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908B1 -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908B1
KR100747908B1 KR1020040010686A KR20040010686A KR100747908B1 KR 100747908 B1 KR100747908 B1 KR 100747908B1 KR 1020040010686 A KR1020040010686 A KR 1020040010686A KR 20040010686 A KR20040010686 A KR 20040010686A KR 100747908 B1 KR100747908 B1 KR 10074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rame
frame
cross member
connection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272A (ko
Inventor
박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9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 상부 연결부재(61)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멤버(60)와 밀착되어 연결되는 리어후레임의 전방후레임(10)에 모노코크타입으로 마운팅되는 제1,2,3연결부(A,B,C)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A,B,C)에 의해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에 간편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과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를 연결하기 위한 마운팅작업과 용접작업 이 두가지 작업을 동시에 실시하지 아니하고 이중의 보강구조를 갖는 크로스멤버와 리어후레임을 모노코크타입의 간단한 마운팅구조만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 향상은 물론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한 패널에 보강재를 추가하거나 여러형상의 마운팅부재가 요구되지 아니하며 원추형볼트에 의한 단순한 조립에 의해 버스차량의 바디구조를 경량화하여 리어후레임의 축중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rear frame of bus under bod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어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멤버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멤버의 설치상태를 보인 발췌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연결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2연결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제3연결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8은 종래 리어후레임의 연결부를 나타내기 위한 발췌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방후레임 20 : 중간후레임
30 : 크로스후레임 40 : 후방후레임
50 : 연결후레임 60 : 크로스멤버
A : 제1연결부 B : 제2연결부
C : 제3연결부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와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리어후레임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지 아니하고 이중의 보강구조를 갖는 크로스멤버와 리어후레임을 모노코크타입의 간단한 마운팅구조만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향상은 물론 상호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버스의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연결구조는 사이드로어필라의 측면 볼팅 및 상부바디 플로어와 서로 용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성 및 작업성이 불량하다. 또한 상부바디와 프레임을 연결하였을 경우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지 않아 사이드로어필라 볼팅후 용접작업 추가하여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리어후레임(1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도 패널(101)에 보강재를 추가하고 디귿자형의 마운팅부재(104)를 이용하여 구조를 형성한 후 이음판(103)을 사용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종류와 형상의 이음판(103)이 요구되며 매우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무게가 무거운 패널타입을 적용되기 때문에 리어축중 문제점이 발생되고 강성확보를 위한 용접량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변형량이 많으며 용접조건이 까다로운 등의 제반 조립여건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리어후레임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지 아니하고 이중의 보강구조를 갖는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와 모노코크타입의 간단한 마운팅구조만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하여 조립성 향상은 물론 상호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 상부 연결부재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멤버와 밀착되어 연결되는 리어후레임의 전방후레임에 모노코크타입으로 마운팅되는 제1,2,3연결부에 의해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에 간편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관련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쪽에 연결하기 위한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 상부 연결부재(61)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멤버(60)와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는 리어후레임쪽 전방후레임(10)의 상부후레임 양쪽 선단에 마운팅되며 상기 상부바디쪽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에 밀착되는 리어후레임모듈(11)에 연결부재(61)의 결합공(61')과 일치되는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1')(61')에 와셔 및 칼라(14)가 결합된 원추형볼트(12)가 끼워져 상기 원추형볼트(12)의 선단이 홀드너트(15)로 체결 고정되어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와 리어후레임모듈(11)이 상기 원추형볼트(12)에 의해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제1연결부(A) 구조와, 상기 제1연결부(A)와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제1연결부(A)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마운팅되는 제2연결부(B) 구조와, 그리고 상기 전방후레임(10) 전방을 기준으로 제2연결부(B)의 하부후레임 양단에 마운팅되며 리어후레임과 크로스멤버(60)의 선단 측면중앙에 결합공(11')(6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1')(6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원추형볼트(12)가 삽입되며 일측에 홀드너트(15)가 형성된 지지부재(16)가 리어후레임 안쪽에 밀착된 상태로 원추형볼트(12)의 선단에 지지부재(16)의 홀드너트(15)가 체결되도록 한 제3연결부(C) 구조에 의해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에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 상부 연결부재(61)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멤버(60)와 밀착되어 연결되는 리어후레임의 전방후레임(10)에 모노코크타입으로 마운팅되는 제1,2,3연결부(A,B,C)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A,B,C)에 의해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에 간편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모노코크타입이란 샤시프레임에 샤시콤포넌트 예컨대, 엔진, 변속기, 머플러, 라디에이터, 액슬, 서스펜션, 타이어 등이 마운팅 된 상태에서 차체에 연결시키는 일종의 연결공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이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를 1차 마운팅작업과 부재의 강성확보를 위한 2차 용접작업을 실시하지 아니하고 모노코크타입의 마운팅 구조만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향상은 물론 2중의 보강 구조로 부재의 강성도 자연스럽게 확보된다.
본 발명은 먼저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 상부 연결부재(61)를 단면이 직사각 형태인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리어후레임에 밀착되어 연결되는 부위에 원추형볼트(12)가 삽입되는 결합공(6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61)는 내부를 중공형태로 형성하여 무게감소는 물론 자체적인 강성을 확보되며 이중의 연결부재 사이에 트러스(62)가 개재되어 연결부재의 간격유지 및 연결시 조립상태가 양호히 유지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멤버(60)에 밀착되는 리어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의 연결부를 갖는 전방후레임(10)과, 중간후레임(20), 크로스후레임(30), 마지막 후방후레임(40)이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양측 연결후레임(50)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상기 리어후레임의 각 후레임은 전방후레임(10)의 연결부(A,B,C)와 같은 모노코크 타입으로 연결되나 본 발명에서는 크로스멤버(60)와 전방후레임(10)의 일측 결합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리어후레임의 전방후레임(10) 전방을 기준으로 상부후레임의 양쪽 선단에 도 5의 마운팅구조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A)는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에 밀착되는 리어후레임모듈(11)에 연결부재(61)의 결합공(61')과 일치되는 결합공(1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1')(61')에 와셔 및 칼라(14)가 결합된 원추형볼트(12)를 끼워 원추형볼트(12)의 선단을 홀드너트(15)로 체결 고정하여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와 리어후레임모듈(11)이 상기 원추형볼트(12)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후레임의 전방후레임(10)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부(A)와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도 6의 마운팅 구조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B)는 상기 제1연결(A)부의 마운팅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마운팅구조를 채택하여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와 리어후레임모듈(11)이 상기 원추형볼트(12)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는 구조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어후레임의 전방후레임(10) 전방을 기준으로 제2연결부(B)의 하부후레임 양단에 도 6의 마운팅 구조로 연결되는 제3연결부(C)는 리어후레임과 크로스멤버(60)의 선단 측면중앙에 결합공(11')(6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1')(6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원추형볼트(12)를 삽입하여 주되, 일측에 홀드너트(15)가 형성된 지지부재(16)를 리어후레임의 안쪽에 밀착시켜 원추형볼트(12)의 선단을 지지부재(16)의 홀드너트(15)에 체결하여 주는 것으로 리어후레임과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의 연결을 양호히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와 리어후레임의 연결을 위한 종래 마운팅과 용접 이 두가지 수단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이를 단일의 모노코크타입 마운팅구조로 개선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 단면이 마치 두 개의 사각튜브형상을 가지고 있어 강성증대로 인한 차체진동을 개선하게 되며 용접작업의 배제로 인하여 전착이후 전착도막을 파손하지 않아 내부식성이 갖게될 뿐만 아니라 이중의 연결부재(61)에 의한 로어필라에 간단히 장착되는 구조로 연결을 위한 관련 구성을 축소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61)의 구조는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 감소대비에 있어서 약15kg정도를 감소하게 되며 제1,2,3연결부(A,B,C)에 의한 마운팅 구조에 의해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와 리어후레임모듈(11)이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원추형볼트(12)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기 때문에 연결작업이 손쉬우며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립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과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를 연결하기 위한 마운팅작업과 용접작업 이 두가지 작업을 동시에 실시하지 아니하고 이중의 보강구조를 갖는 크로스멤버와 리어후레임을 모노코크타입의 간단한 마운팅구조만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립성 향상은 물론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한 패널에 보강재를 추가하거나 여러형상의 마운팅부재가 요구되지 아니하며 원추형볼트에 의한 단순한 조립에 의해 버스차량의 바디구조를 경량화하여 리어후레임의 축중 문제 등을 해결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쪽에 연결하기 위한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 상부 연결부재(61)를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멤버(60)와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는 리어후레임쪽 전방후레임(10)의 상부후레임 양쪽 선단에 마운팅되며 상기 상부바디쪽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에 밀착되는 리어후레임모듈(11)에 연결부재(61)의 결합공(61')과 일치되는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1')(61')에 와셔 및 칼라(14)가 결합된 원추형볼트(12)가 끼워져 상기 원추형볼트(12)의 선단이 홀드너트(15)로 체결 고정되어 크로스멤버(60)의 연결부재(61)와 리어후레임모듈(11)이 상기 원추형볼트(12)에 의해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제1연결부(A) 구조와, 상기 제1연결부(A)와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제1연결부(A)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마운팅되는 제2연결부(B) 구조와, 그리고 상기 전방후레임(10) 전방을 기준으로 제2연결부(B)의 하부후레임 양단에 마운팅되며 리어후레임과 크로스멤버(60)의 선단 측면중앙에 결합공(11')(6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1')(6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원추형볼트(12)가 삽입되며 일측에 홀드너트(15)가 형성된 지지부재(16)가 리어후레임 안쪽에 밀착된 상태로 원추형볼트(12)의 선단에 지지부재(16)의 홀드너트(15)가 체결되도록 한 제3연결부(C) 구조에 의해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을 상부바디의 크로스멤버(6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010686A 2004-02-18 2004-02-18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KR10074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686A KR100747908B1 (ko) 2004-02-18 2004-02-18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686A KR100747908B1 (ko) 2004-02-18 2004-02-18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272A KR20050082272A (ko) 2005-08-23
KR100747908B1 true KR100747908B1 (ko) 2007-08-08

Family

ID=3726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686A KR100747908B1 (ko) 2004-02-18 2004-02-18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115A (ko) * 2014-12-24 2016-07-04 대동공업주식회사 다목적 운반차량 및 제설차량의 무단변속기조합 프레임 조립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차량
CN113696971B (zh) * 2021-08-27 2022-07-19 浙江中车电车有限公司 一种电动客车的车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00A (ko) * 1999-08-06 2001-03-05 이계안 대형 버스용 프레임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00A (ko) * 1999-08-06 2001-03-05 이계안 대형 버스용 프레임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272A (ko)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5086A1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CN100355613C (zh) 车辆用悬架支撑部结构
JP5119817B2 (ja) 車体懸架装置
US7651133B2 (en) Frame extender
US6702309B2 (en) Rear suspension for vehicles
US6354627B1 (en) Construction for suspension system mounting portions of body of vehicle
JP5007580B2 (ja) 車体前部構造
KR100747908B1 (ko) 버스 하부바디의 리어후레임 연결구조
JP2003104237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WO2015194047A1 (ja) スタビライザの取付構造
JP2010042742A (ja) 車体前部構造
KR101114207B1 (ko) 차체 장착점과 로어암 장착점을 공유하는 프론트 서브프레임
KR101624235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CN112918575A (zh) 车辆的车体
JP2004330942A (ja) 自動車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283772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102335348B1 (ko) 엔진룸 보강유닛
KR102371243B1 (ko) 후방 차체 보강 구조
CN210309802U (zh) 全地形车
CN211196359U (zh) 副车架的前横梁、副车架以及车辆
KR101189353B1 (ko) 리어 서스펜션 암 장착부 구조
KR100276703B1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KR100539434B1 (ko) 부분 정비성을 갖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0885219B1 (ko) 차량용 크로스멤버의 구조
JP285134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06

Effective date: 200705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