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096B1 -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096B1
KR100749096B1 KR1020060034049A KR20060034049A KR100749096B1 KR 100749096 B1 KR100749096 B1 KR 100749096B1 KR 1020060034049 A KR1020060034049 A KR 1020060034049A KR 20060034049 A KR20060034049 A KR 20060034049A KR 100749096 B1 KR100749096 B1 KR 10074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output
adjustment valu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 픽셀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픽셀플러스 filed Critical (주) 픽셀플러스
Priority to KR102006003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시브 방식(passive type)의 자동 초점(auto focus)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픽셀 어레이; 픽셀 어레이의 출력을 전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Image Signal Processor; ISP); 영상 신호 처리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제어부; 픽셀 어레이의 출력으로부터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초점 조절 값 산출부 및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렌즈부가 로컬 스캔하고, 주기적으로 렌즈부가 글로벌 스캔하도록 렌즈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고, 렌즈부가 로컬 스캔하는 경우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렌즈부가 글로벌 스캔하는 경우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영상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는 자동 초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 초점, 비디오 카메라, 패시브 방식, 프레임, 렌즈

Description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Video camera having an auto focusing device and auto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주유 부분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로컬 최적 초점(local maximum position)과 글로벌 최적 초점(global maximum position)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출력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렌즈
20 : 렌즈 위치 조절부
40 : 이미지 센서
41 : 픽셀 어레이
42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43 : 영상 신호 처리부
44 : 초점 파라미터 산출부
45 : 초점 조절 값 산출부
46 : 자동 초점 제어부
47 : 영상 출력 제어부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시브 방식(passive type)의 자동 초점(auto focus) 조절 장치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은 액티브 방식(active type)과 패시브 방식(passive type)으로 나뉜다.
먼저, 액티브 방식은 비디오 카메라의 한 부분에 적외선 또는 초음파의 송신 및 수신 장치를 설치하고, 송수신 되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분석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다. 액티브 방식은 적정 강도의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피사체를 향해 송신하여 반향 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피사체와의 거리를 검출하기 때문에 초점 조절 시간이 빠르다.
한편, 패시브 방식은 촬상 소자로부터 얻어진 영상 신호에서 콘트라스 트(contrast) 정보, 고주파수 정보, 윤곽(edge) 정보 등과 같은 콘트라스트 비례 정보를 매 프레임(frame)마다 검출하고 얻어진 콘트라스트를 이전 프레임의 콘트라스트와 비교하여 콘트라스트가 커지는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하여 가장 콘트라스트가 큰 상태에서 렌즈의 이동을 중단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다. 패시브 방식은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송수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송수신 장치 등을 외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거리 측정 장치의 노후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거리 측정 장치에 의한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패시브 방식은 영상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시차가 없으며, 피사체와의 거리가 멀거나 카메라 전방에 유리가 존재하거나 경사를 갖는 피사체 등 열악한 촬영 조건에서도 정상적인 초점 조절이 가능한바, 이런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카메라의 초점 조절 방식으로 패시브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패시브 방식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다.
비디오 카메라는 광학상을 집광하는 렌즈부(10)와, 초점 조절을 위한 렌즈 위치를 이동하는 렌즈 이동 모터(미도시)를 구동하는 렌즈 위치 조절부(20)와, 렌즈부(10)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30)는 렌즈부(10)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광전 변환을 통해 촬상하는 픽셀 어레이(31), 픽셀 어레이(31)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2)의 출력을 입력받아 자동 이득 제어(auto gain control) 등과 같은 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Image Signal Processor; ISP)(33)와, 다수의 대역 통과 필터나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요 대역 성분만을 취하여 이로부터 콘트라스트 비례 정보를 내재하고 있는 초점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초점 파라미터 산출부(34)와, 초점 파라미터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적분하여 초점 조절 값(focusing value)을 발생하는 초점 조절 값 산출부(35)와, 초점 조절 값이 최대가 되도록 렌즈 위치 조절부(20)를 제어하는 자동 초점 제어부(36)를 포함한다.
이러한 패시브 방식의 초점 조절 장치는 렌즈를 앞뒤로 조금씩 움직여 보면서 현재의 초점이 최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렌즈가 움직이는 거리가 크면 피사체에 대한 영상이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을 만큼 미세하게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미세한 거리에서만 움직이면서 초점 상태를 판단하다 보면 초점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최적의 초점이라고 판단하여 렌즈를 고정하였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렌즈의 위치가 글로벌 최적 초점(global maximum position)이 아닌 로컬 최적 초점(local maximum position)인 경우 최상의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렌즈를 크게 움직여서 현재 초점 위치가 로컬 최적 초점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렌즈를 크게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스크린 등의 영상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최적 초점 탐색 시에 렌즈를 크게 이동시켜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는 경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아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적 초점 탐색 시에 렌즈를 크게 이동하여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는 경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아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적 초점 탐색 시에 렌즈를 크게 이동시켜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는 경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아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주기적으로 렌즈를 크게 앞뒤로 이동시킴으로써 현재 초점이 글로벌 최적 초점(global maximum position)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와 같이 렌즈가 크게 이동할 때 촬영된 영상 정보는 표시수단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이 흔들리거나 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사체의 광학상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렌즈 위치 조절부; 및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픽셀 어레이;
상기 픽셀 어레이의 출력을 전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제어부;
상기 픽셀 어레이의 출력으로부터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초점 조절 값 산출부; 및
상기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가 로컬 스캔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렌즈부가 글로벌 스캔하도록 상기 렌즈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부가 로컬 스캔하는 경우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렌즈부가 글로벌 스캔하는 경우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영상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는 자동 초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b) 상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초점 위치를 로컬 스캔하여 최적 초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초점 위치를 주기적으로 글로벌 스캔하고, 당해 프레임의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주요한 용어는 다음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a) 로컬 스캔: 렌즈가 당해 거리를 한 번의 동작으로 이동하더라도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지 않는 거리 범위 내에서의 렌즈의 이동을 의미하고;
(b) 글로벌 스캔: 렌즈가 당해 거리를 한 번의 동작으로 이동할 경우,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흔들리거나 깨지는 거리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렌즈가 이동하는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비디오 카메라는 렌즈부(10), 렌즈 위치 조절부(20) 및 이미지 센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40)는 렌즈부(10)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광전 변환을 통해 촬상하는 픽셀 어레이(41)와, 픽셀 어레이(41)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2)의 출력을 입력받아 자동 이득 제어(auto gain control) 등과 같은 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43), 다수의 대역 통과 필터나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요 대역 성분만을 취하여 이로부터 콘트라스트 비례 정보를 내재하고 있는 초점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초점 파라미터 산출부(44), 초점 파라미터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적분하여 초점 조절 값(focusing value)을 발생하는 초점 조절 값 산출부(45), 초점 조절 값이 최대가 되도록 렌즈 위치 조절부(20)를 제어하는 자동 초점 제어부(46) 및 자동 초점 제어부(46)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출력 펄스 신호 VSYNC, HSYNC에 따라 렌즈부(10)가 로컬 스캔하는 경우에는 당해 프레임(Frame N)의 영상을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렌즈부(10)가 글로벌 스캔하는 경우에는 당해 프레임(Frame N)의 영상이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영상 출력 제어부(47)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동 초점 제어부(46)는 렌즈부(10)의 글로벌 스캔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랜덤 하게 또는 일정한 주기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주기로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동 초점 제어부(46)는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렌즈 위치 조절부(20)를 제어하여 매 프레임마다 렌즈부(10)를 로컬 스캔하면서 초점 조절 값이 최댓값이 되는 최적 초점을 탐색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0 프레임마다 한 번씩 렌즈부(10)를 현재의 초점 위치에서 크게 앞뒤로 글로벌 스캔시킴으로써 현재의 초점 값이 글로벌 최적 초점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어레이(4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2), 영상 신호 처리부(43), 초점 파라미터 산출부(44), 초점 조절 값 산출부(45), 자동 초점 제어부(46) 및 영상 출력 제어부(47)는 하나의 칩(one chip)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 초점 제어부(46)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출력 펄스 신호 VSYNC, HSYNC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글로벌 스캔이 수행되는 프레임(Frame N) 구간에서는 영상 신호 출력 펄스 신호 VSYNC(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signal), HSYNC(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signal)가 출력되지 않아 표시 장치에 당해 프레임(Frame N)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은
(a)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b)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초점 위치를 로컬 스캔하여 최적 초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d) 초점 위치를 주기적으로 글로벌 스캔하고,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b)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전기 신호를 자동 이득 제어, 감마 보정 및 상호 이중 샘플링 등 전처리 과정을 통해 오류 정정을 수행한다.
또한, (b)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e) 전기 신호에서 콘트라스트에 비례하는 정보를 갖는 초점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초점 파라미터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적분하여 상기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d) 초점 위치를 주기적으로 글로벌 스캔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초점 조절 값이 글로벌 스캔하기 이전 값보다 큰 경우 다시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초점 위치를 로컬 스캔하여 최적 초점을 탐색하고, 작은 경우 이전 초점 위치로 되돌아 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한 주기마다 렌즈를 글로벌 스캔하도록 하여 광역 최적 초점을 탐색하는 한편, 렌즈의 글로벌 스캔에 따른 화상의 흔들림이나 깨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피사체의 광학 상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렌즈 위치 조절부; 및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픽셀 어레이;
    상기 픽셀 어레이의 출력을 전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제어부;
    상기 픽셀 어레이의 출력으로부터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초점 조절 값 산출부; 및
    상기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가 로컬 스캔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렌즈부가 글로벌 스캔하도록 상기 렌즈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부가 로컬 스캔하는 경우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렌즈부가 글로벌 스캔하는 경우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영상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는 자동 초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대역 통과 필터 또는 고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요 대역 성분만을 취하여 이로부터 콘트라스트 비례 정보를 내재하고 있는 초점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초점 파라미터 산출부; 및
    상기 초점 파라미터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적분하여 상기 초점 조절 값을 발생하는 초점 조절 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는 자동 이득 제어, 감마 보정 및 상호 이중 샘플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제어부는 상기 자동 초점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출력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출력 펄스 신호는 수직 영상 신호 출력 펄스 신호 및 수평 영상 신호 출력 펄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하나의 칩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7. (a)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b) 상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초점 조절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초점 위치를 로컬 스캔하여 최적 초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초점 위치를 주기적으로 글로벌 스캔하고, 당해 프레임의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기 신호에 대한 자동 이득 제어, 감마 보정 및 상호 이중 샘플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e) 상기 전기 신호에서 콘트라스트에 비례하는 정보를 갖는 초점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초점 파라미터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적분하여 상기 초점 조절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g) 상기 (d)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초점 조절 값이 상기 (d)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c) 단계로 되돌아 가고, 작은 경우 이전 초점 위치로 되돌아 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KR1020060034049A 2006-04-14 2006-04-14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 KR10074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049A KR100749096B1 (ko) 2006-04-14 2006-04-14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049A KR100749096B1 (ko) 2006-04-14 2006-04-14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096B1 true KR100749096B1 (ko) 2007-08-13

Family

ID=3860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049A KR100749096B1 (ko) 2006-04-14 2006-04-14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27B1 (ko) * 2012-12-28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연속 자동 초점 조절 방법
KR101826226B1 (ko) 2016-05-02 2018-02-06 주식회사 토모큐브 자동 보정 집광렌즈를 이용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172A (ja) * 1993-02-05 199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焦点調整装置
KR950026193A (ko) * 1994-02-01 1995-09-18 김광호 필드 메모리를 이용한 자동 포커스 회로
KR20040036079A (ko) * 2002-10-23 2004-04-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개선된 자동 초점 조정 방법
KR20050062093A (ko) * 2003-12-19 2005-06-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172A (ja) * 1993-02-05 199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焦点調整装置
KR950026193A (ko) * 1994-02-01 1995-09-18 김광호 필드 메모리를 이용한 자동 포커스 회로
KR20040036079A (ko) * 2002-10-23 2004-04-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개선된 자동 초점 조정 방법
KR20050062093A (ko) * 2003-12-19 2005-06-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27B1 (ko) * 2012-12-28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연속 자동 초점 조절 방법
US9146446B2 (en) 2012-12-28 2015-09-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uto focus control apparatus and continuous auto focus control method
KR101826226B1 (ko) 2016-05-02 2018-02-06 주식회사 토모큐브 자동 보정 집광렌즈를 이용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9528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
CN111107263B (zh) 摄像设备和监视系统
US7596310B2 (en) Focus control device, image pickup device, and focus control method
US7609317B2 (en) Electronic camera and automatic focusing method for generating a light exposur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entral timing
US2014006329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
KR20070007437A (ko)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장치 및 그 방법
WO2015083539A1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271188B2 (ja)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831687B1 (en) Digital camera and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009145913A (ja) 電子式カメラ及び自動フォーカス方法
KR20090091597A (ko) 카메라의 백라이트 보정 장치 및 방법
US20140028881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method
JP2007052061A (ja) 撮像装置、合焦動作制御方法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2004140479A (ja) 固体撮像装置、カメ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00272423A1 (en) Shake correct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928799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to perform autofocus operation to a subject
JP201303101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49096B1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방법
JP6017641B1 (ja) 撮像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200709423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3087630A (ja) 動画像撮像装置
JP2006243745A (ja) 自動焦点検出装置
JP201709879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731014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20072392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