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993B1 -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993B1
KR100745993B1 KR1020060131940A KR20060131940A KR100745993B1 KR 100745993 B1 KR100745993 B1 KR 100745993B1 KR 1020060131940 A KR1020060131940 A KR 1020060131940A KR 20060131940 A KR20060131940 A KR 20060131940A KR 100745993 B1 KR100745993 B1 KR 10074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ir
vias
sub
via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252A (ko
Inventor
박성주
이재준
소병세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9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5Impedance arrangements, e.g. impedance matching, reduction of parasitic imped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2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 H05K3/429Plated through-holes specially for multilayer circuits, e.g. having connections to inner circui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회로 기판은 비아 구조체가 형성된 유전 물질 기판, 및 유전 물질 기판 상에 위치하며, 비아 구조체와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비아 구조체와의 연결부가 평행한 한 쌍의 신호 배선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 비아, 차동 임피던스, 신호 충실도

Description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Circuit boad including a plurality of via structures}
도 1은 종래의 회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비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비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비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회로 기판 110: 유전 물질 기판
120, 125: 상부 배선 130: 비아 구조체
131: 비아홀 131a: 중심 서브 비아홀
131b, 131c: 서브 비아홀 132, 137: 비아
132a, 137a: 비아의 배선 영역 132b, 137b: 비아의 패드 영역
139: 연결부 140, 145: 상부 배선
711, 712, 713, 714, 715: 유전 물질층
721, 723, 724, 726: 신호 배선
722, 725: 레퍼런스층 730: 제1 비아 구조체
740: 제2 비아 구조체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특성이 향상된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의 기능이 집적화, 세분화, 소형화, 고속화됨에 따라, 이에 사용되는 회로 기판의 기능 향상도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 기판의 설계가 문제된다.
회로 기판은 다층으로 적층된 신호 배선을 이용하여 복잡한 신호 배선을 안정적으로 배치하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신호 배선은 비아(via)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아는 특성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호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글 엔디드(single ended) 신호 배선의 경우, 비아는 레퍼런스층(reference layer)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비아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나 인덕턴스(inductance)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차동(differential) 신호 배선은, 인접하여 위치한 한 쌍의 신호 배선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를 상보적인 신호와 함께 전달한다. 따라서, 주위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커먼 모드 노이즈(common mode noise)를 서로 상쇄함으로써 신호 충실도(signal integrity)를 높일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신호 배선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격이 변하면,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신호가 반사되어 신호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회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회로 기판(1)은 유전 물질 기판(10), 신호 배선(20, 25, 40, 45), 비아 구조체(30, 35)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아 구조체(30, 35)는 비아홀(31, 36) 및 비아(32, 37)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부 배선(20, 25)은 한 쌍의 비아(32, 37)를 통해서, 한 쌍의 하부 배선(40, 45)와 연결된다. 그런데, 한 쌍의 비아(32, 37)의 간격(a)은 한 쌍의 상부 배선(20, 25)의 간격(b)에 비해 넓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상부 배선(20, 25)과 한 쌍의 비아(32, 37)가 연결되는 연결부(29)가 벌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상부 배선(20, 25)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지 않고 신호의 왜곡이 발생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작 특성이 향상된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은 비아 구조체가 형성된 유전 물질 기판; 및 유전 물질 기판 상에 위치하며, 비아 구조체와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비아 구조체와의 연결부가 평행한 한 쌍의 신호 배선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에서, 한 쌍의 신호 배선의 연결부의 차동 임피던스가 일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신호 배선은 정보 신호를 전달하고, 나머지 신호 배선은 상기 정보 신호의 레퍼런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레퍼런스 신호는 정보 신호의 상보 신호, 접지 전압 신호 또 는 전원 전압 신호일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비아 구조체는 유전 물질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비아홀과, 비아홀 내벽에 형성되어 한 쌍의 배선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비아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비아홀은 하나의 서브 비아홀을 중심으로 2개의 서브 비아홀이 일부 겹쳐져 형성되고, 다수의 비아는 중심에 위치한 서브 비아홀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비아 구조체는, 유전 물질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다수의 서브 제1 비아홀이 겹쳐져 이루어진 제1 비아홀과, 제1 비아홀 내벽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비아를 구비하여, 유전 물질 기판 상,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배선을 각각 연결하며, 다수의 서브 제1 비아홀은 중심 서브 제1 비아홀과 나머지 서브 제1 비아홀이 겹쳐져 형성되며, 다수의 제1 비아는 중심에 위치한 서브 제1 비아홀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나머지 서브 제1 비아홀은 중심 서브 제1 비아홀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다수의 서브 제1 비아홀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다수의 상부 배선은 한 쌍의 상부 배선을 포함하고, 다수의 하부 배선은 한 쌍의 하부 배선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제1 비아는 한 쌍의 비아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한 쌍의 제1 비아 중 하나의 비아는 정보 신호를 전달하고, 나머지 제1 비아는 정보 신호의 레퍼런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레퍼러스 신호는 정보 신호의 상보 신호, 접지 전압 신호 또는 전원 전압 신호일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한 쌍의 상부 배선 및 하부 배선은 각각 비아 구조체와의 연결부가 평행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상부 배선 및 하부 배선의 연결부는 각각 차동 임피던스가 일정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제1 비아의 차동 임피던스와 상부 및 하부 배선의 차동 임피던스는 동일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제1 비아홀은 하나의 서브 제1 비아홀을 중심으로 2개의 서브 제1 비아홀이 일부 겹쳐져 형성되고, 다수의 제1 비아는 중심에 위치한 서브 제1 비아홀의 내벽에 형성되어, 다수의 상부 배선과 다수의 하부 배선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한 쌍의 상부 배선 및 하부 배선은 각각 한 쌍의 제1 비아와의 연결부가 평행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 유전 물질 기판은 다수의 유전 물질층으로 각각 절연되어, 다층으로 적층된 신호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유전 물질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비아홀과, 제2 비아홀 내벽에 형성되어 유전 물질층의 상,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신호 배선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2 비아를 구비하는 제2 비아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FPC(Flexible PCB), FRPCB(Flexible Rigid PCB), 세라믹 기판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PCB)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은 패키지 기판, 멀티 칩 모듈(multi-chip module)용 기판, 일반 마더 보드(mother board)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전 물질 기판이 단층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100)은 유전 물질 기판(110), 신호 배선(120, 125, 140, 145), 비아 구조체(130)를 포함한다.
유전 물질 기판(110)은 상부에는 다수의 반도체 장치가 위치하며, 이러한 반도체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 배선(120, 125, 140, 145)이 양면에 구비된다. 회로 기판(100)에 사용되기 위해서, 유전 물질 기판(110)은 수치 안정성, 내열 및 내약품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비아(132, 137)가 형성되기 위해 우수한 도금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100)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강화 필름(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BT(Bismaleimide Triazine), PPE(Poly Phenylene Ether), PPO(Poly Phenylene Oxide) 수지 등을 주로 사용한다.
신호 배선(120, 125, 140, 145)은 유전 물질 기판(110)의 양면에 형성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40, 145)은 비아 구조체(130)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40, 145)은 한 쌍의 상부 배선(120, 125)과, 한 쌍의 하부 배선(140, 145)을 포함한다. 신호 배선(120, 125, 140, 145)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Cu, Al, Ag, Au, Ni 등의 물질을 주로 사용한다.
특히, 차동 신호 배선의 경우,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40, 145) 중 하나의 신호 배선(120, 140)은 신호를 전달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 배선(125, 145)은 상보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신호와 상보 신호는 서로 레퍼런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레퍼런스층이 없더라도 소스(source system)로부터 도착점(destination system)까지 전달될 수 있다. 차동 신호 배선의 장점은 주위 환경 에 의해 발생되는 커먼 모드 노이즈를 서로 상쇄함으로써, 높은 노이즈 면역성(higher noise immunity)을 가진다는 점이다. 한 쌍의 신호 배선은 매우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동일한 환경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비아 구조체(130)는 유전 물질 기판(110)을 관통하여 형성된 비아홀(131)과, 비아홀(131) 내벽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부 배선(120, 125)과 한 쌍의 하부 배선(140, 145)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비아(132, 137)를 포함한다.
비아홀(131)은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a, 131b, 131c)이 겹쳐져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을 중심으로 나머지 서브 비아홀(131b, 131c)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아홀(131)은 도 3에서와 같이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을 중심으로, 위, 아래에 위치한 2개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은 모두 동일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의 크기가 나머지 서브 비아홀(131b, 131c)에 비해 클 수 있다.
비아(132, 137)는 배선 영역(132a, 137a)과 패드 영역(132b, 137b)으로 구분할 수 있고, 배선 영역(132a, 137a)은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의 내벽에 형성되고, 패드 영역(132b, 137b)은 유전 물질 기판(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중심 서브 비아홀(131a)과 겹쳐져 위치한 나머지 서브 비아홀(131b, 131c)은 한 쌍의 비아(132, 137)를 서로 분리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비아홀(131) 내에 한 쌍의 비아(132, 137)를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비아(132, 137)의 패드 영역(132b, 137b)은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 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비아(132, 137)는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Cu, Al, Ag, Au, Ni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30, 135)은 비아(132, 137)와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배열되며, 비아(132, 137)와의 연결부(139)가 평행하다. 즉, 하나의 비아홀(131)내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한 쌍의 비아(132, 137)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상부 배선(120, 125)의 연결부(139)가 벌어지지 않고도, 한 쌍의 비아(132, 137)와 한 쌍의 상부 배선(120, 125)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결부(139)는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30, 135)과, 한 쌍의 비아(132, 137)의 패드 영역(132b, 137b)을 연결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신호 배선(120, 125, 130, 135)의 차동 임피던스는 유전 물질 기판(110)의 유전 상수와 신호 배선(120, 125, 130, 135)의 형태(configuration), 예를 들어 두께, 너비, 간격 등에 의해서 조절된다. 신호 배선(120, 125, 130, 135)을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가 차동 임피던스의 변화를 만나게 되면, 신호의 일부는 반사되고, 신호의 일부는 통과된다. 이러한 반사는 낮은 이득(low gain), 노이즈, 랜덤 에러(random error)를 쉽게 발생시켜, 회로 기판(100)의 동작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100)의 차동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30, 135)의 두께, 너비 등이 동일할 때,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30, 135)의 연결부(139)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연결부(139)의 차동 임피던스는 일정하다. 상부 배선(120, 125)을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수학식 1에서 Zdiff1, L1, C1는 각각 제1 상부 배선(120)의 차동 임피던스, 셀프 인덕턴스(self inductance),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를 나타내고, Lm1, Cm1은 각각 제1 상부 배선(120)과 제2 상부 배선(125)간의 상호(mutual) 인덕턴스, 상호 커패시턴스를 각각 나타낸다. 특히, Lm1, Cm1은 제1 및 제2 상부 배선(120, 125)간의 간격(d)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쌍의 상부 배선이 한 쌍의 비아와 연결되기 위해서 연결부가 소정 간격으로 벌어져야 했기 때문에, Lm1, Cm1이 작아지고 차동 임피던스의 변화가 생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상부 배선(120, 125)의 연결부(139)는 평행하기 때문에, Lm1, Cm1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동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Figure 112006095057994-pat0000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비아(132, 137)의 차동 임피던스를, 일정한 값을 가지는 한 쌍의 신호 배선(120, 125 또는 140, 145)의 차동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수학식 2에서 Zdiff2, L2, C2는 각각 제1 비아(132)의 차동 임피던스, 셀프 인덕턴스(self inductance),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를 나타내고, Lm2, Cm2은 각각 제1 비아(132)와 제2 비아(137) 간의 상호(mutual) 인덕턴스, 상호 커패시턴스를 각각 나타낸다. 수학식 2에서 L2은 제1 비아(132)의 길이에 비례하고, C2는 제1 비아(132)의 너비에 비례하는 성분이다. 또한, Lm2, Cm2은 전술하였듯이 한 쌍의 비아(132, 137)간의 간격에 반비례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아(132, 137)의 너비 및 한 쌍의 비아(132, 137)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차동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아(132, 137)는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따라 형성되므로, 한 쌍의 비아(132, 137)의 간격은 최단 거리 및 최대 거리의 평균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Figure 112006095057994-pat00002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차동 임피던스 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도 6를 참조하면, (a) 내지 (c)는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중심 서브 비아홀(231a) 및 다수의 서브 비아홀(231b, 231c)를 이용하여 한 쌍의 비아(232, 237)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중심 서브 비아홀(231a)과 다수의 서브 비아홀(231b, 231c)이 겹치는 위치에 따라 비아(232, 237)의 너비(e1, e2, e3) 및 한 쌍의 비아(232, 237)의 간격(c1, c2, c3)이 변화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b)는 (a)에 비해, 다수의 서브 비아홀(231a)이 중심 서브 비아홀(231b, 231c)에 더 많이 겹친다. 이러한 경우, 각 비아(232, 237)의 너 비(e2)는 줄어들고, 한 쌍의 비아(232, 237)의 간격(c2)은 길어진다. (c)는 (a)에 비해, 다수의 서브 비아홀(231b, 231c)이 중심 서브 비아홀(231a)에 비해 적게 겹친다. 이러한 경우, 각 비아(232, 237)의 너비(e3)는 커지고, 한 쌍의 비아(232, 237)의 간격(c3)은 줄어든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면 비아(232, 237)의 차동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a) 내지 (c)는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의 다수의 서브 비아홀(331b, 331c)를 이용하여 한 쌍의 비아(332, 337)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중심 서브 비아홀(331a)과 다수의 서브 비아홀(331b, 331c)의 중심간 거리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다수의 서브 비아홀(331b, 331c)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비아(332, 337)의 너비(e4, e5, e6) 및 한 쌍의 비아(332, 337)의 간격(c4, c5, c6)이 변화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b)는 (a)에 비해, 다수의 서브 비아홀(331b, 331c)의 크기가 더 크므로, 다수의 서브 비아홀(331b, 331c)이 중심 서브 비아홀(331a)에 더 많이 겹친다. 이러한 경우, 각 비아(332, 337)의 너비(e4)는 줄어들고, 한 쌍의 비아(332, 337)의 간격(c4)은 길어진다. (c)는 (a)에 비해, 다수의 서브 비아홀(331b, 331c)의 크기가 더 작으므로 다수의 서브 비아홀(331b, 331c)이 중심 서브 비아홀(331a)에 비해 적게 겹친다. 이러한 경우, 각 비아(332, 337)의 너비(e6)는 커지고, 한 쌍의 비아(332, 337)의 간격(c6)은 줄어든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면 비아(332, 337)의 차동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a) 내지 (c)는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의 중심 서브 비아 홀(431a)을 이용하여 한 쌍의 비아(432, 437)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중심 서브 비아홀(431a)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비아(432, 437)의 너비(e7, e8, e9) 및 한 쌍의 비아(432, 437)의 간격(c7, c8, c9)이 변화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a)는 사각형 형태의 중심 서브 비아홀(431a)을 사용한 경우의 예이다. 비아(432, 437)는 중심 서브 비아홀(431a)의 측벽에 형성되므로, 한 쌍의 비아(432, 437)를 거의 평행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b)는 2개의 중심 서브 비아홀(431a)을 사용한 경우의 예이고, (c)는 타원 형태의 중심 서브 비아홀(431a)을 사용한 경우의 예이다. (b)와 (c)의 방식으로 비아를 형성하면, 한 쌍의 비아(432, 437)의 간격(c8, c9)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면 비아(432, 437)의 차동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정리하면, 종래에는 별도의 비아홀에 각각 비아를 형성하므로, 신호 배선의 간격에 비해 비아의 간격이 상당히 클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한 쌍의 신호 배선의 차동 임피던스와 한 쌍의 비아의 차동 임피던스가 다르므로, 왜곡없이 신호를 전달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하나의 비아홀(231, 331, 431)에 한 쌍의 비아(232, 237 또는 332, 337 또는 432, 437)를 형성하므로, 한 쌍의 신호 배선의 연결부가 서로 평행하여 신호 배선의 차동 임피던스는 일정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비아(232, 237 또는 332, 337 또는 432, 437)의 간격을 신호 배선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조절하거나, 비아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비아(232, 237, 332, 337, 432, 437)의 차동 임피던스 역시 신호 배선의 차동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신호의 왜곡 없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중심 서브 비아홀(231a), 서브 비아홀(231b, 231c)을 이용하는 방법, 서로 다른 크기의 서브 비아홀(331a, 331b, 331c)을 이용하는 방법,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의 중심 서브 비아홀(431a)을 이용하는 방법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의 방법을 조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비아는 패드 영역은 제외하고 배선 영역만을 표시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와 달리 싱글 엔디드 배선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을 참조하면, (a)는 종래의 회로 기판에서 사용되는 비아(522)를 나타낸다. 비아(5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레퍼런스층(reference layer; 510)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여기서, 레퍼런스층(510)은 접지 전압 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비아(522)의 커패시턴스는 레퍼런스층과의 거리에 반비례하고, 인덕턴스는 레퍼런스층과의 거리에 비례한다.
그런데, 종래의 회로 기판의 경우에는 비아(522)가 레퍼런스층(510)을 가로질러 형성되기 때문에, 비아(522)와 레퍼런스층(510)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다(f1, f2 참조). 따라서, 비아(522)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어렵다.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비아(532, 537)를 나타낸다. 비아홀 내벽에 한 쌍의 비아(532, 537)가 형성된다. 한 쌍의 비아(532, 537) 중 제1 비아(532)에는 신호가 전달되고, 제2 비아(537)에는 신호의 레퍼런스 신호가 전달된 다. 레퍼런스 신호는 접지 전압 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한 쌍의 비아(532)의 간격(g)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1 비아(532)의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제1 비아(532)의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는 레퍼런스층(510)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제2 비아(537)와의 간격(f)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레퍼런스층(510)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비아(532)의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비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a) 내지 (c)는 중심 서브 비아홀(631a)과 겹쳐져 위치한 4개의 서브 비아홀(631b, 631c, 631d, 631e)은 4개의 비아(632, 633, 634, 635)를 서로 분리하여, 하나의 비아홀(631) 내에 4개의 비아(632, 633, 634, 635)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비아홀 내에 6개, 8개 등 다수의 비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선층이 6층으로 빌드업(build up)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200)에 사용되는 비아 구조체(730, 740)는 스루 타입(through type)의 제1 비아 구조체(730)뿐만 아니라, 블라인드 타입(blind type)의 제2 비아 구조체(74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핵심 사상은 모든 형태의 비아 구조체(730, 740)에 적용될 수 있다.
회로 기판(200)은 다수의 유전 물질층(711, 712, 713, 714, 715)으로 각각 절연되어, 다층으로 빌드업된 신호 배선(721, 723, 724, 726)을 포함한다. 즉, 회로 기판(200)은 아래에서부터 1, 3, 4, 6번째층은 신호 배선(721, 723, 724, 726)이고, 2, 5번째 층은 접지 전압 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레퍼런스층(722, 725)이다.
신호 배선(721, 723, 724, 726)은 필요에 따라서 차동 신호 배선 및/또는 싱글 엔디드 신호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clock)이나 데이터(data)와 같이 고속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차동 신호 배선을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는 싱글 엔디드 신호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 6번째 층의 신호 배선(721, 726)은 마이크로 스트립(microstrip)이고, 3, 4번째 층의 신호 배선(723, 724)은 스트립 라인(strip line)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마이크로 스트립은 레퍼런스층(722, 725) 상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 유전 물질층 상부에 형성된 신호 배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트립은 유사 TEM(Transverse Electro Magnetic) 모드(quasi-TEM mode)로 신호를 전달한다. 반면, 스트립 라인은 배선 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을 줄이기 위해서 레퍼런스층(722, 725) 사이에 형성된 신호 배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트립 라인은 완전한 TEM 모드로 신호를 전달하여 불확실한 상황 변수가 적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스트립은 외부로 배선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편리하고, 튜닝성이 뛰어나다. 반면에, 스트립 라인은 낮은 임피던스(impedance)를 가지며, 외부와 전계가 차단되어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므로, 높은 신호 충실도(signal integrity)가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하지만, 스트립 라인은 유전 물질층(712, 713, 714) 사이에 신호 배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튜닝이 거의 불가능하다.
레퍼런스층(722, 725)은 접지핀 또는 전원핀과 연결되어 접지 전압 또는 전원 전압을 전달한다. 또한, 싱글 엔디드 신호 배선의 레퍼런스 역할을 한다.
또한, 다층의 구성된 회로 기판(2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스루 타입의 제1 비아 구조체(730)와, 3, 4번째 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블라인드 타입의 제2 비아 구조체(7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비아 구조체(730, 740)는 각각 비아홀(731, 741)과, 비아홀(731, 741) 내벽에 형성되어 상, 하의 신호 배선(미도시)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비아(732, 737 또는 742, 74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아홀(731, 741)은 다수의 서브 비아홀이 겹쳐져 이루어진다. 전술하였듯이, 중심 서브 비아홀을 중심으로 나머지 서브 비아홀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중심 서브 비아홀의 내벽에 비아(732, 737 또는 742, 747)가 형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a를 참조하면, 유전 물질 기판(110)을 관통하는 중심 서브 비 아홀(131a)을 형성한다(S810). 예를 들어, 유전 물질 기판(110)의 소정 영역에 기계식 드릴링, 레이저 드릴링, 펀칭(punching)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중심 서브 비아홀(131a) 내벽에 씨드층(138a)을 형성한다(S820). 자세히 설명하면, 중심 서브 비아홀(131a) 뿐만 아니라 유전 물질 기판(110) 전면에 Cu, Al, Ag, Au, Ni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씨드층(138a)을 형성한다. 씨드층(138a)은 주로 무전해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c를 참조하면, 씨드층(138a) 상에 비아용 도전막(138)을 형성한다(S830). 비아용 도전막(138)은 주로 전해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비아용 도전막(138)은 후술할 서브 비아홀에 의해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도 12 및 도 13d를 참조하면, 중심 서브 비아홀(131a)에 겹치도록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을 형성한다(S840).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은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중심 서브 비아홀(131a) 및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은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일 수 있다.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은 기계식 드릴링, 레이저 드릴링, 펀칭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은 중심 서브 비아홀(131a)의 내벽에 형성된 비아용 도전막(도 13c의 138)을 분리한다.
도 12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비아용 도전막을 패터닝하 여, 전기적으로 분리된 한 쌍의 비아(132, 137)를 구비하는 비아 구조체(130)를 완성할 수 있다(S850).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전해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비아용 도전막(138)을 형성하기 전에, 중심 비아홀(131a)에 겹치도록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을 형성한다(S835, S845 참조). 즉, 전해 도금 방법은 씨드층(138a)이 존재하는 영역에서만 비아용 도전막(138)을 자라게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서브 비아홀(131b, 131c)을 이용하여 씨드층(138a)을 분리하더라도 전기적으로 분리된 한 쌍의 비아(132, 137)를 구비하는 비아 구조체(130)를 완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하나의 비아홀 내에 형성된 다수의 비아를 이용하여, 상, 하부에 위치 하는 다수의 배선을 각각 연결할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 내에 비아홀의 전체 면적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면적에 더 많은 신호 배선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다수의 비아와 연결되는 다수의 신호 배선의 연결부가 평행하므로, 신호 배선의 차동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다수의 비아의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조절하여, 차동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신호 배선의 차동 임피던스와 다수의 비아의 차동 임피던스를 일치시켜, 전달되는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신호 충실도가 증가된다.
넷째, 기존 공정상에 일부 공정만 추가하므로, 제조 방법이 간단하다.

Claims (19)

  1. 비아 구조체가 형성된 유전 물질 기판; 및
    상기 유전 물질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비아 구조체와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비아 구조체와의 연결부가 평행한 한 쌍의 신호 배선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신호 배선의 연결부의 차동 임피던스가 일정한 회로 기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신호 배선 중 하나의 신호 배선은 신호를 전달하고, 나머지 신호 배선은 상기 신호의 레퍼런스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 기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러스 신호는 상기 신호의 상보 신호, 접지 전압 신호 또는 전원 전압 신호인 회로 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구조체는 상기 유전 물질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비아홀과, 상기 비아홀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신호 배선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비아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은 상기 하나의 서브 비아홀을 중심으로 2개의 서브 비아홀이 일부 겹쳐져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비아는 상기 중심에 위치한 서브 비아홀의 내벽에 형성되는 회로 기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구조체는, 상기 유전 물질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다수의 서브 제1 비아홀이 겹쳐져 이루어진 제1 비아홀과, 상기 제1 비아홀 내벽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비아를 구비하여, 상기 유전 물질 기판 상,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배선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제1 비아홀은 중심 서브 제1 비아홀과 나머지 서브 제1 비아홀이 겹쳐져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비아는 상기 중심에 위치한 서브 제1 비아홀의 내벽에 형성된 회로 기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서브 제1 비아홀은 상기 중심 서브 제1 비아홀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회로 기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브 제1 비아홀은 동일한 형태인 회로 기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 배선은 한 쌍의 상부 배선을 포함하고, 다수의 하부 배선은 한 쌍의 하부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비아는 한 쌍의 비아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비아 중 하나의 비아는 신호를 전달하고, 나머지 비아는 상기 신호의 레퍼런스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 기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신호의 상보 신호, 접지 전압 신호 또는 전원 전압 신호인 회로 기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배선 및 하부 배선은 각각 상기 비아 구조체와의 연결부가 평행한 회로 기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선 및 하부 배선의 연결부는 각각 차동 임피던스가 일정한 회로 기판.
  15. 제 10항 또는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아의 차동 임피던스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배선의 차동 임피던스는 동일한 회로 기판.
  1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아홀은 하나의 서브 제1 비아홀을 중심으로 2개의 서브 제1 비아홀이 일부 겹쳐져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비아는 상기 중심에 위치한 서브 제1 비아홀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상부 배선과 상기 다수의 하부 배선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기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배선 및 하부 배선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비아와의 연결부가 평행한 회로 기판.
  1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물질 기판은 다수의 유전 물질층으로 각각 절연되어, 다층으로 적층된 신호 배선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물질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비아홀과, 상기 제2 비아홀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유전 물질층의 상,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신호 배선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2 비아를 구비하는 제2 비아 구조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KR1020060131940A 2006-12-21 2006-12-21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KR10074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40A KR100745993B1 (ko) 2006-12-21 2006-12-21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40A KR100745993B1 (ko) 2006-12-21 2006-12-21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448A Division KR100725363B1 (ko) 2005-07-25 2005-07-25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252A KR20070013252A (ko) 2007-01-30
KR100745993B1 true KR100745993B1 (ko) 2007-08-06

Family

ID=3801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940A KR100745993B1 (ko) 2006-12-21 2006-12-21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9574B (zh) * 2016-12-05 2019-04-30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同轴式差分对硅通孔结构
MY191331A (en) * 2016-12-30 2022-06-16 Intel Corp Substrate with gradiated dielectric for reducing impedance mismat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8591A (ja) * 1990-10-12 1992-05-21 Fujitsu Ltd 多目的ビア
JP2000357873A (ja) * 1999-06-17 2000-12-26 Hitachi Ltd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0981A (ja) * 2003-07-31 2005-02-24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8591A (ja) * 1990-10-12 1992-05-21 Fujitsu Ltd 多目的ビア
JP2000357873A (ja) * 1999-06-17 2000-12-26 Hitachi Ltd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0981A (ja) * 2003-07-31 2005-02-24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252A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363B1 (ko)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8889999B2 (en) Multiple layer printed circuit board with unplated vias
JP3732927B2 (ja) 多層配線基板
US8154466B2 (en) Antenna feed module
KR100839307B1 (ko)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우선적 접지 및 바이어 진출 구조물
US7349196B2 (en) Composite distributed dielectric structure
US8854152B2 (en) High-frequency module including a conductor with a slot therein and a conductive wire crossing over the slot and physically contacting the conductor
US20100259338A1 (en) High frequency and wide band impedance matching via
US20070090534A1 (en)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IC chips therein
JP2005183949A (ja) 低クロストークノイズのプリント回路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803252B2 (en) Single and multiple layer packaging of high-speed/high-density ICs
US9456499B2 (en) Structural body and interconnect substrate
JP2008109331A (ja) 伝送線路及びこれを有する配線基板並びに半導体装置
US7291916B2 (en)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and circuit substrate thereof
JP4659087B2 (ja) 差動平衡信号伝送基板
US20070194434A1 (en)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wiring board, and chip package
KR100745993B1 (ko) 복수개의 비아 구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JP2007520888A (ja) 回路基板のための経路指定密度を増大する方法及びそのような回路基板
JP4198912B2 (ja) 対称ストリップラインと非対称ストリップラインの間の遷移構造
US20130020116A1 (en) Printed wiring board
JP2006042098A (ja) 高周波用配線基板
US20060118332A1 (en) Multilayered circuit board for high-speed, differential signals
JP3398311B2 (ja) 高周波配線基板
CN113678574A (zh) 一种共模抑制的封装装置和印制电路板
JP7455730B2 (ja) 配線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