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545B1 -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545B1
KR100751545B1 KR1020057021787A KR20057021787A KR100751545B1 KR 100751545 B1 KR100751545 B1 KR 100751545B1 KR 1020057021787 A KR1020057021787 A KR 1020057021787A KR 20057021787 A KR20057021787 A KR 20057021787A KR 100751545 B1 KR100751545 B1 KR 10075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olyester
woven
weft
shor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539A (ko
Inventor
매취 에이. 드베니딕티스
토마스 이. 쉬미트
Original Assignee
인비스타 테크놀로지즈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비스타 테크놀로지즈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인비스타 테크놀로지즈 에스.에이.알.엘.
Priority to KR1020057021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54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42Weav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혀 모양 찢김 강도가 동일한 구조 및 중량의 나이론 직물보다 동등하거나 우수하며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평직 직물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팅된 그리고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 모두에 관한 것이다. 코팅되지 않은 직물은 직물 직물중량이 150에서 300 g/m2 일 때 0.75N/g/m2 이상의 경사 혀 모양 찢김 강도를 가지는 산업용으로 유용하다. 바람직한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방사는 200에서 800 dtex의 리니어 밀도, 65cN/tex 이상의 티내서티, 350 이상의 인장 인덱스를 갖는다. 직물은 공기 투과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클로로프렌,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또는 다른 유기 코팅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은 1.2에서 6 사이의 애스펙트 비를 갖는 경사 그리고/또는 위사 방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직물, 에어백, 폴리에스테르, 코팅, 직물중량, 혀 모양 찢김 강도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POLYESTER FILAMENT WOVEN FABRIC FOR AIR BAGS}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코팅되지 않은 에어백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찢김 강도(tear strength)가 나이론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 직물과 동등하거나 보다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직물은 적어도 0.75N/g/m2의 경사(warp, 經絲)혀 모양(tongue) 찢김 강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이들 직물들은 공기투과성을 감소시키는 코팅으로 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직물들은 공기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플랫(flat) 형태(단면이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방사로 제조될 수도 있다.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방사는 (70cN/tex 보다 큰) 높은 강도, (170cN/tex 보다 큰) 높은 탄성률, 낮은 신장률(10-15%), 그리고 우수한 차원적인 안정성을 갖고 있다. 이들 방사는 주로 타이어, 컨베이어 벨트, V-벨트의 경우에서와 같이 고무 보강재로 사용되고 있다. 산업용 단섬유 방사의 보다 높은 신장률은 인발 방사를 풀림(relax) 함으로써 티내서티(tenacity)와 탄성을 감소시키는 대가를 치르고서야 얻을 수 있다. 높은 강도와 신장률을 요구하는 에어백과 같은 응용 제품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산업용 단섬유 방사들이 부족하므로 폴리아미드(나이론) 방사들이 사용되어 진다. 불량 폴리에스테르 에어백을 분석하면 불량의 주요 모드가 직물의 찢김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불량은 고압가스가 처음에 접어진 백에 들어가고 완전히 부풀기 전인 팽창단계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나이론과 동등한 혀 모양 찢김 강도(tongue tear strength)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니시무라외 다수의 미합중국 특허 제5,540,965호는 수축-세팅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에어백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는 파괴점에서의 인장률이 9 내지 18%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특허는 파괴점에서의 인장률이 9% 이하이면 그 최종적인 직물은 수축-세팅 절차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인장 강인성(tensile toughness)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특허는 또한 파괴점에서의 인장률이 18%를 넘으면, 직물이 충분하지 않은 건식 수축을 나타낸다고 설명하고 있다.
쇼온톤 외 다수의 미합중국 특허 제4,977,016호, 제5,010,633호, 그리고 특허 제5,073,418호는 특정 직물 특성을 갖는 캘린더(calender)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직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 특성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그들은 야드 제곱 당 8온스(280g/m2)보다 무겁지 않은 직물에 있어서 25% 보다 큰 파괴점에서의 직물 인장율과 40 파운드(178N)보다 큰 사다리꼴 찢김 저항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다양한 직물(방사가 아님) 특성들은 특수 직조기술 등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직물의 특성들이 방사(yarn) 또는 직물의 처리 절차의 직접적인 결과인지, 또는 그들이 어떻게 나이론 직물과 동등한지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히사오 외 다수의 일본 공개 2000-27028호 및 2000-27029호는 직물 특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강인한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를 얻는 다양한 절차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공보들은 12% 또는 그 이상의 풀림 비(relaxation ratio)를 개시하고 있다. 인발단계에서 이용된 여러 롤들의 인발비와 온도는 개시된 발명의 방사 특성들을 얻는데 중요하다.
마사타까 외 다수의 일본 공개 8-269818호는 데니아 당 8그램(71cN/tex) 또는 그 이상의 인장 강도, 30% 또는 그 이상의 신장률을 갖는 에너지 흡수 씨트 벨트(seat belt)에 사용하기 위한 강인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참조문헌은 10% 또는 그 이상의 풀림 비를 개시하고 있다. 이 참조문헌은 아무런 직물 찢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히데하루 외다수의 일본 공개 7-11512호는 미세한 실리카 입자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거기에는 굴곡 피로 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위하여 유리 전이 온도를 낮추는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직물 찢김 강도데이터나, 나이론 직물과의 비교는 없다.
요시히코의 일본 특허 제2289115는 적어도 데니아 당 10그램(88.2cN/tex)의 티내서티와 적어도 15%의 파괴점에서의 신장률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보고된 가장 높은 신장률은 18.8%이다. 직물특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고자우로외 다수의 일본 특허 출원 7-186858호는 9그램/데니아(79.4cN/tex)의 티내서티(tenacity)와 파괴 신장률 15%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방사로부터 직조된 가벼운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스워보다 외 다수의 유럽특허 제0 442 373호는 낮은 데니아의 방사를 이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방사 티내서티는 66cN/tex 이며, 19%의 파괴 신장율과 200℃에서 4.7%의 고온 공기 수축률을 가졌다. 26×26 쓰레드(thread)/cm의 1/1 평직 직물(plain weave fabric)은 255×265 daN 의 파괴강도와 34%×26%의 신장률을 가졌다. (×의 전후에 표시된 값은 경사×위사의 특성을 나타낸다.) 아무런 직물 찢김 특성은 보고되지 않았다.
스워보다외 다수의 미국 특허 제5,236,775호는 캘린더 되지 않고,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에어 백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직물 찢김 데이터나, 나이론 에어백 직물과의 비교는 개시되지 않았다.
혼케의 미국 특허 제5,637,114호는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에어 백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470 dtex, 100 단섬유 방사는 22/22 쓰레드/cm를 이용하여 립스탑(ripstop) 구조로 직조되었다. 방사는 66.8 cN/tex, 21.5%의 파괴 신장률, 그리고 7.4%의 200℃에서의 고온 공기 수축률을 가졌다. 세척과 건조를 하기 전의 직물은 229g/m2의 단위 중량, 경사(warp)와 위사(weft) 방향으로 각각의 파괴 강도/신장률 297 daN/32% 과 325 daN/24%, 그리고 경사와 위사 방향으로 각각의 찢김 강도 25/24 daN를 나타내었다. 립스탑 직물이 평직 직물보다 높은 찢김 강도를 가질 것 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스워보다외 다수의 미국 특허 제5,902,672호는 개선된 허커백(huckaback) 또는 크레이프(crepe) 직(織)을 이용하는,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315 dtex, 100 단섬유 방사로부터 28 쓰레드/cm 로 직조된 립스탑 직물은 197g/m2의 단위중량과 14daN의 혀 모양 찢김 강도를 가졌다. 나이론 직물과의 비교는 없었다.
니보외 다수의 일본 특허출원 7-90747호는 세팅 및 캘린더링 후 코팅되지 않은 에어백 직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직조된 나이론 및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직물의 찢김 강도는 JIS K 6328 5.3.6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467 dtex, 216 단섬유 폴리에스테르 및 나이론 방사로부터 직조된 직물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가 이루어졌다. 이것은 66×66 엔드/인치(26×26 엔드/cm)로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55×55 엔드/인치(21.7×21.7 엔드/cm)로 직조된 나이론 직물과 동등한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가지며, 그러나 찢김 강도는 38×36kg 으로서 42×40kg 인 나이론 직물에 비하여 열등하였다. 직물의 직물중량(fabric weight)은 개시되지 않았다.(×의 전후에 표시된 값은 경사×위사의 특성을 나타낸다.)
페스튼네우 외 다수의 미합중국 특허 제6,037,047호와 제6,147,017호는 직물에 개선된 커버를 부여하는 비-원형단면-섹션을 갖는 산업용 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단섬유의 비-원형단면-섹션은 애스펙트비(aspect ratio)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들 특허들은 2-6 범위의 애스펙트 비를 나타낸다.
토모미치외 다수의 일본 특허출원 2002-309462호는 낮은 공기 투과율을 갖는 플랫 단면(flat cross-section) 방사로부터 직조된 나이론 에어백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에어백과의 비교는 주어지지 않았다.
종래 기술의 문헌들은 코팅되지 않은 직물이 나이론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혀 모양 찢김 저항과 사다리꼴 찢김 저항을 갖게 하는데 요구되는 특성들의 평형을 어떻게 얻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설명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일본 특허출원 7-90747호는 나이론 직물에 비하여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열등한 직물 찢김 강도를 서술하고 있다. 또한 종래 문헌들은 나이론과 동등하거나 나은 찢김 저항을 갖는 코팅되지 않은 직물은 코팅하거나 또는 (표준 원형 단면과 동등한) 플랫 형상의 단면을 갖는 섬유들을 이용함으로써 개선(공기 투과율을 감소시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알려진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보다 개선된 것으로서, 나이론 직물보다 동등하거나 우수한 사다리꼴 찢김 저항과 혀 모양 찢김 저항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가장 넓은 의미로 본 발명은 적어도 0.75 N/g/m2의 경사 혀 모양 찢김 저항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호모폴리머로 직조된 평직 직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장 넓은 범위는 또한 적어도 65cN/tex의 티내서티와, 적어도 350의 인장 인덱스를 갖는 방사 특성의 밸런스를 포함한다.
가장 넓은 의미로 본 발명은 나이론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 직물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찢김 강도를 갖는, 코팅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로 직조된 직물을 갖는 직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장 넓은 범위는 약 200 내지 800 범위의 dtex, 적어도 약 65cN/tex의 티내서티, 적어도 350의 인장 인덱스를 갖는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된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을 포함한다.
가장 넓은 의미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와 나이론 모두에 대한 경사(warp) 그리고/또는 위사(filling) 단섬유가 둥근 단면이 아닌(그들은 1.2 보다 큰 애스펙트 비(aspect ratio)를 갖는다) 동일한 구조 또는 유사한 직물 구조 및 중량의 나이론 평직 직물 에어백과 동등한 또는 우수한 찢김 강도를 갖는 평직 직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 상술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호모 폴리머는 다음의 두 공정 중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준비된다. 즉: 1) 에스테르 교환공정와 2) 직접 에스테르화 공정 이다. 에스테르 교환 공정에서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가 에틸렌 그리콜과 반응하여(에스테르 교환반응) 소량의 다른 반응물(올리고머), 그리고 메탄올과 함께 비스(2-하이드록시 에틸)테레프탈레이트(모노머)를 생성한다. 반응이 가역적이기 때문에, 메탄올을 제거하여 원료를 완전히 모노머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마그네슘 그리고/또는 코발트 그리고/또는 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마지막에 인을 예를 들어 폴리인산(PPA)의 형태로 도입함으로써 촉매활동이 사라진다. 다음에 모노머는 모노머를 PET로 중합하는 응축 공정(폴리응축)을 거친다. 모노머가 응축 공정(폴리응축)을 거 칠 때, 가장 자주 이용되는 촉매는 안티몬이다.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이용된 촉매가 인과 함께 사라지지 않으면 결과물인 폴리머는 용이하게 감성(減成)(열감성)되고 매우 용인할 수 없는 노란 색상을 갖는다.
PET를 제조하는 두 번째 방법은 비스(2 하이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 및 물을 생성하는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서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A)과 에틸렌 그리콜을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 반응은 또한 가역적이므로 반응공정동안에 물을 제거함으로써 완전하게 될 수 있다. 이 직접 에스테르화 절차는 촉매를 요구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도 촉매를 이용하지 않는다. DMT 공정에서처럼 모노머는 폴리응축을 거쳐서 PET를 형성한다. 폴리응축 반응은 일반적으로 촉매로서 안티몬을 사용하고 있으나, 티타늄 화합물 형태의 티타늄도 또한 관계된 일반적인 촉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호모폴리머는 스핀(spin)되고, 인발, 풀림 된 후 드베벤딕티스외 다수의 미국 특허 제6,471,906호에 기재된 보빈에 감겨진다. 이 특허는 참고로 결합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공정을 기재하고 있다. 섬유를 풀림(relax)하기 위한 다른 공지의 공정도 그러한 공정들이 적어도 최소 8% 풀림을 획득한다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호모폴리머를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TiO2 와 같은 공정 보조제, 마찰계수를 감소시키거나, 고무와 같이 다른 물체에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거나, 자외선에 대하여 보다 많이 안정되게 하고 덜 깨지기 쉽게 하는, 폴리에스테르 호모폴리머의 비에 근거하여 일반적으로 2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소량의 다른 성분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직물의 특성을 얻기 위하여, 방사 티내서티가 너무 낮으면 직물 강도는 매우 낮을 것이라는 사실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의 최소 티내서티는 약 65cN/tex 이다. 인장 인덱스가 약 350보다 큰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를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의 고온 공기 수축률은 일반적으로 약 6%보다 적으며, 본 발명은 높은 찢김 강도를 얻기 위하여 높은 직물 수축률에 의존하지 않는다.
1×1 평직물은 에어백 직물의 공기 투과성을 최소화하는데 바람직하다. 어떤 형태의 에어백이 요구되어지는가에 따라서 약 200 내지 800 dtex의 방사 리니어 밀도(linear density)가 사용된다. 보다 높은 dtex의 방사들은, 측부 커튼용의 보다 낮은 dtex 방사에 비하여, 보다 큰 승객용 에어백용으로 직조된다. 직물용 방사에 있는 단섬유는 원형이 아니고 플랫 타입의 단섬유이다. 일반적으로 단섬유의 편평성은 애스펙트 비(aspect ratio)에 의하여 결정된다. 애스펙트 비는 단섬유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이다(둥근 단면의 애스펙트 비는 1.0이다). 애스펙트비가 클수록, 방사는 편평하다. 바람직한 애스펙트 비는 1.2내지 6이다. 보다 편평한 타입의 단섬유들은 직물의 공기 투과성이 적게 한다. 그러나 약 6 애스펙트 비를 벗어나는 단섬유들은 어떤 의미 있는 개선을 제공하지 못하고 직조하기가 더 어렵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한계가 있다. 1.2보다 적은 애스펙트 비는 둥근 타입의 단섬유보다 좋은 개선을 제공하지 못한다. 직물은 공기 투과성을 감소시켜 절연 차폐물, 특히 운전자측 에어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네오프렌, 클로로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또는 다른 유기 코팅물로 코팅될 수 있다.
테스트 절차
방사 물리적 특성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미국 재료 시험 협회) D885-02: 티내서티와 신장률이 254cm의 게이지 길이와 120%의 변형률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자유수축률(무부하)이 177℃에서 30분간 측정되었다. 리니어 밀도(dtex)가 시험방법 D1907의 옵션1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인장 인덱스는 티내서티와 파괴점에서의 신장률의 제곱근의 곱이다.
직물 스트립의 물리적 특성
ASTM D 5035-95
직물 그랩(grab) 특성
ASTM D 5035-95
직물 혀 모양 찢김
ASTM D 2261-96
직물 사다리꼴 찢김
ASTM D 5587-96
직물 공기 투과성
정적 공기 투과성은 125 Pa의 차동압력을 이용하여, ASTM D 737-96을 따라 측정되었다. 동적 공기 투과성은 ASTM D 6476-02를 따라 측정되었다.
방사 고유 점성(IV)
오르쏘클로로페놀에 폴리에스테르의 3% 용액의 비점성(RV)은 업벨호드(Ubbelhode) 점성계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되었다. 고유점성(IV)은 다음 관계식으로부터 계산되었다:
RV=1+IV×C÷0.305×IV2×C2+1.85×10-5×exp(4.5*IV)×C4
여기서 C는 gm/100ml의 용액 농도이다.
실시예 1-3
0.08%의 TiO2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는 종래의 스핀-인발 기계를 통과하면서 스핀되고 인발되어 방사에 0.89의 고유점성을 준다. 처리조건은 표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인발속도 (m/min) 인발비 풀림비(%)
1 3705 5.56 9.3
2 3000 6.18 12.0
3 3000 6.18 15.5
이들 실시예의 방사 물리적 특성이, 상업용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코사 T781)와 두개의 상업용 나이론 방사(두퐁 T 725 및 T743)와 함께 표2에 기재되어 있다.
샘플 dtex 티내서티 (cN/tex) 신장률 (%) 인장 인덱스 고온 공기 수축률
폴리에스테르 T781 493 78.6 13.2 285 7.25
실시예 1 489 69.8 18.8 303 4.25
실기예 2 493 71.9 23.6 349 3.00
실시예 3 487 67.5 28.4 360 2.75
나이론 T725 463 76.8 23.0 368 5.35
나이론 T743 467 84.7 20.0 379 5.50
이들 방사들은 48× 43 엔드/인치(18.9× 16.9 엔드/cm)와 176g/m2 의 직물 중량을 갖는 평직으로 직조된다. T743의 직물 중량은 183g/m2 으로 약간 높다. 직물들은 깨끗하게 세척하였고 이들의 물리적 특성이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가 표3에 기재되었다.
샘플 방향 스트립 강도(N) 스트립 신장률(%) 그랩 강도(N) 그랩 신장률(%) 사다리꼴 찢김(N) 혀모양 찢김(N)
폴리에스테르 T781 경사 위사 1411 1263 29.6 25.7 1598 1573 29.5 26.7 391 387 116 119
실시예 1 경사 위사 1174 1161 30.7 30.8 1592 1618 34.1 34.6 456 418 135 130
실시예 2 경사 위사 1187 1245 36.8 37.3 1617 1733 41.8 42.0 553 545 152 131
실시예 3 경사 위사 1156 1116 45.7 43.4 1707 1642 48.9 49.4 589 518 151 139
나이론 T725 경사 위사 1138 1210 42.6 37.6 1863 1686 46.3 42.9 560 464 119 123
나이론 T743 경사 위사 1730 1536 37.5 32.3 2282 1890 43.0 34.2 423 329 143 138
실시예들(표2)에 있어서 방사 티내서티(tenacity)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직물 그랩 강도(grab strength)(표3)는 상업용 T781 폴리에스테르 직물보다 높다. 주요 찢김 특성(사다리꼴 및 혀 모양 강도)들이 대등하며, 실시예3의 경우에는 나이론 대조의 것보다 능가한다는 사실은 더 놀랄 만하다
직물 단위 중량에 표준화된 찢김 특성이 표4에 개시되어 있다.
샘플 방향 사다리꼴 찢김 (N/g/㎡) 혀모양 찢김 (N/g/㎡)
폴리에스테르 T781 경사 위사 2.22 2.20 0.66 0.68
실시예 1 경사 위사 2.59 2.37 0.77 0.74
실시예 2 경사 위사 3.14 3.10 0.86 0.75
실시예 3 경사 위사 3.35 2.94 0.86 0.79
나이론 T725 경사 위사 3.18 2.64 0.67 0.70
나이론 T743 경사 위사 2.32 1.80 0.78 0.75
폴리에스테르 T781, 실시예3 및 나이론 T743 직물들은 실리콘 고무로 코팅되어 있다(40g/m2). 코팅된 직물의 물리적 특성은 표5에 기재되어 있다.
샘플 중량 g/㎡ 방향 그랩 강도 (N) 그랩 신장률(%) 혀모양 찢김 (N) 혀모양 찢김 (N/g/㎡)
폴리에스테르 T781 221 경사 위사 1929 2058 27.3 32.1 251 259 1.13 1.17
실시예 3 210 경사 위사 1890 1792 32.0 38.0 293 316 1.39 1.50
나이론 T743 214 경사 위사 2241 2116 33.7 49.2 263 227 1.23 1.06
코팅후라 할지라도, 발명의 실시예3으로부터의 직물은 나이론과 종래 기술의 폴리에스테르 직물보다 우수한 찢김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7
다양한 수의 단섬유와 단면을 갖는 보다 높은 데시텍스(decitex) 방사(720dtex)들이 실시예1-3에서와 같이 만들어 졌다. 애스펙트 비는 단섬유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이다(원형 단면은 1.0의 애스펙트 비를 갖는다). 타원형 단면은 직사각형 방사구(紡絲口)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졌다. 처리조건들은 표6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단섬유 수 애스펙트비 인발속도 (m/min) 인발비 풀림비(%)
4 140 1.0 3000 5.95 12.5
5 192 1.0 3650 5.62 12.75
6 200 1.8 3218 5.55 13.0
7 200 1.8 4265 4.80 13.0
물리적 특성들은 표7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dtex 티내서티 (cN/tex) 신장률(%) 인장 인덱스 고온 공기 수축률(%)
4 720 69.9 28.1 371 2.5
5 728 69.9 26.6 360 3.0
6 722 74.0 27.5 388 3.5
7 720 68.1 22.9 325 4.0
이들 방사들은 평직으로 상업용 에어백 직물로 직조된다. 실시예4의 방사가 직물 4,5 및 6에서 경사(經絲)로 사용되었고, 실시예4, 5 및 6에서의 방사는 위사(緯絲) 방사로 사용되었다. 직물7에서 실시예7의 방사는 경사 및 위사로 사용되었다. 직물 특성들은, 나이론 직물에 대하여 설정된 규격과 비교하여, 표8에 기재되어 있다.
시험 단위 나이론 최소/최대 직물 4 직물 5 직물 6 직물 7
구조: 경사 위사 실시예4 실시예4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4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7
직물 중량 g/㎡ 220/270 238 241 246 262
구조: 경사 위사 쓰레드/dm 152/168 152/168 165 157 161 157 164 161 165 161
인장 스트립 강도: 경사 위사 N 2224 2224 3812 3432 3814 3411 3768 3464 2335 2482
인장 스트립 신장률: 경사 위사 % 25/55 25/55 30 41 30 37 32 35.5 32 43.5
그랩 인장 강도: 경사 위사 N 2224 2224 2790 2860 2744 2526 2736 2655 - -
그랩 인장 신장률: 경사 위사 % 25/55 25/55 38 50 40 47 39 51 - -
혀모양 찢김 강도: 경사 위사 N 200 200 219 217 230 237 230 216 228 231
혀모양 찢김 강도: 경사 위사 N/g/㎡ 0.74 0.74 0.92 0.91 0.95 0.98 0.93 0.88 0.87 0.88
정적 공기 투과율 l/d㎡/min 1/10 30 22.5 10 5.7
동적 공기 투과율 ㎜/sec 300/700 1490 1310 670 515
이들 직물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가 일반적으로 나이론 직물에 대하여 설정된 에어백 규격을 만족할 것임을 보여준다. 보다 높은 dtex/단섬유 위사 방사(실시예5)로 만들어진 직물과 720dtex 140 단섬유 경사를 갖는 타원형 단면의 위사 방사(실시예6)로 만들어진 직물은 모두 우수한 혀 모양 찢김 강도를 유지하였고, 반면에 직물 공기 투과율은 감소하였다. 경사와 위사에서 낮은 인발 인덱스(325)의 타원형 단면 방사(실시예7)로 만들어진 직물은 찢김 강도를 만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적 그리고 동적 공기 투과율 규격을 만족하였다.
실시예 8
보다 낮은 데시텍스의 원형 단면의 방사(70 단섬유들을 갖는 380 dtex)가 실시예1-3에서와 같이 만들어졌고, 상업용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 즉 코사의 T787 및 T781과 비교되었다. 낮은 데시텍스(decitex)의 방사가 측부 커튼 에어백에 사용되었다. 처리조건이 표9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인발속도 (m/min) 인발비 풀림비(%)
8 2000 6.2 20
폴리에스테르 타입 T781 3500 5.2 2.5
폴리에스테르 타입 T787 3750 5.4 13
물리적 특성들이 표10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dtex 티내서티 (cN/tex) 신장률(%) 인장 인덱스 고온 공기 수축률(%)
8 378 66.2 32.5 377 2.2
폴리에스테르 타입 T781 378 77.7 16.1 312 6.0
폴리에스테르 타입 T787 378 71.5 22.6 340 3.0
이 방사는 상업용 에어백 직물로 평직으로 직조되었다. 직물특성들이 아래 표11에 기재되어 있다.
시험 단위 실시예 8 폴리에스테르 T781 폴리에스테르 T787
직물중량 g/㎡ 170 160 166
구조: 경사 위사 쓰레드/㎝ 57 45 54 46 59 51
인장 스트립 강도: 경사 위사 N 2220 1978 2767 2055 2396 2124
인장 스트립 신장률: 경사 위사 % 58.8 48.0 30.0 22.2 38.5 30.8
그랩 인장 강도: 경사 위사 N 1852 1650 1855 1243 1774 1427
그랩 인장 신장률: 경사 위사 % 57.5 43.1 31.5 20.6 39.5 29.0
혀모양 찢김 강도: 경사 위사 N 136 121 116 108 109 104
혀모양 찢김 강도: 경사 위사 N/g/㎡ 0.80 0.71 0.73 0.68 0.66 0.63
사다리꼴 찢김 강도: 경사 위사 N 390 462 392 274 407 366
사다리꼴 찢김 강도: 경사 위사 N/g/㎡ 2.29 2.72 2.45 1.71 2.45 2.20
실시예7(표10을 보라)의 높은 인장 인덱스는 다시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직물보다 우수한 인장 찢김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 기재된 목적, 목표, 그리고 장점들을 충분히 만족하는 방사로부터, 방사, 방사를 제조하는 공정, 그리고 직물이 제공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전술한 설명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 및 그 원리들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개조 및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나이론 직물보다 동등하거나 우수한 사다리꼴 찢김 저항과 혀 모양 찢김 저항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을 제공한다.

Claims (26)

  1. 350 이상의 인장 인덱스를 갖는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며, 0.75N/g/m2 이상의 경사 그리고/또는 위사 혀 모양 찢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코팅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65 cN/tex 이상의 티내서티(tenacity)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는 200에서 800dtex의 리니어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
  5. 0.7N/g/m2 이상의 경사 및 위사 혀 모양 찢김 강도를 갖는 평직 폴리에스테르 직물 에어백으로 구성되는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7. 혀 모양 찢김 강도가 동일한 평직 직물구조 및 직물 중량의 나이론 에어백보다 동등하거나 우수하며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가지는 평직 직물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비원형 방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10. 65 cN/tex 이상의 티내서티, 300 이상의 인장 인덱스, 그리고 200에서 800 dtex의 리니어 밀도를 갖는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며, 상기 방사는 0.75N/g/m2 이상의 경사 혀 모양 찢김 강도를 갖는 평직 직물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0.7N/g/m2 이상의 경사 및 위사 혀 모양 찢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에어백.
  13. 혀 모양 찢김 강도가 동일한 평직 직물 구조 및 직물 중량의 나이론 에어백보다 동등하거나 우수하며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가지는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경사 그리고/또는 위사 단섬유들은 1.2 보다 큰 애스펙트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애스펙트 비는 1.2에서 6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위사는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공기 투과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클로로프렌,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경사 그리고 위사 단섬유들은 1.2 보다 큰 애스펙트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위사는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21. 0.75N/g/m2 이상의 혀 모양 찢김 강도와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가지는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며, 경사 그리고/또는 위사 단섬유들은 1.2에서 6 사이의 애스펙트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공기 투과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클로로프렌,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24. 350 이상의 인장 인덱스를 가지는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되며, 0.7N/g/m2 이상의 경사 및 위사 혀 모양 찢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150에서 300 g/m2 의 직물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된 폴리에스테르사는 200에서 800 dtex의 리니어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평직 직물.
KR1020057021787A 2005-11-15 2003-05-15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 KR10075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1787A KR100751545B1 (ko) 2005-11-15 2003-05-15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1787A KR100751545B1 (ko) 2005-11-15 2003-05-15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539A KR20060019539A (ko) 2006-03-03
KR100751545B1 true KR100751545B1 (ko) 2007-08-23

Family

ID=3712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787A KR100751545B1 (ko) 2005-11-15 2003-05-15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93B1 (ko) * 2009-03-20 2011-08-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4856A4 (en) * 2008-09-05 2013-03-20 Kolon Inc FABRIC FOR INFLATABLE SAFETY CUSH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2634298A1 (en) * 2012-03-02 2013-09-04 Beaulieu Technical Textiles N.V. Agricultural cove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7016A (en) 1988-10-28 1990-12-11 Stern & Stern Industries, Inc. Low permeability fabric
US5010633A (en) 1990-06-21 1991-04-30 Beloit Corporation Controlled deflection roll with heat barrier
US5540965A (en) 1993-10-13 1996-07-30 Teijin Limited Woven fabric for high performance air bag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7016A (en) 1988-10-28 1990-12-11 Stern & Stern Industries, Inc. Low permeability fabric
US4977016B1 (en) 1988-10-28 1998-03-03 Stern & Stern Ind Inc Low permeability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10633A (en) 1990-06-21 1991-04-30 Beloit Corporation Controlled deflection roll with heat barrier
US5540965A (en) 1993-10-13 1996-07-30 Teijin Limited Woven fabric for high performance air bag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93B1 (ko) * 2009-03-20 2011-08-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539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8280B2 (en) Polyester filament woven fabric for air bags
KR101445415B1 (ko) 에어백용 제직 폴리에스테르 직물
JP4584503B2 (ja) すだれ織物
KR101736421B1 (ko)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EP2423360B1 (en) Polyester fabric for an air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460917B1 (en)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 and tire-cord comprising the same
WO2010011086A2 (en) Poly(ethyleneterephthalate)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MXPA96004728A (en) Difficult flammable fabrics, containing polyester fibers modified with phosphorus, air cushions for protection against shock, manufactured with such fabrics and used
KR20110076140A (ko)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0751545B1 (ko)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직조된 에어백용 직물
JP2013514465A (ja) エアバッグ用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及びこれを利用した織物
KR101736422B1 (ko)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5696B1 (ko)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물
JP2007230406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7203753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1709261B1 (ko)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3888495B2 (ja) エアバッグ用織物
KR101953763B1 (ko) 시트벨트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CN101255944A (zh) 聚酯充气袋
KR101680203B1 (ko)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53019B1 (ko)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6177B1 (ko)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0202B1 (ko)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040245A (ja) 航空機用空気入りタイヤ
KR101802475B1 (ko)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