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939B1 -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939B1
KR100740939B1 KR1020060001744A KR20060001744A KR100740939B1 KR 100740939 B1 KR100740939 B1 KR 100740939B1 KR 1020060001744 A KR1020060001744 A KR 1020060001744A KR 20060001744 A KR20060001744 A KR 20060001744A KR 100740939 B1 KR100740939 B1 KR 10074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sis
compound
group
mmol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학
임진수
김지호
최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939B1/ko
Priority to US11/913,216 priority patent/US7968715B2/en
Priority to PCT/KR2007/000113 priority patent/WO200707818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33Irid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2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3/205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using a compression spring between tumbler and an articulated contact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과 화학식 5 로 표시되며 발광성을 나타내는 전이금속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화학식 5]
Figure 112007018367332-pat00001
Figure 112007018367332-pat00002
상기 화학식 1과 화학식 5에서 M은 Ir, Pt, Rh, Re 및 Os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m은 2 또는 3이고, n은 0 또는 1이며, m과 n의 합은 3이다. 단, M이 Pt일 경우 m과 n의 합이 2이다. X는 N 또는 P 이며, Y 는 O, S, Se 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 이리듐 착화합물

Description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METALLIC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본 발명은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고효율의 인광 호스트 물질로 사용가능한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device)는 자발광형 표시소자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EL 소자는 발광층(emitting layer)형성용 재료에 따라 무기EL 소자와 유기EL 소자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유기EL 소자는 무기EL 소자에 비하여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유기EL 소자는 기판 상부에 애노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애노드 상부에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 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홀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박막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EL 소자의 구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애노드로부터 주입된 홀은 홀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에 이동된다. 한편,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에 주입되고 발광층 영역에서 캐리어들이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한다. 이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발광층의 분자가 발광함으로서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 형성용 재료는 그 발광 메카니즘에 따라 일중항 상태의 엑시톤을 이용하는 형광재료와 삼중항 상태의 엑시톤을 이용하는 인광재료로 나뉜다. 인광 재료는 일반적으로 전이금속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 및 무기 화합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이금속 원자에 의해 원래 금지 전이이던 삼중항 상태의 엑시톤이 허용전이를 거쳐 인광 발광하게 된다. 인광 재료는 75% 생성확률을 갖는 삼중항 엑시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25% 일중항 엑시톤을 이용하는 형광재료보다 매우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삼중항을 이용한 발광재료로는 이리듐, 백금 화합물을 이용한 여러 인광 재료들이 발표되고 있다 (Sergey Lamansky et al. Inorg. Chem., 40, 1704-1711, 2001 & Sergey Lamansky et al., J. Am. Chem. Soc., 123, 4304-4312, 2001). 청색발광 재료는 (4,6-F2ppy)2Irpic 이나 불소화된 ppy 리간드 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Ir 화합물(Vladimir V. Grushin et al. Chem. Commun., 1494-1495, 2001)이 개발되었으나, (4,6-F2ppy)2Irpic 의 경우 발광색이 스카이 블루(sky blue) 영역이고 특히 숄더 피크(shoulder peak)가 매우 커서 색순도 좌표의 y값이 커지는 단점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적색과 녹색 재료에 대해서는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고효율 장수명 인광 재료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리간드 구조를 포함하는 인광 금속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발광 효율 및 색순도 특성이 개선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과 화학식 5 로 표시되며 발광성을 나타내는 전이금속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7018367332-pat00026

로 표현되며, 여기서 M은 전이금속으로 Ir, Pt, Rh, Re 및 Os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m은 2 또는 3이고, n은 0 또는 1이며, m과 n의 합은 3이고, 단 M이 Pt일 경우 m과 n의 합이 2이고, X는 N 또는 P이며, Y 및 Q는 각각 O, S 또는 Se이다. 또한 상기 R1 는 수소, 방향족 고리형 치환체를 제외한 탄소 수 1~20개의 알킬,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 치환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R2,R3 R4 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 탄소 수 1~20개의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치환기; 카보닐기; 바이닐기; 아세틸레닐기에서 선택되며, 상기 L2는 하기의 화학식 2, 3 및 4:
[화학식 2]
Figure 112007018367332-pat00027

[화학식 3] [화학식 4]
Figure 112007018367332-pat00028

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화학식 2에서 * 표시된 부분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M과 공유결합, 인접의 N 또는 P와 배위결합하고,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Z 및 W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O, N, S 및 P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2, 3 및 4에서 상기 R5~R18 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 탄소수 1~20개의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치환기; 카보닐기; 바이닐기; 아세틸레닐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
[화학식 5]
Figure 112007018367332-pat00029

로 표현되며, 여기서 M은 전이금속으로 Ir, Pt, Rh, Re 및 Os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m은 2 또는 3이고, n은 0 또는 1이며, m과 n의 합이 3이고, 단 M이 Pt일 경우 m과 n의 합이 2이고, X는 N 또는 P이며, Y 는 O, S 또는 Se이다. 또한 상기 R19는 수소, 방향족 고리형 치환체를 제외한 탄소 수 1~20개의 알킬,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치환기이고, 상기 R20,R21,R22,R23 R24 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 탄소 수 1~20개의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치환기; 카보닐기; 바이닐기; 아세틸레닐기에서 선택되며, 고리를 이루는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L2는 상기 화학식 2, 3 및 4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화학식 2에서 * 표시된 부분은 상기 화학식 5에서 상기 M과 공유결합, 인접의 N 또는 P와 배위결합하고,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Z 및 W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O, N, S 및 P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2, 3 및 4에서 상기 R5~R18 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 탄소수 1~20개의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치환기; 카보닐기; 바이닐기; 아세틸레닐기에서 선택되며, 고리를 이루는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술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5로 표현되는 금속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이 금속 화합물을 이루는 리간드로 전이 금속과의 C와 공유결합, N과 배위결합 자리를 갖는 벤조 퓨로 옥사졸계 및 벤조 퓨로 티아졸계 유도체,벤조 티오 옥사졸계 및 벤조 티오 티아졸계 유도체 나프토 옥사졸계 및 나프토 티아졸계 유도체를 도입하였다. 여기서, 농도소광을 줄이기 위하여 벤조 옥사졸기, 벤조 티아졸기, 나프토 옥사졸기 그리고 나프토 티아졸기에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할로겐기, 실릴기 등의 입체장애가 큰 작용기를 도입하였는데, 치환기의 위치와 전자주개 또는 받개의 특성에 따라 수십 nm 정도의 발광 및 빛의 파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리간드의 대표적인 예들은 하기의 화학식 6 와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화학식 6]
Figure 112006001015603-pat00007
Figure 112006001015603-pat00008
Figure 112006001015603-pat00009
Figure 112007018367332-pat00010

또한, L2 리간드를 이용하여 적은 범위의 파장영역의 조절이 가능하였으며, 대표적인 L2 리간드의 예는 하기의 화학식 7 와 같다.
[화학식 7]
삭제
삭제
Figure 112006001015603-pat00011
Figure 112006001015603-pat00012
Figure 112006001015603-pat00013
Figure 112006001015603-pat00014
Figure 112006001015603-pat00015
Figure 112006001015603-pat00016
Figure 112006001015603-pat00017
Figure 112007018367332-pat00018

상기 화학식 중 전이금속 화합물은 일반적 합성방법 중 대표적인 하기와 같은 합성과정을 통해 합성할 수 있는데, 반응식 1은 리간드 합성을 나타내며, 반응식 2는 메탈레이션(metalation)과정을 설명하였다.
[반응식 1]
삭제
삭제
Figure 112007018367332-pat00019

[반응식 2]
삭제
Figure 112007018367332-pat00020

대표적인 메탈레이션(Metalation) 반응인 상기 반응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프토 벤조옥사졸 유도체와 수화된 삼염화 이리듐을 질소 대기하에서 반응시키면 두개의 이리듐 금속이 Cl 리간드를 서로 공유하는 다이머(dimer) 형태의 중간체를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 중간체는 약염기가 포함된 용매 중에서 보조 리간드와 반응하여 화학식 1과 화학식 5의 전이금속화합물을 형성한다.
삭제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삭제
화합물 1:(MNTZ)2Ir(acac)의 합성
2-메틸 나프토티아졸(MNT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나프탈렌-2-티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2-메틸 나프토티아졸(수율:70%)를 얻을 수 있다.
삭제
(MNTZ)2Ir(Cl)2Ir(MNTZ)2의 합성: 5mmol의 2-메틸 나프토티아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 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 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93%의 수율로 (MNTZ)2Ir(Cl)2Ir(MNTZ)2 를 얻었다.
(MNTZ)2Ir(acac)의 합성:5mmol의 (MNTZ)2Ir(Cl)2Ir(MNT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1%의 수율로 (MNT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2]
삭제
화합물 2: (MNTZ)2Ir(Facac)의 합성
(MNTZ)2Ir(Facac)의 합성: 5mmol의 (MNTZ)2Ir(Cl)2Ir(MNTZ)2 와 25mmol의 1,1,1-트라이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 대기 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7%의 수율로 (MNT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
화합물 3: (MNTZ)2Ir(FacacF)의 합성
(MNT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MNTZ)2Ir(Cl)2Ir(MNT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2%의 수율로 (MNTZ)2Ir(MNTZ)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4]
화합물 4: (MNTZ)2Ir(Pic)의 합성
(MNTZ)2Ir(Pic)의 합성: 5mmol의 (MNTZ)2Ir(Cl)2Ir(MNT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0%의 수율로 (MNTZ)2Ir(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5]
화합물 5:(MNTZ)2Ir(NPic)의 합성
Figure 112006001015603-pat00021
(MNTZ)2Ir(NPic)의 합성: 5mmol의 (MNTZ)2Ir(Cl)2Ir(MNTZ)2 와 25mmol의 5-다이메틸아미노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 (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9%의 수율로 (MNTZ)2Ir(NPic)를 얻었다.
[실시예 6]
화합물 6: (FMNTZ)2Ir(acac)의 합성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나프토티아졸(FMNT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나프탈렌-2-티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1,1,1,5,5,5-헥사플루오로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나프토티아졸(수율:71%)를 얻을 수 있다.
삭제
(FMNTZ)2Ir(Cl)2Ir(FMNTZ)2의 합성: 5mmol의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나프토티아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 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 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91%의 수율로 (FMNTZ)2Ir(Cl)2Ir(FMNTZ)2 를 얻었다.
(FMNTZ)2Ir(acac)의 합성: 5mmol의 (FMNTZ)2Ir(Cl)2Ir(FMNT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0%의 수율로 (FMNT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7]
화합물 7: (FMNTZ)2Ir(Facac)의 합성
(FMNTZ)2Ir(Facac)의 합성: (FMNTZ)2Ir(Facac)의 합성: 5mmol의 (FMNTZ)2Ir(Cl)2Ir(FMNTZ)2 와 25mmol의 1,5-비스 트라이플루오로메틸릭 안하이드라이드,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9%의 수율로 (FMNT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8]
화합물 8: (FMNTZ)2Ir(FacacF)의 합성
(FMNT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FMNTZ)2Ir(Cl)2Ir(MNT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로-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7%의 수율로 (FMNTZ)2Ir(FacacF)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9]
화합물 9: (FMNTZ)2Ir(Pic)의 합성
(FMNTZ)2Ir(Pic)의 합성: 5mmol의 (FMNTZ)2Ir(Cl)2Ir(FMNT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8%의 수율로 (FMNTZ)2Ir(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0]
화합물 10: (FMNTZ)2Ir(NPic)의 합성
(FMNTZ)2Ir(NPic)의 합성: 5mmol의 (FMNTZ)2Ir(Cl)2Ir(FMNTZ)2 와 25mmol의 5-다이메틸아미노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 (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8%의 수율로 (FMNTZ)2Ir(N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1]
화합물 11: (TMSNTZ)2Ir(acac)의 합성
2-트라이메틸실릴 나프토티아졸(TMSNT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나프탈렌-2-티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1,5-비스트라이메틸실릭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2-트라이메틸실릴 나프토티아졸(수율:74%)를 얻을 수 있다.
삭제
(TMSNTZ)2Ir(Cl)2Ir(TMSNTZ)2의 합성: 5mmol의 2-트라이메틸실릴 나프토티아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 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 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94%의 수율로 (TMSNTZ)2Ir(Cl)2Ir(TMSNTZ)2 를 얻었다.
(TMSNTZ)2Ir(acac)의 합성: 5mmol의 (TMSNTZ)2Ir(Cl)2Ir(TMSNT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1%의 수율로 (TMSNT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12]
화합물 12: (TMSNTZ)2Ir(Facac)의 합성
(TMSNTZ)2Ir(Facac)의 합성: 5mmol의 (TMSNTZ)2Ir(Cl)2Ir(TMSNTZ)2 와 25mmol의 1,1,1-트라이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2%의 수율로 (TMSNT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3]
화합물 13: (TMSNTZ)2Ir(FacacF)의 합성
(TMSNT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TMSNTZ)2Ir(Cl)2Ir(TMSNT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3%의 수율로 (TMSNTZ)2Ir(FacacF)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4]
화합물 14: (TMSNTZ)2Ir(Pic)의 합성
(TMSNTZ)2Ir(Pic)의 합성: 5mmol의 (TMSNTZ)2Ir(Cl)2Ir(TMSNT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8%의 수율로 (TMSNTZ)2Ir(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5]
화합물 15: (TMSNTZ)2Ir(NPic)의 합성
(TMSNTZ)2Ir(NPic)의 합성: 5mmol의 (TMSNTZ)2Ir(Cl)2Ir(TMSNTZ)2 와 25mmol의 5-다이메틸아미노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 (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7%의 수율로 (TMSNTZ)2Ir(N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6]
화합물 16: (PNTTZ)2Ir(acac)의 합성
페난트로티아졸(PNTT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페난트렌-2-티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포르믹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페난트로티아졸(수율:69%)를 얻을 수 있다.
삭제
(PNTTZ)2Ir(Cl)2Ir(PNTTZ)2의 합성: 5mmol의 페난트로티아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 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 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89%의 수율로 (PNTTZ)2Ir(Cl)2Ir(PNTTZ)2 를 얻었다.
(PNTTZ)2Ir(acac)의 합성: 5mmol의 (PNTTZ)2Ir(Cl)2Ir(PNTT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7%의 수율로 (PNTT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17]
화합물 17: (PNTTZ)2Ir(Facac)의 합성
(PNTTZ)2Ir(Facac)의 합성: 5mmol의 (PNTTZ)2Ir(Cl)2Ir(PNTTZ)2 와 25mmol의 1,1,1-트라이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6%의 수율로 (PNTT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8]
화합물 18: (PNTTZ)2Ir(FacacF)의 합성
(PNTT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PNTTZ)2Ir(Cl)2Ir(PNTT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5%의 수율로 (PNTTZ)2Ir(FacacF)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19]
화합물 19: (PNTTZ)2Ir(Pic)의 합성
(PNTTZ)2Ir(Pic)의 합성: 5mmol의 (PNTTZ)2Ir(Cl)2Ir(PNTT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6%의 수율로 (PNTTZ)2Ir(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0]
화합물 20: (PNTTZ)2Ir(NPic)의 합성
(PNTTZ)2Ir(NPic)의 합성: 5mmol의 (PNTTZ)2Ir(Cl)2Ir(PNTT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7%의 수율로 (PNTTZ)2Ir(N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1]
화합물 21:(MNOZ)2Ir(acac)의 합성
2-메틸 나프토옥사졸(MNO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나프탈렌-2-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아세틸화된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의 1-아미노나프탈렌-2-티올(수율:73%)를 얻을 수 있다.
삭제
(MNOZ)2Ir(Cl)2Ir(MNOZ)2의 합성: 5mmol의 2-메틸 나프토옥사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대기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96%의 수율로 (MNOZ)2Ir(Cl)2Ir(MNOZ)2 를 얻었다.
(MNOZ)2Ir(acac)의 합성:5mmol의 (MNOZ)2Ir(Cl)2Ir(MNO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8%의 수율로 (MNO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22]
삭제
화합물 22: (MNOZ)2Ir(Facac)의 합성
(MNOZ)2Ir(Facac)의 합성: 5mmol의 (MNOZ)2Ir(Cl)2Ir(MNOZ)2 와 25mmol의 1,1,1-트라이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6%의 수율로 (MNO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3]
화합물 23: (MNOZ)2Ir(FacacF)의 합성
(MNO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MNOZ)2Ir(Cl)2Ir(MNO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5%의 수율로 (MNOZ)2Ir(FacacF)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4]
화합물 24:(MNOZ)2Ir(Pic)의 합성
(MNOZ)2Ir(Pic)의 합성: 5mmol의 (MNOZ)2Ir(Cl)2Ir(MNO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6%의 수율로 (MNOZ)2Ir(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5]
화합물 25: (MNOZ)2Ir(NPic)의 합성
(MNOZ)2Ir(NPic)의 합성: 5mmol의 (MNOZ)2Ir(Cl)2Ir(MNOZ)2 와 25mmol의 5-다이메틸아미노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7%의 수율로 (MNOZ)2Ir(N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6]
화합물 26: (FMNOZ)2Ir(acac)의 합성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나프토옥사졸(FMNO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나프탈렌-2-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1,1,1,5,5,5-헥사플루오로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나프토옥사졸(수율:73%)를 얻을 수 있다.
삭제
(FMNOZ)2Ir(Cl)2Ir(FMNOZ)2의 합성: 5mmol의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나프토옥사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 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 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90%의 수율로 (FMNOZ)2Ir(Cl)2Ir(FMNOZ)2 를 얻었다.
(FMNOZ)2Ir(acac)의 합성: 5mmol의 (FMNOZ)2Ir(Cl)2Ir(FMNO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1%의 수율로 (FMNO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27]
화합물 27: (FMNOZ)2Ir(Facac)의 합성
(FMNOZ)2Ir(Facac)의 합성: 5mmol의 (FMNOZ)2Ir(Cl)2Ir(FMNOZ)2 와 25mmol의 1,1,1-트라이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0%의 수율로 (FMNO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8]
화합물 28: (FMNOZ)2Ir(FacacF)의 합성
(FMNO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FMNOZ)2Ir(Cl)2Ir(FMNO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3%의 수율로 (FMNOZ)2Ir(FacacF)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29]
화합물 29: (FMNOZ)2Ir(Pic)의 합성
(FMNOZ)2Ir(Pic)의 합성: 5mmol의 (FMNOZ)2Ir(Cl)2Ir(FMNO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2%의 수율로 (FMNOZ)2Ir(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0]
화합물 30: (FMNOZ)2Ir(NPic)의 합성
(FMNOZ)2Ir(NPic)의 합성: 5mmol의 (FMNOZ)2Ir(Cl)2Ir(FMNOZ)2 와 25mmol의 5-다이메틸아미노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0%의 수율로 (FMNOZ)2Ir(N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1]
화합물 31: (TMSNOZ)2Ir(acac)의 합성
2-트라이메틸실릴 나프토옥사졸(TMSNO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나프탈렌-2-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1,5-비스트라이메틸실릭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2-트라이메틸실릴 나프토옥사졸(수율:70%)를 얻을 수 있다.
삭제
(TMSNOZ)2Ir(Cl)2Ir(TMSNOZ)2의 합성: 5mmol의 2-트라이메틸실릴 나프토옥사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 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 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93%의 수율로 (TMSNOZ)2Ir(Cl)2Ir(TMSNOZ)2 를 얻었다.
(TMSNOZ)2Ir(acac)의 합성: 5mmol의 (TMSNOZ)2Ir(Cl)2Ir(TMSNO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3%의 수율로 (TMSNO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32]
화합물 32: (TMSNOZ)2Ir(Facac)의 합성
(TMSNOZ)2Ir(Facac)의 합성: 5mmol의 (TMSNOZ)2Ir(Cl)2Ir(TMSNOZ)2 와 25mmol의 1,1,1-트라이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0%의 수율로 (TMSNO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3]
화합물 33: (TMSNOZ)2Ir(FacacF)의 합성
(TMSNO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TMSNOZ)2Ir(Cl)2Ir(TMSNO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9%의 수율로 (TMSNOZ)2Ir(FacacF)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4]
화합물 34: (TMSNOZ)2Ir(Pic)의 합성
(TMSNOZ)2Ir(Pic)의 합성: 5mmol의 (TMSNOZ)2Ir(Cl)2Ir(TMSNO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8%의 수율로 (TMSNOZ)2Ir(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5]
화합물 35: (TMSNOZ)2Ir(NPic)의 합성
(TMSNOZ)2Ir(NPic)의 합성: 5mmol의 (TMSNOZ)2Ir(Cl)2Ir(TMSNOZ)2 와 25mmol의 5-다이메틸아미노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7%의 수율로 (TMSNOZ)2Ir(NPi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6]
화합물 36: (PNTOZ)2Ir(acac)의 합성
페난트로옥사졸(PNTOZ)의 합성:20ml의 물안에 1-아미노페난트렌-2-티올 5mmol를 넣어 교반시키면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때까지 그 안에 도데실황산화 나트륨 20mg을 넣는다. 포르믹 안하이드라이드 7.5mmol이 5분에 걸쳐 첨가된다. 생성물은 5-10분안에 침전이 발생한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되고 물 1ml로 2회에 걸쳐 씻기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이 경우 생성물은 침전되지 않고 반응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25ml로 2회에 걸쳐 추출한다. 나누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화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면 페난트로옥사졸(수율:71%)를 얻을 수 있다.
삭제
(PNTOZ)2Ir(Cl)2Ir(PNTOZ)2의 합성: 5mmol의 페난트로옥사졸과 10mmol의 IrCl3xH2O 를 2-에톡시에탄올(100mL)에 녹여 24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환류한다. 상온으로 낮춘 후에, 5% 염산수용액(200mL)을 넣어 석출시킨 후에, 여과하고 물과 에테르(ether) 용매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92%의 수율로 (PNTOZ)2Ir(Cl)2Ir(PNTOZ)2 를 얻었다.
(PNTOZ)2Ir(acac)의 합성: 5mmol의 (PNTOZ)2Ir(Cl)2Ir(PNTOZ)2 와 25mmol의 2,4-펜탄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4%의 수율로 (PNTOZ)2Ir(acac)를 얻었다.
[실시예 37]
화합물 37: (PNTOZ)2Ir(Facac)의 합성
(PNTOZ)2Ir(Facac)의 합성: 5mmol의 (PNTOZ)2Ir(Cl)2Ir(PNTOZ)2 와 25mmol의 1,1,1-트라이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2%의 수율로 (PNTOZ)2Ir(Facac)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8]
화합물 38: (PNTOZ)2Ir(FacacF)의 합성
(PNTOZ)2Ir(FacacF)의 합성: 5mmol의 (PNTOZ)2Ir(Cl)2Ir(PNTOZ)2 와 25mmol의 1,1,1,5,5,5-헥사플루오르펜탄-2,4-다이온,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0%의 수율로 (PNTOZ)2Ir(FacacF)를 얻었다.
삭제
[실시예 39]
화합물 39: (PNTOZ)2Ir(Pic)의 합성
삭제
(PNTOZ)2Ir(Pic)의 합성: 5mmol의 (PNTOZ)2Ir(Cl)2Ir(PNTOZ)2 와 25mmol의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91%의 수율로 (PNTOZ)2Ir(Pic)를 얻었다.
[실시예 40]
화합물 40: (PNTOZ)2Ir(NPic)의 합성
삭제
삭제
(PNTOZ)2Ir(NPic)의 합성: 5mmol의 (PNTOZ)2Ir(Cl)2Ir(PNTOZ)2 와 25mmol의 5-다이메틸아미노 피콜리닉 산, 그리고 50mmol의 탄산칼륨을 1,2-다이클로로에탄(100mL)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24시간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 50℃ 정도로 낮추고 여과한 후에 여과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하여 89%의 수율로 (PNTOZ)2Ir(NPic)를 얻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의 PL 스펙트럼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삭제
[표 1]
화합물 수율 PL (nm) 화합물 수율 PL (nm)
화합물 1 91 562 화합물 21 88 552
화합물 2 87 560 화합물 22 86 549
화합물 3 92 559 화합물 23 85 545
화합물 4 90 561 화합물 24 86 546
화합물 5 89 558 화합물 25 87 545
화합물 6 90 570 화합물 26 91 559
화합물 7 89 569 화합물 27 90 556
화합물 8 87 565 화합물 28 93 553
화합물 9 88 567 화합물 29 92 555
화합물 10 88 566 화합물 30 90 551
화합물 11 91 562 화합물 31 93 549
화합물 12 92 559 화합물 32 90 548
화합물 13 93 556 화합물 33 89 544
화합물 14 88 557 화합물 34 88 545
화합물 15 87 552 화합물 35 87 542
화합물 16 87 575 화합물 36 94 557
화합물 17 86 572 화합물 37 92 553
화합물 18 85 570 화합물 38 90 552
화합물 19 86 573 화합물 39 91 554
화합물 20 87 569 화합물 40 89 552
[실시예 41]
애노드로는 코닝사의 10 Ω/cm2 ITO 기판을 사용하였고, 상기 기판 상부에 IDE406을 진공 증착하여 홀 주입층을 60nm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홀 주입층 상부에 상기 TPD 화합물을 30nm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홀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홀 수송층 상부에 본 발명에 의한 전이금속화합물을 진공증착하여 20nm 두께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발광층 상부에 BCP을 진공 증착하여 5nm 두께의 HBL 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발광층 상부에 Alq3 를 진공증착하여 20nm 두께의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 전자 수송층 상부에 LiF 1nm 와 Al 300nm 를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여 LiF/Al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전계 발광 소자를 완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41에 따라 제조된 유기 전계 발광소자에 있어서, 휘도, 색좌표 및 효율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높은 효율과 저전압에서 구동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유기 전계 발광 재료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물질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적용되어 발광물질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발광효율을 높이며 농도소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표시소자,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전자 사진, 조명광원, 기타 광원 및 표지, 간판, 인테리어 등의 분야에 매우 적합하다. 종래의 외부 양자 효율이 5%에 미치지 못하는 형광 유기 EL 소자와 비교하여 소비전력을 대폭 낮추었고, 입체장애가 큰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높은 도핑 농도에서도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어 소자의 수명 증대에 매우 유용하겠다고 하겠다. 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의료용, 형광증백제, 사진용, UV 흡수제, 레이저 색소, 컬러 필터용 염료, 색 변환 필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하기 화학식 5:
    [화학식 5]
    Figure 712007001605177-pat00025
    로 표현되며,
    여기서 M은 Ir, Pt, Rh, Re 및 Os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m은 2 또는 3이고, n은 0 또는 1이며, m과 n의 합이 3이고, 단 M이 Pt일 경우 m과 n의 합이 2이고, X는 N 또는 P이며, Y 는 O, S 또는 Se이고,
    상기 R19는 수소, 방향족 고리형 치환체를 제외한 탄소 수 1~20개의 알킬,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 치환기 및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 치환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R20,R21,R22,R23 R24 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 탄소 수 1~20개의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치환기; 카보닐기; 바이닐기; 아세틸레닐기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L2는 하기의 화학식 2, 3 및 4:
    [화학식 2]
    Figure 712007001605177-pat00030
    [화학식 3] [화학식 4]
    Figure 712007001605177-pat00031
    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화학식 2에서 * 표시된 부분은 상기 화학식 5에서 상기 M과 공유결합, 인접의 N 또는 P와 배위결합하고,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Z 및 W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O, N, S 및 P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2, 3 및 4에서 상기 R5~R18 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 탄소수 1~20개의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할로겐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치환기;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치환기; 카보닐기; 바이닐기; 아세틸레닐기에서 선택된 하나인
    금속 화합물.
  3. 제2항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60001744A 2006-01-06 2006-01-06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4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744A KR100740939B1 (ko) 2006-01-06 2006-01-06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1/913,216 US7968715B2 (en) 2006-01-06 2007-01-08 Metallic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07/000113 WO2007078184A1 (en) 2006-01-06 2007-01-08 Metallic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744A KR100740939B1 (ko) 2006-01-06 2006-01-06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939B1 true KR100740939B1 (ko) 2007-07-19

Family

ID=3822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744A KR100740939B1 (ko) 2006-01-06 2006-01-06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68715B2 (ko)
KR (1) KR100740939B1 (ko)
WO (1) WO2007078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7354A1 (en) * 2019-08-16 2021-02-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CN112802970B (zh) * 2020-12-27 2022-07-05 浙江华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物及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元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083A (ja) 2001-04-04 2002-10-18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4127598A (ja)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011610A (ja) 2003-06-18 2005-01-13 Nippon Steel Chem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154396A (ja) 2003-10-30 2005-06-16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金属錯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083A (ja) 2001-04-04 2002-10-18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4127598A (ja)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011610A (ja) 2003-06-18 2005-01-13 Nippon Steel Chem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154396A (ja) 2003-10-30 2005-06-16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金属錯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8715B2 (en) 2011-06-28
WO2007078184A1 (en) 2007-07-12
WO2007078184A8 (en) 2007-09-27
US20080200678A1 (en)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367B1 (ko)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소자
KR100783711B1 (ko)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EP1400514B1 (en) Metal coordination compound and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0662378B1 (ko) 적색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사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EP1434286B1 (en) Phenyl pyridine-iridium metal complex compound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rocess for preparing the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compounds
JP4662854B2 (ja) ホスト用化合物とドーパント用化合物が連結された有機金属化合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52501A (ko) 청색 인광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청색 인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50043427A (ko) 유기 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29738B1 (ko)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20060036097A1 (en) Oxadiazole metallic complexes and their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applications
KR100729739B1 (ko)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40939B1 (ko)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29737B1 (ko)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29740B1 (ko)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29741B1 (ko) 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4145002A (zh) 杂配体发光络合物
JP2013545754A (ja) ドナー置換基とアクセプター置換基とを組合せて有する配位子を含む金属錯体
KR20050015811A (ko) 이리듐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50081032A (ko) 신규 전이금속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N113105510A (zh) 一种金属铱配合物和该配合物作为发光层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20050010682A (ko) 전기 발광 이리듐 화합물 및 이를 발광 도판트로서채용하고 있는 표시소자
KR20050080288A (ko) Oled 제조용 인광 발광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KR20070075042A (ko) 유기 금속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