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610B1 - 바코드 스캐너 - Google Patents

바코드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610B1
KR100752610B1 KR1020060001550A KR20060001550A KR100752610B1 KR 100752610 B1 KR100752610 B1 KR 100752610B1 KR 1020060001550 A KR1020060001550 A KR 1020060001550A KR 20060001550 A KR20060001550 A KR 20060001550A KR 100752610 B1 KR100752610 B1 KR 10075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emitting
main body
body housing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015A (ko
Inventor
안현우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00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6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바코드 스캐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코드 스캐너는, 정보가 기록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조명하는 3개의 발광다이오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렌즈; 판독 부분을 표시하도록 이미지를 향해 가이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가이드 광을 직선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터렌즈; 콜리메이터렌즈를 통과한 가이드 광을 소정의 패턴으로 이미지에 결상시키는 패턴렌즈; 및 세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3개의 발광다이오드와,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콜리메이터렌즈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줄이고, 부품 수를 줄이며, 사이즈를 컴팩트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바코드 스캐너{BAR CODE SC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LED분산렌즈가 제거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코드 스캐너 11 : 발광다이오드
13 : 발광다이오드 몸체 15 : 접속단자
21 : 카메라렌즈 25 : 레이저 다이오드
27 : 레이저다이오드 몸체 29 : 접속단자
31 : 콜리메이터렌즈 35 : 패턴렌즈
41 : 본체하우징 51 : 상부 인쇄회로기판
61 : 카메라센서 65 : 하부 인쇄회로기판
71 : LED분산렌즈 81 : 핀
본 발명은, 바코드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일 체형으로 조합되어 1차원 바코드뿐만 아니라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바코드 스캐너는 시각화된 바코드의 인쇄 정보를 그와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광학식 독취장치로서, 바코드를 독취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단으로 주로 광학적인 인식방법이 사용된다.
한편, 바코드는 굵거나 가는 바(검은 막대)와 스페이스(흰 막대)의 조합에 의해 숫자 또는 특수 기호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쉽게 부호화한 것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정보의 표현과 정보의 수집, 해독을 가능하게 한다. 문자나 숫자를 나타내는 검은 바와 흰 공간의 연속으로 바와 스페이스를 특정하게 배열해 이진수 0과 1의 비트로 바뀌게 되고 이들을 조합해 정보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들은 심벌 로지라고 하는 바코드 언어에 의해 정의된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바코드는 컴퓨터 내부 로직의 기본인 0과 1의 비트로 이루어진 하나의 언어로, 바의 두께와 스페이스의 폭의 비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코드 체계가 있다. 이 인쇄된 코드는 바코드 스캐너에 빛의 반사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재생시키며 재생된 데이터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수집되어 단말기 등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바코드를 이용하면 짧은 시간에 간단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최근에는 1차원 바코드의 기억용량 부족을 초래하여, 가로와 세로 방향에 모두 정보를 담을 수 있는 2차원 바코드가 시장에 도입되고 있다. 이들 2차원 바코드는 카메라로 촬영되어 이미지화 되고, 그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바코드를 읽어들 이는 바코드 스캐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조합된 바코드 스캐너는, 카메라로 촬영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조명하기 위해 적어도 4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증대되고, 부품 수가 증대되며, 조립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과도한 개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게 되면 판독 대상의 이미지가 과도하게 광노출되어 이미지의 빛반사가 발생하여 선명하게 이미지를 촬영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화질이 저하되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소비를 줄이고, 부품 수를 줄이며, 사이즈를 컴팩트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정보가 기록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조명하는 3개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렌즈; 판독 부분을 표시하도록 상기 이미지를 향해 가이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가이드 광을 직선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터렌즈; 상기 콜리메이터렌즈를 통과한 가이드 광을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이미지에 결상시키는 패턴렌즈; 및 세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3개의 발광다이오드와,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콜리메이터렌즈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하우징은, 상기 3개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콜리메이터렌즈 사이의 상기 본체하우징의 중앙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렌즈를 지지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분산하는 LED분산렌즈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게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LED분산렌즈에는, 상기 LED분산렌즈의 하부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발광다이오드 보조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LED분산렌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LED분산렌즈를 상호 연결하는 세 개의 핀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기 3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인접한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LED분산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납땜됨 으로써, 상호 적층 결합되는 상기 본체하우징,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LED분산렌즈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는, 정보가 기록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조명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1, LED, light emitting diode)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렌즈(21)와, 판독 부분을 표시하도록 이미지를 향해 가이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25)와, 레이저 다이오드(25)에서 조사되는 가이드 광을 직선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터렌즈(31)와, 콜리메이터렌즈(31)를 통과한 가이드 광을 소정의 패턴으로 판독 대상에 조준하는 패턴렌즈(35)와, 발광다이오드(11)와 카메라렌즈(21)와 콜리메이터렌즈(31)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41)과, 본체하우징(41)의 하부에 적층되며 발광다이오드(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인쇄회로기판(51)과,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의 하부에 적층되며 레이저 다이오드(2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인쇄회로기판(65)과, 발광다이오드(11)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분산하는 LED분산렌즈(71)와, 본체하우징(41)과 상부 인쇄회로 기판(51)과 하부 인쇄회로기판(65)과 LED분산렌즈(71)를 상호 연결하는 세 개의 핀(81)을 구비한다.
발광다이오드(11)는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 몸체(13)와, 발광다이오드 몸체(13)의 일측으로부터 길이 연장된 복수의 접속단자(15)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11)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발광다이오드(11)는 본체하우징(41)의 세 개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다.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11)의 사용으로도 충분한 조명이 가능하며, 따라서 4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비가 증대되고, 부품 수가 증대되며, 조립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미지의 화질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발광다이오드(11)의 접속단자(15)는 본체하우징(41)을 관통하여 상부 인쇄회로기판(51)에 결합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11)는 카메라렌즈(21)가 이미지를 촬영할 때 조명의 역할뿐만 아니라 본체하우징(41)과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을 일체로 결합하여 그 결합력을 종래보다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렌즈(21)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후술할 이미지센서(61)에 전송한다. 이러한 카메라렌즈(21)는 본체하우징(41)의 중앙영역에 마련된 카메라렌즈 수용부(45)에 수용된다.
레이저 다이오드(25)는 레이저를 발하는 레이저다이오드 몸체(27)와, 레이저다이오드 몸체(27)의 일측으로부터 길이 연장된 복수의 접속단자(29)를 가진다. 레이저 다이오드(25)는 카메라렌즈(21)의 측부에 위치하며, 레이저 다이오드(25)의 접속단자(29)는 하부 인쇄회로기판(65)에 결합된다.
콜리메이터렌즈(31)는 본체하우징(41)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콜리메이터렌즈 수용부(47)에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콜리메이터렌즈(31)는 레이저 다이오드(25)의 상방에 배치되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서 조사되는 가이드 광을 직선형태로 변환시킨다.
패턴렌즈(35)는 콜리메이터렌즈(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콜리메이터렌즈(31)를 통과하면서 직선광으로 변환된 가이드 광을 소정의 패턴으로 판독 대상의 이미지에 결상시킨다. 즉, 판독 대상의 이미지에는 패턴렌즈(35)를 통과한 가이드 광이 카메라렌즈(21)의 촬상 시야보다 작은 장방형의 2차원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보다 특정하게는, 가이드 광은 이 2차원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즉, 프레임)를 표시하는 선분 형상의 광이다. 일 예로서, 가이드 광은 2차원 영역의 4개의 모서리를 정의하는 4개의 'L'자형의 광부분, 이 2차원 영역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중심을 표시하는 2개의 'T'자형의 광부분 및 2차원 영역의 중심을 표시하는 십자형의 광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하우징(41)은 사각단면의 블록형상을 가지며, 발광다이오드(11)와 카메라렌즈(21)와 콜리메이터렌즈(31)를 수용 지지한다. 여기서 3개의 발광다이오드(11)는 본체하우징(41)의 세 개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고, 콜리메이터렌즈(31)는 본체하우징(41)의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 본체하우징(41)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바코드 스캐너(1)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체하우징(41)에는 발광다이오드(11)의 발광다이오드 몸체(13)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 수용부(43)가 세 모서리 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41)에는 카메라렌즈(21)를 수용하는 카메라렌즈 수용부(45)가 중앙영역의 상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카메라렌즈 수용부(45)의 측부인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는 콜리메이터렌즈(31)를 수용하는 콜리메이터렌즈 수용부(47)가 상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은 본체하우징(41)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부 인쇄회로기판(51)에는 발광다이오드(11)를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인쇄회로기판(51)에는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11)의 대응하는 위치에 발광다이오드(11)의 접속단자(1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결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인쇄회로기판(51)에는 레이저다이오드 몸체(27)를 수용하는 레이저다이오드 수용부(55)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다이오드 수용부(55)는 콜리메이터렌즈 수용부(47)와 동축선상에 위치한다.
한편, 본체하우징(41)과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의 사이에는 이미지센서(61)가 마련되어 있다. 이미지센서(61)는 카메라렌즈(21)의 하방에 위치하며, 카메라렌즈(21)에 의해 포착된 판독 대상의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받아서 도시 않은 제어부로 전송한다.
하부 인쇄회로기판(65)은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된다. 하부 인쇄회로기판(65)에는 레이저 다이오드(25)를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인쇄회로기판(65)에는 레이저 다이오드(25)의 접속단자 (29)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레이저다이오드 결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LED분산렌즈(71)는 본체하우징(41)의 상부에 적층되며, 발광다이오드(11)에서 발산되는 빛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LED분산렌즈(71)는 사각단면의 블록형상을 가지며, 패턴렌즈(35)를 수용하는 패턴렌즈 수용부(73)가 LED분산렌즈(71)의 상부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있다. 또한, LED분산렌즈(71)에는 발광다이오드(11)를 수용하는 발광다이오드 보조수용부(75)가 마련되어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보조수용부(75)는 LED분산렌즈(71)의 하부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있다. LED분산렌즈(71)에는 카메라렌즈(21)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카메라렌즈 보조수용부(77)가 판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 개의 핀(81)은 발광다이오드(11)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며, 즉 본체하우징(41) 및 LED분산렌즈(71)와 각 인쇄회로기판(51,65)의 세 개의 모서리 영역에 관통 결합하며, 본체하우징(41) 및 LED분산렌즈(71)와 각 인쇄회로기판(51,65)의 해당 위치에는 핀(81)이 관통 결합하는 핀결합공(85)이 형성되어 있다. 세 개의 핀(81)은 본체하우징(41) 및 LED분산렌즈(71)와 각 인쇄회로기판(51,65)에 납땜 고정되며, 이에 상호 적층 결합되는 본체하우징(41)과 상부 인쇄회로기판(51)과 하부 인쇄회로기판(65)과 LED분산렌즈(71)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하우징(41)의 하부에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을 적층하면서, 발광다이오드(11)의 접속단자(15)를 본체하우징(41)에 관통시켜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의 발광다이오드 결합부(53)에 실장한다. 이 때, 본체하우징(41)과 상부 인쇄회로기판(51) 사이의 카메라렌즈 수용부(45)의 하방에 이미지센서(61)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본체하우징(41)의 카메라렌즈 수용부(45)와 콜리메이터렌즈 수용부(47)에 각각 카메라렌즈(21)와 콜리메이터렌즈(31)를 수용한다.
계속해서, 본체하우징(41)의 상부에 LED분산렌즈(71)를 적층한다. 이 때, LED분산렌즈(71)의 발광다이오드 보조수용부(75)에 발광다이오드(11)를 수용시킴과 동시에, 패턴렌즈(35)를 패턴렌즈 수용부(73)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본체하우징(41) 및 LED분산렌즈(71)와 각 인쇄회로기판(51,65)의 세 개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핀결합공(85)에 핀(81)을 관통 결합한 후, 핀(81)을 본체하우징(41) 및 LED분산렌즈(71)와 상부 인쇄회로기판(51)에 납땜 고정하여, 본체하우징(41) 및 LED분산렌즈(71)와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을 일체로 연결한다.
이어서,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의 하부에 하부 인쇄회로기판(65)을 적층한다. 이 때 레이저 다이오드(25)의 접속단자(29)를 하부 인쇄회로기판(65)의 레이저다이오드 결합부(67)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25)의 레이저다이오드 몸체(27)를 상부 인쇄회로기판(51)의 레이저다이오드 수용부(55)에 수용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의 조립이 완료되며, 조립 완료된 바코드 스캐너(1)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소정의 단말기의 케 이스(미도시)에 내장하여, 1차원 바코드뿐만 아니라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바코드 스캐너(1)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시 않은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25)와 발광다이오드(11)를 구동한다.
레이저 다이오드(25)로부터 발산되는 가이드 광은 판독 부분을 표시하도록 이미지를 향해 조사되며, 레이저 다이오드(25)에서 조사된 가이드 광은 콜리메이터렌즈(31)를 거치면서 직선형태로 변환하고, 콜리메이터렌즈(31)를 통과한 직선형태의 가이드 광은 패턴렌즈(35)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판독 대상의 이미지에 결상된다.
동시에,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11)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LED분산렌즈(71)를 거치면서 확산되어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조명한다.
그리고, 카메라렌즈(21)는 패턴렌즈(35)의 조준에 따라 자동 포커싱하며,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센서(61)에 그 신호를 보낸다.
이미지센서(61)는 카메라렌즈(21)에 의해 포착된 판독 대상의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드(decode) 처리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1)는 1차원 바코드뿐만 아니라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는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만으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조명함으로써, 판독 대상의 이미지에 과도하게 조명하지 않고 최적으로 조명하게 되어, 이미지의 화질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며,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품 수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줄이고, 부품 수를 줄이며, 사이즈를 컴팩트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미지의 화질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정보가 기록된 판독 대상의 이미지를 조명하는 3개의 발광다이오드;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렌즈;
    판독 부분을 표시하도록 상기 이미지를 향해 가이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가이드 광을 직선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터렌즈;
    상기 콜리메이터렌즈를 통과한 가이드 광을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이미지에 결상시키는 패턴렌즈; 및
    세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3개의 발광다이오드와,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콜리메이터렌즈를 지지하는 본체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은, 상기 3개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콜리메이터렌즈 사이의 상기 본체하우징의 중앙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렌즈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분산하는 LED분산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게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분산렌즈에는, 상기 LED분산렌즈의 하부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발광다이오드 보조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분산렌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LED분산렌즈를 상호 연결하는 세 개의 핀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기 3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인접한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LED분산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KR1020060001550A 2006-01-06 2006-01-06 바코드 스캐너 KR10075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50A KR100752610B1 (ko) 2006-01-06 2006-01-06 바코드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50A KR100752610B1 (ko) 2006-01-06 2006-01-06 바코드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15A KR20070074015A (ko) 2007-07-12
KR100752610B1 true KR100752610B1 (ko) 2007-08-29

Family

ID=3850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550A KR100752610B1 (ko) 2006-01-06 2006-01-06 바코드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18B1 (ko) 2011-03-09 2013-03-25 주식회사 티옵시스 정보검출장치용 광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833292U (zh) * 2015-08-14 2015-12-02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指引灯的二维码扫描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0172A (ja) 1998-02-27 1999-09-17 Denso Corp 情報記号読取り装置
JP2002125096A (ja) 2000-10-16 2002-04-26 Denso Corp 光学情報読取装置
JP2004151711A (ja) 2002-10-15 2004-05-27 Symbol Technologies Inc 移動ビームシミュレーションを有する画像化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2005025311A (ja) 2003-06-30 2005-01-27 Nec Infrontia Corp バーコードリーダ及びこれで用いる投光光源の拡散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0172A (ja) 1998-02-27 1999-09-17 Denso Corp 情報記号読取り装置
JP2002125096A (ja) 2000-10-16 2002-04-26 Denso Corp 光学情報読取装置
JP2004151711A (ja) 2002-10-15 2004-05-27 Symbol Technologies Inc 移動ビームシミュレーションを有する画像化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2005025311A (ja) 2003-06-30 2005-01-27 Nec Infrontia Corp バーコードリーダ及びこれで用いる投光光源の拡散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18B1 (ko) 2011-03-09 2013-03-25 주식회사 티옵시스 정보검출장치용 광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15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2284B2 (en) Heat-dissipation structure for an indicia reading module
US8717494B2 (en) Optical reading device with improved gasket
US6766954B2 (en) Omnidirectional linear sensor-based code reading engines
US6685092B2 (en) Molded imager optical package and miniaturized linear sensor-based code reading engines
US6824059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and barcodes
US7490770B2 (en) System and method of optical reading with enhanced depth of field collection
US20070295814A1 (en) Apparatus for optically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graphic symbol
JP2012129947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US6481628B2 (en) Pen-type barcode scanner
CN104298949B (zh) 一维条码识读方法
JP5815782B2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70610B1 (ko) 바코드 스캐너
KR100752610B1 (ko) 바코드 스캐너
US7387247B2 (en) Optical information reader
US20030189099A1 (en) Semiconductor device adapted for imaging bar code symbols
CN109388981B (zh) 用于多个安装位置的标记读取器声学壳体
JP2008530684A (ja) スタンプ型バーコードリーダー
JPS5935276A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4650138B2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US8203616B2 (en) Imaging scanner
US2004024654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original illuminating apparatus
JP4258523B2 (ja) 光学情報読取装置
JP5384873B2 (ja)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8033466A (ja) 光学読取装置
TW297889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