio valvole modulare
JPS59176462A (ja) 燃料噴射弁
KR101641046B1 (ko) 캠 고정용 지그
US754569A (en) Engine-valve.
HUP0202368A2 (hu) Szerkezet belső égésű dugattyús motor szelepe löketének változtatására
KR101518936B1 (ko) 차량 엔진용 밸브 트레인
KR100204883B1 (ko) 내연기관의 밸브간극 조정장치
JPS5840241Y2 (ja)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用スクリュドライバ装置
RU58617U1 (ru) Термостат
KR101219337B1 (ko) 유압식 밸브 간극 조절기
JP2005214127A (ja) 可変動弁機構
CN209649332U (zh) 一种注塑机的油缸机械定位装置
KR0131138Y1 (ko) 자연 작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팀
US2075811A (e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