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768B1 -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768B1
KR100749768B1 KR1020060039963A KR20060039963A KR100749768B1 KR 100749768 B1 KR100749768 B1 KR 100749768B1 KR 1020060039963 A KR1020060039963 A KR 1020060039963A KR 20060039963 A KR20060039963 A KR 20060039963A KR 100749768 B1 KR100749768 B1 KR 100749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tank
water
washing machine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과정과 헹굼과정 중에 수조의 물이 넘침관을 통해 배수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세탁기가 고장난 것으로 잘못 판단하지 않도록 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넘침홀 주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보스와 보스에 연결된 넘침관을 포함하고, 보스는 그 하부에 상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단턱부와 넘침홀에서 단턱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각도로 상향으로 연장한 경사부를 구비하여 물이 보스를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넘침홀 주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보스, 그 상단부가 넘침홀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역U자 형상을 이루어 보스에 연결된 연결관, 연결관에 연결된 넘침관을 포함하여 물이 연결관을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Drum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회전조의 회전에 의해 수조의 물이 넘침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넘침관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회전조의 회전에 의해 수조의 물이 넘침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넘침관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수조 3: 회전조
7: 배수관 15: 넘침홀
20,20a: 보스 21: 단턱
22: 경사부 30: 넘침관
40: 연결관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탁과정과 헹굼과정 중에 회전저의 회전에 의해 수조의 물이 넘침관을 통해 배수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세탁기가 고장난 것으로 잘못 판단하지 않도록 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드럼세탁기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수조와 회전조가 설치되고, 하우징의 전면에는 도어가 힌지 결합되며, 회전조에 결합된 회전축이 수조의 후부 외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조를 가져서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회전조 안에 세탁물을 넣고서 수조에 일정량의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한 후 회전조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드럼세탁기는 또한 수조로 물을 공급할 때 수위센서의 오작동이나 급수밸브의 고장으로 인해 일정수위에서 물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수조로 물이 공급됨으로써 수조 바깥으로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넘침관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넘침관을 구비한 드럼세탁기의 실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24793호가 있다.
상기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넘침관이 수조의 후면 상부와 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가져서 수위센서 또는 급수밸브가 고장나서 수조로 지나치게 많은 물이 공급되는 경우 넘침관과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게 함으로써 물이 하우징 바깥으로 누 설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회전조가 회전함에 따라 수조의 하부에 담겨진 물이 세탁물과 함께 수조의 상부로 유동하게 되면서 일부의 물이 넘침관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게 되며, 이렇게 넘침관으로 흘러 들어간 물이 배수관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드럼세탁기가 정상적인 세탁과정을 수행하고 있을 때 수조에 있는 물이 배수관을 빠져 나가게 되면 사용자는 세탁기에 누설되는 부분이 있거나 세탁기가 고장난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수리요청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과정과 헹굼과정 중에 수조의 물이 넘침관을 통해 배수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세탁기가 고장난 것으로 잘못 판단하지 않도록 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회전조, 상기 수조의 상부에 형성된 넘침홀, 상기 넘침홀 주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보스, 상기 보스에 연결된 넘침관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그 하부에 상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스는 상기 넘침홀에서 상기 단턱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각도로 상향으로 연장한 경사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조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일정 각도로 하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도는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보다 더 크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스의 상단이 상기 넘침홀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리브가 상기 넘침홀의 상부를 막도록 연장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회전조, 상기 수조의 상부에 형성된 넘침홀, 상기 넘침홀 주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보스, 그 상단부가 상기 넘침홀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역U자 형상을 이루어 상기 보스에 연결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넘침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보스와 넘침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조의 상단에서 연장한 지지막대에 묶여져서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회전조의 회전에 의해 물이 넘침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넘침관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겨지는 수조(2)와, 수조(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탁물이 투입되어 세탁이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조(3)와, 하우징(1)의 개방된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4)를 구비한다.
수조(2)의 상부에는 수조(2)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관(5)과 세제 공급장치(6)가 배치되고, 수조(2)의 하부에는 세탁물의 세탁작업이 완료되면 수조(2)에 담겨진 세탁수를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7)과 배수밸브(8)가 설치된다.
회전조(3)의 후면에는 회전축(9)이 결합되어 수조(2)의 후면을 통해 연장하여 배치되며, 수조(2)의 후면 외측에는 회전축(9)이 결합되는 구동모터(10)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0)가 작동하게 되면 회전축(9)이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조(3)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드럼형상으로 형성된 수조(2)와 회전조(3)는 도어(4)와 마주하고 있는 전면부로부터 구동모터(10)가 설치된 후면부를 향해 일정각도로 하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된다. 이렇게 수조(2)와 회전조(3)의 전면부가 그 후면부에 비해 더 높게 배치되게 되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세탁물을 회전조(3)에 넣거나 회전조(3)에서 꺼낼 수 있게 된다.
회전조(3)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탈수공(3a)이 형성되어 세탁행정 시에는 수 조(2)에 담겨진 물이 회전조(3)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제가 용해되어 있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탈수행정 시에는 세탁수가 수조(2)를 통해 배수관(7)으로 유출되어 하우징(1)의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수조(2)의 상부에는 급수관(5)에 설치된 급수밸브(11) 또는 수조(2)의 내부에 설치된 수위센서(미도시)가 고장나거나 오작동되는 경우에 급수관(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수조(2) 바깥으로 넘쳐 흘러서 하우징(1)을 통해 드럼세탁기가 설치된 실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홀(15)과, 이 넘침홀(15)의 주위에서 수조(2)로부터 연장한 보스(20)가 마련되어 있고, 보스(20)의 단부에는 양단이 각각 보스(20)와 배수관(7)에 연결되어 넘침홀(15)을 통해 수조(2)로부터 넘쳐 흐르는 물을 배수관(7)으로 유도하여 실외로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넘침관(30)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보스(20)는 그 하부에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단턱부(21)를 구비하여 회전조(3)의 회전력에 의해 수조의 물이 넘침홀(15)을 빠져 나가더라도 이 단턱부(21)에 의해 막혀서 넘침관(30)으로 유동하지 않고 다시 수조(2)로 되돌아 오도록 한다.
또한, 보스(20)는 넘침홀(15)에서 단턱부(21)에 이르는 하단이 일정각도로 상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경사부(22)를 구비하여서 물이 넘침홀(15)을 빠져 나가더라도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22)에서 하향으로 흘러내리게 되어서 넘침관(30)을 통해 누설되지 않게 된다.
즉, 보스(20)는 그 하부에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22)와, 이 경사부(22)의 끝단에 마련된 단턱부(21)를 구비한 구조를 가져서 세탁과정 중에 회전조(3)의 회전에 의해 수조(2)의 물이 넘침홀(15)을 빠져 나가더라도 경사부(22)에 의해 물이 넘침관(30)으로 흘러 나가는 것이 1차적으로 방지되며, 설사 경사부(22)를 통과하더라도 단턱부(21)에 의해 2차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정상적인 세탁과정 중에는 수조(2)의 물이 넘침홀(15)을 통해 넘침관(30)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조(2)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수조(2)의 후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한 보스(20)의 상부도 수평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게 되는데, 보스(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부(22)와 수평선 사이에 형성된 경사각도(θ1)는 보스(20)의 상부와 수평선 사이의 각도에 해당하는, 수평선에 대해 경사진 수조(2)의 경사각도(θ2)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하여서 경사부(22)는 실질적으로 수평선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되며, 따라서 보스(20)로 흘러 들어온 물은 경사부(22)에서 낙하하여 다시 수조(2)로 되돌아 가게 된다.
정상적인 세탁과정 중에 수조(2)의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넘침홀(15)을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 넘침홀(15)의 상부에는 리브(15)가 형성되어서 보스(20)의 상단이 넘침홀(15)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보스(20)의 구조에 의해 세탁행정과 헹굼행정 중에 수조(2)의 물이 넘침홀(15)을 통해 넘침관(30)으로 빠져 나가서 배수관(7)으로 배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기가 고장난 것으로 잘못 판단하지 않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회전조의 회전에 의해 물이 넘침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넘침관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수조(2)의 물이 넘침홀(15)을 통해 넘침관(30)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스(20a)가 단순하게 수조(2)의 후면에서 관 형상으로 수직하게 연장한 구조로 되고, 이 보스(20a)와 넘침관(30) 사이에 역U자 형상의 연결관(40)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드럼세탁기는 제 1 실시예의 보스(20)에 비해 보스(20a)를 간편하게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수조(2)에서 넘침홀(15)을 통해 보스(20a)로 넘어온 물이 넘침관(30)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연결관(40)은 역U자 형상을 가져서 그 상단부가 넘침홀(15)보다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수조(2)의 물이 넘침홀(15)을 통해 보스(20a)로 넘어오더라도 보스(20a)보다 더 높은 상단부를 가진 연결관(4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관(40)을 보스(20a)와 넘침관(30)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연결관(40)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양단이 각각 보스(20a)와 넘침관(30)에 연결된 연결관(40)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해 수조(2)의 상단에는 이 수조(2)에서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막대(41)가 마련되어서 연결관(40)을 스트립(42)으로 지지막대(41)에 묶어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관(40)의 구조에 의해 세탁행정과 헹굼행정 중에 수조(2)의 물이 넘침홀(15)을 통해 넘침관(30)으로 빠져 나가서 배수관(7)으로 배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기가 고장난 것으로 잘못 판단하지 않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정상적인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조의 물이 넘침관을 통해 배수관으로 누출되지 않게 하는 구조를 가져서 사용자가 세탁기가 고장난 것으로 잘못 판단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수리 요청을 막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회전조, 상기 수조의 상부에 형성된 넘침홀, 상기 넘침홀 주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보스, 상기 보스에 연결된 넘침관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그 하부에 상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넘침홀에서 상기 단턱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각도로 상향으로 연장한 경사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일정 각도로 하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도는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보다 더 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상단이 상기 넘침홀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리브가 상기 넘침홀의 상부를 막도록 연장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60039963A 2006-05-03 2006-05-03 드럼세탁기 KR100749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963A KR100749768B1 (ko) 2006-05-03 2006-05-03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963A KR100749768B1 (ko) 2006-05-03 2006-05-03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768B1 true KR100749768B1 (ko) 2007-08-17

Family

ID=3861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963A KR100749768B1 (ko) 2006-05-03 2006-05-03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7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2062U (ko) 1973-12-20 1975-08-02
JPS56120183U (ko) 1980-02-16 1981-09-12
JPH10286396A (ja) 1997-04-16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溢水装置
JP2006109886A (ja) 2004-10-12 2006-04-27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2062U (ko) 1973-12-20 1975-08-02
JPS56120183U (ko) 1980-02-16 1981-09-12
JPH10286396A (ja) 1997-04-16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溢水装置
JP2006109886A (ja) 2004-10-12 2006-04-27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218B2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US8091569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AU2010203288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US20230323588A1 (en) Washing machine
KR20070000194A (ko) 드럼세탁기 가스켓의 배수장치
US7322217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216073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20100083208A (ko) 터브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0749768B1 (ko) 드럼세탁기
JP2020068927A (ja) 洗濯機
KR100757943B1 (ko) 드럼세탁기
KR101165628B1 (ko) 세탁기의 배수용 벨로우즈관
WO2023002711A1 (ja) 洗濯機
KR101461382B1 (ko) 세탁기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20080064301A (ko) 드럼세탁기
KR100238970B1 (ko) 세탁기
KR19990015991U (ko) 드럼세탁기의 물순환장치
JP3263550B2 (ja) 洗濯機
KR100458113B1 (ko) 세탁기의 세탁조 구조
KR101141642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JP2011120634A (ja) 洗濯機
KR101241898B1 (ko) 세탁기
JP2000233098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