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960B1 -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 Google Patents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960B1
KR100743960B1 KR1020060101407A KR20060101407A KR100743960B1 KR 100743960 B1 KR100743960 B1 KR 100743960B1 KR 1020060101407 A KR1020060101407 A KR 1020060101407A KR 20060101407 A KR20060101407 A KR 20060101407A KR 100743960 B1 KR100743960 B1 KR 10074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nent
colorant
octy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재
추귀석
Original Assignee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비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5Colour indicators, e.g. pH- or Redox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염 성분이 함유된 제1 제형과 산 성분이 함유된 제2 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제형 및/또는 제2 제형은 유효 화장품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제형과 제2 제형의 혼합에 의해 기포 및 열이 발생되어 상기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촉진하는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는 화장료 제제에 함유된 탄산염 성분 및 산 성분의 혼합으로 발생하는 기포와 열에 의해, 사용시 유효 화장품 성분의 높은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2액형, 화장료, 피부침투효과, 흡수효과, 기포

Description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Cosmetic Preparation Comprising 2―Component Liquid Generating Gas}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염 성분이 함유된 제1 제형과 산 성분이 함유된 제2 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제형 및/또는 제2 제형은 유효 화장품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제형과 제2 제형의 혼합에 의해 기포 및 열이 발생되어 상기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촉진하는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화장품과 같은 피부 외용제 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흡수에 있어서, 제 1의 장벽은 피부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각질층임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특히, 각질층이 케라틴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질세포와 각질 세포간을 구성하는 지질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용성 유효 화장품 성분은 원활하게 피부에 흡수되지만, 수용성 및 분자량이 큰 활성 성분은 피부를 투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이 수용성인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화장품 성분은 피 부내로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기능성 화장료의 유효성분에 대한 효과를 제대로 얻지 못한다.
이에,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흡수촉진제로 비극성 용매, 계면활성제, 지방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왔으나, 이러한 경피투과 촉진제들은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투과를 어느 정도 촉진하기는 하지만, 분자량이 작아서 유효 화장품 성분과 함께 피부에 흡수되어 심한 자극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밖에도 수용성 물질의 피부 흡수를 위해 초음파 혹은 미세한 전기자극을 피부에 부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Sloan JB , Slotani K. " Iontrophoresis in dermatology: a review " J. Am . Acad . Dermatol . 1986, 4:671; Langer R." Ultra sound-mediated transdermal protein delivery " Science 1995; 269:850), 이러한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화장료와 같은 피부 외용제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한 방법 이외에 효소를 이용하여 피부 장벽기능을 변화시키거나 약화시킴으로써 활성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특허들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5,534,260호 및 제 5,296,222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약물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순히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첨가하는 방법에 불과하여 제형에 포함된 성분 물질들의 영향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단백질 분해 효소가 변성되거나 활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 결과, 효소에 의한 경피흡수 증진효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유효 화장품 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성분이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열에 의한 화장료 제제로의 투과촉진과 노폐물 촉진은 공지되어 왔으나,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 온도가 상승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방법이 피부 국부 적용 제제로 사용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멘톨(menthol), 캄파, 박하유 등 피부를 자극하여 모공을 확대하는 작용을 하는 성분을 포함하여, 모공의 확대에 따라 근처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마치 뜨거운 듯한 느낌을 받을 뿐이지 실제적으로 피부조직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제 자체의 실제적인 온도변화가 없기 때문에 피부의 유효 화장품 성분 침투 및 노폐물 배출 측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효 화장품 성분의 범위가 상온에서 피부흡수가 가능하며 노폐물의 배출속도도 실질적인 온도 상승시에 비해 제한된다.
따라서, 대부분이 수용성인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화장품 성분이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 및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료 제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촉진하는 기능성 화장료 제제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탄산염 성분 함유된 제1 제형과 산 성분이 함유된 제2 제형으로 구성된 2액형 제제에 유효 화장품 성분을 첨가한 다음, 상기 2액형 제제를 혼합한 결과, 기포 발생과 열에 의해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가 촉진되도록 탄산염 성분이 함유된 제1 제형과 산 성분이 함유된 제2 제형의 혼합에 의해 기포 및 열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 성분이 함유된 제1 제형과 탄산염 성분이 함유된 제2 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제형 및/또는 제2 제형에 유효 화장품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제형과 제2 제형의 혼합에 의해 기포 및 열이 발생되어, 상기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촉진하는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산염 성분이 함유된 제1 제형과 산 성분이 함유된 제2 제형으로 구획된 2액형의 기능성 화장료 제제로, 사용시 제1 제형 및 제2 제형의 혼합에 의하여 산성분과 탄산염 성분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는 동시에 발열 반응으로 인한 열이 발산되어, 이산화탄소로 피부를 자극하고 발열로 인하여 피부 침투 특성을 개선하여 기능성 화장료에 함유된 유효 화장품 성분들이 피부에 침투 및 흡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어느 것이어도 좋으 며, 이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유기산으로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오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등의 직쇄 지방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산, 푸마르산, 말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 복실산,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젖산, 히드록시아크릴산, α-옥시부티르산, 글리세르산, 타르트론산, 살리실산, 갈산, 트로프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콘산 등의 옥시산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으로서는 인산,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칼륨, 산성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산성 헥사메타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칼륨, 술팜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 및 글리콜릭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산염으로서는 탄산 암모늄,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세스퀴탄산칼륨, 세스퀴탄산칼슘,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제형 또는 제2 제형에 첨가되는 유효 화장품 성분은 글리세릴 파바(glyceryl PABA),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디갈로일 트리오리에이트(digalloyl trioleate), 3-(4-메칠벤질리텐)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멘탈인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벤조페논-3(benzophenone-3), 벤조페논-4(benzophenone-4), 벤조페논-8(benzophenone-8),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시녹세이트(cinox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옥틸 디메칠 파바(octyl dimethyl PABA),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zycinnamate),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옥틸트리아존(octyl triazone),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onbenzoic acid),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2-phenylbenzimidazole-5-sulfonic acid),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알부틴(arbutin), 에틸 아스코르빌 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 레티놀(retinol),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아데노신(adenosine),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polyethoxylated retinamide), 닥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 화장품 성분은 보습화장품 성분, 미백화장품 성분, 주름개선화장품 성분, 보습화장품 성분 등과 같은 통상적인 화장품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제제에는 향료 또는 pH 지시용 색재, 보습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화장수, 유액 등의 형태로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및 세정용 등으로 제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서는 천연향료, 합성 향료, 조합 향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pH 지시용 색재는 제1 제형 및/또는 제2 제형에 첨가되어 제형의 pH에 따라 변색되도록 적양 배추 색재, 검은 콩 색재, 나팔꽃 색재, 당근즙 색재, 포도즙 색재 및 장미꽃 색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은 사용시 피부에 대하여 pH 3 내지 pH 9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제의 pH가 3 이하이면 산의 자극에 의해 통증 및 피부병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pH 9 이상이면 알칼리에 의한 단백 변성 작용에 의해 조직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제의 정제된 수분량은 40 내지 99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6 중량%이다. 또한 탄산염과 산의 양은 제제 총 중량%에 대하여, 탄산염 0.01 내지 30중량%이고, 산은 0.01 내지 30중량%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제제는 더블 챔버형으로 한 몸체 또는 2가지 개별 용기에 담아 사용시 섞이면서 기포 발생하도록 제작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 탄산염 및 산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제조
2액형 기능성 화장료는 표 1에서 제시된 제제의 중량%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 중 제1 제형은 정제수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상온에서 용해시키고, 제2 제형에는 글리콜릭산 파우더와 비타민 C파우더를 분쇄하여 정제수에 혼합시킨 다음 알부틴을 넣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제1 제형 탄산수소나트륨 2.0
정제수 40.0
제2 제형 글리콜릭산 파우더 1.0
비타민 C 파우더 1.4
알부틴 10
정제수 55.6
비교예 : 일반적인 화장료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방식으로 제조하되, 탄산수소나트륨, 클리콜릭산 파우더 비타민 C 파우더는 첨가하지 않았다.
실험예 1: 기능성 화장료 관능시험
실시예에서 제조한 탄산염 및 산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기능성 화장료에 대한 효과 측정을 위하여 20 내지 40세의 여자 80명을 상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을 사용한 군(40명)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제제을 사용한 군(40명)으로 나누어 품평(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제제들의 효과는 주로 피부의 촉촉함 및 부드러움에 주목하여 평가하였다. 품평은 사용직후와 사용 후 3일 경과시의 상태를 비교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의 제제들은 비교예에 비해 매우 높은 선호 경향을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명) 비교예 (명)
사용직후 피부상태 부드러움 개선 26 10
촉촉함 개선 20 15
3일 후 피부상태 부드러움 개선 30 10
촉촉함 개선 29 9
실험예 2: 기능성 화장료 폐쇄첩포 검사
인체 첩포시험은 일차자극물질(Primary Irritants)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과적으로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진단을 위한 진단용 첩포시험(Diagnostic patch test)을 의미한다.
건강한 성인 여자 30명의 등 부위에, 키트(Finn chamber)를 이용하여 40㎕를 넣은 뒤, 이를 테이프로 피부에 고정하였다. 24시간 후에 이를 피부에서 떼어내고 다시 4시간 후 그 결과를 판정하였다. 홍반과 부종의 정도를 숫자로 나타내었다. 판정기준은 국제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의 기준( Wooding et al , 1967; Rietschell , 1982; Fischer & Maibach , 1984; Aberer et al , 1993), 다음과 같다.
(판정기준)
0= 발적 없음
1= 발적(erythema)
2= 발적 및 구진(papules)
3= 발적, 구진 및 소수포(vesicles)
4= 심한 부종 및 소수포
자극도(%)=(양성반응을 나타내는 반응도/ 자체모집단의 반응도)×100
구분 폐쇄첩포검사의 자극도(%)
실시예 0.45
비교예 0.5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제 각각에 대하여 30명의 지원자들에 대한 폐쇄첩포검사의 자극도(%)를 측정한 결과,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극도가 0.45%로 비교예와 유사하게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의 제제에 의한 피부 안정성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알부틴의 피부흡수율 측정
알부틴의 피부 흡수는 기네아피그 피부를 대상으로 프란츠 투과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직전 기네아피그의 복부부분 피부를 채취하여 평방 1cm2의 면적으로 절단한 후, 이를 투과경의 직경이 0.9cm인 투과셀에 정치한 후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피부의 한쪽면에 측정하고자 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0.5㎖ 도포하고, 반대쪽은 정제수와 글리세린이 1:1 중량%로 혼합된 용매와 접촉하도록 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실제 피부 온도인 32℃를 유지하였다. 실험 시작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용매의 일부를 채취한 후, HPLC를 이용하여 피부에 흡수된 알부틴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표 4에서와 같이, 알부틴의 피부흡수는 탄산염과 산이 함유된 제제이 첨가되지 않는 경우보다 최소 5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간 실시예(㎍/cm2/중량%) 비교예(㎍/cm2/중량%)
0 0 0
4 6.15 0.4
8 12.98 2.48
24 36.13 7.55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가 촉진되도록 탄산염 성분이 함유된 제1 제형과 산 성분이 함유된 제2 제형의 혼합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액형 기능성 화장료 제제는 화장료 제제에 함유된 탄산염 성분 및 산 성분의 혼합으로 발생하는 기포와 열에 의해, 사용시 유효 화장품 성분의 높은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비타민C 및 글리콜산이 함유된 제1 제형과 탄산수소나트륨이 함유된 제2 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제형 및/또는 제2 제형은 유효 화장품 성분과 pH에 따라 변색되는 색재, 보습제 및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제1 제형과 제2 제형의 혼합에 의해 기포 및 열이 발생되어, 상기 유효 화장품 성분의 피부 침투효과 및 흡수효과를 촉진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는 이산화탄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화장품 성분은 글리세릴 파바(glyceryl PABA),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디갈로일 트리오리에이트(digalloyl trioleate), 3-(4-메칠벤질리텐)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멘탈인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벤조페논-3(benzophenone-3), 벤조페논-4(benzophenone-4), 벤조페논-8(benzophenone-8),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시녹세이트(cinox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옥틸 디메칠 파바(octyl dimethyl PABA),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zycinnamate),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옥틸트리아존(octyl triazone),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onbenzoic acid),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2-phenylbenzimidazole-5-sulfonic acid),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알부틴(arbutin), 에틸 아스코르빌 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 레티놀(retinol),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아데노신(adenosine),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polyethoxylated retinamide), 닥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재는 적양 배추 색재, 검은콩 색재, 나팔꽃 색재, 당근즙 색재, 포도즙 색재 및 장미꽃 색재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KR1020060101407A 2006-10-18 2006-10-18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KR10074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07A KR100743960B1 (ko) 2006-10-18 2006-10-18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07A KR100743960B1 (ko) 2006-10-18 2006-10-18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960B1 true KR100743960B1 (ko) 2007-07-30

Family

ID=3849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407A KR100743960B1 (ko) 2006-10-18 2006-10-18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9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02B1 (ko) 2011-10-26 2014-01-23 주식회사 제닉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용 필름 조성물 및 화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26283B1 (ko) 2012-04-25 2014-08-05 우승원 아미겔이 함유된 2제형 이산화탄소팩 조성물
KR101511253B1 (ko) 2008-07-31 2015-04-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순수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4026A (ko) 2014-06-16 2015-12-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5429A (ko) 2015-09-22 2017-03-3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9139A (ko) * 2016-12-31 2018-07-10 (주)셀바이오 고온 환경에서 보관성이 우수한 이산화탄소 발생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0807A (ja) * 1987-06-13 1988-12-19 Kanebo Ltd 発泡性化粧料
JP2005015454A (ja) * 2003-06-26 2005-01-20 Cosmo Products Kk 炭酸ガス発生化粧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0807A (ja) * 1987-06-13 1988-12-19 Kanebo Ltd 発泡性化粧料
JP2005015454A (ja) * 2003-06-26 2005-01-20 Cosmo Products Kk 炭酸ガス発生化粧品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공보 소63-310807호
일본공개공보 특개2005-15454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53B1 (ko) 2008-07-31 2015-04-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순수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3902B1 (ko) 2011-10-26 2014-01-23 주식회사 제닉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용 필름 조성물 및 화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26283B1 (ko) 2012-04-25 2014-08-05 우승원 아미겔이 함유된 2제형 이산화탄소팩 조성물
KR20150144026A (ko) 2014-06-16 2015-12-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5429A (ko) 2015-09-22 2017-03-3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9139A (ko) * 2016-12-31 2018-07-10 (주)셀바이오 고온 환경에서 보관성이 우수한 이산화탄소 발생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56259B1 (ko) * 2016-12-31 2024-04-09 조이앤코퍼레이션(주) 고온 환경에서 보관성이 우수한 이산화탄소 발생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09B1 (ko) 다이펩티드를 함유하는 개인 케어 조성물
ES2375703T3 (es) Composiciones despigmentantes a base de soja para el cuidado de la piel.
US20100215726A1 (en) Compositions for Diminishing the Appearance of Wrinkles
US2008018325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skin inflammation via restoration of skin barrier function
KR102216005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3960B1 (ko)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JP2006514657A (ja) しわ、細かいすじ及び発汗過多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伝達方法
KR20140008234A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US20070264212A1 (en) Skin Lightening Method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60131387A (ko)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JP2004091376A (ja) 表皮角化正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4131401A (ja) 皮膚化粧料
JP4500906B2 (ja) 化粧料配合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US11096881B2 (en) Use of thiophosphate derivatives as skin depigmenting agents
JP2006176471A (ja) ユビキノン類を有効成分とする遅効性又は持続性化粧料又はパック用貼付剤。
US20230000759A1 (en) Ppar agonist complex and methods of use
JP2001081038A (ja) 活性酸素消去剤、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食品
CN113693966A (zh) 一种创新型美白亮采祛斑霜及其制备方法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1626473B1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13929B1 (ko) 피부탄력을 위한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090073622A (ko) 로도크로사이트 추출물, 스미스소나이트 추출물 및피토스테릴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971520A (ja) 皮膚化粧料
KR20020088004A (ko) 수세미 성분과 비타민을 이용한 피부미용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