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182B1 -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 Google Patents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182B1
KR100465182B1 KR10-2002-0046243A KR20020046243A KR100465182B1 KR 100465182 B1 KR100465182 B1 KR 100465182B1 KR 20020046243 A KR20020046243 A KR 20020046243A KR 100465182 B1 KR100465182 B1 KR 100465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phone
processing system
signal processing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359A (ko
Inventor
조형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1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에 저장한 데이터를 예약시간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전화기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예약설정에 따라 상대방에 해당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입력과 출력으로 사용되어지는 숫자키버튼과,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와, 상대방에 발송할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음성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화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오디오변환부와,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무선회로부 등이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가진 휴대전화기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 사용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서비스업체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Method for sending some stored data on schedule}
본 발명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파일을 상대방에 전송할 경우 보낼 예약시간과 날짜를 지정할 수 있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전화기는 저장해 놓은 텍스트데이터를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번호로 송출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예약전송기능과 원하는 이미지 파일을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서버에 저장한 후, 상대방이 WAP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보는 형태의 기술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에서 단문메시지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전화기 화면에는 "보낼메시지를 입력하세요"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메시지는 휴대전화기 제조사에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문자메시지작성을 위한 메뉴구조에도 차이가 있다. 하나의 예를 든다면 휴대전화기의 키패드에는 보통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이 버튼의 기능메뉴 중에서 단문메시지작성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키패드에 단문메시지 전용버튼키를 두어 휴대전화기 사용자들이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단문메시지작성 메뉴를 선택하여 상대방에 보낼 메시지작성이 이루어지면 휴대전화기는 보통 수신할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메시지작성과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상대방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작성된 단문메시지를 전송받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송을 실행하면 단문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한 것이 문자메시지전송에 예약시간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즉,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작성한 후 여기에 전송할 날짜와 시간을 지정해 놓으면 지정된 날짜에 휴대전화기의 문자메시지 데이터가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것이다. 이것이 단문메시지서비스 예약전송기능이다. 그런데, 여기 기술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전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왑서버가 휴대전화기 사용자와 상대방을 연결하게 된다. 즉, 휴대전화기가 예약설정된 텍스트 데이터를 왑서버에 전송하면 왑서버는 이를 저장하고 있다가 예약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대방에게 이를 통지하고 상대방은 이에 따라, 왑서버에 접속하여 해당되는 데이터를 받아보는 형태이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상대방은 왑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보아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왑서버에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트래픽(Traffic)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여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에 저장한 데이터를 예약시간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로써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화면예를 보여준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예약발신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휴대전화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b는 휴대전화기와 데이터처리 시스템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내부운영시스템에서 운영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전화기가 해당데이터를 상대방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되어있는 데이터파일을 선택하는 화면예를 보여주며, 도 5b는 선택된 데이터파일을 수신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예를 보여주며, 도 5c는 선택된 데이터파일을 발송할 날짜와 시간을 입력하는 화면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전화기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예약설정에 따라 상대방에 해당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입력과 출력으로 사용되어지는 숫자키버튼과,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와,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각종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과 결과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대방에 발송할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음성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화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오디오변환부와,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무선회로부 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휴대전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전송할 데이터에 예약정보를 설정하여 놓으면, 예약정보에 따라 휴대전화기가 해당데이터를 상대방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서비스업체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을 지원하는 휴대전화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휴대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에는 제어부(200), 키패드(210), 디스플레이부(220), 메모리부(230), 오디오변환부(240), 카메라 모듈부(250), 무선회로부(260) 등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각 부분에 대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0)는 휴대전화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구성부분과 유기적 상호관계로 데이터와 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또는 카메라 모듈부(250)에 의하여 읽어들인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예약설정에 따라 상대방에 해당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210)는 휴대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입력과 출력으로 사용되어지는 숫자키버튼과,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20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각종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메모리부(230)는 보통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플래쉬 메모리에는기본적인 실시간(real time) 처리운영시스템(OS; operating system)과 휴대전화기의 호처리 소프트웨어(software)가 저장되며,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램으로부터 읽어들여 동작시킨다. 그리고, 롬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며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의 명령에 따른 입출력을 수행한다. 이러한 롬에 저장되는 데이터로써는 지워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메터(parameter),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및 이름, 문자메세지, 동영상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로써 휴대전화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이 부분에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대방에 발송할 데이터로써 메모리에 저장된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를테면,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데이터이거나 pc(personal computer)와 연결하여 pc에 있는 데이터를 전송받은 데이터일 수 있다. 이들 데이터는 일반 텍스트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과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오디오변환부(240)는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하는 음성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카메라 모듈부(250)는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가 읽어들인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카메라는 내장과 외장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카메라가 사용된다.
무선회로부(260)는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전화기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2b는 휴대전화기와 데이터처리 시스템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a에서 기술한 내부구성도를 가지는 휴대전화기(260)는 기지국(270)과 무선신호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송수신이 이루어지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의 요소에는 휴대전화기(260), 기지국(270), MSC(271), 신호처리시스템(272) 등이 구성된다.
휴대전화기(200)는 상기 도 2a에서 설명한 무선회로부(250)를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하고 해당지역의 통신을 담당하는 기지국에 전송하면 기지국은 해당 데이터를 상대방에 전송한다.
기지국(270)은 고정국의 한 형태로써 해당영역의 개인이동통신 가입자와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한다.
MSC(Mobile switching center)(271)는 기지국(270)과 연결되어 기지국을 제어하며, 교환기능을 수행하며, 타 MSC, 또는 타망(他網)과 연동되어 전화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신호처리시스템(272)은 휴대전화기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예약정보와 휴대전화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두고 예약시간에 이르면 상대방의 전화기에 전화통화를 연결하고,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휴대전화기에 통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내부운영시스템에서 운영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며 데이터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가지고 제어부의 명령을 받아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휴대전화기내에 구성된 모든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각종 호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성에는 보통, 메인컨트롤태스크부(300), 핸드셋태스크부(310), 송수신태스크부(320), 감시태스크부(330), 데이터베이스태스크부(340),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태스크부(350), 카메라 태스크부(360) 등이 구성되며 이에 대한 각 태스크부의 수행역할은 다음과 같다.
메인컨트롤태스크부(300)는 처리태스크 생성, 수행, 제어, 소멸 등 모든 태스크(task)를 관리한다.
핸드셋태스크부(310)는 키보드, 호처리 등 휴대전화기의 상태를 관리한다.
송수신태스크부(320)는 발호(發號) 및 채널검색, 수신메시지 등 송수신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다.
감시태스크부(330)는 모든 프로그램을 감시한다.
테이터베이스태스크부(340)는 데이터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관리한다.
유저인터페이스태스크부(350)는 휴대전화기의 처리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카메라 태스크부(360)는 카메라가 장착될 경우 카메라의 처리상태를 감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전화기가 해당데이터를 상대방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데이터전송을 위한 예약메뉴는 키패드에 특정 키버튼을 따로 두어 이 키버튼이 선택되면 바로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전송할 날짜와 시간을 예약할 수 있는 예약메뉴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달리 키패드에 특정용도를 위한 키버튼을 따로 두지 않고 보통 휴대전화기에 많이 쓰이는 메뉴버튼을 선택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리스트에서 해당메뉴를 선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예시한 두 가지 방식은 특정키버튼을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를 가질 뿐이며 기능이나 동작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단 상기 설명한 두 가지 방식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데이터전송 예약메뉴가 선택된 이후의 과정을 설명한다.
데이터전송 예약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리스트를 보여준다. 이에 대한 화면예가 도 5a에 도시되어있다. 이 화면에서 휴대전화기 사용자는 상대방에 보낼 데이터를 선택한다.
전송할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를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5b에 도시되어있다. 수신자의 전화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휴대전화기는 전송할 예약시간과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도 횟수와 시간간격을 지정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지정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 5c에 도시되어있다. 상기의 과정이 이루어지면 예약기능의 설정이 완료된다(단계 S400).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예약기능이 설정완료됨에따라, 휴대전화기는 예약설정정보와 휴대전화기정보를 신호처리 시스템에 전송한다(단계 S410). 신호처리 시스템은 자체내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예약설정정보와 휴대전화기정보를 저장하고 예약설정정보에 따라 예약설정정보에서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연결한다. 상대방과 전화통화연결이 안 될 경우에는 신호처리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발신을 시도한다.
상대방과 전화통화연결이 이루어지면 신호처리 시스템은 휴대전화기에 해당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통지한다(단계 S420).
휴대전화기는 상기 메시지를 통지받음에 따라, 해당데이터를 상대방의 통신기기에 전송하게된다(단계 S430).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예와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통상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수많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약시간을 설정하여 설정시간대에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원하는 시간에 직접전화를 걸어서 통화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서비스업체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음을 들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데이터전송 예약메뉴가 선택되면, 휴대전화기는 데이터리스트를 보여주는 단계,
    데이터리스트 중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선택되면, 휴대전화기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전송할 예약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전송할 예약시간을 입력하면 휴대전화기는 이를 신호처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전송할 예약시간을 수신한 신호처리 시스템은 자체내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휴대전화기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설정된 예약시간이 되면 신호처리 시스템은 설정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연결하는 단계,
    수신자와 전화통화연결이 이루어지면 신호처리 시스템은 휴대전화기에 해당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통지하는 단계,
    휴대전화기가 신호처리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통지받으면, 해당 데이터를 수신자의 통신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기에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하여 신호처리 시스템에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의 시도 회수와 시간간격이 더 포함되며,
    상대방과 전화통화연결이 안 될 경우에는 신호처리 시스템은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시도 회수 한도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KR10-2002-0046243A 2002-08-06 2002-08-06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KR10046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243A KR100465182B1 (ko) 2002-08-06 2002-08-06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243A KR100465182B1 (ko) 2002-08-06 2002-08-06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359A KR20040013359A (ko) 2004-02-14
KR100465182B1 true KR100465182B1 (ko) 2005-01-13

Family

ID=3732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243A KR100465182B1 (ko) 2002-08-06 2002-08-06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338B1 (ko) * 2011-06-21 2013-09-11 노현석 데이터의 예약 발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766B1 (ko) * 2007-10-17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공지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950A (ja) * 1997-09-05 1999-03-30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とその基地局
JPH11275664A (ja) * 1999-01-29 1999-10-08 Nec Corp 携帯無線装置
KR20000013272A (ko) * 1998-08-06 2000-03-06 윤종용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개선된 단문메시지 발신 방법
KR20010036213A (ko) * 1999-10-06 2001-05-07 윤종용 휴대폰의 인터넷 데이터 다운링크 예약방법
JP2002064660A (ja) * 2000-08-18 2002-02-28 Murata Mach Ltd 通信端末装置
KR20020020415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통화방법
KR20020045069A (ko) * 2000-12-07 2002-06-19 구자홍 이동통신망을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950A (ja) * 1997-09-05 1999-03-30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とその基地局
KR20000013272A (ko) * 1998-08-06 2000-03-06 윤종용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개선된 단문메시지 발신 방법
JPH11275664A (ja) * 1999-01-29 1999-10-08 Nec Corp 携帯無線装置
KR20010036213A (ko) * 1999-10-06 2001-05-07 윤종용 휴대폰의 인터넷 데이터 다운링크 예약방법
JP2002064660A (ja) * 2000-08-18 2002-02-28 Murata Mach Ltd 通信端末装置
KR20020020415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통화방법
KR20020045069A (ko) * 2000-12-07 2002-06-19 구자홍 이동통신망을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338B1 (ko) * 2011-06-21 2013-09-11 노현석 데이터의 예약 발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359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799B1 (ko) 문자 메시지의 통합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JP4475580B2 (ja) 電話機
US71622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ands-free speech state and computer program for switching over to hands-free speech state
US20030087665A1 (en) Reminder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032184B (zh) 一种移动通信设备上的壁纸设置的方法
KR20030054620A (ko) 멀티윈도우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기록매체와 이를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100465182B1 (ko)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KR20080079098A (ko) 통화중 양방향 배경영상 제공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KR20040022286A (ko)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00346226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자동 문자 메시지 응답 방법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20040015918A (ko) 단문메시지를 통한 원격제어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00469491B1 (ko)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976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타 원터치 설정 방법
JP2002009925A (ja) 移動電話装置、移動電話装置の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617569B1 (ko) 히스토리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101381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640386B1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KR10035872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단말기
KR20040004766A (ko) 데이터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과 이를 구현한휴대전화기
KR200400670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삭제 방법
KR100594435B1 (ko) 다중작업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