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089B1 -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089B1
KR100745089B1 KR1020060074154A KR20060074154A KR100745089B1 KR 100745089 B1 KR100745089 B1 KR 100745089B1 KR 1020060074154 A KR1020060074154 A KR 1020060074154A KR 20060074154 A KR20060074154 A KR 20060074154A KR 100745089 B1 KR100745089 B1 KR 10074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extinguishing
unit
intermediate valv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츠
Priority to KR102006007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화구의 점화 또는 소화 여부를 감지하여 점화 또는 소화에 관한 신호인 점/소화신호를 출력하는 점/소화인지부 및 점/소화인지부에서 입력된 점/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가스용기기수단; 및 송신부에서 전송된 점/소화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수신한 점/소화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스를 인입하여 공급하는 중간배관에 설치되는 중간밸브수단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이 제공된다. 개시된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에 따르면, 가스용기기의 가스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중간밸브가 가스용기기의 점화 또는 소화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므로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사용자 환경을 개선하여 가스용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스용기기, 중간밸브, 개폐, 점화, 소화, 신호 송수신

Description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Gas valve system for improving use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가스용기기수단과 중간밸브수단 간의 연결 개략도,
도 3a 내지 3b는 도 2의 가스용기기수단과 중간밸브수단 간의 유선 연결을 위한 중간배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중간배관 11...피복부
12...관통홀 21...화구
22...스위치 23...조절밸브
24...조명기기 25...환풍수단
26...음이온 발생수단 30...가스탱크
40...도시가스탱크 50...유선
1000...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100...가스용기기수단 110...점/소화인지부
120...송신부 130...화력감지부
200...중간밸브수단 210...수신부
220...제어부 230...밸브구동부
240...출력부 241...화면표시수단
242...음성표시수단 250...가스압감지부
260...전원공급수단 270...밝기센서
280...유해가스감지부
본 발명은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사용장치의 가스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중간밸브가 자동 개폐되고,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통한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이 관한 것이다.
상기 가스사용장치는 옥외의 가스탱크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도시가스공사의 도시가스탱크에서 제공되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하는 가스용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스레인지, 가스난방기 또는 가스오븐레인지 등 다양한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기 가스사용장치와 상기 가스탱크 간은 중간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간배관에 구비된 중간밸브의 조작에 의해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밸브가 개방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상기 가스사용장치의 점화스위치 조작에 의해 가스의 점화가 가능하고, 상기 가스사용장치의 사용이 완료된 후 상기 점화스위치의 조작으로 가스가 소화되면 상기 중간밸브의 폐쇄를 통해 가스의 공급이 안전하게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간밸브의 수동 개폐 방식에 의하면 조작이 번거로움은 물론이며 사용 부주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중간밸브의 개방 상태가 장기간 방치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뿐만 아니라 인명 및 재산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 환경의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생활 수준의 향상과 웰빙의 기조가 점차 보편적으로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더욱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제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환경이 적용된 가전제품 등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가스사용장치는 안정성이 중요하며, 또한, 다른 가전제품보다 사용자와의 빈번한 이용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의 이유에서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제품이 부재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가스사용장치의 안전성이 더욱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만 전적으로 의존할 뿐, 사용자 환경을 반영하여 자동적이며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은 부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용자 편의시설이 부대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인위적인 행위가 없이는 작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 환경의 개선이라는 측면에 서는 더욱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가스사용장치의 사용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종래에는 화구의 점/소화 상태 및 화력 크기의 확인을 위해 상기 화구의 위치와 신체의 눈높이가 일치되도록 허리 등의 신체를 직접 굽혀야 하므로 확인이 불편할 뿐 아니라 확인 과정 중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스사용장치에 공급되는 가스의 잔량이 전혀 표시되지 않음으로 하여 가스가 소진되는 시기의 예측이 곤란하고 이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사용장치 사용 중에 주변 밝기가 변경되는 경우 일일이 스위치 조작을 통해 조명기기를 점등 또는 소등시켜야 하므로 주변 밝기 변화에 따른 편의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즉, 사용자가 인지하여 직접적으로 조명기기 등을 온/오프 하지 않는다면 상기와 같은 편의시설은 그 효능과 작용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최근 의학 통계에 의하면, 요리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유해가스에 의해 호흡기, 폐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의 가스사용장치는 이러한 환경하에 사용자를 그대로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여 가스기기 주변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은 더욱 다대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가스사용장치의 사용 중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환풍기 등이 구비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의식적이고 직접적인 행위가 없는 한, 작동하지 않 으며, 이렇게 사용자의 인위적인 행위가 이루어져야 운용되는 시스템은 사용자 환경의 구현과는 그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발적인 행위가 부가되지 않는다면 유명무실한 장비로 전락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가스사용장치의 가스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중간밸브가 가스사용장치의 점화 또는 소화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여 안전사고가 예방되고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은,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화구의 점화 또는 소화 여부를 감지하여 점화 또는 소화에 관한 신호인 점/소화신호를 출력하는 점/소화인지부 및 상기 점/소화인지부에서 입력된 상기 점/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가스용기기수단; 및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점/소화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점/소화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스를 인입하여 공급하는 중간배관에 설치되는 중간밸브수단를 포 함한다.
또한, 상기 점/소화인지부는, 상기 화구의 점화 또는 소화를 위하여 동작하는 스위치의 물리적 이동궤적 또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이 조절되도록 동작하는 상기 가스용기기 내에 구비되는 조절밸브의 개폐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 또는 소화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점/소화인지부는, 상기 중간배관 내에 설치되며 가스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점화 또는 소화를 감지할 수 있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용기기수단은, 상기 가스용기기에 하나 이상 구비된 화구 각각의 화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인 화력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화력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화력정보를 더 송신, 수신하고,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점/소화신호 또는 상기 화력정보를 입력받아 소정의 화면표시수단 또는 소정의 음성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력감지부는, 화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스위치의 물리적 이동궤적, 화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정도 및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화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표시수단은, 점화, 소화 및 화력의 크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각각의 화구마다 구별하여 소정의 세그먼트 개수를 변화시켜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용기기에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중간배관과 연결된 옥외의 가스탱크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LPG)이며,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인입되는 가스의 가스압을 감지하는 가스압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가스압을 이용하여 가스잔량 또는 가스잔류시간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스압, 가스잔량 또는 가스잔류시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중간밸브수단을 구동하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형 전원공급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전압상태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가스용기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밝기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구가 점화되고 상기 감지된 밝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기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가스용기기의 주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유해가스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환풍수단 또는 음이온 발생수단 중 하나 이상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와의 송수신은, 적외선, 블루투스, 무선랜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와의 송수신은, 전기적 신호의 연결을 위한 소정의 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의 유선은, 상기 가스용기기수단과 상기 중간밸브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중간배관의 피복부에 매설되거나 피복부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가스용기기수단과 중간밸브수단 간의 연결 개략도, 도 3a 내지 3b는 도 2의 가스용기기수단과 중간밸브수단 간의 유선 연결을 위한 중간배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1000)은 가스용기기수단(100) 및 중간밸브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용기기수단(100)은 가스레인지, 가스오븐레인지 등의 가스용기기에설치되고, 점/소화인지부(110) 및 송신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소화인지부(110)는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화구(21)의 점화 또는 소화 여부를 감지하여 점화 또는 소화에 관한 신호인 점/소화신호를 출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점/소화인지부(110)는 상기 화구(21)의 점화 또는 소화를 위하여 동작하는 스위치(22)의 물리적 이동궤적, 또는 상기 스위치(22)의 작동과 연동하여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이 조절되도록 동작하는 상기 가스용기기 내에 구비되는 조절밸브(23)의 개폐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 또는 소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2)는 도 2와 같이 각 화구(21)의 점화 또는 소화가 개별 조절되는 부분이며, 상기 물리적 이동궤적은 점화 또는 소화 조절을 위해 상기 스위치(22)가 회전되는 궤적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22)의 이동궤적은 다이얼 방식에 의한 이동궤적 또는 누름 방식과 연동되는 이동궤적 등이 해당될 수 있다. push형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는 점화 등을 위하여 일직선상으로 이동하므로 이러한 물리적 운동의 인지는 회전이라는 물리적 운동만이 다를 뿐, 상기 다이얼 방식의 물리적 운동의 인지와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밸브(23)는 각 스위치(22)의 작동과 연동되어 각 화구(21)로의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이 조절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부분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점/소화인지부(110)는 상기 스위치(22)의 물리적 이동궤적 또는 상기 스위치(22)와 연동되는 상기 조절밸브(23)의 개폐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 또는 소화를 감지하고 상기 점/소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가스용기기의 점.소화 또는 화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기 스위치가 다이얼식 스위치인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스위치를 이용하여 점화할 때, 통상적으로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끝까지 회전시켜야 가스용기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전기적 매커니즘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매커니즘과 연동하여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에 구비된 밸브가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점화의사를 추단할 수 있는 소정의 기준 각도를 정하고, 다이얼식 스위치가 상기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밸브가 열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되는 가스에 발화(점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 스파크가 일어나는 시점보다 거의 동시적일 수 있으나, 물리적으로 우선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즉, 전기스파크가 발생되기 전 밸브가 오픈되어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의 각도는 스파크 발생 각도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 발화가 되지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안전과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소정의 음성출력수단 또는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발화/점화되지 않았음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구(21) 주변이 젖어 있는 등의 이유로 점화 불발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일정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빈번히 시계,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게 되므로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3초 내지 5초) 동안 또는 화구(21)의 열센서가 가스점화를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동안은 최초의 점화인지에 중점을 두어 밸브의 개폐가 반복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화 또는 소화의 인지는, 상기 중간배관 내에 설치되며 가스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감지될 수도 있다.
배관 안에 설치되어 있는 임펠러는 배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따라 임펠러는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임펠러는 유체흐름의 방향, 속도에 따라 동일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유체가 빨리 흐르는 경우, 임펠러의 회전속도(rpm)는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가스)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는 임펠러의 회전방향, 회전속도(rpm),회전가속도 등을 이용하여 가스의 점화, 소화 등을 인지하게 된다.
가스가 소화되는 경우, 유체의 이동이 멈추게 되므로, 이러한 물리적 변화가 그대로 임펠러의 회전으로 연계되어 진행되고 있던 임펠러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가스의 소화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구의 화력을 조절하게 되면, 배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부피가 변하게 되고, 배관의 직경은 항상 동일하므로, 변화된 유체의 부피는 유체의 속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변화된 유체의 속도에 따라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종속되어 변하게 되므로 임펠러의 회전속도(rpm)의 변화를 통하여 점화된 화력의 크기를 인지할 수 있 게 된다.
한편, 상기 송신부(120)는 상기 점/소화인지부(110)에서 입력된 상기 점/소화신호를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은 외부로부터 가스를 인입하여 공급하는 중간배관(10)에 설치되며, 수신부(210), 제어부(220) 및 밸브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의 가스탱크(30) 또는 도시가스탱크(40)일 수 있고, 상기 가스는 각 탱크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액화천연가스(LNG)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의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송신부(120)에서 전송된 상기 점/소화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20)와 상기 수신부(210)와의 송수신은 적외선, 블루투스, 무선랜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전기적 신호의 연결을 위한 소정의 유선(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유선(50)은 상기 가스용기기수단(100)과 상기 중간밸브수단(2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중간배관(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간배관(10)은 가스가 통과되는 관통홀(12) 및 관통홀(12) 외주의 가스의 유출이 차단되는 피복부(1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유선(50)은 도 3a 또는 도 3b와 같이 상기 중간배관(10)의 피복부(11) 내부에 매설되거나 상기 피복부(11)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b와 같은 경우, 상기 유선(50)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피복부(11)로부터 이탈 또는 유실되면서 전기감전, 화재발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외관이 고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유선(50)은 상기 안전사고의 예방 또는 상기 피복부(11)의 외관을 고려하여, 도 3a와 같이 상기 중간배관(10)의 피복부(11) 내부에 안정되게 매설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설되는 유선(50)은 가스용기기 내부에서는 상기 송신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가스용기기 외부에서 인입되는 상기 중간배관(10)이 가스용기기 내부에서 분기되어 갈리는 지점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용기기 내부에 구비되어 직접적으로 화구(21)에 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관과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중간배관(10)의 외주가 아니라 내주면이므로 피복 내부에 매설된 유선(50)이 외부로 현출되도록 하는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신호의 전송은 저압의 전압(수볼트 내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가스와의 접촉에 의한 위험성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절연성 외피에 의하여 상기 유선(50)이 보호된 상태로 상기 중간배관(10)의 피복부(11)에 매설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상기 점/소화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분이다.
상기 밸브구동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중간배관(10)의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밸브구동부(230)는 앞서 상술한 상기 점/소화인지부(110)의 인지 조건인 상기 스위치(22)의 물리적 이동궤적, 또는 상기 스위치(22)의 작동과 연동하는 상기 조절밸브(23)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중간배관(10)의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구동부(230)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구동력이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상기 밸브구동부(230)는 상기 점화 또는 소화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가 결정되므로 상기 가스용기기가 소화되는 즉시 상기 밸브의 폐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용기기수단(100)은 상기 가스용기기에 하나 이상 구비된 화구(21) 각각의 화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인 화력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화력감지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화력감지부(130)는 화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스위치(22)의 물리적 이동궤적이나 화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조절밸브(23)의 개폐정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통하여 화력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환경과 정확성 등에 따라 상기 수단의 하나 이상 복수개를 통하여 인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2)의 물리적 이동궤적은 화력이 조절되기 위한 상기 스위치(22)의 회전 궤적일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스위치(22)의 물리적 이동궤적은 다이얼 방식에 의한 이동궤적 또는 누름 방식과 연동되는 이동궤적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부(120)와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중간배관(130)에서 출력된 화력정보를 더 송신,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은 상기 점/소화신호 또는 상기 화력정보를 입력받아 소정의 화면표시수단(241) 또는 소정의 음성표시수단(242)으로 출력하는 출력부(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화면표시수단(241)은 점화, 소화 및 화력의 크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각각의 화구(21)마다 구별하여 소정의 세그먼트 개수를 변화시켜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의 세그먼트는 복수개로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그먼트가 표시되는 개수를 변화시켜 상기 점화 및 소화 표시는 물론이며 상기 화력의 크기가 단계별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화력의 크기는 점화된 화구의 화력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력의 크기와 연관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인입되는 가스량 등의 모든 정보가 이에 해당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표시수단(242)은 점화, 소화 및 화력의 크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각각의 화구(21)마다 구별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성표시수단(242)은 스피커를 통하여 '1번 화구 점화(또는 소화) 개시' 등의 간단한 음성메시지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성표시수단(242)는 상기 점화, 소화 및 화력 크기 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소리로 출력시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의 편의 증진은 물론이며 안전사고의 예방이 실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상기 출력부(240)에 의하면 상기 점/소화 상태 및 화력 크기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 가능하므로, 상기 화구(21)의 위치와 신체의 눈높이가 일치되도록 신체를 굽혀 확인해야하는 기존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됨은 물론이며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용기기에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중간배관(10)과 연결된 옥외의 가스탱크(30)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LPG)인 경우,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은 인입되는 가스의 가스압을 감지하는 가스압감지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감지된 가스압을 이용하여 가스잔량 또는 가스잔류시간을 연산하여 출력하게 되고, 상기 출력부(240)는 상기 화면표시수단(241)을 통하여 상기 가스압, 가스잔량 또는 가스잔류시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스가 도시가스탱크(40)에서 공급되는 경우에는 가스가 소진될 우려가 없는 반면, 옥외의 가스탱크(30)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LPG)인 경우에는 가스량이 한정되어 있고 가스 소진 시기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에 상기 가스압감지부(25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가스압감지부(250)는 가스가 공급되는 경로인 상기 중간배관(10)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는 복수개의 공간부가 포함된 덕트 및 각 공간부의 압력이 측정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 내부의 각 공간부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각 공간부를 통과하는 가스의 이동속도가 서로 상이하고 각 공간부에서 측정되는 가스압도 서로 상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20)는 이러한 각 공간부의 가스압 차이를 이용하여 가스잔량을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연산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스압 차이에 따른 가스잔량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출력된 가스압 또는 가스잔량은 상기 화면표시수단(241)에 표시됨에 따라 가스의 소진 시기가 예측 가능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은 상기 가스용기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밝기센서(27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20)는 화구가 점화되고 상기 감지된 밝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기(24)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밝기센서(270)는 주변 밝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기(24)를 자동 점등함에 따라 상기 가스용기기 사용의 효율성 및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밝기센서(270)는 주변 밝기가 상기 가스용기기의 사용에 지장을 주지 않는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기기(24)를 자동 소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구가 점화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의 동작과정을 거치도록 구성하는 것이므로, 점/소화인지부, 송신부, 수신부, 밸브구동부 등에서 점화신호가 동작하는 경우라면 가능하므로 상기 구성요소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로상의 신호로부터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은 상기 가스용기기 주변의 가스누출감지 또는 화재가 감지되는 별도의 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센서부에서 위험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24)의 점등 색상을 평상시와 다른 색상으로 변경시키거나 특정 색상으로 점멸시키는 방법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은 상기 가스용기기의 주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감지부(2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감지된 유해가스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환풍수단(25) 또는 음이온 발생수단(26) 중 하나 이상 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해가스를 환풍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음이온 발생에 의해 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환풍수단(25) 또는 음이온 발생수단(26) 이외에도 환기 가능한 창문 등의 구조물과 연동되는 것에 의해 유해가스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유해가스감지부(280)와 제어부(220)에 의하면 가스용기기 사용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상기 유해가스가 감지되고 감지된 유해가스의 즉각적인 정화 또는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유해가스로 인한 주변공기의 오염문제 또는 인체의 각종 질병 유발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은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을 구동하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형 또는 소정 콘센트와 연결되는 아답터형의 전원공급수단(2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공급수단(2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밸브수단(200)의 수신부(210), 제어부(220), 밸브구동부(230), 출력부(240), 가스압감지부(250), 밝기센서(270) 및 유해가스감지부(28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240)는 상기 전원공급수단(260)의 전압상태를 화면표시수단(241) 또는 음성표시수단(242)을 이용하여 더 출력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 또는 충전 시기가 예측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화면표시수단(241)으로 상기 전원공급수단(260)의 전압상태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세그먼트의 개수 변화에 의해 표시 가능할 수 있으나 표시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1000)에 따르면, 가스용기기의 가스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중간밸브가 가스용기기의 점화 또는 소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므로 안전사고가 예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사용자 환경이 고려됨에 따라 가스용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중간배관의 밸브가 가스용기기의 점화 또는 소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므로 상기 가스용기기가 소화되는 즉시 상기 밸브의 폐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사전에 예방될 수 있다.
둘째,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화구의 점화 또는 소화 상태 및 화력 크기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되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셋째, 공급되는 가스가 옥외 가스탱크의 액화석유가스(LPG)인 경우, 중관배관에서 감지된 가스압 및 상기 가스압을 이용하여 연산된 가스잔량이 화면으로 표시됨에 따라 가스의 소진시기가 예측 가능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넷째, 가스용기기의 주변 밝기가 감지되는 밝기센서가 구비됨에 따라 감지된 밝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기의 점등이 가능하여 가스용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다섯째, 가스용기기의 사용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의 감지 및 소정 기준 이상 감지된 유해가스의 즉각적인 정화 또는 배출이 가능하여, 유해가스로 인한 주변 공기의 오염 문제 또는 인체의 질병 유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여섯째, 전원공급수단의 전압상태가 표시됨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 또는 충전 시기가 예측 가능하다.

Claims (12)

  1.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화구의 점화 또는 소화 여부를 감지하여 점화 또는 소화에 관한 신호인 점/소화신호를 출력하는 점/소화인지부 및 상기 점/소화인지부에서 입력된 상기 점/소화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가스용기기수단; 및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점/소화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점/소화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스를 인입하여 공급하는 중간배관에 설치되는 중간밸브수단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소화인지부는,
    상기 화구의 점화 또는 소화를 위하여 동작하는 스위치의 물리적 이동궤적 또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이 조절되도록 동작하는 상기 가스용기기 내에 구비되는 조절밸브의 개폐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 또는 소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소화인지부는,
    상기 중간배관 내에 설치되며 가스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의 회전운 동에 의하여 상기 점화 또는 소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기수단은,
    상기 가스용기기에 하나 이상 구비된 화구 각각의 화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인 화력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화력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화력정보를 더 송신, 수신하고,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점/소화신호 또는 상기 화력정보를 입력받아 소정의 화면표시수단 또는 소정의 음성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감지부는,
    상기 화구의 점화 또는 소화를 위해 동작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화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스위치의 물리적 이동궤적, 상기 스위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가스 공급 또는 차단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스용기기 내에 구비되는 조절밸브에 있어서 화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정도, 및 상기 중간배관 내에 설치되어 가스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점화 또는 소화를 감지하는 임펠러의 회전속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화력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수단은,
    점화, 소화 및 화력의 크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각각의 화구마다 구별하여 소정의 세그먼트 개수를 변화시켜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기에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중간배관과 연결된 옥외의 가스탱크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LPG)이며,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인입되는 가스의 가스압을 감지하는 가스압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가스압을 이용하여 가스잔량 또는 가스잔류시간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스압, 가스잔량 또는 가스잔류시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중간밸브수단을 구동하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형 전원공급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전압상태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 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9. 제 1항, 제 4항,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가스용기기의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밝기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구가 점화되고 상기 감지된 밝기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조명기기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10. 제 1항, 제 4항,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밸브수단은,
    상기 가스용기기의 주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유해가스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스용기기에 구비된 환풍수단 또는 음이온 발생수단 중 하나 이상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와의 송수신은,
    적외선, 블루투스, 무선랜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와의 송수신은,
    전기적 신호의 연결을 위한 소정의 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의 유선은,
    상기 가스용기기수단과 상기 중간밸브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중간배관의 피복부에 매설되거나 피복부 외주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KR1020060074154A 2006-08-07 2006-08-07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KR10074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154A KR100745089B1 (ko) 2006-08-07 2006-08-07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154A KR100745089B1 (ko) 2006-08-07 2006-08-07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089B1 true KR100745089B1 (ko) 2007-08-01

Family

ID=3860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154A KR100745089B1 (ko) 2006-08-07 2006-08-07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0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525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음향기기의 볼륨 조절장치
KR19980064224A (ko) * 1996-12-18 1998-10-07 가나이쯔도무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
KR20060115184A (ko) * 2005-05-04 2006-11-08 주식회사 델로스테크놀로지 유브이센서를 이용한 가스밸브 자동 개폐장치 및 방법
KR20060126390A (ko) * 2005-06-03 2006-12-07 가부시키가이샤 러브어스테크놀러지 가스 오사용 방지 및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525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음향기기의 볼륨 조절장치
KR19980064224A (ko) * 1996-12-18 1998-10-07 가나이쯔도무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
KR20060115184A (ko) * 2005-05-04 2006-11-08 주식회사 델로스테크놀로지 유브이센서를 이용한 가스밸브 자동 개폐장치 및 방법
KR20060126390A (ko) * 2005-06-03 2006-12-07 가부시키가이샤 러브어스테크놀러지 가스 오사용 방지 및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8243A (en) Combination carbon monoxide sensor and combustion heating device shut-off system
CN106969384B (zh) 燃气灶
KR101029554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KR20060129774A (ko) 자동 소화기와 환기장치 내장형 주방용 레인지 후드의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22914A1 (ko) 가스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차단방법
KR101442207B1 (ko) 가스 누설 자동 감지 및 차단장치
KR100745089B1 (ko) 사용자 환경이 개선된 가스사용장치의 중간밸브 시스템
KR101611503B1 (ko) 주방용 화재 방재장치
KR20130098791A (ko)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110265B2 (ja) ガス器具誤使用防止自動遮断装置
KR100700091B1 (ko) 홈네트워크장치를 이용한 가스렌지의 소화장치 및 그구동방법
KR20130098790A (ko) 자동식 소화장치의 후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TWI512246B (zh) 具有火焰偵測的瓦斯爐
KR101459055B1 (ko)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구비된 가스레인지 및 그 동작방법
KR101678457B1 (ko) 스마트 산소 용접기 및 그의 제어방법
EP2952792A1 (en) Electronic gas safety control means
KR200204217Y1 (ko) 가스밸브개폐표시장치
KR200231992Y1 (ko) 가스누출 방지장치
CN104240426A (zh) 用火提示设备
KR102576074B1 (ko) 가스기기의 점화 제어장치 및 방법
JP5781147B2 (ja) 暖房装置
CN219955404U (zh) 具操作指引及状态显示的面板装置
KR102298490B1 (ko) 스마트 밸브 시스템
KR20010044493A (ko) 가스누출 방지장치
KR20010069884A (ko) 가스밸브 개폐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411

Effective date: 2008102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