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812B1 -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812B1
KR100751812B1 KR1020060057705A KR20060057705A KR100751812B1 KR 100751812 B1 KR100751812 B1 KR 100751812B1 KR 1020060057705 A KR1020060057705 A KR 1020060057705A KR 20060057705 A KR20060057705 A KR 20060057705A KR 100751812 B1 KR100751812 B1 KR 10075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ok
power lin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8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a unique member which latches several boards, e.g. locking 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전원선 및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공간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전원코드와 연결되는 전원선, 및 상기 프레임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원선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 캐비닛, 인쇄회로기판, 프레임, 후크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PRINTED CIRCUIT BOARD FIXATIONS FRAME FOR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걸림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본체 20 : 인쇄회로기판
30 : 전원 스위치 40 : 전원선
50 : 구획수단 52 : 제 1 후크
54 : 제 2 후크 56 : 곡면부
58 : 경사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전원선 및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공간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나 그 밖의 전자제품에서는 제품의 조립시 프레임과 인쇄회로기판을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부로 다수개의 관통공(102)을 형성하고 프레임(104)의 상부로도 다수개의 체결공(106)을 형성하여 PCB기판(100)과 프레임(104)의 고정시 다수개의 스크루(108)로 체결하여 그 고정상태로 유지하였다.
이로써, 인쇄회로기판을 프레임에 설치한 다음에 상기 프레임을 캐비닛 내측에 결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설치를 완료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는데, 이 전원 스위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인 구조이며, 전원 스위치에서 연장되는 전원선은 인쇄회로기판을 지나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형성되는 전원 코드와 연결되기 때문에 전원선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회로 부품과 전원선이 간섭되거나, 전원선의 간섭에 의해 노이즈 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선의 분리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선 사이에 발생되는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을 억제토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전원코드와 연결되는 전원선, 및 상기 프레임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원선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전원선이 안착되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후크와, 상기 제 1 후크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곡면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와 상기 제 2 후크는 교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제 1 후크 및 상기 제 2 후크의 단부에는 상기 곡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은 캐비닛(미도시)과,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10)와, 프 레임 본체(10)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과, 인쇄회로기판(20)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30)와, 전원 스위치(30)에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20)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전원코드(미도시)와 연결되는 전원선(40)과, 프레임 본체(10) 일측에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20)과 전원선(40)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획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프레임 본체(10)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에 전원 스위치(30) 및 전원선(40)을 설치한 후에 구획수단(50)에 의해 전원선(40)과 인쇄회로기판(20)이 분리되므로 전원선(40)과 인쇄회로기판(20)에 설치되는 장치들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구획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획수단(50)은 프레임 본체(10)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후크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전원선(40)이 안착되는 곡면부(56)가 형성된다.
또한, 구획수단(50)은 곡면부(56)가 프레임 본체(10)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후크(52)와, 제 1 후크(52)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곡면부(56)가 프레임 본체(10)의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후크(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 1 후크(52)와 상기 제 2 후크(54)는 교호로 배치된다.
이로써, 제 1 후크(52)와 제 2 후크(54)의 곡면부(56)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제 1 후크(52)와 제 2 후크(54) 사이에 전원선(40)이 개재되면 전원선(40)의 양측 방향에서 전원선(40)을 구속하므로 안정된 장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후크(52) 및 제 2 후크(54)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전원선(40)을 경사면에 대응시켜 곡면부(56) 측으로 가압하면 제 1 후크(52) 및 제 2 후크(54)가 외측 방향으로 소정량 변형되면서 제 1 후크(52)와 제 2 후크(54)의 곡면부(56)에 전원선(40)이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 본체(10)의 상면에 인쇄회로기판(20)을 설치하고, 인쇄회로기판(20)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30)에 전원선(40)을 연결한 후에 제 1 후크(52)와 제 2 후크(54)의 경사면(58)에 전원선(40)을 배치시켜 곡면부(56) 내측으로 가압하면 제 1 후크(52) 및 제 2 후크(54)가 외측으로 소정량 변형되면서 전원선(40)이 곡면부(56) 내측으로 안착된다.
이로써, 인쇄회로기판(20)과 전원선(40)이 분리되므로 전원선(40)과 인쇄회로기판(20)에 설치되는 장치들 사이에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이 모두 억제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안정된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아닌 다른 제품의 인쇄회로기판에도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은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로 이루어지는 구획수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선이 분리되므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장치들과 전원선 사이에서 발생되는 물리적인 간섭 및 전기적인 간섭이 모두 억제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됨과 동시에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전원코드와 연결되는 전원선; 및
    상기 프레임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전원선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전원선이 안착되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후크와, 상기 제 1 후크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곡면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와 상기 제 2 후크는 교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 및 상기 제 2 후크의 단부에는 상기 곡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KR1020060057705A 2006-06-26 2006-06-26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KR10075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05A KR100751812B1 (ko) 2006-06-26 2006-06-26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05A KR100751812B1 (ko) 2006-06-26 2006-06-26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812B1 true KR100751812B1 (ko) 2007-08-24

Family

ID=3861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705A KR100751812B1 (ko) 2006-06-26 2006-06-26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9381B1 (de) 2014-12-03 2019-07-24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699A (ko) * 1998-12-19 2000-07-05 윤종용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과 이들의조립방법
KR20040069644A (ko) * 2003-01-30 2004-08-06 주식회사 오토스프라이스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자
KR20060075504A (ko) * 2004-12-28 2006-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20060089474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60133815A (ko) * 2005-06-21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쉴드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699A (ko) * 1998-12-19 2000-07-05 윤종용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과 이들의조립방법
KR20040069644A (ko) * 2003-01-30 2004-08-06 주식회사 오토스프라이스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자
KR20060075504A (ko) * 2004-12-28 2006-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20060089474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60133815A (ko) * 2005-06-21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쉴드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9381B1 (de) 2014-12-03 2019-07-24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EP3029381B2 (de) 2014-12-03 2022-07-20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749B1 (ko) 회로 기판 고정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KR200183046Y1 (ko) Lcd모니터
US20070207640A1 (en) Assembly having a structure for clamping the harnesses and image-forming machine
KR100751812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
EP2076108A2 (en) Display device
KR101547495B1 (ko) Emi필터부가 일체된 bldc 모터장치
JP6075701B1 (ja) 電気機器及び電力変換装置
KR100842704B1 (ko) 백라이트 램프 유닛용 소켓
JP2008016657A (ja) 電子機器の構造
EP3211978B1 (en) Power supply
KR100683224B1 (ko) 회로기판의 조립구조
JP2017220499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1006694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33104A (ko)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KR20070055018A (ko) 컴퓨터
KR101919399B1 (ko) 인버터에서 emc 필터 연결을 위한 절연부 구조
KR100645582B1 (ko) 전기단자장치
KR101015246B1 (ko) 전자제품용 쉴드플레이트 장착구조
KR200157912Y1 (ko) 텔레비젼의 기판 프레임과 실드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0194318Y1 (ko) 회로기판의 장착상태 확인장치
KR101501991B1 (ko) 설치가 용이한 전자 스위치
KR20030059060A (ko) 전자통신기기의 서브랙 구조체
KR100811344B1 (ko) 섀시부 벤딩에 의한 pcb체결구조
KR100842705B1 (ko) 백라이트 램프 유닛용 소켓
KR0137038Y1 (ko) 전자제품의 마이콤 장착 서브기판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