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805A -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805A
KR20020066805A KR1020010007186A KR20010007186A KR20020066805A KR 20020066805 A KR20020066805 A KR 20020066805A KR 1020010007186 A KR1020010007186 A KR 1020010007186A KR 20010007186 A KR20010007186 A KR 20010007186A KR 20020066805 A KR20020066805 A KR 2002006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voice
voice recognition
phone terminal
speech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9804B1 (ko
Inventor
안홍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8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중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하여 음성 인식하여 그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중요 메시지로 인식하고, 중요 단문 메시지 경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디스프레이 장치에 상기 중요 단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성 인식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중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서비스가 비약적으로 발달해 나감에 따라 휴대 전화 단말장치는 단순히 송신측과 수신측 사용자간의 음성 대화 만이 아니라 데이터 통신, 금융 서비스, 날씨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부가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 음성 인식의 경우 그 음성 인식이 수행되는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식은 고립단어 인식이다. 상기 고립단어 인식은 단어 레벨의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이며, 두 번째 방식은 연결단어 인식이다. 상기 연결 단어 인식은 단어와 단어가 연결되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이며, 세 번째 방식은 연속어 인식이다. 상기 연속어 인식은 문장의 형태로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은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화자를 기준으로 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방식은 화자 종속 음성 인식이다. 상기 화자 종속 음성 인식은 발성하는 화자의 음성만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코드북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화자 독립 음성 인식이다. 상기 화자 독립 음성 인식은 발성하는 화자에 상관없이 아무나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코드북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현재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음성 인식 기능은 화자 종속 고립 단어 인식 기능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립 단어 인식은 단어 레벨의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일 예로 사용자가 발신시 메뉴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방 이름, 즉 단어를 발성하면 그 발성된 단어를 인식하여 해당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기능 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음성 인식 기능을 이렇게 단순히 상대방 전화번호 검색을 위한 매개체로서 수많은 음성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중 일부만을 한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사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음성 인식 방식중에 상기 화자 종속 음성인식을 사용하며 연결 단어 인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화자 종속 연결단어 인식기는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다른 음성 인식 방식들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용이하고, 또한 발성하는 화자의 음성만을 인식하기 때문에 음성 인식률 역시 다른 음성 인식 방식들에 비하여 가장 높은 화자 종속 연결 단어 음성 인식기를 이용한 음성인식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즉, 화자종속 연결 단어 음성인식기는 음성 인식률에 있어서 약 96%이상의 확률을 가지고 있어 신뢰성 있는 음성 인식을 구현하고, 상기 화자 종속 음성 인식의 경우 음성 인식을 위한 코드북의 코드 사이즈(Code size) 역시 다른 음성 인식 방식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소형화(compact)되어 있어 그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송신측과 수신측간 음성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었다. 일 예로, 송신측 사용자가 통화 수행중에 전화번호 혹은 약속장소 등과 같은 정보를 상대방에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자가 '123-4567'이나 혹은 '종로'라고 발성했지만 통화 수행 도중에 잡음 및 채널 간섭 등과 같은 다수의 이유로 수신측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런 경우 정확한 정보를 수신측 사용자가 시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행중인 통화를 종료하고 송신측 사용자가 상기 수신측으로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다시 알려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가 통화를 수행중에 있는 상태에서(211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통화 종료 요구를 감지하면(213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행중이던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통화를 종료한다(215단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요 단어 등을 상대방에게 인식시켜야할 경우 주변 잡음으로 인한 정확한 전달이 난이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통화를 종료하고 별도로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정확하게 문자형태로 상대방에서 인식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전송 요구를 감지하고(217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 감지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를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219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데이터를 입력받아 편집하고, 그 편집한 문자데이터를 단문 메시지로 생성한다(221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이렇게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223단계).
이에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에서 송신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225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단문 메시지 수신을 경보한다(227단계). 여기서,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 방법에는 LED 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점멸하여 시각 경보하거나 혹은 비프음과 같은 소리를 통해 청각 경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을 경보하면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영역, 즉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저장한다(229단계). 그래서, 이렇게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중 특정 내용을 수신측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고자 종래에는 통화를 종료한 후 송신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를 별도로 키조작을 통해 문자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입력과 같이 키조작 등을 위한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수행중 특정 음성들을 음성 인식하여 단문 메시지 변환 전송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조작을 이용한 별도의 단문 메시지 작성 절차없이 음성인식을 통해 상대방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수행중 음성인식을 통해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중요 메시지로 전송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음소 별로 데이터가 각각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음성 코드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입력되는 음성을 미리 설정한 설정 단위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위의 음성을 상기 음성 코드북을 가지고 음성 인식하는 음성 처리부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성 인식된 결과를 가지고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과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하여 음성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11)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3)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중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위한 코드북을 저장한다. 키입력부(115)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단문 메시지 전송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음성처리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을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중 요구되는 특정 구간의 사용자 음성을 입력하여 단어 레벨로 음성 인식하고, 즉 화자종속 연속 단어 음성 인식하고 그 음성 인식된 단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송신부(121)는 상기 제어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123)로 전달한다. 상기 듀플렉서(123)는 상기 송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25)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5)는 상기 듀플렉서(123)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를 제어한다. 표시부(12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 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문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그 단문 메시지 수신을 청각 경보(비프음 발생 등)하기 위한 경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가 통화를 수행중에 있는 상태에서(311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한다(313단계). 여기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는 상기 통화 수행중 특정키, 즉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키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키들을 조합, 일 예로 메뉴키+디지트키 1+디지트키 3가 입력됨으로써 감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그 자신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한다(314단계).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도 상기 수행중이던 통화를 위한 연결(connection)은 지속적으로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유지되고 있어 통화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해당 단위의 음성을 입력한다(315단계).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음성은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음성이며, 상기 해당 단위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를 요구하는 시구간 단위이다. 일 예로 상기 음성인식 단위를 5초로 미리 설정하였을 경우 5초동안만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인식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 사용자의 음성만을 음성 인식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음성 인식은 화자종속 연결 단어 음성 인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당 단위의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고(317단계), 상기 음성인식된 단어들을 문자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래서, 상기 문자데이터로 변환된 단어들을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고(319단계)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로전송한다(321단계). 여기서, 상기 음성인식 단문 메시지는 일반 단문 메시지와 구별되는 정보를 그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구조는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를 종료한다(322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에서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함과 아울러(323단계),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325단계). 여기서,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가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단문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검출하여 그 정보가 상기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인지 아니면 일반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일 경우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중요 단문 메시지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중요 단문 메시지 수신을 경보한다(327단계). 여기서, 상기 중요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는 일반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와 차별되는 경보형태, 일 예로 상기 일반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가 LED를 점멸하는 형태일 경우 상기 중요 단문 메시지 경보는 상기 LED 점멸과 함께 비프음을 발생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렇게 중요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를 한 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다(329단계).
한편,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일반단문 메시지일 경우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일반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를 수행하고(331단계)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다(329단계).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도 3의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통화 수행중에 있는 상태에서(411단계) 제어부(111)는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한 키신호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 신호인지 검사한다(413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된 키신호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 신호가 아닐 경우 상기 입력받은 키신호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다(415단계).
만약,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받은 키신호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 자신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한다(416단계).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도 상기 수행중이던 통화를 위한 연결(connection)은 지속적으로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유지되고 있어 통화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해당 단위의 음성을 입력한다(417단계). 여기서,상기 입력되는 음성은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음성이며, 상기 해당 단위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를 요구하는 시구간 단위이다. 일 예로 상기 음성인식 단위를 5초로 미리 설정하였을 경우 5초동안만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인식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 사용자의 음성만을 음성 인식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음성 인식은 화자종속 연결 단어 음성 인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입력된 음성을 미리 설정된 설정 단위, 일 예로 20mS 단위로 프레임(frame) 추출하고(419단계), 상기 추출된 프레임 단위의 음성을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북과 비교하여 근사값(likelihood value)이 가장 높은 코드를 인식된 음소로 선택하여 인식한다(421단계). 여기서, 상기 20mS로 추출된 각각의 프레임들은 10mS씩 겹치도록 하여 인접 프레임간 상관도를 극대화한다. 바로 이 부분이 음성 인식의 전처리부가 되는 것이고, 상기 선택된 음소들이 음성인식의 주처리부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코드북을 통해 음소를 인식한 후, 상기 제어부(111)는 HMM(Hidden Markov Model)을 비롯한 인식 알고리즘 (DTW : Dynamic Time Warping, Neural Network, Wavelet 등)을 사용하여 단어를 인식한다(423단계). 여기서, 상기 HMM은 음소가 발음되는 것을 확률적인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상기 HMM을 사용하면 상기 음성인식의 모든 과정이 확률로서 표현되며, 따라서, 음성인식 확률의 결과가 높다. 그래서 상기 HMM을 통한 단어인식 과정이 상기 음성 인식의 후처리부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음성 인식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인식된 음성을 해당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문자데이터들을 가지고서 음성인식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425단계). 여기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의 경우 일반 단문 메시지와 구별되는 정보를 그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한다(427단계).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구조는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생성된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송신부(121)를 통해 출력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200)로 송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종료 (429단계)되면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연결(connection)이 계속 유효하므로 선택적으로 통화를 계속하거나 종료(431단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통상적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한번에 전송 가능한 기준 전송 용량을 가지며, 그 단문 메시지 포맷은 메시지 ID와, 단문 메시지의 긴급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Priority), 프라이버시(Privacy)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Callback Number),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 구조 중에서 헤더부분, 즉 메시지 ID와, 우선순위, 프라이버시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헤더부분에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예로, 코드 등이 될 수 있다)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헤더부분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식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별도의 코드를 헤더부분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우선순위를 그 레벨이 최우선되도록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 등과 같이 일반 단문 메시지와 구별하는 다수의 방법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부분에 상기 음성 인식된 문자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실제 송신측과 수신측 사용자들 간에 수행되는 통화 내용을 음성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음성 인식을 위한 코드북의 크기가 소형화(compact)되어야 함과 아울러 연속 단어의 음성 인식 속도가 설정 속도, 일 예로 120ms 이상으로 진입해야 한다. 또한, 마지막으로 음성 인식률 자체가 설정 확률, 일 예로 98%이상으로 보장되어야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첫 번째로 상대방과 통화 수행중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두 번째로, 통화 수행중에도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서도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세 번째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 즉 문자데이터 입력을 위한 다수번의 키조작 등과 같은 번거로운 과정들을 제거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1)

  1.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음소 별로 데이터가 각각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음성 코드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입력되는 음성을 미리 설정한 설정 단위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위의 음성을 상기 음성 코드북을 가지고 음성 인식하는 음성 처리부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성 인식된 결과를 가지고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입력음성을 상기 음성 코드북과 비교하여 근사값이 가장 큰 코드를 음소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부는 입력되는 음성에서 추출된 다수의 프레임들 상호간에 중첩으로 인접 프레임 상관도를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메시지 ID와, 우선순위, 프라이버시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6.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과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음성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과정은 설정 단위로 추출된 음성을 음성 코드북과 비교하여 근사값이 가장 큰 코드를 음소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과정은 상기 입력되는 음성에서 추출된 다수의 프레임들 상호간에 중첩으로인접 프레임 상관도를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메시지 ID와, 우선순위, 프라이버시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11.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과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음성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중요 메시지로 인식하고, 중요 단문 메시지 경보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1-0007186A 2001-02-14 2001-02-14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36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86A KR100369804B1 (ko) 2001-02-14 2001-02-14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86A KR100369804B1 (ko) 2001-02-14 2001-02-14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05A true KR20020066805A (ko) 2002-08-21
KR100369804B1 KR100369804B1 (ko) 2003-01-30

Family

ID=2769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186A KR100369804B1 (ko) 2001-02-14 2001-02-14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8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28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소프트비즈 문자 메시지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30000939A (ko) * 2001-06-27 2003-01-06 김원준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KR20030086756A (ko) * 2002-05-06 2003-11-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30097347A (ko) * 2002-06-2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51918A (ko) * 2002-12-13 200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문자 변환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음성/문자 변환 서비스 방법
KR100754432B1 (ko) * 2006-06-01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133620B1 (ko) * 2005-09-14 2012-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8566101B2 (en) 2009-05-07 2013-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vatar based video message
KR101368268B1 (ko) * 2005-07-2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단문메시지전송방법
KR101412205B1 (ko) * 2008-05-09 2014-06-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28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소프트비즈 문자 메시지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30000939A (ko) * 2001-06-27 2003-01-06 김원준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KR20030086756A (ko) * 2002-05-06 2003-11-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30097347A (ko) * 2002-06-2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51918A (ko) * 2002-12-13 200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문자 변환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음성/문자 변환 서비스 방법
KR101368268B1 (ko) * 2005-07-2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단문메시지전송방법
KR101133620B1 (ko) * 2005-09-14 2012-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54432B1 (ko) * 2006-06-01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12205B1 (ko) * 2008-05-09 2014-06-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기기
US8566101B2 (en) 2009-05-07 2013-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vatar based video mes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9804B1 (ko) 200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22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voice call contents via text messages
KR1006404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자동변경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6459911B1 (en)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60140353A1 (en) Method for offering TTY/TT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2007529916A (ja) コンピュータでの音声通信
KR100369804B1 (ko)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US7043436B1 (en) Apparatus for synthesizing speech sounds of a short message in a hands free kit for a mobile phone
JP3507686B2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467593B1 (ko) 음성인식 키 입력 무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에서키입력 대신 음성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664105B1 (ko) 휴대단말기의 음성 인식 방법
US7471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US6625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based answer call message generation
JP2005348240A (ja) 電話装置
EP30891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control of a mobile device
KR101368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단문메시지전송방법
JP2010177961A (ja) 通信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200801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WO2008082781A1 (en) A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298317B1 (ko) 휴대용전화기의통화방법
JPH0823369A (ja) 音声操作電話装置およびその音声による操作指示受付方法
KR970002344B1 (ko) 문자의 음성변환 및 음향변환 전송이 가능한 통신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399883B1 (ko) 음성인식 프로세서를 내장한 휴대폰의 음성인식 시스템
JP2000197128A (ja) 無線通信機
KR101002905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유·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유·무선 단말기
KR1007430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