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564B1 - 고정베인 유압모터 - Google Patents

고정베인 유압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564B1
KR100745564B1 KR1020060045682A KR20060045682A KR100745564B1 KR 100745564 B1 KR100745564 B1 KR 100745564B1 KR 1020060045682 A KR1020060045682 A KR 1020060045682A KR 20060045682 A KR20060045682 A KR 20060045682A KR 100745564 B1 KR100745564 B1 KR 100745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ole
hydraulic motor
lif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필찬
Original Assignee
나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필찬 filed Critical 나필찬
Priority to KR102006004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564B1/ko
Priority to CNA2007800190979A priority patent/CN101454569A/zh
Priority to PCT/KR2007/002476 priority patent/WO2007136218A1/en
Priority to DE112007001269T priority patent/DE112007001269T5/de
Priority to US12/301,633 priority patent/US2009014221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9/00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9/005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pumps the piston oscillating in the space, e.g. around a fixed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CPOSITIVE-DISPLACEMENT ENGINES DRIVEN BY LIQUIDS
    • F03C4/00Oscillating-pist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aul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고정베인 유압모터에 관한 것으로, 양측 개방부를 포함하는 작동공간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와; 상기 작동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타측이 개방된 구홈이 형성되어 있고 구홈의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 횡격판으로 구획된 유체실들을 포함하는 유체 통과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출력축을 포함하는 수평 회전체와; 상기 각 유체실의 양 측판과 작동공간의 양 측판에 구비되어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체 통과수단과;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체 통과수단을 통해 각 유체실의 양측에서 유체가 유입 배출되게 하여 각 유체실로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유체 강제 순환수단과; 상기 본체의 타측 개방부와 상기 수평 회전체의 구홈에 고정수단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홈의 둘레인 각 유체실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유체 강제 순환수단과 유체 통과수단을 통해 압력을 가지며 순환되는 유체의 이동으로 각 유체실의 양측 공간의 체적이 변화되면서 각 유체실의 회전 횡격판이 회전되어 상기 수평 회전체의 출력축에서 출력을 얻도록 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경사 회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모터, 수평 회전체, 경사 회전체, 출력축

Description

고정베인 유압모터{Vane type hydraulic mo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압모터의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회전판과 수평 회전체 및 본체를 분해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4a는 유체의 유입전 상태를,
도 4b는 유체가 유입,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각도 변경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나타낸 전체 구성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작동공간
2 : 수평 회전체
21 : 출력축
22 : 구홈
23 : 유체 통과공간
231 : 유체실, 232 : 원뿔 경사면, 233 : 회전 횡격판
3 : 유체 통과수단
31 : 통과홀
32 : 원호장홀
4 : 유체 강제 순환수단
41 : 유입관
42 : 펌프
43 : 배출관
44 : 유체탱크
45 : 냉각핀
5 : 경사 회전체
51 : 구체
52 : 경사 회전축
53 : 회전판
531 : 격판, 532 : 회전 연결축, 533 : 홈부
54 : 구체
541 : 수평 관통홀
55 : 축
551 : 베어링
6 : 고정수단
61 : 경사홀
62 : 베어링
63 : 각도 변경부
631 : 지지대, 631a : 베어링 브라켓
632 : 승강수단, 632a : 승강 브라켓, 632b : 탭홀,
632c : 고정 하우징, 632d : 승강 나선축, 632e : 핸들,
632f : 모터, 632h : 관통홀,
632i : 고정 하우징, 632j : 승강축, 632k : 엑츄에이터
64 : 관통홀
65 : 힌지축
66 : 승강수단
661 : 승강 브라켓, 662 : 탭홀, 663 : 고정 하우징,
664 : 승강 나선축, 665 : 핸들, 666 : 모터, 667 : 승강 브라켓,
668 : 관통홀, 669 : 고정 하우징, 670 : 승강축,
671 : 엑츄에이터
본 발명은 유체의 강제 순환을 통해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고정베인 유압모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고정베인 유압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모터(hydraulic moter)라 함은, 전동기(電動機)나 엔진 등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펌프로 발생시킨 고압을 작동축에 주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압모터는 슬라이스 베인형, 액셜피스톤형 등이 알려져 있는데, 슬라이스 베인형 모터는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토오크 변동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슬라이스 베인의 유동으로 내부에서 유체 누설이 많고, 빠른 회전력으로 원심력이 크게 발생하고, 원심력은 슬라이스 베인을 캠링 내벽에 밀착시켜 마찰력을 증가 시키고, 마찰력은 동력을 소비시키며, 열과 소음, 진동 등을 동반하게 되므로, 슬라이스 베인의 빠른 마모를 유발하며, 기동시나 저속시의 토오크 효율이 낮다.
또 액셜 피스톤형의 유압모터는 내부에서 유체 누설이 적고, 저속에서 토오크 안정성이 우수하고, 회전속도의 범위가 넓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고속운전의 경우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고, 고장을 유발하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과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유압모터의 속도를 정지에서 고속까지 무리 없이 운전 할 수 있도록, 고속 회전시켜도 원심력으로 인한 부하증가를 시키지 않고, 작동부의 마모를 최소화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고, 발열과 소음, 진동을 극소화하며, 제작 재료의 규제를 받지 않는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고효율의 고정베인 유압모터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강제적으로 구속된 횡 격판이 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하여 작용을 못하고 배출되는 유체를 차단하고, 균일한 동력을 발생시켜 모터가 멈춤 없이 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하여 부하 측에 안정된 동력을 공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유압모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압모터를 가동시켜 출력을 얻는 과정에서 경사 회전체의 각도를 변경시켜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출력축의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도 있고, 출력축의 회전을 신속히 정지시킬 수도 있는 유압모터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 개방부를 포함하는 작동공간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와; 상기 작동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타측이 개방된 구홈이 형성되어 있고 구홈의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 횡격판으로 구획된 유체실들을 포함하는 유체 통과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출력축을 포함하는 수평 회전체와; 상기 각 유체실의 양 측판과 작동공간의 양 측판에 구비되어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체 통과수단과;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체 통과수 단을 통해 각 유체실의 양측에서 유체가 유입 배출되게 하여 각 유체실로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유체 강제 순환수단과; 상기 본체의 타측 개방부와 상기 수평 회전체의 구홈에 고정수단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홈의 둘레인 각 유체실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유체 강제 순환수단과 유체 통과수단을 통해 압력을 가지며 순환되는 유체의 이동으로 각 유체실의 양측 공간의 체적이 변화되면서 각 유체실의 회전 횡격판이 회전되어 상기 수평 회전체의 출력축에서 출력을 얻도록 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경사 회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압모터는; 양측 개방부를 포함하는 작동공간(11)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1)와; 상기 작동공간(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타측이 개방된 구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구홈(22)의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 횡격판(233)으로 구획된 유체실(231)들을 포함하는 유체 통과공간(23)이 구비되어 있고 출력축(21)을 포함하는 수평 회전체(2)와; 상기 각 유체실(231)의 양 측판과 작동공간(11)의 양 측판에 구비되어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체 통과수단(3)과; 상기 본체(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체 통과수단(3)을 통해 각 유체실(231)의 양측에서 유체가 유입 배출되게 하여 각 유체실(231)로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유체 강제 순환수단(4)과; 상기 본체(1)의 타측 개방부와 상기 수평 회전체(2)의 구홈(22)에 고정수단(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홈(22)의 둘레인 각 유체실(231)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유체 강제 순환수단(4)과 유체 통과수단(3)을 통해 압력을 가지며 순환되는 유체의 이동으로 각 유체실(231)의 양측 공간의 체적이 변화되면서 각 유체실(231)의 회전 횡격판(233)이 회전되어 상기 수평 회전체(2)의 출력축(21)에서 출력을 얻도록하는 회전판(53)을 포함하는 경사 회전체(5)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에 개방된 작동공간(11)을 포함하고 작동공간(11)의 측벽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력축(21)이 장착되는 수평 중공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와, 상기 작동공간(11)의 타측 공간을 막으며 중앙 주위가 개방되어 상기 경사 회전체(5)가 관통되게 구비된 제2 본체가 상호 조립을 통해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체(1)의 내부에 수평 회전체(2)와 경사 회전체(5)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회전체(2)의 출력축(21)은 본체(1)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출력축(2)은 본체(1)의 내측에 구비되어 키, 스플라인, 세레이션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 회전체(5)는, 상기 구홈(22)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평 회전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 회전축(52)이 구비된 구체(51) 및 구체(51)의 둘레에 구비된 상기 회전판(53)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53)은 상기 각 유체 실(231)들에 원호폭이 가변되도록 다수의 격판(531)들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53)의 둘레에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횡격판(233)이 삽입되는 홈부에는, 회전 횡격판(233)과 회전판(53)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횡격판(233)이 끼워지는 홈부(533)를 포함하는 회전 연결축(532)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또, 상기 유체 통과수단(3)은, 상기 각 유체실(231)의 양 측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홀(31)과, 상기 작동공간의 양 측판 둘레에 각 유체실(231)의 원호폭과 상응되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유체를 유입 배출하는 다수의 원호장홀(32)로 구성되고; 유체 강제 순환수단(4)은 상기 각각의 원호장홀(32)들에 장착되어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체의 유입, 배출관(41,42)과, 상기 유입, 배출관(41,43)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유체펌프(42)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 배출관(41,43)의 외측에는 유입, 배출관(41,43)을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이동 유체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냉각핀(4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배출관(43)의 중간에는 유체탱크(4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원호장홀(32)은 상기 작동공간(11)의 양 측벽의 둘레에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유체실(231)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통과홀(31)과 상호 연통되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유체실(231)의 유체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유체실(231)의 양 측판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통과홀(31)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홀로 구성됨으로서, 유체를 연속적으로 유입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과홀(31)을 원호형의 장홀로 형성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유체를 연속적으로 유입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6)은 상기 본체의 일측 개방부에 구비된 경사홀(61)과 상기 경사홀(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체(51)의 경사 회전축(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수단(62)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경사홀(61)과 미끄럼수단(62)을 통해 경사 회전축(52)을 경사지게 고정형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경사 회전체(5)의 내측면인 유체 통과공간(23)의 내측면에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코팅층(도시않됨)을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체 통과공간(23)을 구성하는 양 측판의 내측면은 중앙 둘레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뿔 경사면(232)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체기계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회전판과 수평 회전체 및 본체를 분해 도시한 개략도로서, 즉 도 4a는 유체의 유입전 상태를, 도 4b 및 도 4c 유체가 유입 이동되어 수평 회전체(2)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 4d는 유체의 배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 도면의 순서로 설명한다.
먼저, 도 4a는 유체의 유입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내지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회전체(5)가 비회전 상태를 나타내며 유체 통과공간(23)을 구성하는 각 유체실(231)에 유체가 전혀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다.
다음, 도 4b와 유체 강제 순환수단(4)을 구성하는 펌프의 구동을 통해 유체의 유입,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1내지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강제 순환수단(4)에 구비된 펌프(42)를 작동시켜 유입관(41)을 통해 유체를 강제 공급시키게 되면, 압력을 가지는 유체는 본체(1) 작동공간(11)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유입관(41)과 연결된 원호장홀(32)로 통과한 후, 원호장홀(32)을 통과한 유체는 수평 회전체(2)의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실(231)의 양측에 형성된 통과홀(31)을 통과하여 유체 유입공간(23)을 구성하는 각 유체실(231)의 양측으로 유입되면서 이동된다.
그러면 각 유체실(231)의 양측으로 유입되어 이동되는 유체는 각 유체실(231)를 구성하는 회전 횡격판(233)들을 일방향으로 동시에 밀어내어 각 회전 횡격판(233)들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 회전 횡격판(233)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는 경사 회전체(5)를 구성하는 회전판(53)이 각 유체실(231)에서 경사진 위치로 회전되게 됨으로서, 각 유체실(231)의 양측 체적이 가변되면서 이동되는 유체는 유체실(231)의 양측에 구비된 통과홀(31)과 작동공간(11)의 양측에 구비된 배출관(43)이 연결되어 있는 원호장홀(32)을 통과하여 배출관(43)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43)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펌프(42)의 연속적인 구동을 통해 다시 유입관(41)을 통해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순환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유체 강제 순환수단(4)을 구성하는 펌프(42)의 구동을 통해 유체 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킴에 따라서 출력축(21)에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체가 수평 회전체(2)의 유체 통과공간(23)으로 순환되는 과정에서 유체 유입공간(23)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각 유체실(231)의 양측으로 유입되면서, 각 유체실(231)을 구성하는 각각의 회전 횡격판(233)이 유체의 이동을 통해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각 회전 횡격판(233)이 고정되어 있는 수평 회전체(2)도 함께 회전됨으로서, 수평 회전체(2)를 구성하는 출력축(21)에서 회전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펌프(42)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유체가 수평 회전체(2)의 각 유체실(231)을 구성하는 각 회전 횡격판(233)들을 동시에 일방향으로 밀어내어 출력을 얻음으로서, 유압모터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부하가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하를 사전에 예방함에 따라서 작동중 각 회전 횡격판(233)들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출력 하중을 분산함으로서 각 회전 횡격판(233)이 손상되는 현상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작동의 설명은 하나의 유체실(231)의 타측 공간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각 유체실(231)의 타측 공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이 진행되어 회전 횡격판(233)을 이동시키게 되면, 유체실(231)의 반대편인 일측 공간에서는 상기 타측 공간의 작동과 반대되는 작동이 진행되면서 유체가 회전 횡격판(233)을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 유체실(231)의 양측 공간에서는 상호 반대되는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각각의 유입관(41)과 배출관(43)이 본체(1)를 구성하는 작동공간(11)의 양측으로 분기됨으로서 상기 유체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유압모터의 속도를 정지에서 고속까지 무리 없이 운전 할 수 있도록 고속 회전시켜도 원심력으로 인한 부하증가를 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작동부의 마모를 최소화 하여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발열과 소음, 진동을 극소화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작 재료의 규제를 받지 않으면서도 수명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강제적으로 구속된 횡 격판이 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하여 작용을 못하고 배출되는 유체를 차단하고, 균일한 동력을 발생시켜 모터가 멈춤 없이 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하여 부하 측에 안정된 동력을 공급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는, 고정수단(6)의 구성을 제외하고 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하며, 상기 고정수단(6)은 상기 본체의 일측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 위치를 변화시켜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 변경부(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53)은 상기 각 유체실들에 원호폭이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격판(531)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각도 변경부(63)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631)와, 상기 본체(1)의 타측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631)를 수동 또는 구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 시키는 승강수단(632)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수단(62)의 승강을 통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서, 상기 경사 회전체(5)의 각도가 경사지게 되면 순환되는 유체를 통해 유압모터의 출력축(21)이 회전되게 되고, 상기 경사 회전체(5)의 각도가 수평 상태로 변경되면 유압모터의 출력축(21)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31)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측 둘레가 구면으로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631a)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632)은, 상기 베어링 브라켓(632a)의 둘레 구면을 감싸주며 상부에 탭홀(632b)이 형성된 승강 브라켓(632a)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32a)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32c)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32a)의 탭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승강 나선축(632d), 및 상기 승강 나선축(632d)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632e) 또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모터(632f)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유압모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유체 강게 순환수단(4)을 구성하는 펌프(42)의 작동을 통해 유체가 수평 회전체(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통과공간(23)을 순환하게 되면, 제1 실시예의 작동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체의 강제 순환을 통해 수평 회전체(2)가 회전됨 으로서 출력축(21)을 통해 회전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동을 수행하는 유압모터에 있어서, 수평 회전체(2)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가변시킴으로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631)와 상기 본체(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61)를 수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632)을 포함하는 각도 변경부(63)을 통해, 상기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서 경사 회전체(5)에 구비된 회전판(53)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서, 각 유체실(231)의 양측 체적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정압력으로 유체실(231)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체실(231)의 체적변화로 인하여 이동속도가 가변됨으로서, 유압모터의 작동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정지 중에도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유량 조정형 유압모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펌핑작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도 변경부(63)의 동작을 통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역방향의 각도로 변경시키게 되면, 유입관을 통해 강제적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수평보다 상부로 상승시켜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역방향으로 변경시키게 되면 경사 회전체(5)와 연동되어 각도가 변환되는 회전판(53)의 각도도 역방향으로 변환됨으로서, 유체가 역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역방향 펌핑 과정의 설명은 전술한 펌핑 과정과 동일함으로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유체의 흐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절환 할 수 있음에 따라서, 출력축(2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정수단(6)을 구성하는 각도 변경부(63)를 조작하여 경사 회전체(5)를 상승시겨 회전판(53)의 각도를 반대방향으로 바꾸게 되면 경사 회전체(5)의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됨으로서, 출력축(2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유압모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정,역 방향으로 펌핑을 과정에서 각도 변경수단(6)의 동작을 통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수평으로 변경시키게 되면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출력축(21)을 정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경사 회전체(5)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경사 회전체(5)와 연동 회전되는 회전판(53)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각 유체실(231)의 양쪽 체적이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압모터는 무부하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출력축(21)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전원을 끄지 않고도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수평으로 변경시키는 과정만으로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출력축(21)의 회전 상태를 멈출수 있게 함으로서 유압모터의 작동중 출력축(21)을 멈출수 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치의 작동중 출력축(21)의 멈춤과 재가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압모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변경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631)와, 상기 본체(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631)를 수동 또는 구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63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대(631)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측 둘레가 구면으로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631a)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2)은, 상기 베어링 브라켓(632a)의 둘레 구면을 감싸주며 상부에 탭홀(632b)이 형성된 승강 브라켓(632a)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32a)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32c)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32a)의 탭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승강 나선축(632d), 및 상기 승강 나선축(632d)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632e) 또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모터(632f)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도 변경부(63)를 구성하는 핸들(632e) 또는 모터(632f)의 회전을 통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승강수단(632)을 구성하는 핸들을 사용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를 조작시키게 되면, 핸들(632e) 또는 모터(632f)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 나선축(632d)이 회전됨으로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 브라켓(632a)의 승강 위치가 변화된다.
즉 상기와 같이 승강 나선축(632d)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승강 나선축(632d)의 회전을 통해 승강 브라켓(632a)의 승강 위치가 변화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승강 브라켓(632a)의 위치가 변화되는 과정에서는 승강 브라켓(632a)의 내측면과 지지대(631)의 외측면이 상호 구면으로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서 상기 승강 브라켓(632a)의 위치가 변화되게 되면 지지대(631)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지대(631)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서 지지대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경사 회전체(5)의 각도도 변화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경시키게 되면, 구체(51)와 구체(51)의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회전판(53)의 각도도 변경됨으로서, 각 유체실의 양측의 체적의 변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53)의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 시킴으로서 유압모터의 작동중은 물론 정지중에도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축(21)의 회전 방향 전환과 출력축(21)의 회전 중 신속히 출력축(21)을 정지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각도 변경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각도 변경부(63)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631)와, 상기 본체(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631)를 구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63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대(631)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측 둘레가 구면으로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631a)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3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32)은, 상기 베어링 브라켓(631a)의 둘레 구면을 감싸주는 승강 브라켓(632a)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32a)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632h)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32i)과, 상기 관통홀(632h)에 관통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32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축(632j), 및 상기 승강축(632j)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유체나 전기적인인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엑츄에이터(632k)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도 변경수단(6)을 구성하는 엑츄에이터(632k)의 구동을 통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작동중은 물론 정지중에도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이동방향의 전환을 통해 출력축(21)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전환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출력축(21)의 회전중에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압모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압모터의 나타낸 전체 구성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압모터는, 경사 회전체(5)와 각도 변경수단(6)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타 구성은 제2 실시예의 유압모터와 동일함을 전제하고; 상기 경사 회전체(5)는, 상기 구홈(22)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수평 관통홀(54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는 상기 회전판(53)이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체(54), 및 상기 수평 관통홀(541)에 부시(451)를 통해 비 회전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어 상기 수평 회전체(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5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53)은 상기 각 유체실들에 원호폭이 가변되도록 다수의 격판(531)들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수단(6)은, 상기 경사 회전체(5)의 축(55)에 구비된 관통홀(64)과, 상기 본체(1)의 타측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64)에 힌지축(65)으로 연결되어 수동 또는 구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66)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66)은, 상기 관통홀(64)에 하단이 힌지축(65)으로 연결되고 상부에 탭홀(662)이 형성된 승강 브라켓(661)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61)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63)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61)의 탭홀(662)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승강 나선축(664), 및 상기 승강 나선축(664)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665) 또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모터(666)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도 변경수단(6)을 구성하는 핸들(665) 또는 모터(666)의 회전을 통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승강수단(66)을 구성하는 핸들(665)을 사용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666)를 조작시키게 되면, 핸들(665) 또는 모터(666)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 나선축(664)이 회전됨으로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 브라켓(661)의 승강 위치가 변화된다.
즉 상기와 같이 승강 나선축(664)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승강 나선축(664)의 회전을 통해 승강 브라켓(661)의 승강 위치가 변화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승강 브라켓(661)의 위치가 변화되는 과정에서는 승강 브라켓(661)의 하부는 경사 회전체(5)의 축(55)과 힌지축(65)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경사 회전체(5)의 각도가 변화된다. 그리고 경사 회전체(5)의 각도가 변화되는 과정에서는 축(55)이 구체(54)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베어링(551)에 대하여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서, 축(55)을 포함하는 경사 회전체(5)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경시키게 되면, 구체(54)와 구체(54)의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회전판(53)의 각도도 변경됨으로서, 각 유체실의 양측의 체적의 변화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53)의 각도를 용이하게 가변 시킴으로서 유압모터의 작동중은 물론 정지중에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이동방향의 전환을 통해 출력축(21)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전환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출력축(21)의 회전중에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압모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압모터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수단(6)은, 상기 경사 회전체(5)의 축(55)에 구비된 관통홀(64)과, 상기 본체(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64)에 힌지축(65)으로 연결되어 수동 또는 구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66)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66)은, 상기 관통홀(64)에 하단이 힌지축(65)으로 연결되는 승강 브라켓(667)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67)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668)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69)과, 상기 관통홀(668)에 관통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67)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축(670), 및 상기 승강축(670)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유체나 전기적인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축(670)을 승강시키는 엑츄에이터(67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수단(6)의 승강수단(66)을 구성하는 엑츄에이터(671)의 구동을 통해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작동중은 물론 정지중에도 펌핑 유량을 조정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이동방향의 전환과 펌핑의 정지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유압모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모터의 속도를 제로에서 고속까지 무리 없이 운전 할 수 있으며, 고속 회전시켜도 원심력으로 인한 부하증가가 되지 않아, 작동부의 마모를 최소화 하여 수명이 연장되고, 발열과 소음, 진동이 적고, 제작 재료의 규제를 덜 받는 간단한 구조의 장구한 수명의 고효율 유압모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제적으로 구속된 횡 격판이 유체의 압력을 받으므로 작용을 못하고 배출되는 유체를 차단하여 효율을 높이고, 저속이나 소속에서도 내부누설이 극히 적은 고 토오크의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유압모터를 가동시켜 출력을 얻는 과정에서 경사 회전체의 각도를 변경시켜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출력축의 회전 방향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출력축의 회전을 신속히 정지시킬 수 있는 유압모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3)

  1. 양측 개방부를 포함하는 작동공간(11)이 내부에 구비된 본체(1)와;
    상기 작동공간(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타측이 개방된 구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구홈(22)의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 횡격판(233)으로 구획된 유체실(231)들을 포함하는 유체 통과공간(23)이 구비되어 있고 출력축(21)을 포함하는 수평 회전체(2)와;
    상기 각 유체실(231)의 양 측판과 작동공간(11)의 양 측판에 구비되어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체 통과수단(3)과;
    상기 본체(1)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유체 통과수단(3)을 통해 각 유체실(231)의 양측에서 유체가 유입 배출되게 하여 각 유체실(231)로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유체 강제 순환수단(4)과;
    상기 본체(1)의 타측 개방부와 상기 수평 회전체(2)의 구홈(22)에 고정수단(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홈(22)의 둘레인 각 유체실(231)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유체 강제 순환수단(4)과 유체 통과수단(3)을 통해 압력을 가지며 순환되는 유체의 이동으로 각 유체실(231)의 양측 공간의 체적이 변화되면서 각 유체실(231)의 회전 횡격판(233)이 회전되어 상기 수평 회전체(2)의 출력축(21)에서 출력을 얻도록하는 회전판(53)을 포함하는 경사 회전체(5);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회전체(5)는,
    상기 본체(1)의 타측 개방부와 상기 수평 회전체(2)의 구홈(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사 회전축(5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53)이 둘레에 돌출 구비된 구체(51)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고정수단(6)은,
    상기 본체의 일측 개방부에 구비된 경사홀(61)과,
    상기 경사홀(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체(51)의 경사 회전축(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수단(6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3)은 상기 각 유체실들에 원호폭이 가변되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수의 격판(531)들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6)은 상기 본체의 일측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축(21)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의 위치를 변화시켜 경사 회전체(5)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 변경부(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변경부(63)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631)와,
    상기 본체(1)의 타측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631)를 수동 또는 구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63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체모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31)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측 둘레가 구면으로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631a)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632)은, 상기 베어링 브라켓(632a)의 둘레 구면을 감싸주며 상부에 탭홀(632b)이 형성된 승강 브라켓(632a)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32a)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32c)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32a)의 탭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승강 나선축(632d), 및 상기 승강 나선축(632d)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632e) 또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모터(632f)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31)는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측 둘레가 구면으로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631a)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632)은, 상기 베어링 브라켓(631a)의 둘레 구면을 감싸주는 승강 브라켓(632a)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32a)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632h)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32i)과, 상기 관통홀(632h)에 관통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32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축(632j), 및 상기 승강축(632j)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유체나 전기적인인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엑츄에이터(632k)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회전체(5)는, 상기 구홈(22)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수평 관통홀(54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는 상기 회전판(53)이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체(54), 및 상기 수평 관통홀(541)에 부시(451)를 통해 비 회전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어 상기 수평 회전체(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5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3)은 상기 각 유체실들에 원호폭이 가변되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수의 격판(531)들로 구성되고;
    고정수단(6)은, 상기 경사 회전체(5)의 축(55)에 구비된 관통홀(64)과, 상기 본체(1)의 타측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64)에 힌지축(65)으로 연결되어 수동 또는 구동수단으로 승강시켜 상기 경사 회전체의 경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6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6)은, 상기 관통홀(64)에 하단이 힌지축(65)으로 연결되고 상부에 탭홀(662)이 형성된 승강 브라켓(661)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61)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63)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61)의 탭홀(662)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승강 나선축(664), 및 상기 승강 나선축(664)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665) 또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모터(66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6)은, 상기 관통홀(64)에 하단이 힌지축(65)으로 연결되는 승강 브라켓(667)과, 상기 경사 회전체(5)의 타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 주며 상기 승강 브라켓(667)에 상응되는 수직 위치에 관통홀(668)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669)과, 상기 관통홀(668)에 관통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승강 브라켓(667)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축(670), 및 상기 승강축(670)의 상단인 외부에 구비되어 유체나 전기적인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축(670)을 승강시키는 엑츄에이터(67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과수단(3)은, 상기 각 유체실(231)의 양 측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홀(31)과, 상기 작동공간의 양 측판 둘레에 각 유체실(231)의 원호폭과 상응되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유체를 유입 배출하는 다수의 원호장홀(32)로 구성되고;
    유체 강제 순환수단(4)은 상기 각각의 원호장홀(32)들에 장착되어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체의 유입, 배출관(41,42)과, 상기 유입, 배출관(41,43)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유체펌프(4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1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과공간(23)을 구성하는 양 측판의 내측면은,
    중앙 둘레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뿔 경사면(232)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베인 유압모터.
KR1020060045682A 2006-05-22 2006-05-22 고정베인 유압모터 KR100745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682A KR100745564B1 (ko) 2006-05-22 2006-05-22 고정베인 유압모터
CNA2007800190979A CN101454569A (zh) 2006-05-22 2007-05-22 固定叶片型液压电机
PCT/KR2007/002476 WO2007136218A1 (en) 2006-05-22 2007-05-22 Fixed vane type hydraulic motor
DE112007001269T DE112007001269T5 (de) 2006-05-22 2007-05-22 Hydraulikmotor mit fester Flügelzelle
US12/301,633 US20090142216A1 (en) 2006-05-22 2007-05-22 Fixed vane type hydraulic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682A KR100745564B1 (ko) 2006-05-22 2006-05-22 고정베인 유압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564B1 true KR100745564B1 (ko) 2007-08-02

Family

ID=3860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682A KR100745564B1 (ko) 2006-05-22 2006-05-22 고정베인 유압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42216A1 (ko)
KR (1) KR100745564B1 (ko)
CN (1) CN101454569A (ko)
DE (1) DE112007001269T5 (ko)
WO (1) WO20071362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365A1 (ko) * 2020-11-30 2022-06-02 이엑스디엘 주식회사 베인 모터
KR102521615B1 (ko) * 2021-11-23 2023-04-14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베인펌프의 베인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5105B1 (en) * 2012-07-12 2014-11-19 Lucas Ihsl Hydraulic power unit including ceramic oscillator and hydraulic engine including the hydraulic power unit
US9145883B2 (en) 2012-07-12 2015-09-29 Lucas IHSL Hydraulic power unit including ceramic oscillator and hydraulic engine including the hydraulic power unit
CN108167187B (zh) * 2016-12-07 2019-07-02 张银量 旋叶啮合式变容机构
CN108729951A (zh) * 2018-06-13 2018-11-02 扬州大学 一种新型双螺杆膨胀机
CN109915371B (zh) * 2019-04-08 2020-03-31 张银量 一种非等角啮合的旋叶式变容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785A (ja) * 1995-04-05 1996-10-22 Kayseven Co Ltd ベーンポンプ
KR100315481B1 (ko) 1999-06-12 2001-11-28 최진희 회전 요동형 유압펌프 및 압축기
KR20050035508A (ko) * 2003-10-13 2005-04-18 라필찬 쐐기형 압축식 유체기계
JP2006022794A (ja) 2004-07-06 2006-01-26 Valeo Electrical Systems Korea Ltd 車両用真空ポンプ
KR20060038838A (ko) * 2004-11-01 2006-05-04 나필찬 터보 용적식 유체기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504A (en) * 1974-01-03 1975-07-01 Wehr Elsie Deshely Rotary pump
US5804898A (en) * 1995-09-12 1998-09-08 Nihon Riken Co., Ltd. Electric motor utilizing magnetic energy of permanent magn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785A (ja) * 1995-04-05 1996-10-22 Kayseven Co Ltd ベーンポンプ
KR100315481B1 (ko) 1999-06-12 2001-11-28 최진희 회전 요동형 유압펌프 및 압축기
KR20050035508A (ko) * 2003-10-13 2005-04-18 라필찬 쐐기형 압축식 유체기계
JP2006022794A (ja) 2004-07-06 2006-01-26 Valeo Electrical Systems Korea Ltd 車両用真空ポンプ
KR20060038838A (ko) * 2004-11-01 2006-05-04 나필찬 터보 용적식 유체기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365A1 (ko) * 2020-11-30 2022-06-02 이엑스디엘 주식회사 베인 모터
KR102521615B1 (ko) * 2021-11-23 2023-04-14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베인펌프의 베인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4569A (zh) 2009-06-10
WO2007136218A1 (en) 2007-11-29
DE112007001269T5 (de) 2009-04-02
US20090142216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564B1 (ko) 고정베인 유압모터
US6537047B2 (en) Reversibl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and motor
US7670121B2 (en) Spherical fluid machines
KR101364025B1 (ko) 축방향 지지부재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
JP4034282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JP4834734B2 (ja) ベーンセルポンプ
CN111577608A (zh) 一种离心泵
RU2294436C1 (ru) Роторная машина с внутренним зацеплением
JP2004293552A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JP4701205B2 (ja) 3方向流量制御バルブ
CN113339319B (zh) 一种汽车水泵
US7192264B2 (en) Hyrdraulic motor
JP2023531782A (ja) ポンプ組立体及び流体機械
RU2804163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эллипсоидная трёхлопастная роторная машина
KR20170044967A (ko) 원심 압축기
CN213478646U (zh) 多叶型可轴向变化容积的吸排装置及其变速驱动系统
JP5149850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H08277795A (ja) 遠心ポンプ
KR20000059664A (ko) 가변용량 유압펌프와 그것을 이용한 가변 유압모터, 무단변속기및 차량용 무단 자동변속기
KR200302997Y1 (ko) 나선형 펌프
KR20050054894A (ko) 냉각기능이 구비된 양흡입 펌프의 베어링 하우징
JPH0458087A (ja) 正逆方向可変吐出量ポンプ及び可変速流体モータ
KR100745563B1 (ko) 유량 가변형 압축식 유체기계
RU2322613C1 (ru) Жидкостно-кольцевой вакуумный насос
JP2004514837A (ja) ポンプまたはモータとしての油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