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386B1 -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386B1
KR100640386B1 KR1019990028658A KR19990028658A KR100640386B1 KR 100640386 B1 KR100640386 B1 KR 100640386B1 KR 1019990028658 A KR1019990028658 A KR 1019990028658A KR 19990028658 A KR19990028658 A KR 19990028658A KR 100640386 B1 KR100640386 B1 KR 10064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mobile wireless
wireless terminal
data sin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989A (ko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3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4Data synchron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이,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가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드로 진입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의 눌림으로 인하여 해당 키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가 상기 키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싱크를 트리거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무선 단말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METHOD FOR SYNCHORONIZING USER DATA OF MOBILE WIRELESS PH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무선 단말기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무선 단말기에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싱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폰-북(Phone-Book)이나 스케쥴 관리등에 저장 및 편집되어 여러가지 기능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싱크(Sync)기능은 PC 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서 이루어 졌다. 한편, 상기 사용자 데이터 Sync 동작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가 있다. 즉, PC 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이동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와 PC 측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동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경우와 Modify date 리스트에 기반하여 최근의 데이터로서 양측의 사용자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갱신하는 경우로 구분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종래의 사용자 데이터 Sync. 동작은 PC 상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만 제어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싱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키를 정의하여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싱크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키를 정의하고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싱크 동작을 트리거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이,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가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드로 진입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의 눌림으로 인하여 해당 키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가 상기 키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싱크를 트리거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싱크키 정의 모듈은 이동무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동작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기능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PC 데이터 싱크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이동무선 단말기 간에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형식으로 해당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에는 제어신호와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UP-LOAD 모드시에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PC로 송신하며, DOWN-LOAD 모드시에 PC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Modify date 리스트에 기반하여 최근의 사용자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양방향 갱신 모드시에, PC 데이터 싱크 어플리케이션과 해당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Modify date 리스트에 기반하여 최 근 수정정보를 양방향으로 갱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는 유선 케이블, 적외선 통신 또는 RF 신호를 통하여 전송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00)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5)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11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시부(105)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표시부(105)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이동무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10)는 복수개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0)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는 사용자 데이터 싱크키 정의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적외선 통신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PC 싱크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이동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와 해당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기와 PC는 유선 케이블(165)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프레임을 송/수신 할 수가 있으며, 또는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 와 PC는 RF부(125)를 통한 RF 신호로서, 프레임 송/수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무선단말기 간의 데이터와 제어신호 역시 마찬가지 이다.
한편, RF부(125)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3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승압(Up-Converting)시켜 안테나(130)를 경유하여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무선출력한다. 또한 RF부(125)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강압(Down-Converting)시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35)로 출력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35)는 RF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또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35)는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RF부(125)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아나로그 베이스밴드부(135)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조(Channel Demodulat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동작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처리부(1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140)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압축해제 동작등을 수행하고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145)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 및 압축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채널 부호(Channel Coding) 및 채널 변조 (Channel Modulating)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35), RF부(125) 및 안 테나(130)를 경유하여 기지국으로 무선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 정의 모듈은 이동무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동작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기능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 정의 모듈은 이동무선 단말기의 서비스 동작을 지정하는 메뉴(Menu)의 하부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 정의 모듈에 의해 별도의 수행키가 필요없이, Send, End, Clear, 0 ~ 9, *, #, upper arrow, lower arrow등과 같이 이동무선 단말기에 이미 구비되는 기능키로 정의 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10단계에서 이동무선 단말기가 Idle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대측 PC 싱크 어플리케이션이나 상대측 이동무선 전화기와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적외선이나 무선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면, 220단계에서 이동무선 단말기는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드로 진입한다. 물론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드는 특정하게 정의된 기능키의 입력에 의해서도 진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기능키 데이터는 UP-LOAD 키데이터, DOWN-LOAD 키데이터 및 양방향 갱신 키데이터가 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동작의 수행을 명령하는 기능키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출하시 소프트웨어적으로 세 가지 키를 정의 하여 디폴트 값으로 저장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 기능키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가 PC 싱크 어플리케이션으로 향하게 하는 UP-LOAD 동작모드를 지정하고, "#" 기능키는 PC 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가 이동무선 단말기로 향하게 하는 DOWN-LOAD 동작모드를 지정하고, "0" 기능키는 Modify date 리스트에 기반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최근 수정정보를 양방향으로 갱신하는 모드를 지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 싱크키 정의 모듈은 이동무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동작 모드를 지정하는 상기 디폴트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들을 사용자의 편의성이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을 위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240단계에서 해당되는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해당되는 사용자 데이터 싱크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00)에 구비되는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PC 데이터 싱크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이동무선 단말기 간에 미리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 형식으로 해당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에는 제어신호와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UP-LOAD 모드시에 메모리(115)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PC로 송신하며, DOWN-LOAD 모드시에 PC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Modify date 리스트에 기반하여 최근의 사용자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양방향 갱신 모드시에, PC 데이터 싱크 어플리케이션과 해당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Modify date 리스트에 기반하여 최근 수정정보를 양방향으로 갱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싱크 동 작은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에 의해 트리거되며, 이때,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듈은 각 해당 모드의 수행을 위한 메시지를 Generation 하여 PC 나 상대측 이동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는 유선 케이블, 적외선 통신 또는 RF 신호를 통하여 전송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싱크 동작을 트리거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종래의 PC 싱크 어플리케이션에서만 트리거 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으며, 이동무선 단말기 간에 사용자 데이터 싱크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가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드로 진입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의 눌림으로 인하여 해당 키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가 업로드(up-load) 키데이터 이면,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PC로 송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가 업로드(down-load) 키데이터 이면, PC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가 양방향 갱신 키데이터 이면, 사용자 데이터의 최근 수정정보를 양방향으로 갱신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싱크 기능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와 피-시 싱크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이동무선 단말기와 상대측 이동무선 단말기 간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모드 진입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
    유선 케이블, 적외선 통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의해 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KR1019990028658A 1999-07-15 1999-07-15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KR10064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658A KR100640386B1 (ko) 1999-07-15 1999-07-15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658A KR100640386B1 (ko) 1999-07-15 1999-07-15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989A KR20010009989A (ko) 2001-02-05
KR100640386B1 true KR100640386B1 (ko) 2006-10-31

Family

ID=1960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658A KR100640386B1 (ko) 1999-07-15 1999-07-15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88B1 (ko) * 2010-04-13 2016-12-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 플랫폼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841A (ko) * 1997-12-05 1999-07-05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 데이터 다운로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841A (ko) * 1997-12-05 1999-07-05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 데이터 다운로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989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5418A1 (en) Mobile phone and incoming alerting system
KR20010111166A (ko) 휴대폰의 메뉴 아이콘 변경 방법 및 메뉴 구성 편집 방법
KR100595163B1 (ko) 휴대폰의 표시장치 편집 방법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100640386B1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JP200011530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スケジュール報知方法
KR100346226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자동 문자 메시지 응답 방법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20030076955A (ko) 이동전화 이어폰잭 연결형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KR1005399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100474692B1 (ko) 휴대폰의 메뉴 구성 편집방법
KR100465182B1 (ko)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예약발신방법
KR20040022286A (ko)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00295758B1 (ko) 무선단말기에서데이터서비스수행에따른데이터전송속도설정방법
JP3531564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用電話端末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100543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련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3842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회신 방법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20050028761A (ko) 유,무선통신 단말기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입력보안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02010360A (ja) 携帯端末機器、情報処理装置及び周辺機器の遠隔制御方法
KR100270372B1 (ko) 이어폰을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원격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703386B1 (ko) 외부장치에서 휴대단말기의 기능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241180Y1 (ko) 적외선 통합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