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101B1 -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101B1
KR100746101B1 KR1020060119552A KR20060119552A KR100746101B1 KR 100746101 B1 KR100746101 B1 KR 100746101B1 KR 1020060119552 A KR1020060119552 A KR 1020060119552A KR 20060119552 A KR20060119552 A KR 20060119552A KR 100746101 B1 KR100746101 B1 KR 100746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guide rail
body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1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G01M5/005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노후 정도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옹벽블록에 의해 직립 되게 설치된 지주와 지주 사이에 레일이 연결된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가 설치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캐스터가 설치되고,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상면에 힌지공을 갖는 한 쌍의 연결편이 형성되고, 전면에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을 지주가 설치된 부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연결편에 사이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양단에 연결공(122)이 형성된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연결공과 연결핀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일단에 매립편이 고정/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구;
상기 옹벽블록과 몸체프레임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에 고정바의 일단이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압착판이 일체로 형성된 간격유지구;
상기 지주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 전면에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단부에 탄성체가 부착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힘을 전달받아 기울어진 지주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지주의 노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삽입/연결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레일, 지주, 눈금, 투명관, 측정구

Description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A mobile guide rail security diagnosis devic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설치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중 투명관을 나타낸 평면도 및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옹벽블록 20 : 지주
110 : 몸체프레임 120 : 고정구
130 : 간격유지구 140 : 가압부
150 : 측정부 161 : 안착캡
170 : 조절구 180 : 투명관
190 : 측정구 191 : 부구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노후 정도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는 교행하는 차량의 정면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앙선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함과 동시에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여 차량이 도로를 벗어날 때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로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과 가장자리로 설치된 종래 가이드레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도로용 가이드레일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상부에 캡을 가지고 있고 상부 측면으로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볼트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와; 측면에서의 형상이 '3'자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중앙부위에 볼트가 끼워지는 구멍들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범퍼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이드레일을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가장자리에 설치할 때에는 지주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를 콘크리트 타설하여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간격을 이루며 설치된 지주들에 범퍼레일을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범퍼레일을 설치할 때에는 범퍼레일의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지주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볼트삽입구멍과 일치시킨 후, 범퍼레일의 구멍과 지주의 볼트삽입구멍에 걸쳐 고정볼트를 끼워 고정볼트에 고정너트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가이드레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레일은 그 시설 노화를 미리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고 있는 지주는 차량충돌시 그 충돌압력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설치 후 오랜 기간이 경과되면 그 지지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 가이드레일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노후 정도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옹벽블록에 의해 직립되게 설치된 지주와 지주 사이에 레일이 연결된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가 설치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캐스터가 설치되고,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상면에 힌지공을 갖는 한 쌍의 연결편이 형성되고, 전면에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을 지주가 설치된 부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연결편에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양단에 연결공이 형성된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연결공과 연결핀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일단에 매립편이 고정/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구;
상기 옹벽블록과 몸체프레임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에 고정바의 일단이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압착판이 일체로 형성된 간격유지구;
상기 지주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 전면에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단부에 탄성체가 부착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힘을 전달받아 기울어진 지주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지주의 노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삽입/연결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측정부는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삽입/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에 바닥판이 형성되고,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에 통공을 갖는 한 쌍의 힌지편이 돌출/형성된 안착캡;
상기 힌지편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하부에 결합공을 갖는 힌지구가 돌출/형성되고, 상부에 안착홈을 갖는 연결플레이트가 형성된 조절구;
상기 안착홈에 삽입/연결되며, 내측에 물이 충진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형성된 투명관;
상기 투명관 내에 삽입되며, 양단부에 물에 떠오를 수 있도록 부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측정바늘이 돌출/형성된 측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설치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 장치 중 수평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100)는 몸체프레임(110), 고정구(120), 간격유지구(130), 가압부(140) 및 측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10)은 그 하부에 상기 지주(20)가 설치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캐스터(111)가 설치되고, 내측에 개구부(113)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 나선을 갖는 체결공(1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13)의 상면에는 한 쌍의 연결편(117)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편(117)의 내측에는 힌지공(11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프레임(110)을 지주(20)가 설치된 옹벽블록(10) 주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20)는 제1 연결프레임(121) 및 제2 연결프레임(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은 그 양단에 연결공(122)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부(1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프레임(124)은 그 내측에 가이드공(125)이 형성되고, 일단에 매립편(126)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은 그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편(117) 사이에 삽입되어지되, 제1 연결프레임(121)의 연결공(122)과 연결편(117)에 형성되는 힌지공(119)이 서로 연통되며, 이와 같이 연통된 연결공(122)과 힌지공(119)에는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이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힌지핀(127)이 삽입/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의 공간부(123)에는 상기 제2 연결프레 임(124)이 삽입/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공(122)과 제2 연결프레임(124)의 가이드공(125)은 서로 연통을 이루어 연결핀(128)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옹벽블록(10)과 몸체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130)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바(131)의 타단에 압착판(1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131)는 그 일단이 상기 체결공(115)에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상기 고정바(131)는 상기 체결공(115)의 체결깊이에 따라 옹벽블록(10)과 몸체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140)는 상기 지주(20)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 전면에 로드(143)가 구비된 유압실린더(14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41)의 로드(143)는 그 단부에 상기 로드(143)가 지주(20)에 압력을 가할 때 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탄성체(145)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141)의 동작은 제어패널(147)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패널(147)은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140)의 힘을 전달받아 기울어진 지주(20)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지주(20)의 노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측정부(150)는 상기 지주(2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삽입/연결된다.
이때, 상기 측정부(150)는 안착캡(161), 조절구(170), 투명관(180) 및 측정 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캡(161)은 그 내측에 바닥판(162)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지주(2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삽입/연결할 수 있도록 삽입홈(16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62)의 상부에는 한 쌍의 힌지편(164)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각 힌지편(164)의 내측에는 통공(16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절구(170)는 그 하부에 힌지구(17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구(171)의 내측에는 결합공(17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힌지구(171)는 상기 한 쌍의 힌지편(164)에 삽입/연결되며, 이때 상기 통공(165)과 결합공(172)은 서로 연통되어 고정나사(173)에 의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힌지구(171)는 그 상부에 연결플레이트(174)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174)의 내측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안착홈(175)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투명관(180)은 상기 안착홈(175)에 삽입/안착되며, 내측에 물(182)이 충진된다.
이때, 상기 투명관(180)의 외주면에는 눈금(18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정구(190)는 상기 투명관(180)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단부에 상기 물(182)에 떠오를 수 있도록 부구(191)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구(190)의 외주면에는 측정바늘(192)이 띠의 형태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 전진단장치는 도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노후 정도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먼저 지주(20)의 지지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몸체프레임(110)을 캐스터(111)를 통해 지주(20)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체결공(115)에 볼트체결된 고정바(131)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바(131)의 단부에 형성된 압착판(133)을 옹벽블록(10)의 전면에 접촉시킨다.
이후, 상기 고정구(120)를 통해 몸체프레임(110)을 지주(20)가 설치된 옹벽블록(10)에 견고히 고정한다.
즉,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을 힌지회동시켜 옹벽블록(10) 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2 연결프레임(124)을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으로 부터 슬라이딩 이동시켜 그 일단에 고정/설치된 매립편(126)을 옹벽블록(10)이 맞닿는 지면에 매립시킨다.
이후, 상기 고정바(131)를 더 회전시켜 상기 압착판(133)으로 옹벽블록(1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20)가 위치한 옹벽블록(10)에 몸체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후, 상기 측정부(150)를 지주(20)의 상부에 삽입/연결한다.
즉, 상기 안착캡(161)의 삽입홈(163)에 지주(20)의 상부를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측정구(190)의 측정바늘(192)은 상기 투명관(180)의 눈금(181)에 "0"점의 위치에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제어패널(147)을 통해 유압실린더(141)의 로드(143)를 통해 지주(20)를 가압하면, 상기 지주(20)는 그 압력에 의해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20)가 소정각도 기울어지면, 상기 투명관(180) 내에서 물(182)에 떠있는 측정구(190)는 그 기울어진 각도만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한 거리를 눈금(181)으로 측정하여 그 이동 거리에 따라 지주(20)의 지지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이동거리가 길면, 상기 지주(20)의 지지력이 약화한 것으로 간주하여 시설물을 교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20)의 지지력을 일정한 수치를 통해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의 교체시기를 정확히 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노후 정도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옹벽블록에 의해 직립되게 설치된 지주와 지주 사이에 레일이 연결된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20)가 설치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캐스터(111)가 설치되고, 내측에 개구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3)의 상면에 힌지공(119)을 갖는 한 쌍의 연결편(117)이 형성되고, 전면에 체결공(115)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프레임(110);
    양단에 연결공(122)이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편(117)에 사이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축설치되는 제1 연결프레임(121)과,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연결공(122)과 연결핀(128)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공(125)이 형성되며, 일단에 매립편(126)이 고정/설치된 제2 연결프레임(124)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프레임(110)을 지주(20)가 설치된 옹벽블록(10) 주변에 고정하는 고정구(120);
    상기 옹벽블록(10)과 몸체프레임(110)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115)에 고정바(131)의 일단이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고정바(131)의 타단에 압착판(133)이 일체로 형성된 간격유지구(130);
    상기 지주(20)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 전면에 로드(143)를 갖는 유압실린더(141)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143)의 단부에 탄성체(145)가 부착된 가압부(140) 및
    상기 가압부(140)의 힘을 전달받아 기울어진 지주(20)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지주(20)의 노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2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삽입/연결되는 측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측정부(150)는 상기 지주(2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삽입/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에 바닥판(162)이 형성되고, 하부에 삽입홈(163)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62)에 통공(165)을 갖는 한 쌍의 힌지편(164)이 돌출/형성된 안착캡(161)과, 상기 힌지편(164)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나사(173)에 의해 결합되며, 하부에 결합공(172)을 갖는 힌지구(171)가 돌출/형성되고, 상부에 안착홈(175)을 갖는 연결플레이트(174)가 형성된 조절구(170)와, 상기 안착홈(175)에 삽입/연결되며, 내측에 물(182)이 충진되고, 외주면에 눈금(181)이 형성된 투명관(180)과, 상기 투명관(180) 내에 삽입되며, 양단부에 물(182)에 떠오를 수 있도록 부구(19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측정바늘(192)이 돌출/형성된 측정구(1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상기 유압실린더(14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패널(14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KR1020060119552A 2006-11-30 2006-11-30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KR10074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52A KR100746101B1 (ko) 2006-11-30 2006-11-30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52A KR100746101B1 (ko) 2006-11-30 2006-11-30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101B1 true KR100746101B1 (ko) 2007-08-03

Family

ID=3860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552A KR100746101B1 (ko) 2006-11-30 2006-11-30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1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352B1 (ko) * 2017-01-11 2017-05-04 신강정밀공업(주) 가드레일 지주의 수평 지지력 검사 장치
KR101790670B1 (ko) * 2016-03-04 2017-10-26 (주)건설기술원 가드레일 지주 성능 시험장치
KR20180027694A (ko) * 2016-09-06 2018-03-15 조성환 지주 지지력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91A (ko) * 2000-07-07 2002-01-17 이창남 구조물의 상대변위 경보계
KR200416842Y1 (ko) 2006-03-07 2006-05-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91A (ko) * 2000-07-07 2002-01-17 이창남 구조물의 상대변위 경보계
KR200416842Y1 (ko) 2006-03-07 2006-05-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침목의 간격 및 수평 검사장치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70B1 (ko) * 2016-03-04 2017-10-26 (주)건설기술원 가드레일 지주 성능 시험장치
KR20180027694A (ko) * 2016-09-06 2018-03-15 조성환 지주 지지력 측정장치
KR101863071B1 (ko) * 2016-09-06 2018-06-01 (주)한국건설시험원 지주 지지력 측정장치
KR101732352B1 (ko) * 2017-01-11 2017-05-04 신강정밀공업(주) 가드레일 지주의 수평 지지력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101B1 (ko) 이동식 가이드레일 안전진단장치
KR100873744B1 (ko) 강재교량용 이동식 안전진단 장치
CN111874019A (zh) 一种用于铁路轨道形变质量检测仪
CN205506702U (zh) 一种隧道裂缝检测装置
KR100654562B1 (ko) 쇽업소버의 충격시험기
KR101599823B1 (ko)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CN112240812B (zh) 残余应力测试装置
CN2875902Y (zh) 红外线轴温探测设备多用定标仪
KR101790670B1 (ko) 가드레일 지주 성능 시험장치
CN208501656U (zh) 一种现场承载板法土基回弹模量测定装置
BE1018428A3 (fr) Installation de mesure de la repartition de la force d&#39;application d&#39;un balai d&#39;essuie-glace contre une surface a essuyer.
CN214276754U (zh) 一种河道淤泥厚度检测装置
CN114264273A (zh) 一种公路路基路面平整度检测设备
KR100207964B1 (ko) 타이어의 수막 시험장치
KR100457169B1 (ko) 교량상판 캠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CN211772669U (zh) 一种路基路面回弹弯沉检测装置
CN114518098A (zh) 一种工程监理用道路坡度检测设备
JP2015121465A (ja) 車両固定システム
ES2695167T3 (es) Placa de escalón con elemento de extensión
CN113865849A (zh) 一种电梯层门强度测试系统
CN108277739B (zh) 一种抗震安全型球形桥架支座
KR100856697B1 (ko) 교량 난간의 안전진단장치
CN112378375A (zh) 一种桥梁支架沉降监测装置
CN110057605A (zh) 空轨列车车体静强度试验设备
CN220455057U (zh) 一种水泥拉伸徐变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