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324B1 -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324B1
KR100745324B1 KR1020050092777A KR20050092777A KR100745324B1 KR 100745324 B1 KR100745324 B1 KR 100745324B1 KR 1020050092777 A KR1020050092777 A KR 1020050092777A KR 20050092777 A KR20050092777 A KR 20050092777A KR 100745324 B1 KR100745324 B1 KR 10074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file
audio
attribute
information
ident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064A (ko
Inventor
한용희
이명구
신종인
이한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32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an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관리 정보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속성정보를 얻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 따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속성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디오, 재생, MP3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에서 MP3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제 1 디스크 드라이브 12... 제 2 디스크 드라이브
13... 마이콤 14... FPGA
15... MP3 디코더 16... CDDA 디코더
17... DAC 18... 출력부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는 탁월한 음질을 기반으로 컴팩트 디스크 재 생기의 보급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핵심적인 오디오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휴대형 컴팩트 디스크 재생기의 보급으로 이동 중에도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한편, 더블 데크(double deck) 형태의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 재생/기록기의 등장으로 인하여, 누구나 집에서 컴퓨터의 도움 없이 자신의 목소리나 다른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을 비어있는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을 함으로써, 자신만의 컴팩트 디스크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환경의 보급과 함께 MP3(MPEG1에서 규정한 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의 하나) 형태의 화일을 통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음악 감상도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MP3 트랙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편리하게 다운로드(download)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MP3 트랙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MP3 재생기에 대한 보급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MP3 트랙에 대한 이용의 활성화에 힘입어, 기존의 오디오 (CDDA) 트랙과 MP3 트랙을 하나의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광기록재생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MP3 트랙과 기존의 오디오 트랙은 그 구성 형태가 다르다, 따라서, 광기록재생기가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을 정상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트랙의 구성 형태(속성)를 파악하고, 인입된 디스크의 종류에 대한 판별을 통하여 그에 맞는 재생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광기록재생기에서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입되는 각 디스크에 수 록된 MP3 트랙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숫자만큼 MP3 디코더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처럼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숫자만큼 MP3 디코더가 구비된 광기록재생기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그 제조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함에 있어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얻어서 이 정보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속성정보를 얻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여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속성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설치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함에 있어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결정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관리 정보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속성정보를 얻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 따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속성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은,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가 아닌 다른 정보인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이 아닌 제2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wav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일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속성에 따라 디코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인 경우, MP3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MP3 디코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MP3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MP3 디코더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가 아닌 경우, 상기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MP3 디코더가 아닌 다른 디코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방법에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wav인 경우, 상기 일반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일반 오디오 디코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디오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오디오 파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수단을 포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판별하여 상기 처리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제어 수단은 MP3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하기 위하여 MP3 디코딩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가 아닌 다른 정보인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이 아닌 제2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하기 위하여 MP3 디코딩 수단이 아닌 제2의 디코딩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확장자 정보가 wav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일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제어 수단은 상기 일반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하기 위하여 MP3 디코딩 수단이 아닌 제2의 디코딩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MP3 오디오 파 일을 디코딩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상기 MP3 디코딩 수단을 거쳐 디코딩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는,
디스크가 인입되는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와; 상기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트랙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1 제어부로부터 MP3 트랙의 데이터를 전달 받고, 그 전달된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며, 그 변환된 신호에 대한 디코딩 순서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변환된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그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제 2 제어부로 전송하는 MP3 디코더(Decoder)와;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코딩된 MP3 트랙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광기록재생기에 상기 제 1 제어부가 구비됨에 있어, 상기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마다 각각 별도의 제 1 제어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수의 슬레이브(slave) 제 2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제 2 제어부에서 변환된 신호에 대한 디코딩 순서를 제어하는 마스터(master) 제 2 제어부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제 2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마다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기록재생기에 인입되는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의 속성을 파악하고, 하나의 MP3 디코더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입되는 디스크에 수록된 MP3 트랙을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 1 제어부를 '마이콤'으로 구성하고, 제 2 제어부는 시스템 설계자가 논리적 연산을 이용하여 설계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설계자라면 제어부를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두 개의 디스크 드라이브가 구비된 더블 데크 광기록재생기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는, 디스크가 인입되는 제 1 디스크 드라이브(예컨대, 재생전용 디스크 드라이브)(11)와, 디스크가 인입되는 제 2 디스크 드라이브(예컨대, 기록/재생 디스크 드라이브) (12)와,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드라이브(11)(12)에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트랙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 1 제어부 예컨대, 마이콤(13)과, 상기 마이콤(13)으로부터 MP3 트랙의 데이터를 전달 받고, 그 전달된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며, 그 변환된 신호에 대한 디코딩 순서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예컨대, FPGA(14)와, 상기 FPGA(14)로부터 전송되는 변환된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그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FPGA(14)로 전송하는 MP3 디코더(15)와, 상기 마이콤(13)으로부터 CDDA 트랙의 데이터를 전달 받고, 그 전달된 CDDA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CDDA 디코더(16)와, 상기 FPGA(14) 및 상기 CDDA 디코더(16)로부터 전송되는 디코딩된 트랙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7) 및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7)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8)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에서 MP3 트랙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에서 MP3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광기록재생기의 마이콤(도 1의 13 참조)은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의 속성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201).
여기서 상기 마이콤(13)은,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의 속성 정보를 파 악하는데 있어, 인입된 디스크로부터 획득된 TOC(Table Of Contents) 정보로부터,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의 확장자 정보를 이용하여 그 속성을 파악한다.
예컨대,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의 확장자가 'mp3'인 경우에는, 그 트랙을 MP3 트랙으로 판별하며,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의 확장자가 'wav'인 경우에는, 그 트랙을 일반 오디오(CDDA) 트랙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광기록재생기에 상기 마이콤(13)이 구비됨에 있어,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드라이브(11)(12)마다 각각 별도의 마이콤(13)이 구비되어, 각각의 디스크 드라이브(11)(12)에 인입되는 디스크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한편, 광기록재생기가 MP3 트랙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MP3 트랙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단계 202). 이때, MP3 트랙의 데이터는 그 데이터의 형태가 일반 CDDA 트랙의 데이터와 틀리기 때문에, CDDA 디코더 (16)에서 디코딩을 수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FPGA(14)에서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MP3 디코더(15)로 전송한다(단계 203). 이때, 상기 FPGA (14)는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MP3 디코더(15)로 전송함에 있어, 변환된 데이터가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드라이브(11)(12) 중 어느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전송된 MP3 트랙인 지에 따라, 상기 MP3 디코더(15)로 전송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MP3 디코더(15)에서는 상기 FPGA(14)로부터 전송되는 MP3 트랙의 변환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된 신호를 상기 FPGA(14)로 재 전송한다(단계 204).
여기서, 상기 FPGA(14)는,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드라이브(11)(12)에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1 및 제 2 슬레이브 FPGA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슬레이브 FPGA에서 변환된 신호에 대한 디코딩 순서를 제어하는 마스터 FPGA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FPGA의 설계에 따라, 디코딩 순서를 제어하는 마스터 FPGA가 제 1 디스크 드라이브(11)에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포함하고, 제 2 디스크 드라이브(12)에 인입된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MP3 트랙의 데이터를 디코딩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별도의 슬레이브 FPGA를 갖는 광기록재생기로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디스크 드라이브가 채용되는 더블 데크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FPGA는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마다 각각 별도로 구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FPGA(14)는 디코딩된 MP3 트랙 신호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17)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7)는 디코딩된 MP3 트랙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부(18)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MP3 트랙에 대한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단계 205).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 생기는, 광기록재생기에 인입되는 디스크에 수록된 트랙의 속성을 파악하고, 하나의 MP3 디코더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입되는 디스크에 수록된 MP3 트랙을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MP3 디코더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입되는 디스크에 수록된 MP3 트랙을 재생함에 따라, 광기록재생기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관리 정보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속성정보를 얻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 따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속성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가 아닌 다른 정보인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이 아닌 제2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wav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일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속성에 따라 디코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인 경우, MP3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MP3 디코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MP3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MP3 디코더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가 아닌 경우, 상기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MP3 디코더가 아닌 다른 디코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wav인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일반 오디오 파일로 인식하여 일반 오디오 디코더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0.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가 아닌 다른 정보인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이 아닌 제2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자 정보가 wav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일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4.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디오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오디오 파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판별하여 상기 처리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제어 수단은 MP3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하기 위하여 MP3 디코딩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확장자 정보가 mp3가 아닌 다른 정보인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MP3 오디오 파일이 아닌 제2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의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하기 위하여 MP3 디코딩 수단이 아닌 제2의 디코딩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확장자 정보가 wav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을 일반 오디오 파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복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제어 수단은 상기 일반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하기 위하여 MP3 디코딩 수단이 아닌 제2의 디코딩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MP3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MP3 디코딩 수단을 거쳐 디코딩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23.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 디스크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관리 정보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속성정보를 얻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해 상기 광 디스크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 따라 상기 광 디스크에 저장된 오디오 속성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확장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KR1020050092777A 2005-10-04 2005-10-04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 KR10074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777A KR100745324B1 (ko) 2005-10-04 2005-10-04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777A KR100745324B1 (ko) 2005-10-04 2005-10-04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501A Division KR100658881B1 (ko) 2000-09-19 2000-10-05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278A Division KR100846558B1 (ko) 2007-02-26 2007-02-26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20070019277A Division KR100846557B1 (ko) 2007-02-26 2007-02-26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064A KR20050109064A (ko) 2005-11-17
KR100745324B1 true KR100745324B1 (ko) 2007-08-01

Family

ID=3728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777A KR100745324B1 (ko) 2005-10-04 2005-10-04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3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844A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비디오 신호 처리 모드 자동 절환 장치
JP2000149445A (ja) * 1998-11-02 2000-05-30 Telian Av Systems 自動車用mp3プレ―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844A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비디오 신호 처리 모드 자동 절환 장치
JP2000149445A (ja) * 1998-11-02 2000-05-30 Telian Av Systems 自動車用mp3プレ―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064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9456C (zh) 记录/再现数据的方法和装置
CN1118820C (zh) 盘重放装置和方法
KR100745324B1 (ko)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와 방법
KR100846558B1 (ko)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846557B1 (ko)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658881B1 (ko) Mp3 재생 수단이 구비된 광기록재생기
US20030002417A1 (en)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audio data storage medium
KR100396545B1 (ko) 대표 오디오 데이터 기록/재생방법, 그 기록/재생장치 및그 기록매체
JPWO2008026262A1 (ja) 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媒体再生方法、記録媒体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30152004A1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KR100669605B1 (ko) 광기록재생기의 오디오 재생 방법
US20050259548A1 (en) Music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01344911A (ja) 記録媒体および再生装置
CA2464972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copying apparatus
US20040042769A1 (en) 2 in 1 portable optical disc player
KR20020022145A (ko) 광기록재생기에서의 디스크 재생방법
KR20030035377A (ko) 호스트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US7839755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and information reproducing program,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JP2005011432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KR100545800B1 (ko) 이중 트랙 구조를 갖는 광디스크와, 광디스크 장치에서의데이터 기록 및 재생방법
JP4394465B2 (ja)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355780A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7233139A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ポータブル機器
JP2006018936A (ja) 管理情報記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再生装置
JP2005317169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