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035B1 -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035B1
KR100748035B1 KR1020060017103A KR20060017103A KR100748035B1 KR 100748035 B1 KR100748035 B1 KR 100748035B1 KR 1020060017103 A KR1020060017103 A KR 1020060017103A KR 20060017103 A KR20060017103 A KR 20060017103A KR 100748035 B1 KR100748035 B1 KR 10074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ovasome
cosmetic composition
phospholipid
niacin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일
채병근
김연준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1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용 유용성분을 포집하여 안정화시킨 비인지질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보습제로서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캡슐레이션의 한 형태인 비인지질 베지클(노바좀)의 형태로 안정화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비인지질 베지클, 피부보습,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질, 니아신아마이드, 히아루로닉애씨드, 화장료, 각질분화, 노바좀

Description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Useful Ingredients Capsulated with Non-Phospholipid Vesicle}
본 발명은 화장료용 유용성분을 포집하여 안정화시킨 비인지질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보습제로서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캡슐레이션의 한 형태인 비인지질 베지클(노바좀)의 형태로 안정화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수분의 건조를 막는 주요 기관이다. 수분 건조를 막기 위하여 피부의 표피층에서 분화라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는 얇은 각질층(Stratum Corneum)이 발달하게 된다(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the skin Vol.1). 구조적으로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로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Thomas Forster et al., Cosmetic lipids and the skin barrier 2002).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s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 분 보유를 돕는다. 상기 자연보습인자는 아미노산 등 수용성으로, 효과적으로 수분에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Thomas Forster et al., Cosmetic lipids and the skin barrier 2002). 따라서 정상적인 피부의 보습을 위해서는 세포간 지질의 보충 뿐 아니라, 수용성 성분도 필요하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피부가 건조하게 되는 경향을 보이며, 실내난방 및 오염된 대기에 노출됨에 따라 피부보습제의 필요가 증가되고 있다. 종래 피부보습제는 폐쇄 보습제(Occul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지질을 보충하는 방식이 행하여져 왔다(Thomas Forster et al., Cosmetic lipids and the skin barrier 2002). 상기 폐쇄보습제의 성분으로서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 뿐 아니라 필수지방산 및 지질 복합체 등이 사용되었다 (Thomas Forster et al., Cosmetic lipids and the skin barrier 2002). 즉, 기존의 화장품과학자의 연구는 단순히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찾는데 한정되어 있었다.
최근, 각질층의 분화가 피부수분의 건조를 막는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즉, 기저층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최외곽 각질층의 각질세포로 발달되는 분화과정이 정상적으로 행해져야 피부 수분보유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각화의 과정 중 세포는 자연보습인자와 세포간 지질을 생성하므로, 그 결과 각질층은 견고하고 유연하여져서, 방어벽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람의 연령이 증가되면서 피부가 건조해지는 경향이 관찰되는 것은 생리적 으로 보면, 각질층의 탈락 시간이 길어지거나 표피세포의 지질 합성능력이 저하 또는 피부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의 감소에 따른 것이다. 연령 증가에 따른 피부 장벽기능의 형성능력 저하 및 과다 각질 형성으로 인한 피부 건조감은 표피세포에서 정상적인 분화과정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장벽의 강화를 유도 및 피부 수분 유지 기능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보습제의 역할도 단순히 각질층 구조성분의 수분을 증가시키는 것에서 각질층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 보습을 위한 유효 물질의 안정화를 위해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은 필수적인 문제로 피부 수분 증대화 유용물질 전달 등을 위해 리포좀(LIPOSOME), 비인지질 베지클(노바좀; NOVASOME)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리포좀은 생체막과 유사한 형태로 양친매성 인지질로 이중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베지클(vesicle)로 최근의 리포좀에 관한 연구는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리포좀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포스포리피드 리포좀의 경우 포스포리피드가 생체 구성 요소이긴 하나 대부분의 인공적인 세포막(artificial membrane)의 구성 요소로 적합한지에 고려해 볼 물질이며, 또한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정제와 합성하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는 점과 유기 용매 사용아래 포스포리피드 리포좀을 생산하는 것을 대량화하는데 많은 비용과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비-인지질(non-phospholipid),“세포막과 비슷한(membrane mimetic)”양친매성(amphiphile)으로 관심이 증대되었다. 비-인지질 베지클로는 미국 노바백스사의 노바좀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노바좀은 큰 ‘카르고(cargo)’홀드(hold)를 2~7개의 다중 이중-레이어(bi-layer)가 감싸고 있는 형태로 카르고 홀드 안의 유효 성분이 이중-레이어를 통해 통과된다. 노바좀의 장점은 꾸준히 사용될 수 있는 지방산(fatty acid),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류와 같은 값싼 재료에서 만들어진다는 점과 내부에 안정하고 커다란 코어(core)를 갖고 있어 다양한 물질을 포집(entrap)하고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노바좀 베지클은 사용하려는 카르고 물질에 따라 수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인에 따라 카르고를 방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온도, pH, 쉐어(shear)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 아래 좋은 안정성을 보인다. 또한 상업적인 대량화가 용이 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에 사용하는 유용성분을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함으로써 안정화하여 유용성분이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화장료용 유용성분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보습에 유용한 성분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지질류, 피부세포의 각질 분화과정을 촉진시키는 니아신아마이드 및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히아루로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성분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용 유용성분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용 유용성분은 피부 보습에 유용한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에 유용한 성분은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지질류는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용 유용성분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2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인지질 베지클, 즉 노바좀의 형태로 포집되어 함유되는 유용성분은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혼합의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은 지질류에 속하는 것으로 피부장벽을 강화를 촉진하며, 상기 세라마이드(ceramide)는 각질층(stratum cornium)의 세포간(intercellular) 공간에서 관찰되는 이중층 구조 형성의 기본으로서, 표피를 통한(transepidermal) 과도한 수분 손실과 피부 보습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은 탄소의 긴 사슬로 이루어진 염기성의 아미노 다가 알코올 화합물로 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세포표면에서 일어나는 생리작용에 필수적인 당스핑고지질과 인스핑고지질 등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생화학적으로 중요한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피부나 세포막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세포성장 조절과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람의 피부조직에서 세라마이드(ceramide)의 한 구성성분으로 각질층에 존재한다.
니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세라마이드 생합성과 각질층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세포재생(cellular regeneration)을 활성화하여 피부 세포의 각질분화 과정을 촉진시킨다.
히아루로닉애씨드(hyaruronic acid)는 글리코스아미노글라이칸(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피부의 진피에 존재하는 고분자 물질로서, 피부내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우수하여 피부표피에 보습막을 형성시켜 피부내부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며, 진피층에서 젤리상의 메트릭스를 형성하여 피부세포를 탄탄하게 지지하며 콜라겐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인지질 베지클 즉, 노바좀은 선행문헌(Chambers et al., Vaccine, 22, 1063-1071, 2004)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인지질 베지클을 노바좀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노바좀은
1) 양친매제와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
2)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상기 1)의 혼합 수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혼합액에 50 내지 100℃로 가온하여 고속 주사(high velocity injection)한 후 혼합하면서 20 내지 30℃로 냉각시켜 유용물질을 함유하는 노바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양친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폴리옥시에틸렌-2-세틸 에테르 플러스 모노포스포릴 리피드 A(polyoxyethylene-2-cetyl ether plus monophosphoryl lipid A)가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노바조의 제조시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혼합 지질류는 0.1~10중량%, 니아신아마이드는 0.1~20중량%, 히아루로닉애씨드는 0.1~20중량%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성분을 0.1 중량% 미만 사용하면 노바좀의 수율 또는 효능면에서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10 중량% 또는 20중량%를 초과 사용하면 노바좀으로 캡슐레이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더욱 바람직하게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의 피부보습용 유용물질은 노바좀 제조시 각각 0.5~5중량%를 사용한다.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피부보습용 유용물질 함유 노바좀은 피부 각질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고, 피부보습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용중지 후 2주 경과시에도 보습력이 유지되어 장기적인 보습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용 유용물질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노바좀)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2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을 사용하는 경우 노바좀 내에 포집되는 유용물질의 효과가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형의 안정화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및 왁스성분 5~30중량%, 정제수 및 수용성성분 10~90중량%, 유화제 0.1~10중량%, 방부제 0.01~1.0중량%, 향 0~1.0중량% 및 색소 0~1.0중량%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질류로서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3(ceramide 3, 두산)을 사용하였으며, 피토스핑고신은 사람의 피부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D-erythro form(2S, 3S, 4R, 두산)로 효모의 발효에 의하여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니아신아마이드는 니코틴아마이드(nicotinamide, 머크사(Merck))를 사용하였으며, 히아루로닉애씨드는 글루쿠로닉애씨드(glucuronic acid)와 엔-아세틸-디-글루코사민(N-acetyl-D-glucosamine)을 결합하여 얻은 자연의 뮤코다당류 (mucopolysaccharide, 솔라비아(solabia)사)를 사용하였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3] 유용물질을 포집한 노바좀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무게 조성 비율로 양친매제인 폴리옥시에틸렌-2-세틸 에테르 플러스 모노포스포릴 리피드 A(Polyoxyethylene-2-cetyl ether plus monophosphoryl lipid A (MPL))와 정제수를 터뷸런스 혼합하면서 하기 표 1의 조성 비율로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부터 선택되는 유용물질을 혼합하여 80℃로 가온한 후 고속 주사(high velocity injection)한 다음 터뷸런스 혼합 하에서 25℃로 냉각하여 유용물질이 캡슐레이션된 노바좀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6012874945-pat00001
[실험예 1] 세포에서의 분화유도실험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지질류 함유 노바좀, 니아신아마이드 함유 노바좀 및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을 이용하여 각질 형성세포에서의 분화 유도를 하기와 같은 실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약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하기 표 2의 혼합 노바좀 조성물을 배양된 각질형성세포에 4일간 처리한 후 Urea 및 SDS로부터 선택되는 denaturant와 DTT 및 beta-mercaptoethanol로부터 선택되는 환원제를 혼합하여 녹아나는 단백질을 제거한 후 남는 각질층을 310nm에서 펩타이드 농도를 측정하여 그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아무런 처리도 하지않은 비처리군을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양 성대조군으로서 노바좀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고농도 칼슘(1.5 mM)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표 2] 노바좀 혼합물의 조성
Figure 112006012874945-pat00002
[표 3] 분화유도 효과
Figure 112006012874945-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질분화 유도 효과는 A 조성인 제조예 2의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노바좀의 처리만으로도 나타났으며, B, C 및 D 조성은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노바좀,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 및 지질류 함유 노바좀의 혼합에 의해 그 효과가 상승하였다. 특히 D 조성의 경우 가장 분화유도 능이 80%까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동물에서의 장벽회복실험
상기 실험예1에서 확인한 분화유도능과 피부 장벽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상기 표 2의 노바좀 혼합물의 조성으로 장벽회복능을 하기의 실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무모생쥐에 아세톤을 반복적으로 도포하여 장벽기능을 손상시킨 후 표피수분 손실량(TEWL, transdermal water loss)을 servomed 사(스웨덴) evaporimeter EP1으로 측정하여 4.0 g/m2/h에 도달하면 상기 표 2의 노바좀 조성물이 함유된 시료를 5cm2 면적에 도포하여 손상된 장벽 상태를 100으로 하여 표피 수분 손실량(TEWL)을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장벽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측정은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경과 후에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노바좀 조성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서 공지의 지질혼합물(ceramide, cholesterol, fatty acid의 2:1:1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표 4] 노바좀 혼합물의 조성에 따른 장벽회복 효과
Figure 112006012874945-pat00004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B, C 및 D의 노바좀 혼합물 조성의 경우 양성대조군과 비교해볼 때, 거의 유사한 회복 효과를 보였다. 니아신아마이드 함유 노바좀만으로 구성된 A와,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만으로 구성된 물질E에서는 장벽회복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따라서 지질류 함유 노바좀, 니아신아마이드 함유 노바좀 및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이 혼합된 노바좀 혼합물에 의해 피부 장벽효과가 높아졌으며, 특히 1시간 경과 후 63.00의 회복률을 갖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노바좀 혼합물인 B, C 및 D는 50 내지 58.50로 회복률이 높아서 즉각적인 장벽회복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비교예 1-2]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지질류 함유 노바좀, 니아신아마이드 함유 노바좀 및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을 하기 표 5의 조성비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112006012874945-pat00005
<제조 방법>
1) 지질 혼합물, 세틸알콜, 수소화 식물성오일,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드, 스테 아린산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A를 70℃로 가열한다.
2)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색소, 카보머로 이루어진 혼합물 B를 70℃로 가열한다.
3) 상기 혼합물 B에 혼합물 A를 가하면서 교반기로 적절히 5-10분간 교반한다.
4) 50℃이하에서 니아신아마이드 함유 노바좀,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 지질류 함유 노바좀을 넣고 1-3분간 교반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실험예 3] 인체 실험을 통한 피부보습력 증가효과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 내지 30대 140 명을 대상으로 7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주고 매일 2회씩, 1개월동안 얼굴 및 전박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시작 전, 미리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corneometer(CM82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 및 도포중지 후 2주 경과(6주 경과)후 피부 수분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시험대상자에 대한 설문지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6] 피부 수분 증가율(corneometer)
Figure 112006012874945-pat00006
[표 7] 피부 건조 설문 결과
Figure 112006012874945-pat00007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류 함유 노바좀, 니아신아마이드 함유 노바좀 및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의 혼합 노바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4의 화장료의 경우 피부 수분양이 도포 1주후부터 도포 4주 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3 및 4의 경우 피부 수분 증가효과가 우수하였다.
한편, 도포 중지 후 2주 경과한 시점(총 6주 경과)에서도 실시예 3 및 4의 화장료는 우수한 보습유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피실험자들의 설문 조사 결과 실시예 3 및 4의 경우 비교에 2와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건조감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질류 함유 노바좀, 니아신아마이드 함유 노바좀 및 히아루로닉애씨드 함유 노바좀의 혼합 노바좀에 의하여 우수한 피부 수분 증가 효과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보습 유지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유용물질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오래 지속되고, 특히, 지질류, 니아신아마이드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노바좀)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 보습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부 세포의 각질층 분화를 촉진하며, 손상된 피부의 장벽기능 회복, 피부 보습력 증가 및 장기간 보습유지 효과가 뛰어나다.

Claims (5)

  1. 화장료용 유용성분으로 피부 보습에 유용한 성분을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세라마이드 또는 피토스핑고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질류를 0.1 내지 10 중량%로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
    니아신아마이드를 0.1 내지 20 중량%로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를 0.1 내지 20 중량%로 포집한 비인지질 베지클;
    로 이루어진 3종의 비인지질 베지클 혼합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17103A 2006-02-22 2006-02-22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74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03A KR100748035B1 (ko) 2006-02-22 2006-02-22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03A KR100748035B1 (ko) 2006-02-22 2006-02-22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035B1 true KR100748035B1 (ko) 2007-08-09

Family

ID=3860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103A KR100748035B1 (ko) 2006-02-22 2006-02-22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0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42A (ko) * 2016-09-23 2018-04-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882182A (zh) * 2018-09-11 2020-03-17 铑家(北京)文化发展有限公司 增强皮肤屏障功能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WO2022204287A1 (en) * 2021-03-24 2022-09-29 Glo Pharma, Inc. Multisome lipid vesicles for delivery of cosmetic agents
US11801221B2 (en) 2019-09-23 2023-10-31 Dds Research Inc. Lipid vesicle compositions with penetration enhancing ag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7200A1 (en) 2001-10-22 2005-02-17 Wallach Donald F.H. New non-phospholipid lipid vesicles (nplv) and their use in cosmetic,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7200A1 (en) 2001-10-22 2005-02-17 Wallach Donald F.H. New non-phospholipid lipid vesicles (nplv) and their use in cosmetic,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applica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42A (ko) * 2016-09-23 2018-04-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804B1 (ko) * 2016-09-23 2019-08-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882182A (zh) * 2018-09-11 2020-03-17 铑家(北京)文化发展有限公司 增强皮肤屏障功能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US11801221B2 (en) 2019-09-23 2023-10-31 Dds Research Inc. Lipid vesicle compositions with penetration enhancing agents
WO2022204287A1 (en) * 2021-03-24 2022-09-29 Glo Pharma, Inc. Multisome lipid vesicles for delivery of cosmetic ag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6217B2 (en) Use of transesterified olive oil in the cosmetic field
ITMI991884A1 (it) Composizioni per la cura della pelle e loro impiego nel curare una pelle danneggiata
CA2534551C (en) Cosmetic composition to assist transport of oxygen into the skin
US20080160088A1 (en) Composition containing hydroxyapatite and a calcium salt
JP2002535347A (ja) ビオチンを含む生薬製剤
KR100748035B1 (ko) 비인지질 베지클로 포집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2002053429A (ja) 立方晶ゲル粒子の、抗−汚染剤としての、特に化粧料中における使用
EP2769709B1 (en) Pseudolipid complex mixture and a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0912242B1 (ko) 레시친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제 조성물
JP2005330285A (ja) 皮膚保湿用化粧料組成物
KR101142010B1 (ko)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332902B2 (ja) 美容用組成物
JP2002020265A (ja) 抗汚染剤としてのフィタントリオールの、特に化粧品組成物における使用
US20080260675A1 (en) Depolymerized Scleroglucan for Regulating and Improv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A1325774C (en) Cosmetic preparation incorporating stabilized ascorbic acid
DE102005023636A1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Glucosylglyceriden und Kreatin und / oder Kreatinin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381917A1 (en) Moisturizing mixture,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moisturizing mixture, use of the moisturizing mixture, and cosmetic method
JP2018184426A (ja) 保湿化粧剤としてのアルキルオキサゾリジノンの使用及び皮膚の保湿方法
KR20090020407A (ko) 나노리포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노리포좀을함유한 화장품
KR100616252B1 (ko) 해양생물-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조성물
JP4608691B2 (ja) 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方法
US20050131077A1 (en) Preventing or reducing the adhesion of microorganisms with phytanetriol
KR102522864B1 (ko) 표피-진피 접합부를 강화하는 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