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432B1 -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432B1
KR100748432B1 KR1020050102606A KR20050102606A KR100748432B1 KR 100748432 B1 KR100748432 B1 KR 100748432B1 KR 1020050102606 A KR1020050102606 A KR 1020050102606A KR 20050102606 A KR20050102606 A KR 20050102606A KR 100748432 B1 KR100748432 B1 KR 10074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vibration
control unit
type
hearing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853A (ko
Inventor
안정근
이득희
김래현
하성도
박세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0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4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Neur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청각 장애인을 일상 생활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로서, 소리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소리를 증폭시키는 어댑터와, 여기서 상기 어댑터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며;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판단하는 처리 장치와;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그리고 상기 처리 장치와 상기 출력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의 결과에 따라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 구성되며, 일상 생활에서 위험 발생을 시각 및 촉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청각 장애인이 위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청각 장애인, 진동기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WEARABLE TERMINAL DEVICE FOR AURALLY IMPAIRED PERS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를 사람이 착용한 예시적인 형태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시각 정보 표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진동조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노트북, 제 2 제어 유닛 및 진동소자의 예시적인 상호연결 관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진동소자들의 소리의 방향에 따른 예시적인 진동표현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진동소자들의 소리의 종류에 따른 예시적 진동표현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마이크로폰
103: 노트북
104: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
105: 진동기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소리가 위험 상황에 해당하거나 기타 필요한 소리인 경우에, 이를 시각 또는 촉각 정보로 변환한 후에 청각 장애인에게 알려줌으로써 청각 장애인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일상 생활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입출력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일상 생활에서 청각 장애인의 불편함을 덜 수 있었다. 이러한 입출력 장치로는 골도(骨導) 전화기와 골도 헤드셋이 있다. 이들 양자는 소리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뼈를 통해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사용할 수 있는 대상에 있어 외이도, 고막, 중이 등 전음계 이상이 있는 사람에 한정되고 달팽이관, 청각신경등 감음계 계통이 이상이 있는 경우 소리를 전달받을 신경이 없기 때문에 소용이 없다. 또한 이 기기들은 특수한 기계 매체를 통해서만 전달되기 때문에 듣고 싶은 소리가 있어도 녹음해서 들어야 하고, 일상생활의 대화에 있어서도 특수 전화기가 있어야만 가능하고 오래 통화할 경우 경제적인 면에서 부담이 되기 때문에 청각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을 변화시키는데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일반 전화망을 이용해 음성 및 화상 통화가 가능한 LG 전자가 개발한 디지털 화상 전화기가 있다. 그리고 문자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기기로서는 광명텔레콤에서 개발한 문자통신 전화기와, 양방향 문자 휴대통신기기로서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증권 정보, 뉴스 정보, 데이터 통신 등 여러가지 유용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글로톡(GLOTALK)이 있다. 그러나 이 둘은 청각 장애인이 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형태의 정보만을 인식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청각 장애인들이 자유롭게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자막 수신 카드(PCI TV Tuner card)가 있다. 그리고 청각 장애인의 수화를 음성으로 합성하고, 건청인의 음성을 수화로 생성시켜 영상을 통해 쌍방간의 대화를 소통시킬 수 있는 수화 통역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에 더하여, 미국 GLOBAL에서 개발한 센서 전달기는 소리로 작동하는 알람 기기로 시계, 전화벨(팩스벨), 노크, 초인종 소리 등을 진동 또는 불빛으로 변환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이외에 청각장애인용 진동 시계나 FM 라디오 수신 기능이 있는 보청기 및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비스도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은 단지 의사소통이나 정보의 인식을 위한 것이며, 일상 생활에서 급작스러운 위험에 대해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장치들은 고가이며 휴대가 불편한 경우가 많다. 즉, 청각 장애인의 몸에 항시 부착되어 청각 장애인을 위험 발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했다. 따라서, 위험 요소들의 소리 정보를 인식하여 위험 정보인 경우에 이의 소리 종류와 방향을 촉각 또는 시각으로 청각 장애인에게 제시하여 일상 생활에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신체의 일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단말장치와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이용하여 벨트, 안경, 옷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착용형 단말장치를 개발하여, 청각장애인들이 일반인과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미리 정해진 특정한 소리정보(초인종, 전화벨, 자동차의 엔진, 경적 또는 폭발음과 같은 큰소리, 위험상황에 해당하는 소리, 아기 울음소리 등)을 주위 소음으로부터 추출하여, 소리의 종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시각 또는 촉각 정보로 제시하여 준다. 이때 촉각정보는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소리의 종류 또는 방향을 제시해 주고, 시각정보는 위험 또는 위급상황을 그림, 색상,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시스루 디스플레이(See-through display) 장치에 출력하여 청각 장애인이 위험 또는 위급상황을 인지하여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로서, 소리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소리를 증폭시키는 어댑터와, 여기서 상기 어댑터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며;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 여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판단하는 처리 장치와;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그리고 상기 처리 장치와 상기 출력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의 결과에 따라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입력장치로서 외부의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101)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폰(101)은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모자에 장착된다. 마이크로폰(101)은 외부의 소리를 수집하여 어댑터(102)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마이크로폰(101)은 바람직하게 4-옴니 마이크로폰(4-omni microphone)이며, 4개의 마이크로폰은 각각 8.5cm의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마이크로폰이 한 조를 이루며, 2조가 8채널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폰(101)에서 수집된 소리는 바람직하게 8채널 어댑터(102)로 보내진다. 8채널 어댑터(102)는 마이크로폰(101)에서 전달된 소리를 증폭시키고, AD(analog-to-Digital) 컨버터를 통해 마이크로폰(101)으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어댑터(102)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도 1에서 103으로 표시된 처리장 치에 전달한다. 상기 어댑터(102)와 처리장치(103)는 USB를 통해 연결된다. 처리장치(103)는 어댑터(102)로부터 수신된 증폭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소리의 종류 및 방향을 결정한다. 도 1의 처리장치로는 노트북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노트북 컴퓨터는 PDA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형태의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소리의 종류는 예컨대 초인종, 전화벨, 자동차의 엔진, 경적, 위험 상황에 해당하는 소리, 아기 울음소리, 및 x데시벨 이상의 큰 소리 등이며, 이는 처리장치(103)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x는 일반적으로 위험하다고 느끼는 소리 등, 예컨대 폭발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포함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처리장치(103)는 상기 마이크로폰(101)들 각각에 도착하는 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소리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처리장치(103)는 DTW와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댑터(102)로부터 전달된 소리와 처리장치(103)의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소리정보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감지된 소리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감지된 소리가 처리장치(103)의 사운드 카드에서 샘플링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리정보와 비교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소리정보에 해당하는지 분석된다. 그 다음, 수집된 소리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리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출력하지 않으며, 수집된 소리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리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이를 출력장치에 출력한다. 즉, 마이크로폰(101)에서 수집된 소리가 처리장치(10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리(위험 요소에 해당하는 소리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출력되어 청 각 장애인에게 인지될 수 있다.
저장된 소리에 해당하는 경우의 상기 소리의 방향 및 종류는, 청각 장애인이 시각 정보나 촉각 정보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 그 수단으로서, 도 1에서는, 시각정보 표현을 위한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see-through display device)(104)로서 안경을 도시한다. 이러한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도 3에 관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LCD와 같은 화면을 안경의 유리부분에 탈부착 식으로 제공하여 청각 장애인이 이를 통해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제 1 제어 유닛(106)이 상기 처리장치(103)와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104) 사이에 VGA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제 1 제어 유닛(106)은 처리장치(103)로부터 수신된 소리 정보를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104)에 표시할 수 있도록,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10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아기 울음소리가 감지되면 처리장치(104)가 제 1 제어 유닛(106)에게 아기 울음소리를 감지했음을 그 방향과 함께 전송한다. 그 다음, 제 1 제어 유닛(105)은 이에 해당하는 방향과 소리 종류를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104)에 표시하도록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104)를 적절하게 제어한다. 제 1 제어 유닛(105)은 LCD에 표시할 소리 종류, 방향성뿐만 아니라 밝기, 표시 내용의 크기, 위치, 및 표시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출력 장치로서, 촉각 정보를 진동형태로 출력하는 진동기(106)를 도시한다. 도 1은 진동기(106)를 예시적으로 조끼와 밴드에 부착한 것을 도시하며, 이러한 조끼 및 밴드에는 진동소자 가 장착되어 있다. 이 진동기(106)는 소리의 방향을 구분하여 전달할 수 있고(도 3에 관한 설명 참조), 소리의 종류에 따라서 진동 패턴을 달리하여(도 5에 관한 설명 참조)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정보를 촉각 정보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제어 유닛(107)이 처리장치(103)와 진동기(105) 사이에 RS23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이 제 2 제어 유닛(107)은 처리장치(103)로부터 소리 종류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진동기(106)를 제어한다. 즉, 감지된 소리에 해당하는 진동패턴과 방향에 따라서 적절하게 진동기가 진동하도록 하여, 소리를 촉각 형태로 청각 장애인에게 인지시킨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를 사람이 착용한 예시적인 형태의 정면과 측면을 도시한다. 청각 장애인의 모자에는 입력장치로서 4 옴니-마이크로폰(201)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4 옴니-마이크로폰(201)을 통해 수집된 소리는 어댑터(도1의 102 참조)에서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어 노트북(202)으로 USB(203)를 통해 전달된다. 노트북(202)은 이러한 소리를 처리하여 소리의 종류 및 방향을 판단하며, 이를 VGA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제 1 제어 유닛(204)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제어 유닛(204)은 노트북(202)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안경(205)과 제 1 제어 유닛(204) 사이의 케이블(208)을 이용하여, 청각 장애인이 시각적으로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안경(206)에 부착된 LCD(207)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노트북(202)에서 처리된 정보는 RS232 인터페이스(209)를 통해 진동 소자를 구비한 조끼(210) 및 밴드(211)에 전달되어, 진동을 통해 청각 장애인이 소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시각 정보 표현 들을 도시한다. 예컨대 아기 울음에 해당하는 소리가 청각 장애인의 오른쪽에서 들리는 경우에는 참조번호 301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오른쪽을 가리키는 화살표와 아기를 나타내는 모양을 LCD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화벨이 전방 좌측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30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경적소리가 후방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303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방향을 나타내는 방법은 단지 도면들과 같은 화살표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소리 종류를 나타내는 방법도 도면들과 같은 표현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색상, 깜빡임, 및 문자 등을 이용하여 소리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진동조끼의 단면도이다. 401은 진동소자들로서, 가슴 앞 부분에 A,B,C 및 D와 등 부분에 E,F,G 및 H로 표시된 진동소자들을 갖는다. 각각의 진동소자들은 소리의 방향과 종류에 따라, 제 2 제어 유닛(도 1의 107 참조)에 저장된 진동패턴에 따라 진동하여, 청각 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상세한 내용은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402는 제 2 제어 유닛으로서, 도 5와 같이 RS232 인터페이스(도 2의 209 참조)를 통해 노트북으로 표시된 처리장치(도 1의 103 참조)와 연결된다. 제 2 제어 유닛(402)은 처리장치(도 1의 103)로부터 전달된 소리의 종류와 방향에 따라서 진동소자들이 진동하도록 한다. 진동소자들(A,B,..., 및 H)은 전선(403)을 통해 각각 제 2 제어 유닛(402)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진동 소자들(A,B,..., 및 H)은 조끼를 형성하는 옷감에 부착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진동소자들의 소리의 방향에 따른 예시적인 진동표현방법을 도시한다. 제 2 제어 유닛(도 4의 402)은 진동소자들을 제어하여, 방향에 따라서 선택된 진동소자들을 진동하게 함으로써 청각 장애인이 그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전방(FF)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A,B,C 및 D)가 진동하도록 하고, 전방 우측(FR)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C 및 D)가 진동하도록 하고, 우측 측면(RR)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C,D,E 및 F)가 진동하도록 하고, 후방 우측(FR)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E 및 F)가 진동하도록 하고, 후방(BB)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E,F,G 및 H)가 진동하도록 하고, 후방 좌측(BL)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G 및 H)가 진동하도록 하고, 좌측 측면(LL)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A,B,G 및 H)가 진동하도록 하고, 그리고 전방 좌측(FL)에서 소리가 감지되면 진동소자(A 및 B)가 진동하도록 하여 그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표시는 단지 예시적인 방법이며, 다른 수의 진동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방법으로 방향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각정보와 달리 촉각으로 어떤 종류의 소리인지 청각 장애인에게 전달해주는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소리마다 차별을 두어 진동소자를 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리에 따라 서로 다른 진동패턴이 제 2 제어 유닛(도 4의 402)에 이미 저장되어 있어서, 제 2 제어 유닛(도 4의 402)은 감지된 소리에 따라서 그에 해당하는 진동패턴에 따라 진동소자들을 울리게 할 수 있다. 이때, 진동 패턴은 가능한 실제 소리와 비슷하도록 하여, 청각 장애인이 직관적으로 소리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진동소자들의 소리의 종류에 따른 예시적 진동패턴을 도시한다. 도시된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소리의 예시적인 진동패턴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에 따라서 t휴지, t진동, 및 진동 주파수를 전압으로 조정하여 여러 종류의 진동패턴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t휴지는 진동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 기간이고, t진동은 진동하는 시간 기간이다. 또한 도 7의 그래프의 x축은 오른쪽 방향으로 시간 t가 증가하는 방향이고, y축은 위쪽 방향으로 주파수 레벨이 증가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의 소리의 경우에는 전압을 높게 하여 t진동 동안에 진동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하고, 낮은 주파수의 소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전압을 낮게 하여 t진동 동안에 진동이 느리게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특정 소리에서 그 소리가 연속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끊김이 있는 경우에는 t휴지를 진동 사이에 끼워넣어서 실제와 유사한 느낌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t진동과 t휴지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그 시간 길이를 변화시키고, 또한 t진동 동안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여러 소리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4) 및 진동기(도 1의 105) 모두가 각각 소리의 방향과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에서는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리의 종류만을 표시하고, 진동기는 소리의 방향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시각정보 또는 촉각정보 이 두가지 모드는 청각장애인들이 원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상생활 동안에 위험상황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청각 장애인에게 시각 또는 촉각 형태로 인지시킴으로써, 청각 장애로 인한 일상 생활의 불편함 또는 위험 상황을 극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기반 기술들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러한 기술들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약자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범위가 다양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로서,
    소리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소리를 증폭시키는 어댑터와, 여기서 상기 어댑터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며;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판단하는 처리 장치와;
    상기 처리 장치에서 판단된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미리 정해진 진동패턴에 의해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그리고
    상기 처리 장치와 상기 출력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의 결과에 따라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소리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소리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소리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소리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소리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소리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소리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에 상기 소리의 종류 및 방향을 신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시스루 디스플레이(see-through display)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제 1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여, 청각 장애인이 시각을 통해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진동소자들을 구비한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진동 패턴에 따라 상기 진동 장치를 제어하여, 청각 장애인이 촉각을 통해 상기 소리의 종류와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유닛에는 소리정보에 따른 상기 진동패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전압을 조정하여 진동이 없는 t휴지 시간 기간과 진동이 일어나는 t진동 시간 기간, 그리고 진동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진동패턴들이 소리에 따라 서로 다르게 되며,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처리장치에서 전달된 소리 종류 및 방향에 해당하는 진동패턴에 따라 상기 진동장치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장치.
KR1020050102606A 2005-10-28 2005-10-28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 KR10074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06A KR100748432B1 (ko) 2005-10-28 2005-10-28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606A KR100748432B1 (ko) 2005-10-28 2005-10-28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853A KR20070045853A (ko) 2007-05-02
KR100748432B1 true KR100748432B1 (ko) 2007-08-13

Family

ID=3827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606A KR100748432B1 (ko) 2005-10-28 2005-10-28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4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94B1 (ko) 2009-09-25 2010-11-10 이세현 인체진동체감기를 갖는 언어학습기 및 그 방법
KR101525468B1 (ko) * 2013-06-18 2015-06-03 한국기계연구원 청각 보조시스템
KR20220133501A (ko) * 2021-03-25 2022-10-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장애인을 위한 소리 변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27B1 (ko) * 2012-05-30 2014-01-27 에이알비전 (주) 청각장애인을 위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
KR102143957B1 (ko) * 2019-03-21 2020-08-12 박주연 청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308A (ko) * 2000-06-26 2000-11-06 박동윤 청각 장애인용 피부촉각 음향 인식기
KR200336514Y1 (ko) 2003-05-22 2004-03-19 조영준 액정표시 기능을 갖는 청각장애인용 진동형 무선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308A (ko) * 2000-06-26 2000-11-06 박동윤 청각 장애인용 피부촉각 음향 인식기
KR200336514Y1 (ko) 2003-05-22 2004-03-19 조영준 액정표시 기능을 갖는 청각장애인용 진동형 무선 경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94B1 (ko) 2009-09-25 2010-11-10 이세현 인체진동체감기를 갖는 언어학습기 및 그 방법
KR101525468B1 (ko) * 2013-06-18 2015-06-03 한국기계연구원 청각 보조시스템
KR20220133501A (ko) * 2021-03-25 2022-10-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장애인을 위한 소리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530185B1 (ko) 2021-03-25 2023-05-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장애인을 위한 소리 변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853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7617A1 (en) Designer control devices
US6240392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af and mute persons
CN110312181B (zh) 自行车行驶用接听装置及自行车系统
CN108496345B (zh) 笔型呼入呼出通话装置
TWI754896B (zh) 發話接聽器及行動電話系統
KR100748432B1 (ko)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단말 장치
JP2006333058A (ja) 骨伝導式携帯電話
EP2736272A1 (en) Wearable microphone array apparatus
JP6513839B2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US20020158816A1 (en) Translating eyeglasses
JP2020113982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ポートシステム
KR101354927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
US7830271B2 (en) Audio coordinated visual indicator
EP3113505A1 (en) A head mounted audio acquisition module
KR20100004642A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55830B1 (ko) 안경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8649A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KR101833030B1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0087162A (zh) 一种骨传导降噪通信方法及通信耳机
US20230292064A1 (en) Audio processing using ear-wearable device and wearable vision device
KR20220121384A (ko) 손목 착용형 소리 시각화 및 촉각화 장치
WO2020117089A1 (ru) Система коммуникации для лиц с нарушениями слуха и зрения
JP2024034347A (ja) 音発生通知装置および音発生通知方法
Divya et al. IoT based Divyang Assistant Technology: Your Hearing Support
CA3239888A1 (en) A sound receiver watch for non-surgical hear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