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694B1 -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 Google Patents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694B1
KR100749694B1 KR1020060118256A KR20060118256A KR100749694B1 KR 100749694 B1 KR100749694 B1 KR 100749694B1 KR 1020060118256 A KR1020060118256 A KR 1020060118256A KR 20060118256 A KR20060118256 A KR 20060118256A KR 100749694 B1 KR100749694 B1 KR 10074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ead
shaped support
anchor
groun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훈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이형훈
이은숙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훈, 이은숙,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filed Critical 이형훈
Priority to KR102006011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앵커를 포함하는 지반보강재의 외부로 돌출된 두부를 효과적으로 녹화 처리할 수 있되, 기존의 앵커뿐만 아니라 신설되는 앵커의 두부도 처리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경사면 보강 및 녹화가 가능하게 된다.
앵커, 녹화

Description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GROUND ANCHOR HEAD AFFORESTATION MEANS}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경사면에 설치된 앵커, 상기 앵커의 설치단면도, 앵커 두부캡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캡형지지구에 따른 두부녹화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캡형 지지구와 결합되는 지반보강재의 두부캡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시공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에 의한 경사면 녹화처리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반보강재 200:두부녹화수단
210:캡형지지구 220:식재물
230:식재블록 300:지반
본 발명은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면 등에 삽입 설치되어 사면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앵커 등을 포함하는 지반보강재의 노출된 두부를 효과적으로 녹화 처리할 수 있는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경사면에 설치된 지반보강재로서 앵커(10)의 두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로 시공에 있어서, 산이 도로 예정 노선에 존재하여 장애가 되는 경우 산을 관통하는 터널을 시공하기도 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터널을 시공하지 않고 산을 타고 도는 도로를 축조하기 위하여 산의 일측면을 절취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산의 절취면은 통상 울퉁불퉁하게 파단 된 암반표면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암반표면이 아니라면 여러 토양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게 되므로 비가 내리는 등 지반의 지하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산사태를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산의 절취면(사면 또는 경사면)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앵커를 절취면에 삽입, 고정 시킴과 더불어 절취면에 그물망을 씌우기도 한다.
이때, 상기 앵커(10)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1a이다.
즉, 도 1a와 같이 다수의 앵커(10)가 경사면에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두부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앵커(10)는 도 1b와 같이 통상 천공홀(20)을 경사면(30)에 크롤라 드릴과 같은 소형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후,
원형 봉 부재로서 앵커부재(11,이때 앵커 외주면에 강선(12)을 더 설치하기도 한다)를 천공홀(20)에 삽입한 다음 미 도시된 팩커를 이용하여 앵커 선단에 구근을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천공홀(20)에 앵커부재(11)가 고정될 수 있도록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강선(12)을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앵커부재에 도입되도록 하면서,
앵커부재(11)의 두부 외주면에 나사부(13)를 형성시키고, 상기 나사부에 체결너트(14)가 체결되면서 지압판(15)에 지지되어 결국 앵커부재(11)가 경사면(30)에 조여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앵커부재(11)는 소정의 길이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경사면(30) 외부로 두부가 돌출될 수밖에 없어 미관을 해치기도 하고,
부식방재를 위하여 두부캡(16)을 씌어 최종 마감 처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두부캡(16)을 설치해도 도 1a와 같이 경사면에 두부캡(16)이 돌출된 상태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 역시 미관을 해치기는 마찬가지여서 보다 효율적인 앵커 두부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 등 지반에 설치된 앵커와 같은 지반보강재의 두부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도록 하되 용이하게 녹화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미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지반보강재(100)의 노출된 두부에 캡형 지지구(21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캡형 지지구(210)에 식재물(22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외부에서는 식재물(200)이 마치 지반에 설치된 것처럼 보여 지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캡형 지지구(210)는 기존에 설치된 두부캡(140)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새로이 설치되는 지반보강재(100)의 두부에 직접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또한, 캡형 지지구(210)와 상기 두부캡(140)은 단순 삽입결합, 나사체결결합 등에 의하여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식재물(220)은 캡형 지지구(210)에 고정된 나뭇가지, 나무 등도 될 수 있고, 생장이 가능한 식재블록(230)을 캡형 지지구(210)에 먼저 설치되도록 한 후, 상기 식재불록(230)에 다양한 종류의 식재물(2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캡형지지구에 따른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캡형 지지구와 결합되는 지반보강재의 두부캡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시공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 녹화처리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200)은 도 7과 같이 도로 등을 축조하기 위하여 산의 절취면(경사면, 수평지반도 될 수 있을 것이다.)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앵커와 같은 지반보강재(100)의 두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지반보강재(100)로서 절취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앵커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앵커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봉 형태의 앵커,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강선이 더 설치된 앵커,
표면에 에폭시가 코팅된 마이크로 앵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도 2a와 같이 상기 봉 형태의 앵커로서 두부 외주면에 나사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10)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20)가 지압판(130)에 지지되도록 하는 앵커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앵커의 두부는 절취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된 두부에 종래에는 도 1b와 같이 두부캡을 씌워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두부캡은 나사부(110) 및 체결너트(120)를 가리기 위해서는 유용하지 몰라도 두부캡 자체가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200)의 실시예 들을 아래에서 살펴본다.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먼저 나사부(110)가 형성된 앵커의 두부를 체결너트(120)에 의하여 지압판(130)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캡형 지지구(210)가 상기 두부에 삽입되도록 하되, 식재물(220)이 도 2b와 같이 캡형지지구(21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서, 종래의 두부캡을 사용하지 않고 캡형 지지구(210)와 식재물(220)이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20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캡형 지지구(210)는 일 측면이 개방되고, 타 측면이 폐쇄된 원통형 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식재물(220)은 상개 캡형 지지구(210)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캡형 지지구(210)와 일체화 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자연 식물일 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인공 나뭇가지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 2>
이러한 실시예 1에 의한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200)은 앵커를 신설하는 경우에 설치될 수 있는 예가 되고, 기존에 두부캡(140)이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는 굳이 기존의 두부캡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필요도 있게 된다.
이에 실시예 2는 기존에 앵커의 두부에 두부캡(140)이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두부캡(140)에 직접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200)을 설치하게 된다.
즉, 도 3a와 같이, 먼저 앵커의 두부에 기 설치된 두부캡(140)에 본 발명의 캡형지지구(210)가 삽입되도록 하되,
식재물(220)이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캡형지지구(21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서, 종래의 두부캡(140)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20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캡형 지지구(210)는 실시예 1과 같이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이 폐쇄된 원통형 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식재물(220)은 상개 캡형 지지구(210)의 표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캡형 지지구(210)와 일체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종래의 두부캡(140)에 캡형 지지구(210)가 단순히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이와는 다른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이러한 실시예 3에 의한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200)은 기존에 앵커의 두부에 두부캡(140)이 먼저 설치되도록 하되, 본 발명의 캡형 지지구(210)의 결합에 있어서,
즉, 도 4a와 같이, 먼저 앵커의 두부에 설치된 두부캡(140)의 개략 중앙 외주면에 돌출부(141)를 형성시키고,
본 발명의 캡형 지지구(210)에는 상기 돌출부(141)에 대응하는 슬립홈(211)을 형성시켜,
상기 슬립홈(211)에 돌출부(14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캡형 지지구(210)가 두부캡(1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캡형 지지구(210)의 단부는 관통홀(21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너트캡(212)이 끼워지되 그 선단면이 두부캡(140)에 맞닿도록 하여,
상기 너트캡(212)에 체결볼트가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추가적으로 캡형 지지구(210)가 두부캡(140)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식재물(220)은 도 4b 및 도 4c와 같이 캡형 지지구(21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은 위에서 살펴본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두부캡의 사용 실시예>
먼저, 도 5a의 상단의 경우에는 두부캡(140)에 있어 수평부재 형태로 제작되어 실시예 3과 같이 캡형 지지구(210)와의 결합을 위하여 개략 중앙 외주면에 돌출부(141)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형태의 두부캡(140)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재 형태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의 하단의 경우에는 특히 두부캡(140)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제작, 설치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즉, 두부캡(140)이 수평부재로 형태로 된 경우 그 경사각도에 따라 본 발명의 식재물(220)이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서 외관적으로 다수 불안하게 보일 수 있어 식재물(220)의 설치형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두부캡(140)이 상방 절곡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의 상단 및 하단의 경우에는 두부캡(140)에 돌출부가 아닌 수나사부(14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에 상기 수나사부(142)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는 캡형 지지구(210)의 내측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캡형지지구(210)가 두부캡(140)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두부캡(140)도 역시 수평부재의 형태 또는 상방 절곡된 형태로 제작,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시공예>
도 6a는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을 시공함에 있어서, 특히 실시예 3에 의하여 앵커의 두부를 처리하되, 식재물로서 상당히 큰 나무를 설치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나무는 결국 본 발명의 캡형 지지구(210)에 하단부가 삽입 고정됨으로서 나무로 산의 절취면을 녹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을 시공함에 있어서, 특히 실시예 3에 의하여 두부캡을 녹화시키되, 식재물(220)이 캡형 지지구(210)에 형성되도록 한 것이 아니라,
먼저 두부캡(140)에 식재블록(230)을 고정시키고, 상기 식재블록(230)에 식재물(220)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로서, 캡형 지지구(210)에 용이하게 생장할 수 없는 식재물(220)을 식재블록(230)에 심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재블볼은 보습제, 토양이 그물망에 싸여져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녹화수단(200)에 의하여 산의 절취면이 마치 식물이 식재된 것처럼 보일 수 있음을 보인 것이며, 도 1a와 비교하여 앵커의 두부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증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기존, 신설되는 앵커와 같은 지반보강재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미관이 우수한 절취면 보강 및 녹화가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5)

  1. 지반에 삽입 고정되되 두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앵커를 포함하는 지반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두부에 결합된 캡형 지지구; 상기 캡형 지지구에 형성된 식재블록; 및 상기 식재블록에 일체로 형성된 나무 또는 꽃을 포함하는 식재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형 지지구는 두부에 기 설치된 두부캡에 더 끼워져 결합되거나, 새로 설치된 지반보강재의 두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형 지지구는 직선형 또는 절곡형 관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캡형 지지구와 두부와 결합은
    상기 두부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돌출부에 캡형 지지구의 외측면에 형성시킨 슬립홈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캡형 지지구로부터 두부 캡의 외주면에 관통 설치된 너트캡에 체결볼트를 체결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5. 삭제
KR1020060118256A 2006-11-28 2006-11-28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KR10074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56A KR100749694B1 (ko) 2006-11-28 2006-11-28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56A KR100749694B1 (ko) 2006-11-28 2006-11-28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694B1 true KR100749694B1 (ko) 2007-08-17

Family

ID=3861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256A KR100749694B1 (ko) 2006-11-28 2006-11-28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6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586A (ja) 1998-02-13 1999-08-24 Koji Tamura アンカー付きネットプランター
JP2001107363A (ja) 1999-10-04 2001-04-17 Keiji Someya 傾斜地崩壊防止用アンカー及び該アンカー利用した傾斜地崩壊防止工法
KR100490958B1 (ko) 2005-01-14 2005-05-24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0415782Y1 (ko) 2006-02-07 2006-05-08 김수한 뗏장고정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586A (ja) 1998-02-13 1999-08-24 Koji Tamura アンカー付きネットプランター
JP2001107363A (ja) 1999-10-04 2001-04-17 Keiji Someya 傾斜地崩壊防止用アンカー及び該アンカー利用した傾斜地崩壊防止工法
KR100490958B1 (ko) 2005-01-14 2005-05-24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0415782Y1 (ko) 2006-02-07 2006-05-08 김수한 뗏장고정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623B1 (ko) 파이프형의 소일 네일링을 이용한 사면보강구조 및 방법
KR100593192B1 (ko) 도로 사면용 식생매트
KR100514576B1 (ko) 사면녹화 안정공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US20030221364A1 (en) Support system for trees and the like
KR100468886B1 (ko) 수목보호대를 이용한 식재 방법 및 그 수목보호대
JP6117135B2 (ja) 傾斜地の緑化工法
KR100749694B1 (ko) 지반보강재의 두부녹화수단
KR20090087775A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20110038886A (ko) 옹벽 연결구조물
KR20100033750A (ko) 전주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911286B2 (ja) 自然斜面安定化工法及び構造
KR100592117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옹벽구조
JP2000034731A (ja) 木 柵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KR100617393B1 (ko)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구근을 가진 사면보강재를 이용한사면안정공법
US9769993B1 (en) Tree stabiliz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0290926Y1 (ko) 수목보호대
JP4113470B2 (ja) 法面崩落防止工における埋設用アンカーおよび崩落防止工法
KR100388353B1 (ko) 사면 보강 및 녹화 공법
JP3066785B2 (ja) 植栽方法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KR200379964Y1 (ko) 절개지 조경용 격자패널
JP2008163741A (ja) 法枠の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100547476B1 (ko) 인장재와 뿌리식물에 의한 성토사면에서의 식생지반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