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432B1 -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432B1
KR100754432B1 KR1020060049275A KR20060049275A KR100754432B1 KR 100754432 B1 KR100754432 B1 KR 100754432B1 KR 1020060049275 A KR1020060049275 A KR 1020060049275A KR 20060049275 A KR20060049275 A KR 20060049275A KR 100754432 B1 KR100754432 B1 KR 10075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message
mobile terminal
registered
received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연
한정근
채석우
성원경
예해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과 상기 각 문자열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등록하는 과정과,상기 수신 메시지를 분석하여 등록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등록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반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수신된 메시지를 단순히 시각적으로만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감각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받는다. 이처럼 다른 감각 수단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받음으로써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휴대 단말기, 메시지 분석, 감정표현 모드, 이미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received message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정표현 모드에서 문자열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정표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 메시지를 구성하고 있는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한 메시지 내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해당 반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통신 서비스 업체에 가입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가입한 통신 서비스 업체의 기지국을 매개로 하여 다른 가입자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기존의 유선 전화를 이용할 때보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으로 인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통신 서비스 업체는 가입자 상호간에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 통신 서비스 업체로부터 예컨대 뉴스, 스포츠 중계 등의 정보를 문자로 제공받을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를 사용자에 제공한 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통화채널과는 별도로 이동 통신 망 상에서 페이징(Paging)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제한적이나, 사용자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아도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짧은 시간 안에 다수의 사용자에게 직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점 때문에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주고받는 사용자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문자 메시지는 송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이동통신 망을 거쳐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즉, 기존 문자 메시지의 내용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시각을 통해 전달되었다. 따라서,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의 내용을 전달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시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메시지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과 상기 각 문자열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를 분석하여 등록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등록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반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에 따른 반응을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과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수신 메시지에 등록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반응을 수행하는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한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 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일반 모드로 표시하거나, 감정표현 모드로 표시한다. 일반 모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아무런 가공없이 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는 모드이다. 감정표현 모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다른 기능 들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모드이다. 감정표현 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 센서라 가정하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50)는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5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어부(110)는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160)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감정 표현 모드에서 감정 표현에 사용할 단어를 등록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감정 표현에 사용할 단어를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20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감정표현 모드 메뉴를 선택받는다.
먼저 상기 일반 모드와 감정표현 모드의 전환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일반 모드와 감정표현 모드는 휴대 단말기에 구현되는 있는 메뉴를 이용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관련 메뉴 중 하나로 '모드설정' 메뉴를 추가한다. '모드 설정' 메뉴의 모드는 일반 모드와 감정표현 모드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일반 모드와 감정표현 모드 이외에 다른 모드가 휴대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반 모드와 감정표현 모드를 포함한 복수 개의 모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감정표현에 사용할 단어를 등록하기 위해 감정표현 모드 메 뉴를 선택받으면, 감정표현 모드로 진입한다.
S202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감정표현 문자열 등록 메뉴를 선택받는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감정 표현 모드 메뉴를 선택하면, 감정 표현 모드 메뉴의 하위 메뉴들이 표시된다. 감정 표현 모드의 하위 메뉴들은 '감정표현 문자열 등록', '감정표현 문자열 수정', '감정표현 문자열 삭제' 등과 같은 메뉴를 포함한다.
S204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감정표현 문자열 등록'에서 감정표현에 사용할 문자열을 등록한다. 일반적으로 감정표현에 사용할 문자열의 등록은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사용자는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한다.
S206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등록한 문자열에 대응되는 감정이 표현되도록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설정한다. 일 예로 등록한 문자열이 '진동', '울림', '떨림'인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진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등록한 문자열에 대응되는 감정이 표현되도록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설정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등록한 문자열 휴대 단말기의 반응
심장, 마음, 하트, 사랑 하트 이미지 출력
진동, 울림, 떨림 휴대 단말기 진동
생각, 머리, 아이디어 머리 이미지 출력
... ...
빛, 햇살, 반짝 휴대 단말기의 LED 온/오프 주기적 반복
휴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다운로드받은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이미지를 이동통신사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인접 휴대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사의 서버는 이미지를 다운로드받은 사용자에 대해 일정한 과금을 요구할 수 있다.
'감정표현 문자열 수정'은 등록한 감정표현 문자열과 이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수정할 경우 선택된다. '감정 표현 문자열 삭제'는 등록한 감정표현 문자열과 이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삭제할 경우 선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정표현 모드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감정표현 모드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S40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들 중에서 확인하고자 메시지를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조작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한다.
S402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선택한 메시지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열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한다. 휴대 단말기는 선택한 메시지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열들 중 도 2에서 등록한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이 있는지 순차적으로 판단한다. 동일한 문자열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는 S404단계로 이동하고, 동일한 문자열이 없으면 S406단계로 이동한다.
S404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동일한 문자열이 있는 경우, 등록한 문자열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확인하고, 등록한 문자열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경우 등록한 반응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S404단계를 수행한 휴대 단말기는 S402단계로 이동하여 선택한 메시지를 구성하고 있는 나머지 문자열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한다.
S406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선택한 메시지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물론 선택한 메시지에 등록된 문자열이 있는 경우 S404단계에서 설정한 바와 같이 등록한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하 등록된 문자열에 대한 휴대 단말기의 반응 시간과 메시지 출력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는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성된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제1영역은 등록된 문자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영역이며, 제2영역은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하는 영역이다.
제2영역에서 출력되는 메시지가 한번에 모두 출력될 수 없는 경우 슬라이딩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의 내용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출력되거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제2영역에서 표시되는 메시지의 라인 수가 1인 경우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메시지의 내용이 슬라이딩하며, 제2영역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라인 수가 적어도 2인 경우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메시지의 내용이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역에서 출력되는 메시지가 한번에 출력되는 경우, 등록된 문자열에 대한 휴대 단말기의 반응시간은 한 라인에 출력되는 문자열의 개수와 한 라인에 출력되는 등록된 문자열의 개수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일 예로 한 라인에 출력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4개이고, 등록된 문자열의 개수가 2인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는 하나의 문자열을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문자열을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1초라고 가정하면, 등록된 하나의 문자열에 대한 반응시간은 2초가 된다.
이하, 제2영역에서 출력되는 메시지가 한번에 출력될 수 없는 경우, 즉, 수신된 메시지를 슬라이딩 형식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수신된 메시지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는 등록된 문자열이 있으면 대응되는 반응을 시작하고, 다음 등록된 문자열이 표시부의 좌측에서 슬라이딩 형식으로 출력되면 대응되는 반응을 종료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다음 등록된 문자열에 대응되는 반응을 시작한다. 물론 휴대 단말기는 등록된 문자열이 표시부의 중앙 부분에 표시될 때 설정된 시간 동안 대응되는 반응을 지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출력되는 경우, 특정 라인이 상측으로 한 라인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특정 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등록된 문자열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반응시간을 산출한다. 만약 특정 라인이 상측으로 한 라인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2초이고, 특정 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등록된 문자열이 2개인 경우, 등록된 문자열에 대한 반응시간은 1초가 된다.
또한, 음성 인식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등록한다. 즉, 사용자는 특정 문자열을 음성으로 휴대 단말기에 저장한 후, 저장한 문자열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반응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휴대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음성으로 등록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등록한 문자열이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반응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는 음성 메시지를 경우, 수신됨 음성 메시지에 음성으로 등록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등록한 문자열이 음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반응을 수행한다.
또한, 향기 발현 시스템에 구현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는 문자열을 특정 향기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꽃'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휴대 단말기는 향기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꽃향기를 분사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문자열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휴대 단말기가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수신된 메시지를 단순히 시각적으로만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감각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받는다. 이처럼 다른 감각 수단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받음으로써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에 따른 반응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음성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문자열과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에 등록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반응을 수행하되,
    상기 수신 메시지에 적어도 2개의 등록된 문자열들이 포함되어 있으면, 등록된 상기 문자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등록된 각 문자열에 대한 반응시간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메시지 처리 방법.
  8.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에 따른 반응을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성을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과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반응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음성을 문자열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반응에 등록시키며, 상기 수신 메시지에 적어도 2개의 등록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면, 등록된 상기 문자열이 표시되는 시간에 따라 등록된 각 문자열에 대한 반응 시간을 결정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등록된 문자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메시지 처리 장치.
KR1020060049275A 2006-06-01 2006-06-01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75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75A KR100754432B1 (ko) 2006-06-01 2006-06-01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75A KR100754432B1 (ko) 2006-06-01 2006-06-01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432B1 true KR100754432B1 (ko) 2007-08-31

Family

ID=3861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75A KR100754432B1 (ko) 2006-06-01 2006-06-01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4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001A (en) 1995-11-20 1998-07-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graphic messages in a data communication receiver
KR20020066805A (ko) * 2001-02-14 2002-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JP2003131992A (ja) 2001-10-24 2003-05-09 Sharp Corp メッセージ表示装置および通信端末
US20050081150A1 (en) 2001-11-02 2005-04-14 Beardow Paul Rowl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ing
US20050107099A1 (en) 2001-06-21 2005-05-19 Petra Schutz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20050116956A1 (en) 2001-06-05 2005-06-02 Beardow Paul R. Message display
KR20050118054A (ko) * 2004-01-20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001A (en) 1995-11-20 1998-07-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graphic messages in a data communication receiver
KR20020066805A (ko) * 2001-02-14 2002-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US20050116956A1 (en) 2001-06-05 2005-06-02 Beardow Paul R. Message display
US20050107099A1 (en) 2001-06-21 2005-05-19 Petra Schutz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JP2003131992A (ja) 2001-10-24 2003-05-09 Sharp Corp メッセージ表示装置および通信端末
US20050081150A1 (en) 2001-11-02 2005-04-14 Beardow Paul Rowl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ing
KR20050118054A (ko) * 2004-01-20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0800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7018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배경효과 제공 방법
KR100678212B1 (ko) 휴대단말기의 감정정보 제어방법
KR100797563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06158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정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4480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images during a video call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25936A (ko) 단말기 및 그의 일정 관리방법
CN101009885A (zh) 呼叫与接听的启动方法
US2006029307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s apparatus
KR10075443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70012062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KR2007002998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US2008023400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backgroud picture during communication
KR100630165B1 (ko)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684447B1 (ko) 외부 상황 주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4296976B2 (ja) 通信端末装置
KR101449751B1 (ko) 영상 통화 중 터치 피드백 제공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및 영상 통화 중 터치 피드백 제공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20070075581A (ko)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100640348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KR100465182B1 (ko)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KR1010233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mp3파일 편집 및 전송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