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509B1 -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509B1
KR100740509B1 KR1020050014813A KR20050014813A KR100740509B1 KR 100740509 B1 KR100740509 B1 KR 100740509B1 KR 1020050014813 A KR1020050014813 A KR 1020050014813A KR 20050014813 A KR20050014813 A KR 20050014813A KR 100740509 B1 KR100740509 B1 KR 10074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allet
hold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143A (ko
Inventor
최병수
Original Assignee
최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수 filed Critical 최병수
Priority to KR102005001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5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팔레트에 지지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팔레트와; 팔레트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밀착 접촉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판은 팔레트 모서리의 하부 및 측면에 밀착고정되고 지지대를 고정하는 홀더가 형성된 구조이고,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에 대하여 간격 조절구조로 결합하여 20mm 이내에서 상하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 결합구와; 상기 지지대 결합구의 홀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 결합구의 상부판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된 지지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이다.
합성수지 팔레트, 지지대, 결합구, 금구

Description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Pallet guard se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 결합구조의 구성도
도 2는 지지대 결합구의 실시 예도
도 3은 팔레트에 결합구를 장착한 상태도
도 4는 팔레트에 결합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 단면을 표시한 결합상태도로서 각기 140mm 높이의 팔레트와 150mm 높이의 팔레트에 사용한 상태도
도 5는 팔레트에 지지대를 결합한 사용 상태도
*주요 부호의 설명
10. 팔레트 11. 홈
20. 지지대 결합구
21. 상부판 21a.맞춤부 21b.슬라이딩 가이드
22.하부판 22a.고정판 22b.측판
22c. 홀더 22d.가이드 홈 22e.가이드 링
22f.물림 돌기 23. 스프링 23a.스프링 고정봉
30. 지지대 31. 지주 32. 크로스바
33. 결합부 34. 가압판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별도의 결합구를 사용하여 지지대를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팔레트의 화물 보호와 다층적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대 결합구조(실용신안등록 제0338870)를 기 제시한바 있다.
이것은 합성수지 팔레트의 측면이 일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외 측 테두리를 돌출 형성하되 각 모서리 부에서 돌출부위를 제거하여 측면과 연속된 금구 접촉면을 형성하고, "┏ " 형태의 양면 날개와 상부에서 이를 덮는 덮개 및 본체 외 측으로는 앵글형 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는 홀더를 형성한 구조의 금구 4개를 구비하여 상기한 팔레트의 각 모서리 금구 접촉면에 날개가 접하고 상부면에 금구의 덮개가 접하도록 각각의 금구를 각각의 팔레트 모서리에 부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로서 금구와 합성수지 팔레트가 견고히 부착되고, 필요시는 홀더에 지지대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층적재와 적재물의 보호가 가능하며, 팔레트 모서리를 금속제 금구에 의해 보호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앵글형태의 지지대를 사용함으로써 적재공간 및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금구와 합성수지 팔레트가 일체로 결합한 구조로서 전용 팔레트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일반 팔레트를 가공하여 사용할 경우에 가공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고, 볼트 또는 핀에 의해 고정 결합함으로써 금구의 해체 및 조립이 번거롭고, 금구를 분리한 상태로 팔레트를 사용할 때는 금구 부착 부가 그대로 노출되고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기 제시된 지지대 결합구조는 팔레트의 소유와 지지대의 소유가 각기 다른 물류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창고업자, 제조업자 또는 중간 물류기지에서는 보관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팔레트에 금구를 부착하고 지지대를 결합하여 다층으로 적재하여 화물을 보관하고, 화물의 반출시에는 별도의 자산인 지지대를 분리한 상태로 팔레트만 물류에 제공하고, 추후 팔레트는 회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바, 기 제시된 지지대 결합구조는 화물적재 상태에서 금구의 해체가 곤란하여 화물을 내린 후 지지대 및 금구를 해체하고, 다시 화물을 팔레트에 적재함으로서 시간과 인력의 소비가 높아지고, 화물이 훼손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최근에는 화물의 출발지에서 팔레트를 렌트하고 세계 어디서든지 도착지에서 반납하는 팔레트 렌털 시스템이 정착되어 가고 있는바, 이러한 시스템의 이용시에도 별도의 자산인 지지대 및 그 구성요소는 쉽게 결합하고, 화물적재 상태에서도 분리 가능한 구조의 지지대 결합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쉽고 간편하게 팔레트에 결합 사용할 수 있고, 팔레트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지지대 결합구조를 제시하며, 기존 팔레트 구조를 거의 변경 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할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가 각기 다른 팔레트의 경우 대략 20mm 내외의 높이 범위 내에서는 제한 없이 사용가능한 구조의 지지대 결합구조를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팔레트와; 팔레트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밀착 접촉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판은 팔레트 모서리의 하부 및 측면에 밀착고정되고 지지대를 고정하는 홀더가 형성된 구조이고,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에 대하여 간격 조절구조로 결합하여 20mm 이내에서 상하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 결합구와; 상기 지지대 결합구의 홀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 결합구의 상부판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된 지지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를 제시한다.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는 기존 합성수지 팔레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 결합구를 사용하기 위해 특수하게 제조된 팔레트, 예를 들면, 상하 대칭형의 팔레트 각 모서리 상하부에 지지대 결합구를 구성하는 상부판과 하부판에 맞춤 되는 홈이 형성된 구조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대 결합구는 팔레트용 지지대를 통상적인 합성수지 팔레트에 부착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팔레트의 각 모서리에 각 결합하는 4개의 결합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 결합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팔레트의 높이인 140mm 및 150mm에 적용가능하고, 그외 20mm 범위에서 호환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한 지지대 결합구는 팔레트 모서리의 상부에 접촉 고정되는 상부판과, 팔레트 모서리의 하부에 접촉 고정되는 하부판으로 구성되고, 상 하부 판은 상하 간격 조절구조로 결합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한 상태에서 제한된 범위, 즉, 20mm 이내에서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상하 간격 조절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부판을 구성하는 측판의 외측에 가이드 관을 형성하고 상부판의 측면 외 측으로 상기 가이드 관에 맞춤 되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부판이 상기 가이드 관을 타고 측판에 접촉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고, 하부판의 측판에 20mm 범위의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부판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부판이 상기 가이드 홈을 타고 측판에 접촉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구조는 상 하부판이 맞물려 결합한 상태에서 분해되지 않고 팔레트에 결합상태에서는 접촉 압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하부판을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하부판의 모서리 내측에 상하부판을 결속하는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판의 모서리 내측에 수직봉을 형성하여 상부판의 모서리로 관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부판 외측에 캠 구조의 핸들을 상기 수직봉에 결합하여 팔레트에 결합한 상태에서 캠 구조의 핸들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 결합구에 형성된 홀더는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주를 끼워 고정하는 요소이며, 지주의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홀더의 홈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원형, 각형, 앵글형 등 다양한 형상의 지지대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지지대는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복층으로 적층하고, 내부 화물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요소로 양 지주 상부에 크로스 바가 결합한 라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대를 구성하는 부재는 원형, 각형 또는 앵글형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각 지주의 지지대 결합부의 형상에 맞게 지지대 결합구에 형성되는 홀더의 형상이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형식의 지지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지지대는 2개의 지지대가 쌍을 이루고, 각 지지대의 크로스바가 교차하도록 결합함으로써 팔레트, 지지대 결합구, 지지대가 견고한 틀 형태로 결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지지대로부터 가해지는 상부 하중이 지지대 결합구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지지대 결합구의 상부판을 통하여 팔레트에 분산 수용될 수 있도록 지지대의 결합부에 상기한 지지대 결합구의 상부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결합하는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는 결합부인 양 지주의 단부로 부터 일정 높이 내측으로 가압판이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팔레트(10), 지지대 결합구(20) 및 지지대(3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실시 예이다.
팔레트(10)는 각 모서리의 상하부에 지지대 결합구를 수용하기 위한 홈(11)이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홈은 지지대 결합구(20)가 결합한 상태에서 팔레트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지지대 결합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컨베이어 등에 의한 이송시 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한 홈은 지지대 및 지지대 결합구가 팔레트에 결합하여 틀을 구성한 상태에서 횡 방향력에 의해 비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한다.
실시 예는 팔레트의 각 모서리에 " L" 형 홈(11)을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는 지지대 결합부의 맞춤부를 동형으로 구성한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팔레트에 형성한 홈(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 결합구에 전용으로 사용할 팔레트에 적용하며, 팔레트 제작 단계에서 팔레트의 각 모서리 상하부에 동형의 홈을 형성하고, 지지대 결합구의 상 하부 접촉부도 상기 홈과 동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팔레트의 양면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홈 및 대응되는 지지대 결합구의 접촉부 두 께가 3~5mm 정도임으로 지지대 결합구를 해체한 상태에서도 일반 팔레트와 같이 사용하는 데 거의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은 기존 팔레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팔레트 하부면에 접촉하는 지지대 결합구의 접촉부에 쐐기형 물림 돌기(22f)를 형성하여 팔레트와 지지대 결합구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지지대 결합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실시된다.
지지대 결합구(20)는 상부판(21)과 하부판(22)로 이루어지고, 상하부판의 간격조절구조 및 고정수단이 포함된다.
도 2 및 도 3은 상하부판의 간격조절 및 고정을 위해 스프링(23)이 사용된 지지대 결합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판(22)은 팔레트 모서리의 하부에 접촉되는 고정판(22a)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결합상태에서 팔레트의 모서리 양 측면에 접촉하는 측판(22b)과, 상기 측판의 외 측으로 형성되는 앵글형 홀더(22c)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부판(21)은 팔레트의 모서리 상부면에 접촉되는 판으로 상기한 하부판의 측판 상부에 결합한다.
상하부판의 결합을 위해 측판(22b)은 홀더(22c) 표면으로부터 20mm 범위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 안쪽으로는 홀더 표면 높이 까지 상부판(21)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22d)이 돌출부의 양단 일부를 제외하고 돌출부 전면에 걸쳐 형성된다. 상부판은 그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 홈(22d)에 물려 결합되는 맞춤부(21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맞춤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가이 드(21b)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이에 맞춤 되는 홈(11)을 갖는 전용 팔레트의 모서리에 밀어 넣어 팔레트와 결합을 할 수 있고, 기존의 일반 합성수지 팔레트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 팔레트를 가공 없이 그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합 상태에서 이탈이 제한되도록 하부판의 고정판에 쐐기형 물림 돌기(22f)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물림 돌기는 팔레트에 상부 하중이 작용시 팔레트 표면을 파고들면서 견고하게 물리어 지지대 결합구가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하부판의 간격조절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여 안정된 상태로 측판의 외측에 접촉되어 상부판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하부판과 팔레트가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서 도시된 실시 예는 스프링(23)이 사용되었으며, 상기 스프링의 결합위치는 통상적인 합성수지 팔레트에 형성되는 모서리 라운딩 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기존 팔레트에 스프링을 위한 별도의 가공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부판의 모서리 하부면과 하부판의 고정판 모서리 상부면을 연결하여 상부판에 스프링 힘이 걸리도록 함으로서 팔레트와 결합시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고, 팔레트로부터 분리시 상하부판이 분해되지 않도록 작용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는 상기한 상부판의 상하 유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고, 비 결합 상태에서 상하부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측판의 모서리 내측에 가이드 링(22e)을 형성하여 상부판에 고정된 스프링 고정봉(23a)이 관통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봉에 스프링(23)을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하부판의 측판에 형성한 가이드 홈(22d)의 깊이는 상하부판의 유동가능 길이이며, 동시에 사용 가능한 팔레트의 높이 범위가 된다. 따라서, 가이드 홈의 깊이를 20mm가 되도록 하면 20mm 범위 내의 높이 차이를 갖는 팔레트에 호환사용이 가능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40mm,150mm 높이의 팔레트는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30)는 2개의 지주(31)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는 크로스바(32)로 이루어지고, 양 지주의 결합부(33)에 내측 일정 높이에 가압판(3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크로스바(32)는 원형 파이프가 사용되고, 지주(31)는 앵글,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가 사용되고, 지주와 크로스바의 결합은 고정 또는 절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로스바의 교차점에는 핀(35)이 결합하여 결합 상태에서 견고한 틀 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지주와 크로스바의 결합부 상부에는 뚜껑(36)이 부착되어 상부에 층층이 쌓이는 팔레트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주 하부에는 지지대 결합구에 형성된 홀더에 삽입되는 결합부(33)가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지주를 원형으로 구성한 경우에 앵글형의 결합부를 부착함으로써 앵글형 홀더의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지주가 앵글형 결합부 내측 팔레트의 상부 여유 공간인 팔레트 모서리에 위치하여 팔레트의 적재공간 또는 팔레트의 점유 공간을 크게 초과하지 않은 상태로 지지대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갖고, 지주의 단부가 원형 또는 원호 형을 이루어 그 자체로서 가압판의 작용을 함으로서 별도의 가압판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결합구의 상부판 또는 하부판을 손으로 잡아당겨 상하부판을 벌린 상태에서 팔레트의 각 모서리에 대고 손을 놓으면 스프링 력에 의해 상하부판이 모서리 부에 밀착 결합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20)에 지지대(30)를 결합하고, 화물을 적재하여 원하는 높이로 팔레트를 적층 한다. 화물이 적재 완료된 경우에도 상부판을 벌리고 팔레트 모서리 부위에 가볍게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결합구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팔레트가 층층이 쌓인 상태에서는 상부 팔레트에 의한 하중이 지주를 통하여 상부판에 작용함으로써 상하부판이 강하게 결합하고, 지지대는 지주와 지주 상부에서 크로스 바가 결합되는 틀 체를 이룸으로써 하중이 실린 상태에서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화물의 반출시 결합구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지지대를 제거하고 지게차로 팔레트를 들고, 하부판을 아래로 당긴 상태에서 외 측 방향으로 결합구를 뽑아 줌으로서 화물의 이적 없이 지지대 및 그 결합구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팔레트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지지대의 탈착이 가능하고, 팔레트의 높이에 제한받지 않고 호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부판이 간격 조절구조로 결합하고, 지지대에 형성한 가압판이 상부판을 압박 고정하는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세부적인 구성에서 다양한 실시 형태가 있음을 배제하지 않으며,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 한 실시형태이나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쉽고 간편하게 팔레트에 결합 사용할 수 있고, 팔레트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기존 팔레트 구조를 거의 변경 없이 사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가 각기 다른 팔레트의 경우에도 상 하부판의 간격이 조절되는 구조에 의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5)

  1. 합성수지 팔레트와; 팔레트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밀착 접촉되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판은 팔레트 모서리의 하부 및 측면에 밀착고정되고 지지대를 고정하는 홀더가 형성된 구조이고,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에 대하여 간격 조절구조로 결합하여 20mm 이내에서 상하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 결합구와; 상기 지지대 결합구의 홀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 결합구의 상부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지지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 결합구는 상부판과 하부판로 이루어지고, 하부판은 팔레트 모서리의 하부에 접촉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결합상태에서 팔레트의 모서리 양 측면에 접촉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외 측으로 형성되는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측판은 홀더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 안쪽으로는 홀더 표면 높이 까지 상부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부판은 그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 홈에 물려 결합되는 맞춤부가 돌출 형성되고 맞춤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판은 상부판의 하부 및 하부판의 고정판 모서리를 연결하는 스프링에 의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판을 구성하는 고정판의 팔레트 접촉부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물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팔레트는 상하 모서리 표면에 지지대 결합구의 상하부판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는 앵글형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주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져 그 하부에 홀더에 맞춤 되는 앵글형 결합부가 부착되어 지주 하단이 가압판의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KR1020050014813A 2005-02-23 2005-02-23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KR10074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813A KR100740509B1 (ko) 2005-02-23 2005-02-23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813A KR100740509B1 (ko) 2005-02-23 2005-02-23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43A KR20060094143A (ko) 2006-08-29
KR100740509B1 true KR100740509B1 (ko) 2007-07-19

Family

ID=3760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813A KR100740509B1 (ko) 2005-02-23 2005-02-23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511A1 (ko) * 2013-03-15 2014-09-18 (주)알포터 부분적 교체가 가능한 팔레트
WO2020141905A1 (ko) * 2019-01-02 2020-07-09 장시혁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레트용 조립식 선반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06264D0 (en) 2018-04-17 2018-05-30 Chep Technology Pty Ltd Pallet
KR102100487B1 (ko) * 2019-05-21 2020-04-13 이근조 에어 튜브 타입 파레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3038U (ko) 1980-09-29 1982-04-14
WO1986006345A1 (en) 1985-04-19 1986-11-06 Ladislav Stephan Karpisek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JPS62168330U (ko) 1986-04-16 1987-10-26
JP2002321738A (ja) 2001-04-20 2002-11-05 Meiji Rubber & Chem Co Ltd 荷物運搬用パレット
JP2004359246A (ja) 2003-06-02 2004-12-24 Maruzen Orimono Kk 荷崩れ防止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3038U (ko) 1980-09-29 1982-04-14
WO1986006345A1 (en) 1985-04-19 1986-11-06 Ladislav Stephan Karpisek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JPS62168330U (ko) 1986-04-16 1987-10-26
JP2002321738A (ja) 2001-04-20 2002-11-05 Meiji Rubber & Chem Co Ltd 荷物運搬用パレット
JP2004359246A (ja) 2003-06-02 2004-12-24 Maruzen Orimono Kk 荷崩れ防止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511A1 (ko) * 2013-03-15 2014-09-18 (주)알포터 부분적 교체가 가능한 팔레트
WO2020141905A1 (ko) * 2019-01-02 2020-07-09 장시혁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레트용 조립식 선반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43A (ko)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21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1342802B1 (ko) 플라스틱 파레트
JP4928620B2 (ja) 物品収納ケース
KR100740509B1 (ko)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조
EP3098136B2 (en) Dolly
EP3587295B1 (en) Adapter element and transport platform including adapter elements
US20200031522A1 (en) Roto molded pallet
KR100740510B1 (ko)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
JP2016196306A (ja) ホイール運搬ユニット
KR20130103807A (ko) 반송 팔레트
FR3011855A1 (fr) Demi-module de stockage pour bassin de retention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JP3728843B2 (ja) 簡易組立式スチールボックス
US11440701B2 (en) Structural block assembly
JP4515147B2 (ja) ロール状物運搬用ホルダ
JP6023419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2014055001A (ja) パレット
EP2669207B1 (en) A system for creating a container and corresponding container
JP7178023B2 (ja) パレット
KR100547268B1 (ko) 파렛트와 보호대의 결합구조
KR101600399B1 (ko) 팔레트 설치용 조립식 종이 포장 박스
US11724857B2 (en) Mechanism for joining collapsible walls of a plastic container
JP4785009B2 (ja) パレットサポータを取り付け可能なパレット
KR20150002375U (ko) 상다리 조립식 테이블
JP2005138865A (ja) パレットサポータを取り付け可能な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