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115B1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115B1
KR100751115B1 KR1020050116411A KR20050116411A KR100751115B1 KR 100751115 B1 KR100751115 B1 KR 100751115B1 KR 1020050116411 A KR1020050116411 A KR 1020050116411A KR 20050116411 A KR20050116411 A KR 20050116411A KR 100751115 B1 KR100751115 B1 KR 10075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dd
display device
cartridge
rocker
hard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103A (ko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1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테두리 일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HDD 삽입부; 상기 HDD 삽입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HDD 장착부; 및 상기 HDD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HDD 장착부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HDD; 상기 HDD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HDD 장착부에 안착되는 각각의 HDD 카트리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양에 따라서 하드 디스크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용량이 높은 하드 디스크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환경에 맞는 하드 디스크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 HD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DD 삽입부의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DD 삽입부의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HDD 장착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DD 장착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DD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8은 HDD 카트리지가 HDD 장착부에 삽입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HDD 카트리지가 HDD 장착부의 내부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HDD 카트리지가 HDD 장착부에서 이탈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HDD 카트리지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HDD 삽입부 3 : HDD 카트리지 8 : HDD 장착부
10: HDD 커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PVR(Personal Video Record)기능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PVR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 보조기억장치가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상기 보조기억장치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개선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PVR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가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자기기의 내부에 대용량의 자체적인 보조기억장치가 내장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일정신호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진행상황에 따라서 저장된 신호를 독출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은 PVR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텔레비전을 예로 들 수 있고, 또 다른 기능으로서는 홈 시큐리티를 위하여 패쇄회로의 취득영상이 저장되는 영상저장장치를 예로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인 텔레비전에서 PVR 기능이 구현되는 방식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에 의해서 PVR 기능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의 내부에 보조기억장치인 하드 디스크(이하, Hard Disk Drive : HDD라고 한다)가 자체적으로 내장되고, 상기 하드 디스크를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서 방송신호등이 저 장되거나 재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텔레비전의 PVR 기능은 근래 들어 하드 디스크의 용량증가 및 파일압축기술의 발전에 의해서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 고정형으로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는, 저장된 영상이 현재 영상장치, 다시 말하면, 하드 디스크가 내장되는 그 자체로서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의해서만 시청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의 용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저장할 수 있는 영상의 용량 또한 제한적이어서 사용자는 특정 시간동안만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의 분야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고 용량의 하드 디스크가 개발되더라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작시에 내장되어 있던 하드 디스크만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이를 교체하는 등의 과정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나아가서, 하드 디스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과정 또한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구입시의 비용절감을 위하여, 구입시에 하드 디스크 내장형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구매하지 않은 구매자는 이후에는 고가의 텔레비전을 재구매하기 전까지는 PVR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소비자의 편의성을 개선하여 하드 디스크가 편리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드 디스크의 개발에 따라서 원하는 사양의 하드 디스크를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하드 디스크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에서 원하는 영상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애초에는 비용적인 요인에 의해서 하드 디스크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구매하지 못한 구매자도, 추후에 하드 디스크를 증설하여 편리하게 PVR 기능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테두리 일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HDD 삽입부; 상기 HDD 삽입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HDD 장착부; 상기 HDD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HDD 장착부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HDD; 상기 HDD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HDD 장착부에 안착되는 각각의 HDD 카트리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디서든지 하드 디스크만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도 하드 디스크에 수록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하드 디스크의 저장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하드 디스크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할 수 있음으로써 시청자의 기호를 다양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몸체의 일측부가 개구되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HDD 삽입부(2)와, 상기 HDD 삽입부(2)의 내부로 삽입되고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HDD 카트리지(3)가 제공된다.
상기 HDD 카트리지(3)는 그 양상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되듯이 상기 HDD 삽입부(2)에 장착과 탈착이 자유로와서, 필요할 때에는 HDD 삽입부(2)에 삽입되고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HDD 카트리지(3)를 빼내는 것은 디스플레이 기기(1)의 외면이나 리모컨에 장착되는 이젝트 버튼(9)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HDD 카트리지(3)는 그 내부에 HDD가 별도로 내장되는 것임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고, 상기 HDD 삽입부(2)의 내부에는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HDD 장착부가 제공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기 HDD 삽입부(2)에는 커버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HDD 삽입부에 HDD카트리지를 삽입한 후 커버를 HDD 삽입부에 덮어 씌움으로써 HDD 카트리지가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 때. 이젝트 버튼(9)은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커버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HDD 삽입부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양 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HDD 카트리지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HDD 삽입부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양 측면 하측에 형성되도록 함으 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두개 이상의 HDD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HDD의 가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각각의 HDD 삽입부에는 HDD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HDD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1)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양상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도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되는 설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HDD가 필요할 때에는 HDD 카트리지(3)의 내부에 별도의 HDD를 내장한 상태에서, 그 HDD 카트리지(3)를 상기 HDD 삽입부(2)를 통하여 HDD 장착부(8)에 장착시키면 소정의 연결단자에 의해서 HDD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체형으로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HDD가 별도의 물품으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부에서 내부로 장착되거나 이탈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을 판매할 때에는 HDD 장착부(8)와 그와 관련된 구성부분만이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는 구매자가 필요에 따라서 HDD를 구매하고, 그 HDD를 HDD 카트리지(3)에 넣고서 HDD 카트리지(3)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장착시키면 용이하게 PVR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DD는 별도의 물품으로서 이동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HDD 카트리지(3)만을 들고서 이동하고, 상기 HDD 장착부(8)가 구현되어 있는 다른 디스플렝이 기기(1)에 HDD 카트리지(3)를 넣으면 수록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 용량의 HDD로 교체를 하고자 할 때에는 HDD를 새로 구매하고 이를 HDD 카트리지에 넣고서 장착하기만 하면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HDD 삽입부에 결합되는 커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HDD 삽입부에 결합되는 커버(10)는 상기 커버가 결합시 디스플레이 기기의 백커버 표면부와 나란하게 놓이는 커버면부(12)와 상기 커버면부 상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HDD 삽입부에 결합시키는 커버 결합부(14, 16)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커버면부는 상기 HDD 삽입부를 덮을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커버 면부의 넓이는 HDD삽입부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면부의 상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면을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HDD 삽입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면부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커버면부의 하측으로 돌출된 커버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HDD 삽입부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HDD 삽입부를 덮는 커버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에 결합하게 되므로, 상기 커버의 커버면부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면부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상측 및 하측에는 삼각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상측 및 하측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HDD 삽 입부 내측과 접하는 면적을 넓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하측 돌출부에는 각각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HDD 삽입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HDD 삽입부 내측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가 HDD 삽입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HDD 삽입부의 커버는 HDD삽입부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부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HDD 삽입부의 일측 테두리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힌지 결합된 커버는 커버의 회동에 의해 HDD 삽입부를 개방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커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HDD 카트리지(3)와, HDD 장착부(8)의 관련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HDD 장착부의 사시도로서, HDD 장착부의 인근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커버구조가 제거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HDD 삽입부(2)와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는 HDD 장착부(8)가 형성된다.
상기 HDD 장착부(8)는,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4)와,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단자가 적어도 제공되는 홀더(5)와,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삽입된 상태에서 HDD 카트리지(3)의 장착위치가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로커(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로커(6)와 관련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로커(6)의 단부에 걸려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홈(도 4의 31참조)이 HDD 카트리지(3)의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5)의 내부에는 두 가지의 관련구성이 제공되는데, 먼저,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삽입되었을 때,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연결단자와 관련되는 구성과, 상기 로커(6)의 운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구성이 그것이다.
상기되는 홀더(5)의 내부구성을 도 3에 제시되는 HDD 장착부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의 내부에는 상기 홀더(5)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로커(6)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로커(6)의 회전중심축으로 동작되는 축(54)과, 상기 축(54)에 결합되는 피니언(53)과, 상기 피니언(53)에 치합되는 랙(52)과, 상기 랙(52)의 일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5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축(54)의 타측으로는 축(54)의 회전동작과 동일하게 회전동작되는 푸싱암(55)이 더 형성된다. 이들 구성은 어느 일측부에 대해서만 도면번호가 부여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도시되는 바에 의해서 명확하듯이 하측에도 동일한 양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삽입될 때, HDD 카트리지(3)의 이탈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0)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각 부재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로커(6)의 단부에는 소정 형상의 걸림부가 제공되어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HDD 카트리지(3)의 삽입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커(6)의 단부에는 부드럽게 경사지는 경사부(61)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삽입될 때 로커(6)가 약간 정도 시계방향(상측 로커)회전되어, HDD 카트리지(3)의 삽입동작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랙(52)과 피니언(53)은 양자가 치합됨으로써, 솔레노이드(51)에 의 병진운동이 상기 피니언(53)의 회전동작으로 바뀌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푸싱암(55)은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이탈동작 시에 HDD 카트리지(3)를 밀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HDD 카트리지(3)를 빼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51)는 랙(52)을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원으로서, 로커(6)의 걸림작용이 해제되도록 할 때에 랙(52)을 하방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0)는 사용자가 상기 HDD 카트리지(3)를 빼낼 때 빼내어지는 방향으로 일정정도의 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HDD 카트리지(3)를 당겨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이탈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HDD 카트리지와 HDD 장착부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DD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HDD 카트리지(3)는 육면체의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HDD(7)가 장착된다.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HDD(7)의 연결단자로서, 전원단자(72)와 시그널 단자(71)가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측면에는 상기 로커(6)에 의해서 HDD 카트리지(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고정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자세한 설명은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삽입동작이 순조롭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적어도 어느 일면은 커버의 개방 및 닫힘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HDD(7)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HDD(7)가 상기 HDD 카트리지(3)의 내부로 삽입된 다음에는 그 개방된 일면이 닫혀서, 삽입된 HDD(7)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HDD 카트리지가 HDD 장착부에 삽입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상기 홀더(5) 내부의 구성이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는 도면의 복잡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홀더(5)의 내부에는 도 3에 제시되는 각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도 6내지 도 7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HDD 카트리지(3)는 상기 삽입 가이드(4)에 의해서 안내된 상태에서 HDD 장착부(8)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삽입 가이드(4)는 도면 상에는 HDD 카트리지(3)의 삽입방향으로 상측과 하측에 길게 제공되는 벽의 형상으로 소개되고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제한된다고 볼 수는 없고, 롤러구조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면, 상기 로커(6)의 경사면(61)이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삽입단부에 닿아서 상기 로커(6)는 벌어지는 방향을 회전된다. 이후에,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일정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면 상기 시그널 단자(71)는 시그널 커넥터(57)에 끼워지고, 상기 전원단자(72)는 전원 커넥터(59)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HDD(7)와 디스플레이 기기(1)의 연결이 완전하게 되어 양자간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서, HDD(7)로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HDD(7)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디스플레이 기기(1)로 전달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단자(71)(72)와 커넥터(57)간의 연결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삽입위치는 상기 삽입 가이드(4)에 의해서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넥터(57)(59)는 상기 홀더(5)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HDD 카트리지과 HDD 장착부의 내부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단자와 커넥터 간의 연결이 완전하게 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로커(6)는 솔레노이드(51)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고정홈(31)의 내부에 걸림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단 상기 고정홈(31)의 내부에 로커(6)가 걸리게 되면, 외력에 의하더라도 HDD 카트리지(3)가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로커(6)가 이와 같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HDD 카트리지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로커(6)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51)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첫째, HDD 카트리지(3)가 로커(6)에 걸려서 로커(6)가 일정각도로 회전될 때에는 솔레노이드(51)에 의한 동작이 없는 다시 말하면, 외력의 제공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로커(6)가 자유롭게 일정각도, 다시 말하면 반시계방향(상측 로커에 있어서)으로 회전된다. 물론, 상기 로커(6)가 회전되는 것은 상기 경사부(61)가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삽입시에 HDD 카트리지(3)의 삽입단부에 밀리기 때문이다.
둘째, 상기 HDD 카트리지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51)에 전원을 인가하여 일정한 힘으로 상기 랙(52)을 상방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로커(6)(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의 로커)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커(6)의 걸림단이 상기 고정홈(31)에 걸려서 결국 HDD 카트리지(3)의 위치가 고정되고, 외력에 의하더라도 HDD 카트리지(3)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작용은 상기 단자(71)(72)와 커넥터(57)(59)의 연결상태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부에 의해서 감지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로커(6)의 단부에 탄성부재를 개입시켜서 로커(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근본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51)에 전원을 인가하는 등의 필요가 없이 로커(6)의 단부가 고정홈(31)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 탄성부재의 힘에 의해서 로커(6)와 고정홈(31)의 양자간에 걸리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로커(6)가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로커(6)를 회전시켜서 로커(6)가 고정홈(31)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다양한 다른 양태가 가능한 것도 물론이지만, 상기 고정홈(31) 에 상기 로커(6)의 단부가 걸려서 상기 HDD 카트리지(3)가 HDD 장착부(8)의 내부에스 그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0은 HDD 카트리지의 이탈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HDD 카트리지(3)를 빼내기 위하여 이젝트 버튼(9)을 누르면, 솔레노이드(51)(하측의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상기 랙(52)이 하방으로 당겨진다. 상기 이젝트 버튼에 의한 동작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부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이젝트 버튼부(91)가 동작되면, 그 신호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부(92)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92)는 구동부(93)를 제어하여 상기 HDD 카트리지(3)를 이탈시키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구동부(93)에 상기 솔레노이드(51)가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이젝트 버튼부(91)의 동작이 수행된 뒤에, 상기 솔레노이드(51)에 의해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랙(52)과 치합되는 피니언(53)과, 피니언(53)과 일체로 동작되는 로커(6)는 시계방향으로(상측 로커에 있어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로커(6)는 상기 고정홈(31)에서 빠지게 되고, HDD 카트리지(3)의 고정작용은 해제된다.
둘째, 상기 로커(6)에 의한 HDD 카트리지(3)의 고정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10)에 의해서 상기 HDD 카트리지(3)는 바깥쪽으로 밀리게 된다.
셋째, 상기 로커(6)와 상기 고정홈(31)의 걸림동작이 해제된 뒤에도 상기 솔레노이드(51)가 하방으로 계속해서 밀리게 되면, 상기 푸싱암(55)이 시계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어 푸싱암(55)에 의해서 HDD 카트리지(3)가 바깥쪽으로 밀려서 바 깥쪽으로 좀 더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푸싱암(55)의 미는 힘에 의해서 적어도 상기 단자(71)(72)와 커넥터(57)(59)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푸싱암(55)에 의한 상기 HDD 카트리지(3)의 제거동작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HDD 카트리지(3)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푸싱암(55)은 상기 HDD 카트리지(3)에 접하지 않아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로커(6)과 고정홈(31) 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기 전까지는 상기 푸싱암(55)이 상기 HDD 카트리지(3)를 밀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넷째, 상기 단자와 커넥터간의 연결상태가 해제된 뒤에도 일정거리 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0)에 의한 힘이 계속해서 상기 HDD 카트리지(3)에 작용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상기 HDD 카트리지(3)를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되는 네 단계의 수행은 그 순서가 바뀌어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0)의 미는 힘은 상기 로커(6)와 상기 고정홈(31) 간의 고정작용이 해제되기 전에도 가하여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만, HDD 카트리지(3)가 빼내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로커(6)와 상기 고정홈(31) 간의 걸림작용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10)가 HDD 카트리지(3)를 바깥쪽으로 밀고, 상기 푸싱암(55)이 상기 HDD 카트리지(3)를 바깥쪽으로 미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 HDD 카트리지가 수용되거나 이탈되는 작용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 HDD 카드리지가 수용될 수 있는 HDD 수용부를 하나 이상 마련하도록 하였다. 이 때,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HDD 수용부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양 측면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HDD 수용부의 위치가 변형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이다. 이 때, 제 2 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HDD 수용부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 양 단부에 형성되는 것만이 차이가 있다. 이 때, HDD 수용부로 삽입되는 HDD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으로부터 HDD 수용부로 삽입된다.
HDD 수용부를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 양단부에 형성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 양단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HDD 삽입부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에 HDD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지 않고도 HDD 삽입부에 HDD를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이다. 이 때, 제 3 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HDD 수용부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만이 차이가 있다. 이 때, HDD 수용부로 삽입되는 HDD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으로부터 HDD 수용부로 삽입된다.
HDD 수용부를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 상부에 형성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 상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HDD 삽입부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에 HDD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지 않고도 HDD 삽입부에 HDD를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도이다. 이 때, 제 4 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HDD 수용부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에 형성되고, 이때 하나 이상의 HDD 수용부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만이 차이가 있다. 이 때, HDD 수용부로 삽입되는 HDD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으로부터 HDD 수용부로 삽입된다.
HDD 수용부를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에 나란하게 형성하면, 사용자가 2개 이상의 HDD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할 때, 상기 제 3 실시예와 달리 움직이지 않고 한번에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두개 이상의 HDD 수용부가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 특히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HDD를 탈부착식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공간을 HDD가 삽입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 하지 않고서도 HDD 수용부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HDD 수용부를 디스플레이 기기에 형성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기기의 모서리부를 활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 내의 기존 부품들의 배치를 바꾸지 않고서도, HDD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드 디스크만을 예로들어 설명을 하고 있으나, 다양한 양상의 보조기억장치가 본 발명과 동일한 양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과 탈착이 가능한 상태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양에 따라서 하드 디스크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용량이 높은 하드 디스크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환경에 맞는 하드 디스크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판매할 때에 하드 디스크를 선택사양으로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구매시에는 PVR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였던 구매자도 필요를 느낄 때, 선택적으로 하드 디스크를 추가품목으로 구매하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HDD 카트리지가 적용됨으로써, 단일의 HDD 장착부에 대하여도 다양한 양상의 HDD를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테두리 일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HDD 삽입부;
    상기 HDD 삽입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HDD 장착부;
    상기 HDD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HDD 장착부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HDD; 및
    상기 HDD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HDD 장착부에 안착되는 각각의 HDD 카트리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상기 HDD 삽입부 및 HDD 장착부가 두 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DD 삽입부에는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DD 장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양 측면 하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DD 장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측 양 단부에 형성되고, HDD 삽입부가 상측으로 향한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DD 장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양 측면 상측에 형성되고, HDD 삽입부가 양 측방향으로 향한 디스플레이 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DD 장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디스플레이 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DD 장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 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포개어지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50116411A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기기 KR10075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411A KR100751115B1 (ko)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411A KR100751115B1 (ko)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103A KR20070058103A (ko) 2007-06-07
KR100751115B1 true KR100751115B1 (ko) 2007-08-22

Family

ID=3835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411A KR100751115B1 (ko)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0112A1 (en) * 2012-03-15 2015-08-06 Lee Warren Atkinson First and Second Housing and A Mass Storag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169A (ko) * 1992-04-15 1993-11-23 김영수 휴대용 컴퓨터의 hdd 착탈구조와 그 방법
KR20040034810A (ko) * 2002-10-17 2004-04-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리브에 단이 형성된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20050024461A (ko) * 2005-01-07 2005-03-10 정승묵 디빅스 멀티 플레이어 텔레비전.
KR20050103550A (ko) * 2004-04-26 2005-11-01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스크라이버 홀더
KR20050109792A (ko) * 2004-05-17 2005-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dd 착탈식 pv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169A (ko) * 1992-04-15 1993-11-23 김영수 휴대용 컴퓨터의 hdd 착탈구조와 그 방법
KR20040034810A (ko) * 2002-10-17 2004-04-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리브에 단이 형성된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20050103550A (ko) * 2004-04-26 2005-11-01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스크라이버 홀더
KR20050109792A (ko) * 2004-05-17 2005-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dd 착탈식 pvr
KR20050024461A (ko) * 2005-01-07 2005-03-10 정승묵 디빅스 멀티 플레이어 텔레비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103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30961A (ja) 携帯形電子機器
JP2007173179A (ja) 電子機器
JP2007174584A (ja) 電子機器
KR100747847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그 스탠드
KR10075111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TW527478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operation panel thereof,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27137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072204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용 하드 디스크 탈착 구조
KR10071745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하드 디스크 카트리지
CN100463499C (zh) 电子设备
TW200810529A (en) Electronic device
KR20070066063A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드 디스크 거치 구조
KR20070058392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070096077A (ko) 디스플레이 기기
JP4294008B2 (ja) 電気機器
JP200216388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
CN104517618A (zh) 便携终端用连接托盘装置
JP2004241091A (ja) 再生及び/又は記録装置
JP2004063255A (ja) スロットコネクタ
KR100751136B1 (ko) 디스플레이 기기
JP2003348680A (ja) 電子機器セット及びこれを構成する電子機器
KR100942578B1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기의 도어개폐장치
JP4269762B2 (ja) データ記録装置のメモリカートリッジ
JP4254331B2 (ja) データ記録装置
KR100782191B1 (ko)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